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594A -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594A
KR20080053594A KR1020060125330A KR20060125330A KR20080053594A KR 20080053594 A KR20080053594 A KR 20080053594A KR 1020060125330 A KR1020060125330 A KR 1020060125330A KR 20060125330 A KR20060125330 A KR 20060125330A KR 20080053594 A KR20080053594 A KR 2008005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shrinkable polyester
heat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743B1 (ko
Inventor
김도현
송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6012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74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3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분자배향분석기(MOA)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쇄의 배향각도가 0°~ ±10°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종횡방향 각각에 대해서도 적절한 수축율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용기나 물건의 피복포장이나 집적포장, 특히 필름의 종방향에 대해 고강도가 요구되는 파이프나 케이블류 등의 피복포장에도 효과적인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양방향, 열수축, 폴리에스테르, 인장강도, 헤이즈(Haze), 분자배향분석기(MOA)

Description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Biaxial 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방향 열수축 특성을 갖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성 필름이란 수축포장을 하기위해 사용되는 필름으로써 통상 특정온도 범위에서의 가열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의 배향완화 작용에 의한 수축성질을 이용한다. 병이나 캔 등의 각종 용기류의 피폭 라벨용 포장뿐 아니라 파이프, 봉, 와이어, 케이블 등의 길이가 긴 물건의 피복용 및 전기절연용, 결속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또 각종 식품포장류, 문구류나 산업용 포장재에 이르기까지 사용되는 분야가 다양하다.
종래 라벨용 열수축 필름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어 왔던 물질로는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계나 폴리프로필렌계 적층필름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들 열수축성 필름의 경우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나쁘며 제품의 외관특성 중 중요한 투명성이나 광택도도 떨어지며 열수축율도 충분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폴리염화비닐 열수축성 필름의 경우 염소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소각 폐기시 염소계 가스발생의 문제 및 가소제에 의한 환경호르몬 문제로 인해 환경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폴리스티렌필름은 두께균일성, 인쇄성, 기계적 강인성, 가공적성 등이 불량하며, 열적 치수 안정성이 나빠 보관이 어렵고 특히 인쇄후 급격한 기계적 물성저하가 발생하며, 폴리올레핀계 필름 역시 열악한 내열성 및 인쇄공정에서 인쇄불량 등의 공정상 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타소재 필름에 비해 내열성, 내후성 및 내용제성, 인쇄적성이 뛰어나고, 투명성, 두께 균일성, 기계적 물성 또한 뛰어나 최근 열수축 필름의 소재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또 PET병 라벨로 쓰일 경우 회수 공정시 타소재에 비해 유리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병 등의 라벨용 필름으로 이용 되어지는 경우 일축 단방향으로의 수축특성이 부여된 필름이 대부분 사용되며, 이를 일정 크기로 절단해 둥근 형태로 모양을 만들고 끝단부분을 접착시키고 그 사이를 벌려서 포장 또는 라벨링 하고자 하는 병이나 캔 등의 외부에 덧씌운 후 고온 공기 또는 고온수 수축터널을 통과하면서 열수축 시킴으로써 포장 또는 결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수축성 필름은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 투명성, 인쇄특성 등의 기본적인 특성 뿐만 아니라 용기의 밀봉성, 수축균일성 등의 우수한 열수축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방향 열수축 필름은 용기의 라벨링시 용기의 변형방지나 필름의 균일한 수축특성을 얻기 위해 어느 한 방향으로만의 수축특성을 크게 부여하기 위한 일축 방향으로의 고배향 연신을 하게 된다. 그 결과로 그 종방향으로의 강 도나 인성 등 기계적 물성에 있어서는 취약점이 생기게 되어 각종 후 인쇄공정 및 제품 포장 라인에 있어서 종방향으로의 필름 파단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따라서 제품수율 및 생산라인 속도 증대에도 현재까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일축 고배향에 의해 초래된 그 종방향의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종횡방향 모두에 대해서도 적절한 수축율을 부여한 양방향성 수축기능을 부여하여, 다양한 용기나 물건의 피복포장이나 집적포장, 특히 필름의 종방향에 대해 고강도가 요구되는 파이프나 케이블류 등의 피복포장에도 효과적인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분자배향분석기(MOA)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쇄의 배향각도가 0°~ ±10°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한다.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선형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3~30몰%로 사용하여 얻어진 코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HOOC(CH2)nCOOH
상기 식에서 n = 4~12의 정수이다.
