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422B1 - 유압 탱크 - Google Patents

유압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422B1
KR100886422B1 KR1020077011952A KR20077011952A KR100886422B1 KR 100886422 B1 KR100886422 B1 KR 100886422B1 KR 1020077011952 A KR1020077011952 A KR 1020077011952A KR 20077011952 A KR20077011952 A KR 20077011952A KR 100886422 B1 KR100886422 B1 KR 10088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tank
chamber
strainer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593A (ko
Inventor
히데히코 고바야시
겐조 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8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 Y10T137/8049Movable str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187Plural tanks or compartments connected for serial flow
    • Y10T137/86212Plural compartments formed by baff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187Plural tanks or compartments connected for serial flow
    • Y10T137/86228With communicating opening in common walls of tanks o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안정적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어 탱크 용량을 작게 하여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압 탱크를 제공한다. 유압 탱크는,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고 반환구(17a, 17b)와 흡입구(18a, 18b)가 형성된 탱크 본체(1)와, 상기 탱크 본체(1)에 내장되고 반환구(17a, 17b)로부터 흡입구(18a, 18b)에 이르는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 부재(19)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획 부재(19)는, 오일의 흐름이 1회 이상의 상하방향의 반환과 1회 이상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탱크, 유압 유체, 작동, 오일, 흡입구, 반환구, 건설 기계, 유압 셔블

Description

유압 탱크{HYDRAULIC TANK}
본 발명은 유압 탱크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80), 상부 선회체(81), 및 상기 상부 선회체(81)에 연결되는 작업기(82)를 구비한다. 또, 작업기(82)는, 상부 선회체(81)로부터 돌출되는 붐(boom)(83)과, 상기 붐(83)에 연결되는 암(arm)(84)과, 상기 암(84)에 장착되는 버켓(bucket)(85) 등을 가진다. 그리고, 붐(83)은 붐용 실린더 기구(86)의 구동으로 요동되고, 암(84)은 암용 실린더 기구(87)의 구동으로 요동되고, 버켓(85)은 버켓용 실린더 기구(88)의 구동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 기구(86, 87, 88)는 유압으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유압 탱크를 구비한 유압 회로가 구성된다. 유압 탱크로서는, 내부가 칸막이 판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321902호 공보 참조). 일본국 특개평 5-321902호 공보에 기재된 유압 탱크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 모양의 탱크 본체(90) 내에, 상기 탱크 본체(90)의 바닥판(91)과 대략 평행한 칸막이 판(92)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흡입구(93)를 바닥판(91)에 개구되고, 반환구(94)를 칸막이 판(92)보다도 위쪽에 형성하고 있다. 즉, 탱크 본체(90)에 유압 유체를 축적할 수 있고, 탱크 본체(90)의 유압 유체는 흡입구(93)를 통하여 유압 펌프에 흡입되고, 각 실린더 기구(액츄에이터)(86, 87, 88)로부터의 반환되는 유압 유체가 탱크 본체(90)의 반환구(94)를 통하여 반환된다. 그리고, 이 유압 탱크에서는, 칸막이 판(92)에 필터(스트레이너; strainer)(97)용의 구멍(95)과, 다수의 작은 구멍(9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압 탱크는, 유면이 흔들렸을 때에, 칸막이 판(92)에 방해받아 위쪽으로 이동하기 어려워, 칸막이 판(92)보다 아래쪽의 필터(97)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 5-321902호 공보에 기재된 유압 탱크에서는, 칸막이 판(92)에 다수의 작은 구멍(96)이 있기 때문에, 반환구(94)로부터 흡입구(93)까지의 거리가 짧고,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이 탈기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정적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어 탱크 용량을 작게 하여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압 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반환구와 흡입구가 개구된 탱크 본체와, 탱크 본체에 내장되는 반환구로부터 흡입구에 이르는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 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획 부재는, 오일의 흐름의 1회 이상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 이상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2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1 발명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흡입구는, 탱크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3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2 발명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구획 부재는, 흡입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로 방향 구획부와, 상기 가로 방향 구획부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하부에 배치되는 세로 방향 구획부를 가진다. 또, 반환구는, 흡입구에 대해서 세로 방향 구획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4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구획 부재는,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의 상하를 구획하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을 가지고, 탱크 본체의 내부를,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의 외측의 제1 실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의 상방의 제2 실과,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의 외측의 제3 실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의 하방의 제4 실로 나눈다. 또, 반환구는 제1 실에 개구되고, 흡입구는 제4 실에 개구된다.
