KR100893572B1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572B1
KR100893572B1 KR1020070066600A KR20070066600A KR100893572B1 KR 100893572 B1 KR100893572 B1 KR 100893572B1 KR 1020070066600 A KR1020070066600 A KR 1020070066600A KR 20070066600 A KR20070066600 A KR 20070066600A KR 100893572 B1 KR100893572 B1 KR 10089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age
acid
polyester film
shrinkabl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699A (ko
Inventor
김상필
서기봉
황창익
김정원
김흥규
한승훈
권기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57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3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축 마무리성이 우수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하이드록시피발릭산 5∼50몰%를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제조되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35% 이상을 충족함으로써, 열수축후 용기 변경, 단부 접힘, 수축반, 수축후 주름, 뒤틀림 등의 결점이 없으며, 특히 라벨 깨짐이 없어서 수축 마무리성이 우수하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열수축률, 결정화 속도, 하이드록시피발릭산

Description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디카르복실산 및 디올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공중합 성분으로 투입된 조성물로 제조되고, 상기 필름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35%이상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성 필름은 가열에 의해서 수축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축 포장, 수축 라벨 등의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의 일례로서, 용기, 플라스틱병, 유리병, 각종봉상(棒狀)의 성형품(파이프, 봉, 목, 재)의 피복용, 결속용 또는 외장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이들의 캡부, 몸통부, 견부 등을 피복하여 표식, 보호, 결속 또는 상품의 가치 향상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상자, 병, 판, 봉, 노트 등과 같은 집적포장(集積包裝)용 분야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수축성 및 수축 응력을 이용한 다양한 용도 전개가 기대되고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열수축성 필름이 각종 포장재 또는 라벨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 인쇄특성 및 용기의 밀봉성, 수축균일성 등의 열수축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종래에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을 소재로 사용한, 열수축성 필름을 튜브상으로 용기류에 씌우고 집적 포장하여 열수축시키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상기 소재로 제작된 열수축성 필름은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 및 열수축 특성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된다. 일례로, 내열성이 부족하고, 보일 처리나 레토르트 처리할 때, 용융 또는 파열하기 쉬워서 필름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열수축성 필름은 염소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소각폐기시 다이옥신 발생 등의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폴리스티렌 소재의 열수축성 필름은 자연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보관이 어렵고, 인쇄공정에서도 인쇄불량 등의 공정상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최근 열수축성 필름분야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탐색한 결과,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수축률도 충분한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열수축성 필름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열수축성 필름의 우수한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조성 이외에 이종의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공중합하여, 열수축성 필름을 제조하고, 이때 원료조성에 따라, 열수축성 필름의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일례로, 일본국 공개특허 소64-4326호에서는 네오펜틸글리콜를 함유하여 공중합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공지하고 있으나, 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므로 라벨의 깨짐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이에, 실제 산업현장에서도 네오펜틸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축라벨에서 라벨 깨짐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네오펜틸글리콜과 함께 존재하는 테레프탈산 때문이다.
네오펜틸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단위 구조는 하기 화학식1과 같다.
Figure 112007048598612-pat00001
