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374B1 - 예비분사장치 및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잉크젯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예비분사장치 및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잉크젯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374B1
KR100883374B1 KR1020037000277A KR20037000277A KR100883374B1 KR 100883374 B1 KR100883374 B1 KR 100883374B1 KR 1020037000277 A KR1020037000277 A KR 1020037000277A KR 20037000277 A KR20037000277 A KR 20037000277A KR 100883374 B1 KR100883374 B1 KR 10088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ecording
particles
ink particles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178A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다
히토시 기다
구니오 사토우
가즈오 시미즈
신야 고바야시
이찬
Original Assignee
리코 프린팅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코 프린팅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코 프린팅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3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by applying vacuum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6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07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 B41J2/09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electric field-contro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16Recording elements transferring recording material, e.g. ink, to the recording surface
    • G01D15/18Nozzles emitting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기록헤드모듈(10)에 부착된 오리피스판에는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가 설치된며, 상기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의 하면에는 잉크수용용 잉크흡인체(111)가 배치된다. 노즐구멍(12)으로부터 분사되는 기록용 잉크입자(14)는 경사전계(85)에 따라 임의로 편향된 기록용지(60)에 착탄되어 기록도트(70)을 형성한다. 한편,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는 경사전계(85)에 따라 편향되어 U턴 비행하여 잉크수용부(11)의 잉크흡인체(111)에 착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에 설치된 잉크 수용부(111)에서 잉크를 회수할 수 있어, 기록헤드모듈(10)과 기록용지(60)간의 간격을 넓혀 잉크수용부(111)를 설치할 수 있으며, 기록제어수준의 저하와 용지걸림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기록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필요한 양의 예비분사를 행할 수 있다.
잉크젯, 예비분사, 잉크, 헤드모듈, 편향

Description

예비분사장치 및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잉크젯 기록장치{AUXILIARY JETTING DEVICE AND INK JET RECORDING DEVICE PROVIDED WITH AUXILIARY JETTING DEVICE}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동작을 중단 없이 예비분사 가능한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고속 잉크젯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기록용지에 고속인쇄하는 라인주사형 잉크젯 기록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기록장치는 연속기록용지의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페이지폭 라인형 기록헤드를 가지고, 상기 기록헤드에는 잉크분사용 노즐이 열형(列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노즐은 노즐구멍을 개구로 구비하는 잉크저장고와 광전소자나 발열소자등의 에너지생성부재를 가진다. 이러한 기록헤드를 연속기록용지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에너지생성부재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잉크저장고 내의 잉크에 압력이 가해져 노즐구멍으로부터 잉크입자가 분사된다. 분사된 잉크입자는 연속기록용지면에 착탄되어, 기록도트를 형성한다. 연속기록용지면에서 잉크입자의 착탄위치는 기록 신호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속기록용지는 길이 방향으로 고속 반송된다. 이 용지반송과 상기 잉크입자의 착탄위치 제어에 의해, 기록용지의 소정의 주사선상으로 기록도트를 형성하고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라인형 기록헤드로는 연속 잉크젯 방식 기록헤드 또는 온-디맨드 잉 크젯 방식의 기록헤드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온-디맨드 잉크젯 방식의 기록헤드는 연속 잉크젯 방식의 기록헤드에 비해서 기록속도는 느리지만, 잉크시스템이 대단히 간단하기 때문에 보급형 고속기록장치를 제공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온-디맨드 잉크젯 방식의 라인형기록헤드와 전하편향 전극을 구비한 잉크입자 편향식 잉크젯 기록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전하편향 전극은 노즐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노즐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된 잉크입자를 편향시켜 기록용지상의 잉크착탄위치를 제어한다. 이 경우, 인접하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복수의 잉크입자를 동일한 화소위치에 다중 착탄할 수 있기 때문에 한 개 또는 복수의 노즐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노즐로 기록도트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고장에 의한 기록결함을 방지하면서 노즐 성능의 편차에 기인한 기록얼룩을 방지할 수 있고, 기록의 신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온-디맨드 잉크젯방식의 라인형 기록헤드에서는 기록 데이터에 맞춰 기록도트형성에 필요한 잉크입자를 분사하기 때문에, 장기간 잉크입자를 분사하지 않는 노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구멍 부근의 잉크가 건조되어 잉크분사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분사장치를 갖춘 잉크젯 기록장치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예비분사장치는 기록동작을 중단하여 예비분사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기록헤드를 소정의 예비분사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잉크수용부를 향해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분사시킨다. 일본국 특개2000-211159호 공보에는 기록헤드를 이동시키는 대신에 잉크수용부 자체를 기록헤드와 기록용지의 사이로 이동시키 는 예비분사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기록헤드를 예비분사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예비분사에 따르는 시간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l1-334106호 공보에 개시된 예비분사장치에서는 기록헤드와 잉크수용부 모두를 이동시키지 않고 예비분사가 행하여진다. 잉크수용부는 기록용지와 기록헤드의 사이에서 잉크분사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분사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공기류 또는 정전력의 작용에 의해 잉크수용부 방향으로 편향되어 기록용지에 착탄되지 않고 회수된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예비분사장치를 갖춘 잉크젯 기록장치라도 기록동작을 중단하여 예비분사를 행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기록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여러 개 분사하여 목적이 달성되었을 때에도 구조기능상의 이유로 수 많은 예비분사용잉크입자가 발생되어, 잉크를 필요 없이 사용해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페이지폭 라인형 기록헤드를 사용하는 연속지 대응 고속라인주사형 잉크젯 기록장치는 후술하는 이유로 종래의 예비분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우선, 페이지폭 라인형 기록헤드에서는 노즐마다 기록용 잉크입자의 분사빈도가 다르다. 예컨대 페이지폭의 종단부에 가까운 노즐에서는 여백으로 기록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기록도트를 거의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종단부의 노즐이라도 기록도트 형성 시에는 안정된 잉크입자를 확실하게 분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종단부 노즐에 적절히 예비분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예비분사에 의해 기록동작이 빈번히 중단되고 실질적인 기록속도가 대폭 저하된다.