상기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95℃의 열수에서 10초 동안 수축시킨 후의 열수축율이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하여 각각 20% 이상이고,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한 인장강도가 각각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헤이즈가 5% 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축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또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공지의 디카르복실산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과 같은 공지의 디올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수득되는 코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자체는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디카르복실산에 대하 여 디올을 직접 반응시키는 직접 에스테르화법, 디카르복실산의 디메틸에스테르에 디올을 작용시키는 에스테르교환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단위체가 디카르복실산 단위체의 70몰%이상을 구성하고, 에틸렌글리콜 단위체가 디올 단위체의 70몰% 이상을 구성하는 코폴리에스테르이다. 두 종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때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의 총 디카르복실산 단위체 중 7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이고,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의 총 디올 단위체 중 70몰%이상이 에틸렌글리콜 단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으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선형 구조를 가지는 성분을 사용할 경우, 고분자 조성물의 유리전이 온도를 크게 떨어뜨려 저온연신을 가능하게 해주어 다른 공중합 조성에 비해 적은 함량으로도 효과적 결정화 억제 및 고수축 특성을 발현하게 해준다. 또한 필름의 헤이즈를 크게 떨어뜨려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여준다.
화학식 1
HOOC(CH2)nCOOH
상기 식에서 n = 4~12의 정수이다.
이와 같은 효과의 발현을 위해 코폴리에스테르 제조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 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3~30몰%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는 1종 이상의 코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하는 방법 또는 2종 이상의 코폴리에스테르 끼리 혼합하는 방법 등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는 50~80℃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고유점도는 0.55 ~ 0.80 dl/g인 것이 좋다.
수지의 고유점도가 0.55dl/g보다 낮거나 0.80dl/g보다 높게 되면 필름 제막시 파단문제나 물성저하가 초래되며 필터압에도 영향을 미쳐 균일한 시트성형이 곤란하며 제막 속도의 저하 및 조업성에도 문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의 표면 미끄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산화티탄, 실리카분말, 탄산칼슘 등의 활제를 첨가하여도 좋고,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제, 노화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염료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기존의 음료용기병 등에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라벨용 열수축필름은 필름의 주행방향인 종방향(MD)에 대해 수직인 횡방향(TD)으로의 단방향 고연신 공정을 통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축 연신을 통하여 필름의 횡방향(TD)으로 극대의 일축 배향을 이루고, 또한 열처리를 통한 결정화 유발로 잔류응력의 해소를 배제시켜 일축 고배향된 분자쇄가 그대로 그 잔류응력을 머금고 있다가, 최종 수축공정에서 그 잔류 응력의 힘으로 수축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횡방향으로의 고배율 일축연신의 결과로 인해 필름의 주행방향인 종방향에 대한 기계적 물성은 매우 약하게 되어 필름의 제조공정 중 또는 각종 인쇄나 슬리팅 공정, 라벨공정 등에서 필름의 주행 중 파단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각종 케이블이나 단단한 결속포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무엇보다 필름의 종방향에 대한 기계적 물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마이크로파 분자배향분석기(MOA)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쇄의 배향각도가 0°~ ±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쇄의 배향각도가 ±10°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필름의 비틀림 현상이나 필름단부의 컬이 발생하거나 불균일하게 수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인장강도는 종횡방향 모두에 대해 10k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종방향에 대해 10kg/㎟ 이상, 횡방향에 대해여 20kg/㎟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된 필름의 열수축율은 종횡 방향 모두에 대해 20% 이상이 바람직하며, 양방향 수축필름의 사용용도에 따른 종방향, 횡방향 각각의 수축율 조절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비, 연신온도, 열처리 등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양방향 열수축필름은 예컨대 하 기와 같은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혼합물을 잘 혼련시킨 후, 이를 융점 이상 온도에서 용융 압출시키고 케스팅 롤에서 Tg 이하의 온도에서 급냉시켜 무정형 시트를 먼저 제조한다. 이때 수지의 고유점도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0.55~0.8dl/g가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을 위하여 T-다이 압출법 또는 튜블러 압출법 등의 공지의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할 수 있다.
압출된 생성물을 예컨대, 정전하 접촉법과 같은 방법으로 급속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미연신 필름을 유리전이온도(Tg) 내지 유리전이온도(Tg)+30℃의 온도에서 종방향으로 연신시키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에 가까운 저온 연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 연신 또한 종방향 연신온도(Tsm) 내지 종방향 연신온도(Tsm)+30℃사이에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신비율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원래의 길이에 대하여 2.5배 ~ 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연신비율이 원래의 길이에 대하여 2.5배 미만인 경우 종방향으로의 기계적 물성 및 수축율의 저하가 초래되며, 최종 필름의 두께 균일도가 떨어져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없어진다. 또한 5.0배 초과하여 연신시키면 과도한 배향에 의해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거나 별다른 수축 물성의 향상이 없어 연신비 증가의 큰 의미가 없어진다.
