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829B1 -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829B1
KR100885829B1 KR1020070070237A KR20070070237A KR100885829B1 KR 100885829 B1 KR100885829 B1 KR 100885829B1 KR 1020070070237 A KR1020070070237 A KR 1020070070237A KR 20070070237 A KR20070070237 A KR 20070070237A KR 100885829 B1 KR100885829 B1 KR 10088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layer
power supply
supply terminal
collecto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137A (ko
Inventor
유키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59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bipola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입/출력 단자 (I/O) 의 보호 회로에서, 3 가지 유형의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포함된다.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에서, 그 이미터는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되고, 그 컬렉터는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다.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에서, 그 이미터는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및 컬렉터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에서, 그 이미터는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및 컬렉터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웰, 이미터 확산층, 컬렉터 확산층, 베이스 확산층,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SEMICONDUCTOR DEVICE AND PRO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가지는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의 MOS 유형 반도체 소자는 정전기 방전 손상 (ESD; electrostatic discharge damage) 이 그 내부에서 쉽게 유발되는 결점을 가진다. ESD 는, 대전된 인간의 몸, 기계, 패키지 등의 전기적 충전이 반도체 디바이스를 통해서 방전될 때 반도체 디바이스의 내부 회로를 훼손하는 현상이다. ESD 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상,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소자) 가 그 입력 단자 또는 출력 단자 (이하, "입/출력 단자" 로 지칭) 에서 반도체 디바이스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비용 삭감을 달성하기 위해, 최소 크기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가 요구된다.
종래 예 1
다음으로, 공지의 반도체 디바이스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5 는 종래 예 1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 로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6a 는 종래 예 1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6b 는 A 와 A' 사이의 단면도이다. 또한, 종래 예 1 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223277 호에 설명된 일 예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내부 소자에 접속된 입/출력 단자 (102) 의 보호 회로는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10) 로 구성된다.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10) 에서, 그 이미터는 입/출력 단자 (102)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3) 에 접속되고, 그 컬렉터는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4) 에 접속된다.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10) 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는 기생 다이오드 (107) 가 배치되고, 베이스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3) 사이에는 기생 저항 (108) 이 배치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도 5 의 110) 가 형성된 영역 내에, N 웰 (235) 이 P 유형 반도체 기판 (201) 내부에 형성된다. N 웰 (235) 이 형성된 영역에서는, 줄무늬 형상인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분리 산화막 (205) 이 N 웰 (235) 상에 형성된다. N 웰 (235) 의 표면에는,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입된 고농도 N 유형 베이스 (212),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1),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213),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1), 및 고농도 N 유형 베이스 (212) 가 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고농도 N 유형 베이스 (212),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1),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213) 는 각각 분리 산화막 (205) 에 의해 분리된다.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1) 는 입/출력 단자 (202) 에 접속된다.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213) 는 저-전위 전원 공급 배선 (204) 에 접속된다. 고농도 N 유형 베이스 (212) 는 고-전위 전원 공급 배선 (203) 에 접속된다.
종래 예 1 의 보호 회로의 경우,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4) 에 대한 입/출력 단자 (102) 에 플러스 ESD 써지가 인가될 때,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10) 의 스냅백 (snapback) 동작을 통해, 입/출력 단자 (102) 에 접속된 이미터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1) 로부터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4) 에 접속된 컬렉터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213) 로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내부 소자 (106) 가 이 전류에 의해 보호된다. 한편,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3) 에 대한 입/출력 단자 (102) 로 마이너스 ESD 써지가 인가되고,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10) 의 기생 다이오드 (107) 의 브레이크다운 (breakdown) 동작을 통해, 입/출력 단자 (102) 에 접속된 이미터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1) 로부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3) 에 접속된 베이스 (고농도 N 유형 베이스 212) 로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내부 소자 (106) 가 이 전류에 의해 보호된다.