제5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4 발명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은, 탱크 본체를 구성하는 면 중 면적이 최대인 면에 각각 접속된다.
제6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4 발명 또는 제5 발명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은, 각각 탱크 본체의 측판에 접속된다.
제7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4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제8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4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유압 탱크에 있어서, 흡입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트레이너를 추가로 구비하고, 가로 방향 칸막이 판에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이 형성된다. 또,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은, 스트레이너 로드에 부착된 커버 부재에 의하여 거의 막혀 있다.
제9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압 탱크에 있어서, 구획 부재의 에지와 탱크 본체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제10 발명에 관한 유압 탱크는,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의 상하를 나누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을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탱크 본체에 내장하여,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를,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의 외측의 제1 실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의 상방의 제2 실과,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의 외측의 제3 실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의 하방의 제4 실로 나누고, 상기 제1 실에 반환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4 실에 흡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1 발명의 유압 탱크는,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탱크 본체와, 상기 탱크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배치된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유압 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를,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과,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칸막이 판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로 나누고,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에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을, 스트레이너 로드에 부착된 커버 부재로 거의 막아, 세로 방향 칸막이 판 외측의 폭 방향 일단 측으로 반환구를 형성하고,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의 하방에 흡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유압 유체의 흐름이 1회 이상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 이상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구획 부재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흡입구가 탱크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탱크 본체가 기운 상태의 경우라도, 흡입구로부터 오일을 흡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가로 방향 구획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반환구로부터 탱크 본체에 들어간 오일이, 일단 상승하여 가로 방향 구획부보다 상방에서의 폭 방향 타단측에 흘러, 상기 폭 방향 타단측에서 하강하고, 또한 구획 부재의 타단측의 개구부로부터 가로 방향 구획부의 하방측으로 침입하여, 상기 가로 방향 구획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므로,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탱크 본체는 4개의 방으로 나누어지고, 또한, 반환구로부터 제1 실에 들어온 오일이 제2 실을 통하여 제3 실에 들어오고, 또한 제3 실로부터 제4 실을 거쳐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하여, 탈기의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5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을 각각 탱크 본체에 접속하였으므로, 이들 3개의 칸막이 판이 강도(强度) 멤버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탱크 본체의 판두께를 작게 하거나, 또, 강도 멤버용의 다른 부재를 적게 할 수 있다. 특히,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이 탱크 본체를 구성하는 면 중 면적이 최대인 면에 접속되므로, 보강의 효과가 높다.
제6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을 각각 탱크 본체에 접속하였으므로, 이들 3개의 칸막이 판이 강도 멤버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탱크 본체의 판두께를 작게 하거나, 또, 강도 멤버용의 다른 부재를 적게 할 수 있다.