또한 횡방향의 연신비율이 2.5배 미만이면 두께 불량 및 충분한 수축특성이 발현되지 않으며, 5.0배를 초과할 경우 고배향에 의한 높은 잠재 응력으로 인해 최종 필름의 치수 안정성 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상기 연신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장치가 사용되고, 로울연신, 긴 간격연신, 텐터연신, 튜블러연신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 공정에서 열처리온도는 유리전이온도(Tg) 내지 횡방향 연신온도(Tst)+30℃ 이하가 적당하며, 좋기로는 유리전이온도(Tg) 이상에서 연신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필름을 제조한 후 후공정에서 인쇄 등의 공정에서 열을 받았을 경우 수축율이 최소화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Tg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완(Relax)구간에서 이완율은 3% 이하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이완율이 0%가 바람직하다. 오히려 열고정 구간에서 연신(Relax율 -3%)을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 외관상 주름발생이 다소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평가법 및 주요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1) MOA 분석
원리 : MOA(Molecule Orientation Analysis; 분자배향분석기, MOA-20001A,KS-System, Japan)는 GHz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측정시료 필름의 분자 쌍극자 모멘트와 편극된 마이크로파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샘플시료 회전각에 따 른 마이크로파 투과광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방성을 측정하여 분자 배향을 결정하는 원리이다. 여기서, 분자사슬의 배향에 대한 이방성은 마이크로파 투과강도의 각 의존도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최전각도에 따른 투과강도는 하기 식으로 표기된다.
I(θ)=Io(θ)/[I+Q2{W(θ)/Wo(θ-Wo(θ)/W(θ)}2]
(상기 식에서 Io는 공진점에서의 마이크로파 투과강도, I는 마이크로파 투과강도, Wo는 공진각 주파수, W는 각주파수, θ는 회전각도, Q는 공진각주파수(Wo)/공진곡선의 반파넓이(ΔW)를 의미함.)
상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자쇄 주사슬의 배향각, 전기적, 이방성(분자배향화정도, 필름의 횡방향(TD)의 투과강도/종방향(MD)의 투과강도로부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필름의 샘플링 부위 별 차이를 고려하여 밀롤 기준으로 필름 전폭에 대해 50c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2) 배향각
횡방향(TD)을 기준축으로 하여 0도로 하고, 반시계 방향을 +로, 시계방향을 -로 표기하며, 각도는 분자쇄 주축의 배향방향을 나타낸다.
(3) 필름 고유점도
페놀과 테트라클로로에탄 50/50 혼합용매 20㎖에 시편 200㎎을 넣고 약 110℃에서 1시간동안 혼합물을 가열한 다음 30℃에서 측정하였다.
(4)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20℃/분의 속도로 시편을 승온 가열함으로써 Perkin-Elmer 사의 DSC-7에 의해 Tg를 측정하였다.
(5) 열수축율
필름을 20cm × 20cm의 정방향으로 재단하고, 95℃± 0.5℃의 온수 중에 무하중 상태에서 10초간 열수축시킨 후, 필름의 종방향(MD), 횡방향(TD) 방향의 수치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따라 열수축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06091386209-PAT00001
(6) 인장강도
인스트론사의 4201 모델인 인장강신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필름을 폭 1.5cm, 길이 15cm로 절단한 후, 클립 간격이 5cm가 되도록 장착하여 500mm/min의 속도로 인장을 실시하여 절단시 나타나는 최대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7) 헤이즈
Nippon Denshoku, 300A 보델인 Haze Meter를 사용하여, 빛이 필름을 통과할 때 Forward Scattering에 의해서 입사광으로부터 벗어나는 투과광선의 함량(%)을 말하는데 ASTM D-1003에 의해 평균 2.5o 이상 벗어나는 광속(Light Flux)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염기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을 100몰%,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을 82몰%와 네오펜틸글리콜을 18몰%를 사용하여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평균입경이 1.12㎛인 실리카 입자 분말 500ppm을 함유한 이 중합물을 종래 방법으로 건조시켜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폴리머 A).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가 0.75㎗/g이며, 유리전이온도가 70℃였다.