종래 예 2
도 7 은 종래 예 2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8 은 종래 예 2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B 와 B' 사이의 단면도이다. 또한, 종래 예 2 는, 종래 예 1 과 쉽게 비교하기 위해, NPN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부터 변화된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나타내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10-150109 호에 개시된 보호 회로에 대한 예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내부 회로 (307) 에 접속된 입/출력 단자 (301) 의 보호 회로 (보호 소자 308) 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보호 소자 (308) 의 이미터는 입/출력 단자 (301)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및 컬렉터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접속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사이에 기생 저항이 배치된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보호 소자 (도 7 에서 308) 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P 기판 (311) 에 N 웰 (311a) 이 형성된다. N 웰 (311a) 이 형성된 영역에는, 매트릭스 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정사각형의 개구를 가지는 필드 산화막 (312) 이 N 웰 (311a) 상에 형성된다. 필드 산화막 (312) 의 개구 내부의 N 웰 (311a) 의 표면상에,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입된 P+ 확산층 (302) 이 형성된다. P+ 확산층 (302) 에서, 이미터 (302a) 는 입/출력 단자 (301) 에 접속된다. P+ 확산층 (302) 에서, 컬렉터 (302b) 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접속된다. 이미터 (302a) 는 각각의 컬렉터 (302b) 의 4 개의 쿼터에 배치되고, 컬렉터 (302b) 는 각각의 이미터 (302a) 의 4 개의 쿼터에 배치된다. 이미터 (302a) 및 컬렉터 (302b) 는 필드 산화막 (312) 에 의해 각각 분리된다. 또한, 베이스가 될 N 웰 (311a) 은 N+ 확산층 (도면에 미도시) 을 통해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접속된다.
종래 예 2 의 보호 회로의 경우, 마이너스 ESD 써지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대한 입/출력 단자 (301) 로 인가되고, 보호 소자 (308) 의 브레이크다운 현상 또는 펀치쓰루 (punch-through) 현상을 통해서, 입/출력 단자 (301) 에 접속된 이미터 (302a) 로부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접속된 베이스 (N 웰 311a) 또는 컬렉터 (302b) 로 전류가 흐르며, 이 전류에 의해 내부 회로 (307) 가 보호된다. 한편,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대한 입/출력 단자 (301) 로 플러스 ESD 써지가 인가될 때, 보호 소자 (308) 의 N 웰과 P+ 확산층 사이의 기생 다이오드의 순방향 동작에 의해, 이미터 (302a) 로부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접속된 베이스 (N 웰 311a) 로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에 의해 내부 회로 (307) 가 보호된다.
여기서, 종래 예 1 과 종래 예 2 사이의 차이점이 설명된다. 첫 번째 차이점은 보호 회로의 배선 구성이다. 종래 예 1 에서,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도 5 에서 110) 의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도 6 에서 213) 는 저-전위 전원 공급 배선 (도 6 에서 204) 에 접속되고, 종래 예 2 에서, 보호 소자 (도 7 에서의 308;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의 컬렉터 (도 9 에서의 302b) 는 베이스가 되는 N 웰 (311a) 와 동일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4) 에 접속된다.
두 번째 차이점은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평면 구성이다. 종래 예 1 에서,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도 5 에서 110) 의 복수의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도 6 에서 211) 및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도 6 에서 213) 는 줄무늬 형상으로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종래 예 2 에서, 보호 소자 ((도 7 에서 308;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의 이미터 (도 9 에서 302a) 및 컬렉터 (도 9 에서 302b) 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되고, 이미터 (도 9 에서 302a) 는 각각의 컬렉터 (도 9 에서 302b) 의 4 개의 쿼터에 배치되며, 컬렉터 (도 9 에서 302b) 는 각각의 이 미터 (도 9 에서 302a) 의 4 개의 쿼터에 배치된다.
세 번째 차이점은 그 동작 및 효과이다. 종래 예 1 에서,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도 5 에서 110) 의 기생 다이오드 (도 5 에서 107) 의 브레이크다운 동작을 통해, 단일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도 5 에서 110) 를 사용하여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도 5 에서 103) 에 대한 ESD 써지로부터 내부 소자 (도 5 에서 106) 가 보호되고,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도 5 에서 103) 측에 대한 ESD 써지 및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도 5 에서 104) 측에 대한 ESD 써지의 양쪽 모드에 대한 정전기 방전 손상 브레이크다운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예 2 에서는, 이미터 (도 9 에서 302a) 로부터 흐르는 전류 경로의 4 개의 방향이 있고, 이에 따라, 보호 소자는 동일한 영역에 의해 약 2 배의 ESD 써지 구동 성능을 가진다 (1/2 크기의 보호 소자 (도 7 에서 308) 를 사용하여 ESD 브레이크다운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예 1 의 경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도 5 에서 103) 에 대한 입/출력 단자로 마이너스 ESD 가 인가될 때, 고농도 P 유형 컬렉터 (도 6 에서 213) 는 ESD 써지가 흐르는 경로로서 작용하지 않고, 고-전위 전원 공급부와 입/출력 단자 사이의 기생 다이오드 (도 5 에서 107) 에 의한 방전은 그 다이오드의 브레이크다운 전류로 인해 큰 전류값을 가질 수 없고, 유동하는 전류 값은 기생 베이스 (웰) 저항이 직렬로 삽입되기 때문에 더 제한되고, 그로 인해, 모드의 ESD 저항이 작게 되는 가능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도 5 에서 103) 에 기초하여 정전기 방전 손상을 지정하기 위해,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도 5 에서 110) 의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크기가 매우 크게 확대될 필요가 있지만, 그 결과, LSI 의 확대된 칩 사이즈로 인한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다.