제7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세로 방향 칸막이 판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므로, 오일이 요동되었을 때의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 유량이 감소되어 부족하게 된 경우라도, 오일을 흡입구까지 도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8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커버 부재로써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을 거의 막을 수가 있어,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에 의한 오일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실로부터 제4 실로의 바이패스(bypass) 통로의 형성을 방지하여,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탈기(기포 제거)화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9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구획 부재의 에지와 탱크 본체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오일이 요동되었을 때의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 유량이 감소되어 부족하게 된 경우라도, 오일을 흡입구까지 도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10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탱크 본체는 4개의 방으로 나누어지고, 또한, 반환구로부터 제1 실에 들어온 오일이 제2 실을 통하여 제3 실에 들어오고, 또한 제3 실로부터 제4 실의 스트레이너를 거쳐 흡입구로부터 유압 펌프에 흡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하여, 탈기의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11 발명의 유압 탱크에 의하면, 가로 방향 칸막이 판 외측의 폭 방향 일단 측에 형성된 반환구로부터 탱크 본체에 들어간 오일이, 일단 상승하여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보다 상방에서 폭 방향 타단측으로 흘러, 상기 폭 방향 타단측에서 하강되고, 또한 상기 구획 부재의 타단측의 개구부로부터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의 아래쪽 측에 침입하여,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트레이너를 거쳐 흡입구로부터 유압 펌프에 흡입되므로,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로써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을 거의 막을 수가 있어,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에 의한 오일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환구로부터 흡입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탈기(기포 제거)화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유압 탱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유압 탱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유압 탱크가 사용되어 있은 건설 기계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부호의 설명
1: 탱크 본체, 2, 3: 스트레이너
4, 5: 측판, 10: 세로 방향 칸막이 판
11: 세로 방향 칸막이 판, 12: 가로 방향 칸막이 판
13: 제1 실, 14: 제2 실
15: 제3 실, 16: 제4 실
17a, 17b: 반환구, 18a, 18b: 흡입구
43, 44: 스트레이너 안내구멍,
45, 46: 스트레이너 로드, 51, 52: 커버 부재
55: 탱크 본체, 56: 스트레이너
57: 가로 방향 칸막이 판, 58: 세로방향 칸막이 판
59: 구획 부재, 60: 스트레이너 안내구멍
61: 스트레이너 로드, 62: 커버 부재
63: 반환구, 64: 흡입구
65: 개구부, 72: 흡입구
73: 반환구, 74: 스트레이너
75: 탱크 본체, 76: 반환구
77: 가로 방향 칸막이 판, 78: 세로 방향 칸막이 판
80: 스트레이너, 81: 구획 부재
다음에,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압 탱크의 단면 정면도이며, 도 2는 단면 측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며, 도 4는 단면 평면도이다. 상기 유압 탱크는,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탱크 본체(1)와, 상기 탱크 본체(1)에 수납되는 한쌍의 스트레이너(2, 3)를 구비한다. 상기 탱크 본체(1)는, 전면벽(측판)(4), 후면벽(측판)(5), 상면벽(6), 저면벽(7), 및 단부벽(8, 9)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탱크 본체(1)는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전면벽(4)과 후면벽(5)과의 면적이 탱크 본체(1)의 외형을 구성하는 면 중 최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상하를 나누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19)를 상기 탱크 본체(1)에 내장하여, 상기 탱크 본체(1)의 내부를,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의 외측의 제1 실(13)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상방의 제2 실(14)과,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의 외측의 제3 실(15)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하방의 제4 실(16)로 나뉘어 있다. 또, 제1 실(13)에 반환구(17a, 17b)를 형성하고, 상기 제4 실(16)에 흡입구(18a, 18b)를 형성하고 있다.
즉, 제1 실(13)에 대응하는 후면벽(5)에, 한쌍의 반환구(17a, 17b)를 형성하고, 상기 반환구(17a, 17b)에, 각각, 오일 가이드 관(20a, 20b)이 접속되어 있다. 각 오일 가이드 관(20a, 20b)은, 반환구(17a, 17b)로부터 연장되는 수평부(21a, 21b)와, 상기 수평부(21a, 21b)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직부(22a, 22b)로 이루어진다. 또, 연직부(22a, 22b)의 하단 개구부(23a, 23b)가 제1 실(13)의 저면에 소정 간격으로 대향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오일 가이드 관(20a)의 수평부(21a)가 다른 쪽의 오일 가이드 관(20b)의 수평부(21b)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직부(22a, 22b)의 하단부에는, 그 원주벽에 다수의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은, 그 하부(10a)(세로 방향 구획부)가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가로 방향 구획부)의 일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의 하부(10a)는, 스트레이너(2, 3)와 오일 가이드 관(20a, 20b)의 하단 개구부(23a, 23b) 사이를 나누고 있다.