즉, 네오펜틸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네오펜틸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가 많아야만 수축필름의 수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화학식1의 구조로부터, 네오펜틸글리콜 뿐만 아니라 테레프탈산도 많아지기 때문에 플라스틱과 같은 병에 라벨이 씌워지고 나서 열풍 터널에서 수축이 될 때 테레프탈산의 결정성 때문에 라벨이 깨지기 쉬운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라벨로 둘러싸인 병끼리 부딪칠 때 라벨이 횡방향으로 터지기 쉽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열수축성 필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본 발명자들은 상기 네오펜틸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문제점을 착안하여, 신규한 분자 구조를 탐색한 결과, 공중합 성분으 로서 네오펜틸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 성분 대신에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사용하여, 용기 피복용 또는 라벨용으로 사용할 때 단부 접힘, 수축반, 수축후 주름, 뒤틀림, 라벨 깨짐 등의 문제가 없으면서 고수축률이 부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축 마무리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하이드록시피발릭산 5∼50몰%가 부가되어 이루어진 중합 조성물로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35%이상이다.
본 발명은 공중합 성분으로서 네오펜틸글리콜테레프탈레이트 성분 대신에 하이드록 시피발릭산을 사용함으로써, 용기 피복용 또는 라벨용으로 사용할 때 종래의 열수축성 필름에 대비하여 단부 접힘, 수축반, 수축후 주름, 뒤틀림, 라벨 깨짐 등이 개선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하이드록시피발릭산 5∼50몰%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공중합 성분으로 함유하며, 테레프탈산의 결정성에 의한 라벨 깨짐 현상을 개선한다.
Figure 112007048598612-pat00002
즉,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은 사용량이 증가하여도 테레프탈산의 양이 많아지지 않기 때문에,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열수축률도 높아지고, 수축 마무리성이 개선되며, 특히 라벨 깨짐 문제 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공중합 성분으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은 5∼50몰%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제조된다. 이때,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이 5몰% 미만인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양이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의한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병에 피복시킬 경우 수축 및 그 후의 살균처리에 의해 어깨 부분의 느슨해짐 등의 문제가 있고,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이 50몰%를 초과하였을 경우, 하이드록시피발릭산에 의한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서 수축, 수축반, 수축후 주름 및 뒤틀림 등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3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5%이다. 이때, 열수축률이 35% 미만이면, 병에 열수축성 필름을 피복시킨 후 느슨해짐과 같은 문제점이 있고, 열수축률은 100℃ 열풍조건에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그 일례로, 테레프탈산에 대해서 에틸렌글리콜과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직접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및 디메틸테프 탈레이트에 에틸렌글리콜과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반응시키는 에스테르교환법 등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조건 범위 내 및 범위 외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나 호모 폴리에스테르 내지 다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의 블렌딩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주성분 및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타의 성분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카르본산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5-제3급부틸이소프탈산, 2,2,6,6-테트라메틸디페닐-4,4-디카르본산, 1,1,3-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본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트리메리트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피로메리트산,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올 성분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펜탄디올, 2,2-(4-옥시페놀)프로판 유도체의 디올, 키실렌글리콜, 프로판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이산화티탄,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알루미나, 지르코 니아, 제올라이트 및 유기입자 등의 활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피닝성 향상제, 자외선 차단제, 항균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고유점도는 0.55∼1.3dl/g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2000kg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270kg의 에틸렌글리콜을 반응관에 투입하고,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9 중량%의 초산 망간을 반응관에 투입하였다. 240℃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유출되는 메탄올을 제거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3 중량%의 열안정제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투입하고, 5분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4 중량%의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투입하고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여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진공 설비가 부착된 다른 반응기로 이송한 후 250℃에서 28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시켜 고유점도가 0.65dl/g정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를 합성하였다.
 