종래 예 2 의 경우, 저-전위 전원 공급 (접지; 도면에는 미도시) 에 기초하여 입/출력 단자 (도 7 에서 301) 로 ESD 써지가 입력될 때, 입/출력 단자 (도 7 에서 301) 와 저-전위 전원 공급부 (접지) 사이에서 직접 ESD 써지를 흡수하기 위한 보호 회로가 없기 때문에, 저-전위 전원 공급 (접지) 에 기초한 ESD 저항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저-전위 전원 공급 (접지) 에 기초하여 ESD 를 지정하기 위해, 입/출력 단자 (도 7 에서 301) 와 저-전위 전원 공급부 (접지) 사이에 큰 크기의 ESD 보호 소자가 요구된다. ESD 보호 소자가 각각의 입/출력 단자 (도 7 에서 301) 에 부가되지만, LSI 칩 크기는 매우 커지고, 이는, 증 가된 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종래 예 2 의 경우, P+ 확산층 (302) 의 유닛 주변에 확산층이 형성되지 않은 지그재그 형상의 데드 스페이스 (dead space) 가 있다. 이 경우, ESD 저항을 강화시키기 위해, PNP 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크기가 크게 확대되는 경우, 데드 스페이스는 증가하고, 디바이스의 칩 크기는 확대될 것이며, 그로 인해, 비용 증가의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 예 2 의 경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선 레이아웃의 디바이스로서, P+ 확산층 (302) 에 각각 접속된 입력 배선 (305) 및 출력 배선 (306) 상에 컨택트 비아 (contact via) 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아웃이 수행되는 경우,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상에 입력 배선 (305) 과 출력 배선 (306) 에 접속된 상부층 배선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베이스에 대한 배선이 입력 배선 (305) 및 출력 배선 (306) 에 접속된 상부층 배선과 동일한 층상에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범위의 외부에 베이스에 대한 배선의 배열이 선택되거나, 또는, 입력 배선 (305) 및 출력 배선 (306) 에 접속된 상부층 배선보다 더욱 높은 층 상의 배선의 배열이 선택될 수도 있다.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범위의 외부에 베이스에 대한 배선이 배치되는 경우, ESD 써지의 경로가 되는 베이스에 대한 배선은 두꺼운 배선 폭을 가지도록 요구되고, 이에 따라, 배선에 대한 공간으로 인해 칩 크기가 크다는 문제가 초래된다. 또한,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범위의 외부에 베이스에 대한 배선을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입력 배선 (305) 과 출력 배선 (306) 에 접속된 상부층 배선보다 더 높은 층 상에 배선이 배치되는 경우, 상부층 배선보다 더 높은 층 상에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와 컨택트 비아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의 모두 2 개의 단계가 부가되고, 생산 단계는 길어졌으며, 따라서, 비용 및 생산 일수의 증가가 문제점이 된다.