또,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은, 그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6)를 가지는 본체부(27)와, 상기 본체부(27)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편부(28, 29)를 가진다. 그리고, 본체부(27)에 한쌍의 긴 구멍(30, 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은, 상기 절곡편부(28)가 전면벽(4)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고, 상기 절곡편부(29)가 후면벽(5)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은, 탱크 본체(1)의 내부의 높이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도, 그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32)를 가지는 본체부(33)와, 상기 본체부(3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편부(34, 35)를 가진다. 그리고, 본체부(33)에 한쌍의 긴 구멍(36, 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도, 상기 절곡편부(34)가 전면벽(4)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고, 상기 절곡편부(35)가 후면벽(5)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도, 탱크 본체(1)의 내부의 높이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의 하단에 관통구멍(38)(도 1 참조)이 형성되고, 제3 실(15)과 제4 실(16)이 상기 관통구멍(38)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또한,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은, 평판형의 본체부(40)와, 본체부(40)의 전단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곡편부(41)와, 본체부(40)의 후단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곡편부(42)를 구비하고, 본체부(40)는, 상기 절곡편부(41)가 전면벽(4)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고, 상기 절곡편부(42)가 후면벽(5)에 용접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의 본체부(40)에는, 스트레이너(2, 3)를 상기 탱크 본체(1)에 조립하기 위한 스트레이너 안내구멍(43, 44)(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스트레이너(2, 3)는, 각 흡입구(18a, 18b)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로드(45, 46)가 각 스트레이너(2, 3)로부터 연장되고, 스트레이너 로드(45, 46)의 상단에, 상면벽(6)의 관통구멍(47, 48)을 막는 캡 부재(49, 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스트레이너 로드(45, 46)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로써, 각 스트레이너(2, 3)를 저면벽(7)에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스트레이너(2, 3)는 상벽을 가지는 원통형이며, 각 흡입구(18a, 18b)를 덮고 있다.
그리고, 각 스트레이너 로드(45, 46)에는 원반형의 커버 부재(51, 52)가 설 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51, 52)로써 각 스트레이너 안내구멍(43, 44)을 윗쪽으로부터 거의 막고 있다. 이때, 커버 부재(51, 52)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의 본체부(40)에 대해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 간극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유압 탱크에서는, 반환구(17a, 17b)로부터 오일 가이드 관(20a, 20b)의 다수의 관통구멍(25)을 통하여 제1 실(13)에 오일이 들어가고, 제1 실(13)에 들어간 오일이 제1 실(13) 내에서 상승하여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의 긴 구멍(30, 30)을 통하여 제2 실(14)에 들어가고, 상기 제2 실(14)을 폭 방향 타단부 측으로 흘러,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의 긴 구멍(36, 36)을 통하여 제3 실(15)에 들어가며, 또한 제3 실(15)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3 실(15)로부터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의 관통구멍(38)을 통하여 제4 실(16)에 들어가고, 그 후에는, 제4 실(16)의 스트레이너(2, 3)를 거쳐 흡입구(18a, 18b)로부터 도면 밖의 유압 펌프에 흡입된다. 이와 같이, 탱크 본체(1)의 내부에는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에 의해, 오일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로를 흐르는 오일은, 1회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고 있다. 즉, 오일은 화살표 A와 같이, 제1 실(13)→제2 실(14)→제3 실(15)→제4 실(16)로 흐르게 되어, 반환구(17a, 17b)로부터 흡입구(18a, 18b)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13)→제2 실(14)→제3 실(15) 및 제3 실(15)→제4 실(16)로 흐르는 경우와 같이 폭방향으로 오일이 흐르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보다 유량의 감소에 의한 오일이 흐르는 거리가 감소되기 어려워지고 있다.