 <제조예 2>
2000kg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1270kg의 에틸렌글리콜 및 90kg의 하이드록시피발 릭산을 반응관에 투입하고,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7중량%의 초산 망간을 반응관에 투입하였다. 240℃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유출되는 메탄올을 제거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3중량%의 열안정제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투입하고, 5분 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4중량%의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투입하고 다시 5분 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대비 0.8중량%의 실리카 입자(평균입경 2㎛)를 투입하여 5분 동안 교반하여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진공 설비가 부착된 다른 반응기로 이송한 후 250℃에서 28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시켜 고유점도가 0.65dl/g 정도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를 제조하였다. 이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함량은 7몰%이었다.
 
<제조예 3>
2000kg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270kg의 에틸렌글리콜과 490kg의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반응관에 투입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8 중량%의 초산 망간을 투입하였다. 240℃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유출되는 메탄올을 제거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종료된 후에는 열안정제로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3 중량%를 투입하고, 5분 후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4 중량%를 투입하여 5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다시 실리카 입자(평균입경 2㎛)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대비 0.8중량% 투입하고, 5분 동안 계속 교반하여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진공 설비가 부착된 다른 반응기로 이송한 후, 250℃에서 28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시키고, 고유점도가 0.65dl/g 정도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C)를 제조하였다. 이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함량은 40몰%이었다.
 <제조예 4>
2000kg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270kg의 에틸렌글리콜과 800kg의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을 반응관에 투입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8 중량%의 초산 망간을 투입하였다. 240℃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유출되는 메탄올을 제거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종료된 후에는 열안정제로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3 중량%를 투입하고, 5 분 후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5 중량%를 투입하여 5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다시 실리카 입자(평균입경 2㎛)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대비 0.8 중량% 투입하고 5분 동안 계속 교반하여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진공 설비가 부착된 다른 반응기로 이송한 후 250℃에서 28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을 시키고, 고유점도가 0.65dl/g 정도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D)를 제조하였다. 이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함량은 66몰%이었다.
<제조예 5>
1000kg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47kg의 에틸렌글리콜 및 322kg의 네오펜틸글리콜을 반응관에 투입하고,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대비 0.08중량%의 초산 망간을 반응관에 투입하였다. 240℃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유출되는 메탄올을 제거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종료 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대비 0.03중량%의 열안정제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투입하고, 5분 후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대비 0.03중량%의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투입하여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대비 0.8중량% 의 실리카 입자(평균입경 2㎛)를 투입하고 5분 동안 계속 교반하여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올리고머 상태의 혼합물을 진공 설비가 부착된 다른 반응기로 이송한 후, 250℃에서 28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시켜 고유점도가 0.7 dl/g 정도의 네오펜틸글리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E)를 합성하였다. 이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된 네오펜틸글리콜의 함량은 40몰%이었다.
<실시예 1>
제조예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를 250∼280℃에서 용융 압출하고, 다이를 통해 정전인가법으로 시트를 성형한 후, 횡방향으로만 80℃에서 4배 연신하고, 86℃에서 열고정하여 두께 50㎛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제조예3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C) 44중량%와 제조예1 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 56중량%를 블렌딩하여 250∼280℃에서 용융 압출하고, 다이를 통해서 정전인가법으로 시트를 성형한 후 횡방향으로만 80℃에서 4배 연신하고, 82℃에서 열고정하여 두께50㎛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3 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C)를 60∼100℃의 범위에서 예비결정화한 후, 130℃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250∼280℃에서 용융 압출하고, 다이를 통해서 정전인가법으로 시트를 성형한 후 횡방향으로만 80℃에서 4배 연신하여 두께 50㎛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B) 21 중량% 및 상기 제조예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 79중량%를 블렌딩하여 250∼280℃에서 용융 압출 후, 다이를 통해서 정전인가법으로 시트를 성형하여 횡방향으로만 80℃에서 4배 연신 하여 두께 50㎛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4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D)를 250∼280℃에서 용융 압출 후, 다이를 통해서 정전인가법으로 시트를 성형하여 횡방향으로만 80℃에서 5배 연신하고 88℃에서 열고정하여 두께 50㎛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5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E) 45% 및 제조예1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 55%를 블렌딩하여 250∼280℃에서 용융 압출 후, 다이를 통해서 정전인가법으로 시트를 성형하여 횡방향으로만 80℃에서 4배 연신하고 86℃에서 열고정하여 두께 50㎛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1. 열수축률 측정
수축필름을 횡방향으로 폭15mm로 절단하고, 길이방향으로 200mm의 간격으로 표시선을 기록한 후 100℃의 열풍에 1분간 가열하여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2. 주름 측정
수축필름의 한쪽 단부의 한면에 1,3-디옥소란을 약 2mm 폭으로 도포하고, 곧 필름을 둥글게 하여 다른 쪽의 단부와 접합시켜서 직경 10cm의 원통형 수축 튜브를 만 들고, 이 수축 튜브를 PET 병에 끼워 넣은 후 80℃ 온수에서 10초간 수축시킨 결과, 5mm 이상의 주름을 0 내지 5개 갖는 필름은 ○, 6 내지 10개 갖는 필름은 △, 11개 이상을 갖는 필름은 ×, 측정이 불가능 한 경우는 - 로 분류하였다.
3. 수축반 측정
수축필름의 한쪽 단부의 한면에 1,3-디옥소란을 약 2mm 폭으로 도포하고, 곧 필름을 둥글게 하여 다른 쪽의 단부와 접합시켜서 직경 10cm의 원통형 수축 튜브를 만들고, 이 수축 튜브를 PET 병에 끼워 넣은 후 80℃ 온수 중에서 10초간 수축시킨 후 꺼낸다. 수축반이 조금도 없을 경우에는 ○으로 표시하고, 실제적인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로 표시하며, 또 수축반이 심하여서 라벨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를 ×로 표시하고, 측정 불가능한 경우는 - 로 표기하였다.
4. 느슨함 측정
상기 주름측정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필름을 수축시킨 결과, 느슨함이 조금도 없을 경우에는 ○, 실제적인 문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 느슨함이 심하여서 라벨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는 ×으로 분류하였다.
 