본 발명의 해결되어야 할 주요 문제점은 최소한으로 작은 ESD 보호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ESD 브레이크다운을 예방해야 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는 입/출력 단자의 보호 회로가 배치된 영역 내에 형성된 웰 (well), 및 이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복수의 이미터 확산층;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컬렉터 확산층;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복수의 제 2 컬렉터 확산층;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는 베이스 확산층; 이미터 확산층, 제 1 컬렉터 확산층,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베이스 확산층각각을 분리하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이미터 확산층, 제 1 컬렉터 확산층, 및 베이스 확산층은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이미터 확산층,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베이스 확산층은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제 1 컬렉터 확산층,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베이스 확산층은 제 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이미터 확산층은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컬렉터 확산층들은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베이스 확산층은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이미터 확산층 및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은 도트 형태로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은 도트 형태로 각 로우에 하나, 제 1 로우에 일단이, 그리고 상기 제 1 로우에 인접한 제 2 로우에 타단이 배치되고 소정의 이미터 확산층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확산층은 상기 이미터 확산층,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의 주변에 줄무늬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이미터 확산층에 컨택트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배선,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에 컨택트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배선 및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에 컨택트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선, 상기 제 2 배선 및 상기 제 3 배선은 동일한 배선 층에 형성된다. 컨택트 비아를 통해서, 상기 제 3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배선 및 컨택트 비아를 통해서, 상기 제 2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5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배선과 상기 제 5 배선은 동일한 배선 층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는 저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이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는 고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 보호 회로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3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3 가지 유형 중,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 그 이미터는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는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고, 그 컬렉터는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며;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 그 이미터는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및 컬렉터는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며; 및,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 그 이미터는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및 컬렉터는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는 저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이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는 고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도 높은 ESD 저항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디바이스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보호 기능이 회로만을 이용함으로써 모든 정전기 방전 손상 모드에 대해 달성될 수 있고, 추가적인 보호 회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낮은 비용 (칩 크기 축소) 및 높은 신뢰도가 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 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 에서의 A 와 A' 사이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 의 B 와 B' 사이의 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입/출력 단자 (I/O) 의 보호 회로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3 가지 종류, 즉,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및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로 구성된다.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및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는 nA 대 nB 의 비율 (도 2 에서 4 대 1 의 비율) 로 구성된다. 제 1 PNP 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에서, 그 이미터 (E) 는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B) 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되고, 그 컬렉터 (C) 는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다.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에서, 그 이미터 (E) 는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B) 및 컬렉터 (C) 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에서, 그 이미터 (E) 는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 (B) 및 컬렉터 (C) 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및 10B) 의 베이스 (B) 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사이의 배선 상에 기생 저항 (11) 이 존재한다. 내부 회로 (12) 는 입/출력 단자 (I/O),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및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각각 접속된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10B 및 10C) 가 형성된 영역 내의 P 유형 반도체 기판 (21) 에 N 웰 (22) 이 형성된다. N 웰 (22) 이 형성된 영역 상부에 분리 절연막 (23) 이 형성된다. 분리 절연막 (23) 은 N 웰 (22) 상의 매트릭스를 이루는 복수의 점 형상 (도 2 에서 정방형 형상) 의 제 1 개구 (P+ 확산층 (24C1, 24C2 및 24E) 이 각각 형성된 부분), 및 제 1 개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 2 줄무늬 형상 (프레임 형상) 개구 (N+ 확산층 (24B) 이 형성된 부분) 를 포함한다. 분리 절연막 (23) 의 제 1 개구의 N 웰 (22) 의 표면상에서, 고농도 P 유형 불순물이 도입된 P+ 확산층 (24C1, 24C2 및 24E) 이 형성된다.
P+ 확산층 (24E) 및 P+ 확산층 (24C1) 은 로우 (row) 방향 및 컬럼 (column)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P+ 확산층 (24C2) 에 관하여, P+ 확산층 (24E) 에 인접하게 도 2 의 홀수 로우의 좌측 말단 및 도 2 의 짝수 로우의 우측 말단의 각각의 로우에 하나의 층이 존재하도록, P+ 확산층 (24C2) 이 배치된다. P+ 확산층 (24E) 은 그 주위를 제외한 P+ 확산층 (24C1) 의 4 개의 쿼터에 배치되고, P+ 확산층 (24C1) 은 그 주위를 제외한 P+ 확산층 (24E) 의 4 개의 쿼터에 배치된다. P+ 확산층 (24E) 은 이미터가 되고, P+ 확산층 (24C1 및 24C2) 은 컬렉터가 된다. 분리 절연막 (23) 의 제 2 개구에서 N 웰 (22) 의 표면상에, 고농도 N 유형 불순물이 도입된 N+ 확산층 (24B) 이 형성된다. 이 N+ 확산층 (24B) 은 베이스가 된다.