또,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을 각각 탱크 본체(1)에 접속(고착)했으므로, 이들 3개의 칸막이 판(10, 11, 12)이 강도 멤버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탱크 본체(1)의 판두께를 작게 하거나, 강도 멤버용의 다른 부재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51, 52)로써 스트레이너 안내구멍(43, 44)을 거의 막을 수가 있고,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43, 44)에 의한 오일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제2 실(14)로부터 제4 실(16)로의 바이패스 통로의 형성을 방지하여, 반환구(17a, 17b)로부터 흡입구(18a, 18b)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탈기(기포 제거)화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의 상단 에지와 탱크 본체(1)의 상면벽(6) 내면과의 사이, 각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의 하단 에지와 탱크 본체(1)의 저면벽(7) 내면 사이에, 간극(66, 67, 68, 69)이 형성되고, 또한,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과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에 간극(70, 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간극(66)은 오일이 요동되었을 때의 응력 완화를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상기 탱크 본체(55)의 내부를, 스트레이너(56)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가로 방향 구획부)과,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 로 방향 칸막이 판(58)(세로 방향 구획부)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59)로 나누고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에 스트레이너 안내구멍(6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60)을, 스트레이너 로드(61)에 설치된 커버 부재(62)로써 거의 막고 있다. 또, 반환구(63)가 세로 방향 칸막이 판(58) 외측의 폭 방향 일단측에 형성되고, 흡입구(64)가 스트레이너(56)에 덮여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압 탱크에서는, 반환구(63)로부터 탱크 본체(55)에 들어간 오일이, 화살표 B와 같이, 일단 상승하여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보다도 상방에서 폭 방향 타단측으로 흘러, 상기 폭 방향 타단측에서 하강하고, 또한 상기 구획 부재(59)의 타단측의 개구부(65)로부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의 하방측으로 침입하여,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트레이너(56)를 거쳐 흡입구(64)로부터 유압 펌프에 흡입된다.
도 6에 나타낸 유압 탱크에서도, 오일은 화살표 B와 같이 흐르므로, 도 1에 나타낸 유압 탱크와 마찬가지로, 오일의 흐름이 1회 이상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 이상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오일의 유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반환구(63)로부터 흡입구(64)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 1 등에 나타낸 유압 탱크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고,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 안내구멍(60)에 의한 오일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환구(63)로부터 흡입구(64)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탈기 (기포 제거)화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탱크 본체(1)의 내부에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이 내장되어 있고, 제1 실(13), 제2 실(14), 제3 실(15), 제4 실(16)로 나뉘어져 있다. 단, 도 1 및 도 5와는 달리 제1 실(13)에 흡입구(72)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4 실(16)에 반환구(73)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흡입구(72)는 스트레이너(74)에 덮여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압 탱크에서는, 반환구(73)로부터 탱크 본체(1)에 들어간 오일이, 화살표 C와 같이, 일단, 폭 방향 또한 흡입구(7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흐른 후, 상승하여,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보다도 상방에서 폭 방향 또한 흡입구(72)를 향하는 방향으로 흘러,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의 폭 방향 타단측에서 하강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스트레이너(74)를 거쳐 흡입구(72)로부터 유압 펌프에 흡입된다.
도 7에 나타낸 유압 탱크에서도, 오일은, 화살표 C와 같이, 제4 실(16)→제3 실(15)→제2 실(14)→제1 실(13)로 흐르게 되어, 반환구(17a, 17b)로부터 흡입구(18a, 18b)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도 1에 나타낸 유압 탱크와 마찬가지로, 오일의 흐름이 1회 이상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 이상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오일의 유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반환구(73)로부터 흡입구(72)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 1 등에 나타낸 유압 탱크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고,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상기 탱크 본체(75)의 내부를, 탱크 본체(75)의 폭방향 측단 하부에 배치된 반환구(76)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77)과,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77)의 일단부에 수직 설치 되는 세로 방향 칸막이 판(78)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81)로 나뉘어져 있다. 또, 흡입구(79)가, 세로 방향 칸막이 판(77)을 사이에 끼워 반환구(76)의 상방에 형성되고, 흡입구(79)가 스트레이너(80)에 덮여 있다. 그리고, 스트레이너(80)의 측방에는, 세로 방향 칸막이 판(78)이 위치되며, 세로 방향 칸막이 판(78)은 스트레이너(80)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압 탱크에서는, 반환구(76)로부터 탱크 본체(75)에 들어간 오일이, 화살표 D와 같이, 일단, 폭 방향 또한 흡입구(7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흐른 후, 세로 방향 칸막이 판(78)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승되어, 폭 방향 또한 흡입구(79)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동시에 하강하여, 스트레이너(80)를 거쳐 흡입구(79)로부터 유압 펌프에 흡입된다.