5. 라벨깨짐 측정
수축필름을 튜브 형태의 수축 라벨로 만든 다음, 수축 라벨을 1.5리터 4각 PET 병에 끼워 넣은 후, 200∼250℃의 열풍 터널을 통과 시켜서 수축 라벨이 수축되도록 한다. 이렇게 만든 라벨이 붙어 있는 4각 PET병 두 개를 서로 양손에 들고 10회 서로 세게 부딪치는 것을50회 반복하여, 라벨이 깨진 수를 N이라고 할 때 하기 수학식 1로부터, 라벨 깨짐 비율을 측정하였다.
라벨깨짐 비율 = [N / 50] × 100
이때, 라벨깨짐 비율이 6% 이하일 때를 ○으로 판정하고, 비율이 16% 이하일 때는 △, 비율이 16%를 초과할 경우는 ×, 측정 불가능한 경우는 - 로 판정하였다. 
6. 하이드록시피발릭산(HPA)의 몰% 산출방법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칩을 듀테륨트리클로로메탄(CDCl3) 및 트리플루오르아세틱에시트(TFA)의 4:1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각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메틸기(CH3)에 대한 면적비를 구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의 페닐(phenyl)기의 면적비를 구하였다.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몰%은 하기 수학식 2로부터 산출되었다.
HPA(몰%) = [(메틸기의 면적비)/6]/[페닐/4] × 100
 
7. 네오펜틸글리콜(NPG)의 몰% 산출방법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칩을 듀테륨트리클로로메탄(CDCl3) 및 트리플루오르아세틱에시 트(TFA)의 4:1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핵자기공명장치(NMR)로 각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네오펜틸글리콜의 메틸기(CH3)에 대한 면적비를 구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의 페닐(phenyl)기의 면적비를 구하였다.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몰%은 하기 수학식 3으로부터 산출되었다.
NPG(몰%) = [(메틸기의 면적비)/6]/[페닐/4] × 100
 
Figure 112007048598612-pat00003
상기에서, 종%: 연신방향의 직교 방향 열수축률이고, 횡%: 연신방향 열수축률이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중합 성분으로 하이드록시피발릭산의 함량이 5 내지 50 몰%를 함유하여 제조된 열수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열수축후 주름이 0 내지 5개이고, 수축반 및 느슨함이 관찰되지 않고 특히, 라벨 깨짐 현상이 6%이하로 수축 마무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래의 열수축성 필름에 대비하여 열수축후 용기 변경, 단부 접힘, 수축반, 수축후 주름, 뒤틀림 등의 결점이 없으며, 특히 라벨 깨짐이 없어서 수축 마무리성이 우수함으로써, 용기, 플라스틱병, 유리병, 각종봉상(棒狀) 성형품(파이프, 봉, 목, 재)의 피복용도 및 상자, 병, 판, 봉, 노트 등과 같은 집적포장(集積包裝)용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하이드록시피발릭산 5∼50몰%가 부가되어 이루어진 중합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3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삭제
KR1020070066600A 2007-07-03 2007-07-03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89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600A KR100893572B1 (ko) 2007-07-03 2007-07-03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600A KR100893572B1 (ko) 2007-07-03 2007-07-03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99A KR20090003699A (ko) 2009-01-12
KR100893572B1 true KR100893572B1 (ko) 2009-04-17

Family

ID=4048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600A KR100893572B1 (ko) 2007-07-03 2007-07-03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5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6217A (ja) 1986-08-13 1988-02-27 Teijin Ltd 包装材料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
US6054551A (en) 1998-07-14 2000-04-2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rising a residue of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ethylene glycol and an aromatic diol derivative
US6342304B1 (en) * 1990-11-30 2002-01-29 Eastman Chemical Company Aliphatic aromatic copolyest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6217A (ja) 1986-08-13 1988-02-27 Teijin Ltd 包装材料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
US6342304B1 (en) * 1990-11-30 2002-01-29 Eastman Chemical Company Aliphatic aromatic copolyesters
US6054551A (en) 1998-07-14 2000-04-2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rising a residue of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ethylene glycol and an aromatic diol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99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4415B2 (ja) 結晶性に優れた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845401B1 (ko) 폴리에스테르 블렌드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 수축성 필름
JP707072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816768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2020097745A (ja) 非晶性のフィルム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原料、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熱収縮性ラベル、及び包装体
TWI496677B (zh) 熱收縮性聚酯系薄膜、及其製造方法、包裝體
CN107708966B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和包装体
KR100549112B1 (ko) 결정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1936563A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
CN107921698B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和包装体
CN112513134B (zh) 非晶性的薄膜用共聚聚酯原料、热收缩性聚酯系薄膜、热收缩性标签和包装体
JP480237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988440B2 (ja) ヒートシール性に優れた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893572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90003698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4206999A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
KR100654100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40051808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450209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554977B1 (ko)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3905958B (zh) 将纵(长度)方向作为主收缩方向的热收缩性聚酯系薄膜
KR100824914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3594A (ko)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559952B1 (ko) 융착방지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JP3879445B2 (ja) 熱収縮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