P+ 확산층 (24E), P+ 확산층 (24C1 및 24C2), 및 N+ 확산층 (24B) 은 분리 절연막 (23) 에 의해 각각 분리된다. P+ 확산층 (24E) 은 컨택트 플러그 (26) 를 통해서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된 배선 (27b)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P+ 확산층 (24C1 및 24C2) 내에, 컨택트 플러그 (26) 를 통해서 배선 (27c)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P+ 확산층 (24C1) 및 컨택트 플러그 (26) 를 통해서 배선 (27a)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P+ 확산층 (24C2) 이 있다. P+ 확산층 (24C1) 은 컨택트 플러그 (26), 배선 (27c), 컨택트 비아 (29), 및 배선 (30b) 을 통해서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P+ 확산층 (24C2) 은 컨택트 플러그 (26), 배선 (27a), 컨택트 비아 (29), 및 배선 (30a) 을 통해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P+ 확산층 (24C1) 과 P+ 확산층 (24C2) 의 갯수의 비율은 도 2 에서 3 대 1 이다. N+ 확산층 (24B) 은 컨택트 플러그 (26), 배선 (27a), 컨택트 비아 (29), 배선 (30a) 을 통해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P+ 확산층 (24E), P+ 확산층 (24C1 및 24C2), 및 N+ 확산층 (24B) 을 포함하는 분리 절연막 (23) 상에, 층간 절연막 (25) 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 (25) 에서, P+ 확산층 (24E), P+ 확산층 (24C1 및 24C2), 및 N+ 확산층 (24B) 과 각각 소통하는 준비된 홀 (hole) 들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 (25) 의 준비된 홀 내에, 텅스텐 등으로 만들어진 컨택트 플러그 (26) 가 매몰된다. 배선 (27a, 27b, 및 27c) 은 컨택트 플러그 (26) 를 포함하는 층간 절연막 (25)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배선 (27a) 은 컨택트 플러그 (26) 를 통해서 P+ 확산층 (24C2) 및 N+ 확산층 (24B)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컨택트 비아 (29) 를 통해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 배선 (30a)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 (27b) 은 컨택트 플러그 (26) 를 통해 P+ 확산층 (24E)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된다. 배선 (27c) 은 컨택트 플러그 (26) 를 통해서 P+ 확산층 (24C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컨택트 비아 (29) 를 통해서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 배선 (30b)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 (27a, 27b 및 27c) 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막 (25) 상에, 층간 절연막 (28) 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 (28) 에서, 각각의 배선 (27a, 27b 및 27c) 과 소통하는 준비된 홀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 (28) 의 준비된 홀 내부에, 텅스텐 등으로 만들어진 컨택트 비아 (29) 들이 매몰된다. 배선 (30a 및 30b) 은 컨택트 비아 (29) 를 포함하는 층간 절연막 (28)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배선 (30a) 은 컨택트 비아 (29) 를 통해서 배선 (27a)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 (30b) 은 컨택트 비아 (29) 를 통해서 배선 (27c)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P+ 확산층 (24C1; 컬렉터), N+ 확산층 (24B; 베이스), 및 P+ 확산층 (24E; 이미터) 가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를 구성한다. P+ 확산층 (24C2; 컬렉터), N+ 확산층 (24B; 베이스), 및 P+ 확산층 (24E; 이미터) 은 제 2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를 구성한다. P+ 확산층 (24C1; 이미터), N+ 확산층 (24B; 베이스), 및 P+ 확산층 (24C2; 컬렉터) 은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를 구성한다. 또한, P+ 확산층 (24C1) 이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에서 컬렉터로서 기능한다고 할지라도, 이는,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내에서 이미터로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컴포넌트 (10A, 10B 및 10C) 를 접촉시키는 3 가지 유형의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하나의 N 웰 (22) 영역 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동작이 설명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플러스 ESD 써지가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입/출력 단자 (I/O) 에 인가될 때,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의 스냅백 동작에 의해, 써지 전류는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된 P+ 확산층 (24E; 이미터) 으로부터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 P+ 확산층 (24C1; 컬렉터) 으로 흐른다.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를 통한 써지 전류의 흐름에 의해, 내부 회로 (12) 가 보호된다.
한편, 마이너스 ESD 써지가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입/출력 단자 (I/O) 에 인가될 때,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의 스냅백 동작에 의해, 마이너스 써지 전류가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된 P+ 확산층 (24E; 이미터) 으로부터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 P+ 확산층 (24C1; 컬렉터) 으로 흐른다.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를 통한 써지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내부 회로 (12) 가 보호된다.
다음으로, 플러스 ESD 써지는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대한 입/출 력 단자 (I/O) 에 인가될 경우, 순방향 전류는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내의 P+ 확산층 (24E; 이미터) 로부터 N 웰로 흐르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공통 동작에 의해, 써지 전류가 P+ 확산층 (24E; 이미터) 로부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 P+ 확산층 (24C2; 컬렉터) 로 흐른다.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를 통한 써지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내부 회로 (12) 가 보호된다.