도면(8)에 나타낸 유압 탱크에서도, 오일은 화살표 D와 같이 흐르므로, 도 1에 나타낸 유압 탱크와 마찬가지로, 오일의 흐름이 1회 이상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 이상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오일의 유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반환구(76)로부터 흡입구(79)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공기를 흡입한 오일(공기가 혼입된 오일)의 탈기(기포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 기 도 1 등에 나타낸 유압 탱크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고, 종래보다도 탱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유압 탱크에서, 흡입구(79)와 반환구(76)가 반대로 형성되어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등에서는, 2개의 반환구(17a, 17b)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반환구를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하여도 된다. 또, 스트레이너도, 1개라도 되고,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그러므로, 흡입구도, 스트레이너에 대응하여 증감이 가능하다. 또,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유압 탱크에 있어서, 스트레이너를 2개 이상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탱크를 사용하는 건설 기계로서는, 유압 셔블에 한정되지 않고, 크레인, 파쇄기 등의 각종의 것이 대상이 된다.
또, 도 1의 유압 탱크에서는,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이 전면벽(4)과 후면벽(5)에 접속되어 있지만, 유압 탱크가 높이가 낮은 비교적 평탄한 외형을 가지고, 상면벽(6)과 저면벽(7)의 면적이 다른 면보다 큰 경우에는, 보강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이 상면벽(6)과 저면벽(7)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 상기 형태의 유압 탱크에서는, 오일의 흐름이 1회의 상하 방향의 반환과 1회의 폭 방향의 반환을 포함하도록 오일의 흐름의 경로가 형성되어 있지만, 각각 2회 이상의 반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 구성의 간소화 관점에서는, 상기 형태와 같이 상하 방향, 폭 방향의 각각 1회의 반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 및 도 6의 유압 탱크에서는, 흡입구(18a, 18b, 64)가, 탱크 본체(1, 55)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흡입구는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단, 탱크 본체가 기운 상태의 경우라도 흡입구로부터 유압 유체를 흡입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는, 탱크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있어 탱크 용량을 작게하여 컴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유압 탱크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고, 반환구와 흡입구가 형성된 탱크 본체; 및
    상기 탱크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의 상방에 배치된 가로 방향 구획부와, 상기 가로 방향 구획부의 일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세로 방향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환구로부터 상기 흡입구에 이르는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 부재;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스트레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탱크 본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환구는 상기 흡입구에 대해 상기 세로 방향 구획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로 방향 구획부에는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레이너로부터 연장된 스트레이너 로드에 설치된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이 막혀 있는,
    유압 탱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는, 한 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을 가지며, 상기 세로 방향 구획부는 상기 한 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중 어느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중에서 상기 가로 방향 구획부 보다 하측의 부분이며, 상기 가로 방향 구획부는,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상하를 나누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이고,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를,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의 외측의 제1 실(13)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상방의 제2 실(14)과,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의 외측의 제3 실(15)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하방의 제4 실(16)로 나누고,
    상기 반환구는 상기 제1 실(13)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4 실(1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은, 상기 탱크 본체를 구성하는 면 중 면적이 최대인 면(4, 5)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6.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은, 각각 상기 탱크 본체의 측판(4, 5)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 사이에는 간극(70, 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의 에지와 상기 탱크 본체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10. 한쌍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상하를 나누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12)을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탱크 본체(1)에 내장하여, 상기 탱크 본체(1)의 내부를, 한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의 외측의 제1 실(13)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상방의 제2 실(14)과, 다른 쪽의 세로 방향 칸막이 판(11)의 외측의 제3 실(15)과, 상기 세로 방향 칸막이 판(10, 11) 사이의 하방의 제4 실(16)로 나누어, 상기 제1 실(13)에 반환구(17a, 17b)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4 실(16)에 흡입구(18a, 18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11. 상자 모양체로 이루어지는 탱크 본체(55)와, 상기 탱크 본체(55)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부에 배치된 스트레이너(56)를 구비한 유압 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55)의 내부를, 상기 스트레이너(56)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과,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방향 칸막이 판(58)으로 이루어지는 구획 부재(59)로써 나누고,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에 스트레이너 안내구멍(60)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스트레이너 안내구멍(60)을, 스트레이너 로드(61)에 설치된 커버 부재(62)로써 막아, 세로 방향 칸막이 판(58) 외측의 폭 방향 일단측으로 반환구(63)를 형성하며, 상기 가로 방향 칸막이 판(57)의 하방에 흡입구(6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탱크.