또 테레프탈산 100몰%, 1,4-부탄디올 100몰%를 사용하여 촉매로서는 테트라 부틸티타네이트 0.015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얻었다(폴리머 B).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폴리머 A) 90wt%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머 B) 10wt%를 블렌드 하여 28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 시켰고, 고형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80℃에서 종방향으로 3.5배 연신시키고 텐터구간에서 85℃에서 폭에 대하여 3.8배 연신시킨 다음, 텐터 내의 80℃ 열처리 구간에 필름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25㎛이며, 필름의 제조조건 및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2염기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91.5몰%,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을 100몰%와 아디프산(HOOC-(CH2)4-COOH)을 8.5몰%를 사용하여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여기에 평균입경이 1.12㎛인 실리카 입자 분말 600ppm을 함유하여 종래 방법으로 건조시켜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폴리머 C). 상기 코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68㎗/g이며, 유리전이온도가 64℃였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폴리머 C)를 28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 속냉각 시켰고, 고형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80℃에서 종방향으로 3.7배 연신시키고 텐터구간에서 90℃에서 폭에 대하여 3.7배 연신시킨 다음, 텐터 내의 85℃ 열처리 구간에 필름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16㎛이며, 필름의 제조조건 및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미연신 시트을 사용하여 85℃에서 종방향으로 4.2배 연신시키고 텐터구간에서 95℃에서 폭에 대하여 3.8배 연신시킨 다음, 텐터 내의 85℃ 열처리 구간에 필름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20㎛이며, 필름의 제조조건 및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중합에 있어서 테레프탈산 100몰%에 대해 공중합 성분을 배제한 에틸렌글리콜 100몰%를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호모 폴리에스테르(폴리머 D)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63㎗/g이며, 유리전이온도가 76℃였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폴리머 D)를 29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 시켰고, 고형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얻은 미연신 시트을 사용하여 95℃에서 종방향으로 3.5배 연신시키고 텐터구간에서 110℃에서 폭에 대하여 4.0배 연신시킨 다음, 텐터 내의 85℃ 열처리 구간에 필름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21㎛이며, 필름의 제조조건 및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미연신 시트을 사용하여 종방향 연신을 거치치 않고 텐터구간에서 80℃에서 폭에 대하여 3.8배 연신시킨 다음, 텐터 내의 75℃ 열처리 구간에 필름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50㎛이며, 필름의 제조조건 및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미연신 시트을 사용하여 85℃에서 종방향으로 2.5배 연신시키고 텐터구간에서 95℃에서 폭에 대하여 3.8배 연신시킨 다음, 텐터 내의 100℃ 열처리 구간에 필름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20㎛이며, 필름의 제조조건 및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1386209-PAT00002
상기 물성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열수축율이 20% 이상이며 인장강도 역시 종횡방향 모두에 대해 10kg/㎟ 이상임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횡방향 각각에 대해서도 적절한 수축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용기나 물건의 피복포장이나 집적포장, 특히 필름의 종방향에 대해 고강도가 요구되는 파이프나 케이블류 등의 피복포장에도 효과적인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마이크로파 분자배향분석기(MOA)를 이용하여 측정한 분자쇄의 배향각도가 0°~ ±10°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선형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 중 3~30몰%로 사용하여 얻어진 코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화학식 1
    HOOC(CH2)nCOOH
    상기 식에서 n = 4~12의 정수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95℃의 열수에서 10초 동안 수축시 킨 후의 열수축율이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하여 각각 20% 이상이고,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한 인장강도가 각각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헤이즈가 5% 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20060125330A 2006-12-11 2006-12-11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092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330A KR100924743B1 (ko) 2006-12-11 2006-12-11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330A KR100924743B1 (ko) 2006-12-11 2006-12-11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594A true KR20080053594A (ko) 2008-06-16
KR100924743B1 KR100924743B1 (ko) 2009-11-05

Family

ID=3980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330A KR100924743B1 (ko) 2006-12-11 2006-12-11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901A (ko) * 2015-08-19 2018-05-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US20210289868A1 (en) * 2015-06-10 2021-09-23 Daina Daigle Wig-management template-shield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345A (ja) * 1996-05-07 1997-11-18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94513A (ja) * 1998-09-25 2000-04-04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356153B2 (ja) * 1999-10-04 2009-11-04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ATE336538T1 (de) 2000-04-11 2006-09-15 Toyo Boseki Heissschrumpfbare polyesterfil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89868A1 (en) * 2015-06-10 2021-09-23 Daina Daigle Wig-management template-shield system and method
KR20180044901A (ko) * 2015-08-19 2018-05-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743B1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4730B2 (ja) 非晶性のフィルム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原料、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熱収縮性ラベル、及び包装体
JP505902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CN107428965B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及包装体
JP707072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845401B1 (ko) 폴리에스테르 블렌드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 수축성 필름
CN107708966B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和包装体
CN111936563A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
CN107921698B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和包装体
JP2023178331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熱収縮性ラベル、及び包装体
JP2014195944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7352844B2 (ja) 熱収縮性フィルム、熱収縮ラベル、および包装体
KR100924743B1 (ko)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7056322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20230009902A (ko) 필름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원료,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열수축성 라벨, 및 포장체
JP2011094159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