한편, 마이너스 ESD 써지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대한 입/출력 단자 (I/O) 에 인가될 경우,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와 N 웰 사이에 형성된 기생 다이오드 (도면에는 미도시) 의 브레이크다운 동작에 의해, 마이너스 써지 전류가 입/출력 단자 (I/O) 에 접속된 P+ 확산층 (24E; 이미터) 으로부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 N+ 확산층 (24B; 베이스) 으로 흐른다 (도 1 의 전류 경로 A 참조). 동시에,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의 P+ 확산층과 N 웰 사이에 형성된 기생 다이오드 (도면에는 미도시) 의 브레이크다운 동작에 의해, 마이너스 써지 전류가 P+ 확산층 (24E; 이미터) 으로부터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 P+ 확산층 (24C2; 컬렉터) 및 N+ 확산층 (24B; 베이스) 로 흐른다 (도 1 의 전류 경로 B 참조).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의 전류 경로 (A) 와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의 전류 경로 (B) 모두를 통한 써지 전류의 흐름에 의해, 내부 회로 (12) 가 보호된다.
또한,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플러스 ESD 써지가 인가될 때,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의 P+ 확산층 (24C2; 컬렉터) 과 N 웰 (22) 사이의 접합부의 브레이크다운 동작에 의해, 및 P+ 확산층 (24C2; 컬렉터) 으로부터 P+ 확산층 (24C1; 컬렉터) 으로 흐르는 스냅백 동작에 의해, 써지 전류는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로 흐른다.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를 통한 써지 전류의 흐름에 의해, 내부 회로 (12) 가 보호된다.
또한,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로 마이너스 ESD 써지가 인가될 때,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의 P+ 확산층 (24C2; 컬렉터) 과 N 웰 (22) 사이의 접합부의 순방향 동작에 의해,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가 on 되고, P+ 확산층 (24C2; 컬렉터) 로부터 P+ 확산층 (24C1; 컬렉터) 으로의 써지 전류의 흐름에 의해 내부 회로 (12) 가 보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의 CMOS 디바이스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와 분리된 기생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고, VDD 와 VSS 사이에서 ESD 써지에 대한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SOI (Silicon On Insulator) 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들 사이에 기생 다이오드를 가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전원 공급 장치들 사이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 모든 ESD 모드에 대한 ESD 보호 기능이 제공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와 입/출력 단자 (I/O) 사이에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를 또한 제공함으로써, ESD 저항이 종래 예 1 에서와 같이 약하고, 써지 전류는 또한 전류 경로 B 를 통해서 병렬로 흐르고, 그로 인해,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도, 높은 ESD 저항을 가지는 ESD 보호 디바이스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로서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기능을 제공하도록 N+ 확산층 (24B; 베이스) 에 종래 예 2 에서와 같이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에 기여하지 않는 P+ 확산층 (24C2; 컬렉터) 을 접속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ESD 보호 회로 (일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ESD 저항을 가지는 ESD 보호 디바이스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예 1 에서,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에 대해 ESD 보호는 충분하지 않고, 종래 예 2 에서,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ESD 보호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신규의 ESD 보호 회로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제 1 실시형태에서, 전원 공급 보호에 기여하는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C) 가 각각의 입/출력 단자의 입력-및-출력 보호 회로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 공급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크기의 축소가 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신규의 전원 공급 보호 회로가 필요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또한, nA 대 nB 의 구성 비율에서, 입/출력 단자 (I/O) 와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사이 및 입/출력 단자 (I/O) 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사이를 보호하는 제 1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A), 및 입/출력 단자 (I/O) 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사이를 보호하는 제 2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10B) 가 결합되고 구성되며, 그로 인해, 입/출력 단자 (I/O) 와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VSS) 사이의 ESD 저항은 nA 의 구성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그리고 입/출력 단자 (I/O) 와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VDD) 사이의 ESD 저항은 nB 의 구성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ESD 써지에 대해 최적 높은 ESD 저항을 가지는 ESD 보호 디바이스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nA 대 nB 의 구성비율의 레이아웃 변화가 배선 (27a, 27b 및 27c) 이후의 레이아웃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ESD 저항을 개선시키는 목적의 설계 변화가 단시간에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보호 회로의 레이아웃 크기를 확대시키지 않고 하나의 영역의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접속하는 3 개지 유형의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성함으로써, 그리고 신규의 전원 공급 보호를 부가하지 않고 입력 보호 회로에 전원 공급 보호에 대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ESD 저항을 가지는 ESD 보호 회로를 달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비용의 절감 (칩 크기의 축소) 및 높은 신뢰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등가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 에서 A 와 A' 사이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보호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 에서 B 와 B' 사이의 단면도.