KR1020077011952A 2004-11-04 2005-09-14 유압 탱크 KR100886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9995 2004-11-04
JPJP-P-2004-00319995 200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593A KR20070084593A (ko) 2007-08-24
KR100886422B1 true KR100886422B1 (ko) 2009-03-02

Family

ID=3631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952A KR100886422B1 (ko) 2004-11-04 2005-09-14 유압 탱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86768B2 (ko)
JP (1) JP4615521B2 (ko)
KR (1) KR100886422B1 (ko)
CN (1) CN101076672B (ko)
DE (1) DE112005002732B4 (ko)
GB (1) GB2433964B (ko)
WO (1) WO2006048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4279A (ja) * 2010-02-03 2014-10-09 Yuutekku:Kk 油タンク
JP5550576B2 (ja) * 2010-02-03 2014-07-16 株式会社ユーテック 油タンク
US8491707B2 (en) * 2010-05-24 2013-07-23 Helgesen Design Services, Llc Fluid storage tank configured to remove entrained air from fluid
US8991422B2 (en) 2012-07-12 2015-03-31 Caterpillar Inc. Return diffuser for hydraulic tank
DE102012017836A1 (de) 2012-09-10 2014-03-13 Trw Automotive Gmbh Fluidbehälter, insbesondere Hydrauliktank für ein Motor-Pumpen-Aggregat
CN102878123A (zh) * 2012-09-25 2013-01-16 三一重机有限公司 工程机械及其液压油箱
US8997471B2 (en) 2012-11-30 2015-04-07 Caterpillar Inc. Hydraulic system having dual manifolds
US20140182456A1 (en) * 2012-12-27 2014-07-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Debinder Trap
CN103821780B (zh) * 2014-03-12 2016-08-17 石河子开发区合创农机装备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
JP6108479B2 (ja) * 2014-08-07 2017-04-05 株式会社ソディック 射出成形機の作動油タンクまたは補助油タンク
CN104196773B (zh) * 2014-08-15 2016-02-03 济南时代试金试验机有限公司 一种试验机油源用阶梯式油箱
CN104454677A (zh) * 2014-10-29 2015-03-25 湖南五新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
CN105041735A (zh) * 2015-06-25 2015-11-11 苏州市大力电器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用隔板
JP6394658B2 (ja) * 2016-07-26 2018-09-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動油タンク
JP6680162B2 (ja) * 2016-09-21 2020-04-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動油タンク
DE102018217930A1 (de) * 2018-10-19 2020-04-23 Robert Bosch Gmbh Tank für ein hydraulisches Aggreg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642A (en) * 1972-10-31 1975-01-07 Cominco Ltd Apparatus for delivering metal to a rotating continuous casting drum
US4210176A (en) * 1978-09-14 1980-07-01 J. I. Case Company Hydraulic liquid reservoir with internal baffle
JPH04105604U (ja) * 1991-02-22 1992-09-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動油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2892A (en) * 1918-12-18 1921-10-04 Imber Jack Tank or receptacle for combustible or other liquids
US2419218A (en) * 1943-03-29 1947-04-22 Newman C Jannsen Construction of metal vessels