도 5 는 종래 예 1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6a 는 종래 예 1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6b 는 종래 예 1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A 와 A' 사이의 단면도.
도 7 은 종래 예 2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8 은 종래 예 2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종래 예 2 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의 정전기 방전 손상 보호 회로를 도시하는 도 8 에서의 B 와 B' 사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입/출력 단자 103 :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4 : 저-전위 전원 공급 단자 107 : 기생 다이오드
108 : 기생 저항 201 : P 유형 반도체 기판
205 : 분리 산화막 211 : 고농도 P 유형 이미터
212 : 고농도 N 유형 베이스 235 : N 웰
301 : 입/출력 단자 302 : P+ 확산층
302a : 이미터 302b : 컬렉터
304 : 고-전위 전원 공급 단자 305 : 입력 배선
306 : 출력 배선 307 : 내부 회로
308 : 보호 소자 311a : N 웰
312 : 필드 산화막

Claims (8)

  1. 입/출력 단자의 보호 회로가 배치된 영역 내에 형성된 웰;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복수의 이미터 확산층;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복수의 제 1 컬렉터 확산층;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복수의 제 2 컬렉터 확산층;
    상기 웰 상에 형성되고 상기 웰의 도전형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는 베이스 확산층; 및
    상기 이미터 확산층,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 각각을 분리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터 확산층,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으로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구성되고,
    상기 이미터 확산층,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으로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으로 제 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구성되고,
    상기 이미터 확산층은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은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은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 확산층 및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은 도트 형태로 로우 방향 및 컬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및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은 도트 형태로 각 로우에 하나, 제 1 로우에 일단이, 그리고 상기 제 1 로우에 인접한 제 2 로우에 타단이 배치되고 소정의 이미터 확산층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반도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확산층은 상기 이미터 확산층,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의 주변에 줄무늬 형태로 배치된, 반도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 확산층에 컨택트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배선;
    상기 제 1 컬렉터 확산층에 컨택트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배선; 및
    상기 제 2 컬렉터 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확산층에 컨택트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3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선, 상기 제 2 배선 및 상기 제 3 배선은 동일한 배선 층에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컨택트 비아를 통해서, 상기 제 3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4 배선; 및
    컨택트 비아를 통해서, 상기 제 2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5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배선과 상기 제 5 배선은 동일한 배선 층에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는 저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이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는 고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인, 반도체 디바이스.
  7.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 이미터,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 컬렉터, 및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제 1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 터,
    상기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 이미터,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 2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 이미터, 및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된 베이스 및 컬렉터를 포함하는 제 3 PNP 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공급 단자는 저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이고, 상기 제 2 전원 공급 단자는 고 전위 전원 공급 단자인, 보호 회로.
KR1020070070237A 2006-07-13 2007-07-12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 KR100885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3012A JP5041749B2 (ja) 2006-07-13 2006-07-13 半導体装置
JPJP-P-2006-00193012 2006-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37A KR20080007137A (ko) 2008-01-17
KR100885829B1 true KR100885829B1 (ko) 2009-02-26

Family

ID=3894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237A KR100885829B1 (ko) 2006-07-13 2007-07-12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42621B2 (ko)
JP (1) JP5041749B2 (ko)
KR (1) KR100885829B1 (ko)
CN (1) CN101106128B (ko)
TW (1) TWI3550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8871B2 (en) * 2001-06-21 2014-08-2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purchases using an intelligent data carrier medium, electronic coupon system, and interactive TV infrastructure
JP5371274B2 (ja) * 2008-03-27 2013-12-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8378422B2 (en) * 2009-02-06 2013-02-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highly doped areas within a well
JP5595751B2 (ja) * 2009-03-11 2014-09-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Esd保護素子
DE102009015839B4 (de) * 2009-04-01 2019-07-11 Austriamicrosystems Ag Integrierte ESD-Schutzschaltung
KR101043776B1 (ko) 2009-04-30 2011-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정전기 보호회로
TWI416697B (zh) * 2009-10-21 2013-11-21 Silicon Motion Inc 靜電放電保護裝置
US9324845B2 (en) * 2012-12-11 2016-04-26 Infineon Technologies Ag ESD protection structure, integrated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8982518B2 (en) * 2013-03-14 2015-03-17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transient event protection for circuits
EP3107122B1 (en) * 2015-06-17 2019-06-12 Nxp B.V. A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CN109449202B (zh) * 2018-10-30 2021-10-22 广州工商学院 一种逆导双极型晶体管
US11290666B2 (en) * 2020-05-20 2022-03-29 Pixart Imaging Incorporation Multi-beta pixel circuit and image sensor circuit using same
WO2024121936A1 (ja) * 2022-12-06 2024-06-13 日清紡マイクロデバイス株式会社 Esd保護ダイオードとその構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713A (en) 1994-09-26 1999-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s for mixed voltage interface and multi-rail disconnected power grid applications
KR20010057940A (ko) * 1999-12-23 2001-07-05 박종섭 반도체장치의 정전기 방지회로
KR20010061378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정전기방전 보호회로
KR20010066333A (ko) * 1999-12-31 2001-07-11 박종섭 이에스디(esd) 보호회로
KR20060038604A (ko) * 2004-10-30 2006-05-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정전기 보호회로
KR100639221B1 (ko) 2005-12-08 2006-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회로용 정전기 보호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119A (en) * 1998-05-01 2000-04-11 Motorola, Inc. Protection circuit for a semiconductor device
JP2001156181A (ja) * 1999-11-25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
US6323523B1 (en) * 2000-01-31 2001-11-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N-type structure for n-type pull-up and down I/O protection circuit
JP2001223277A (ja) 2001-01-09 2001-08-17 Nec Corp 入出力保護回路
US6458632B1 (en) * 2001-03-14 2002-10-01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UMOS-like gate-controlled thyristor structure for ESD protection
JP2003163271A (ja) * 2001-11-28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保護装置
US6800906B2 (en) * 2002-10-18 2004-10-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JP4620387B2 (ja) * 2004-06-15 2011-01-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保護装置
US7291888B2 (en) * 2005-06-14 2007-11-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SD protection circuit using a transistor chain
JP4524661B2 (ja) * 2005-10-06 2010-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電制御装置
KR100835282B1 (ko) * 2007-01-23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713A (en) 1994-09-26 1999-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s for mixed voltage interface and multi-rail disconnected power grid applications
KR20010057940A (ko) * 1999-12-23 2001-07-05 박종섭 반도체장치의 정전기 방지회로
KR20010061378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정전기방전 보호회로
KR20010066333A (ko) * 1999-12-31 2001-07-11 박종섭 이에스디(esd) 보호회로
KR20060038604A (ko) * 2004-10-30 2006-05-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정전기 보호회로
KR100639221B1 (ko) 2005-12-08 2006-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회로용 정전기 보호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2621B2 (en) 2010-01-05
US7875904B2 (en) 2011-01-25
CN101106128A (zh) 2008-01-16
JP5041749B2 (ja) 2012-10-03
TW200818447A (en) 2008-04-16
US20100032714A1 (en) 2010-02-11
TWI355062B (en) 2011-12-21
JP2008021863A (ja) 2008-01-31
CN101106128B (zh) 2010-07-28
US20080013234A1 (en) 2008-01-17
KR20080007137A (ko)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829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보호 회로
US9881914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JP4854934B2 (ja) 静電気放電保護素子
JP3237110B2 (ja) 半導体装置
JP4209432B2 (ja) 静電破壊保護装置
JP2004336032A (ja) 静電気放電エネルギーを導通するための集積回路の構造
US8076748B2 (en) Semiconductor device
JP3144330B2 (ja) 半導体装置
CN107086216B (zh) 用于静电放电保护的栅耦合nmos器件
US20080169509A1 (en) Semiconductor device
US7176539B2 (en) Layout of semiconductor device with substrate-triggered ESD protection
CN114600242A (zh) 半导体集成电路装置
US10269898B2 (en) Surrounded emitter bipolar device
JP2012049444A (ja) 保護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TWI485833B (zh) 靜電放電保護電路及半導體裝置
US7589359B1 (en)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JP5297495B2 (ja) 静電気放電保護素子
US6597021B2 (en) Protec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12028380A (ja) 半導体装置
TWI856821B (zh) 靜電放電保護裝置
JP2009146977A (ja) 半導体装置
CN117637739A (zh) 静电放电保护装置
KR20000000099U (ko) 반도체 소자의 정전기 보호 장치
KR20060038248A (ko) 멀티핑거 구조를 갖는 정전기방전 보호 소자용 반도체소자
JP2000232203A (ja) ラテラルバイポーラ型入出力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