US2703607A (en) * 1949-03-25 1955-03-08 Milo R Simmonds Multiple cell fuel tank arrangement
US3284991A (en) * 1963-12-19 1966-11-15 Dow Chemical Co Ultrasonic degassing of liquids
US3976124A (en) * 1974-11-21 1976-08-24 Pettibone Corporation Cooling-controlled tank for hydraulic fluid
JPS57171176U (ko) 1981-04-22 1982-10-28
JPS59137601A (ja) * 1983-01-28 1984-08-07 Nissan Motor Co Ltd 油圧装置用タンク装置
JPS59190502A (ja) 1983-04-08 1984-10-29 Nissan Motor Co Ltd リザ−ブタンク
JPS60107402U (ja) 1983-12-22 1985-07-22 株式会社東芝 作動油タンク
JPS61114102U (ko) 1984-12-28 1986-07-18
DE3643265A1 (de) 1986-12-18 1988-07-07 Man Nutzfahrzeuge Gmbh Oelbehaelter zur oelversorgung von hydraulischen arbeitskreisen mit speicherfunktion und zur wiederaufnahme rueckgeleiteten oeles
JPH05321902A (ja) 1992-05-15 1993-12-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動油タンク装置
US6116454A (en) * 1998-10-01 2000-09-12 Caterpillar Inc. Hydraulic oil tank with integral baffle
DE10242050A1 (de) 2002-09-11 2004-03-25 Zf Lenksysteme Gmbh Ölbehälter
US6913040B2 (en) * 2003-03-24 2005-07-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ydraulic fluid reservo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642A (en) * 1972-10-31 1975-01-07 Cominco Ltd Apparatus for delivering metal to a rotating continuous casting drum
US4210176A (en) * 1978-09-14 1980-07-01 J. I. Case Company Hydraulic liquid reservoir with internal baffle
JPH04105604U (ja) * 1991-02-22 1992-09-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動油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6672A (zh) 2007-11-21
GB2433964A (en) 2007-07-11
CN101076672B (zh) 2011-05-18
US20080121289A1 (en) 2008-05-29
DE112005002732B4 (de) 2016-12-22
GB2433964B (en) 2009-11-25
DE112005002732T5 (de) 2008-01-24
KR20070084593A (ko) 2007-08-24
WO2006048976A9 (ja) 2007-06-14
WO2006048976A1 (ja) 2006-05-11
GB0707398D0 (en) 2007-05-23
JP4615521B2 (ja) 2011-01-19
US7886768B2 (en) 2011-02-15
JPWO2006048976A1 (ja)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422B1 (ko) 유압 탱크
JP5449629B1 (ja) ホイールローダ
EP1645784A2 (en) Oil strain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6892316B2 (ja) タンク装置
JP2011196527A (ja) 作動油タンク
JP5397077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戻し装置
JPH05321902A (ja) 作動油タンク装置
JP3780828B2 (ja) 作動油タンク
JP2012225061A (ja) 油圧式作業機械の作動油タンク
CN102116325A (zh) 一种液压油箱的呼吸器及工程机械
CN214092988U (zh) 滤油器
CN216741664U (zh) 油底壳组装体
JP3768719B2 (ja) 魚道ブロック
JP6394658B2 (ja) 作動油タンク
JP5398641B2 (ja) 作動油タンク及び建設車両
CN214367032U (zh) 液压油箱及泵车
CN214945327U (zh) 工程机械车架总成和工程机械
JP6384494B2 (ja) 油圧ユニット
JPH06117401A (ja) 作動油タンク
JP6680162B2 (ja) 作動油タンク
JP2022024840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CN215890237U (zh) 一种发动机罩盖
JP2019002527A (ja) オイル吸入装置
CN215486888U (zh) 一种油箱以及压铸机
JP2019113113A (ja) オイルストレ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