또한, 고속으로 주행하는 연속기록용지를 양호한 정밀도로 급속히 정지 또는 재주행시키는 것은 어려울 뿐 아니라, 연속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기록헤드와 기록용지의 사이에 잉크수용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록헤드와 기록용지 사이의 간격을 넓힐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록헤드와 기록용지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기록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잉크 수용부와 기록용지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상기 간격이 불충분하면 잉크 수용부가 기록용지 주행에 방해가 되어, 기록용지의 걸림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예비 분사용 잉크입자를 편향시켜 회수하는 장치에서는 예비 분사용 잉크입자에 충분한 편향량을 부여하기 위해 간격을 넓히거나 잉크평판을 기록용지에 근접시켜 설치해야 하며, 이 경우 상기 기록정밀도나 기록용지의 걸림현상 문제가 심각하게 된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을 중단하지 않고 필요한 시점에서 필요한 양의 예비 분사를 행할 수 있는 예비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기록헤드와 기록용지 사이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 잉크수용부를 설치할 수 있고, 기록정밀도의 저하나 기록용지의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예비 분사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을 갖춘 예비 분사장치는 잉크입자를 발생 또는 분사하는 잉크분사수단과, 잉크입자를 회수하는 잉크수용부와, 상 기 잉크분사수단으로부터 분사된 잉크입자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잉크수용부에 착탄시키는 편향수단을 구비하는 예비분사장치로서, 상기편향수단은 잉크입자의 발생위치 근처에 설치되며, 잉크분사수단이 유지하는 잉크와 동전위의 도전체와, 기록용지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전극과, 상기도전체와 배면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편향 전장을 발생시키는 전압인가수단을 구비하고, 잉크분사수단으로부터 분사된 잉크입자는 상기 편향전장에 의해 편향되어 상기 잉크수용부에 착탄되며, 상기 잉크수용부는 도전체의 기록용지 대향면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된 잉크입자는 전압인가수단에 의해 발생된 편향전장으로부터 편향력을 받아, 잉크수용부를 향하여 U 턴비행한다. 따라서 잉크입자는 기록용지에 착탄되지 않고 잉크수용부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 도전체의 기록용지 대향면에 설치된 잉크수용부에 의해 잉크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소자와 기록용지의 간격을 그다지 넓히지 않고 잉크수용부를 설치할 수 있고 기록의 제어수준의 저하 또는 용지의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편향전장은 잉크분사수단으로부터의 잉크입자 분사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전계 성분을 가지는 경사편향전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잉크입자를 효율적으로 편향시킬 수 있게 된다.
도전체는 배면전극방향으로 돌기하는 볼록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전체는 노즐구멍이 형성된 오리피스판과 오리피스판 상에 설치된 도전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경사편향전장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도전체와 잉크수용부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잉크수용부는 잉크흡수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잉크수용부의 표면에 잉크를 유도하는 좁은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잉크수용부에 착탄된 잉크입자를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잉크수용부에 수용된 잉크는 잉크수용부에 연결된 부압펌프 또는 대용량의 잉크흡수체등을 구비한 잉크회수부재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잉크젯 기록장치는 잉크입자를 발생 또는 분사하는 잉크분사수단과, 잉크분사수단을 제어하여 기록용 잉크입자를 분사시키는 제1제어수단과, 잉크분사수단을 제어하여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분사시키는 제2제어수단과,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회수하는 잉크수용부와, 예비분사용 잉크입자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잉크수용부에 착탄시키는 편향수단을 구비하는 잉크젯기록장치로서, 상기 편향수단은 잉크입자의 발생위치 근방에 설치되며 또한 잉크분사수단이 유지하는 잉크와 동 전위의 도전체와, 기록용지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전극과, 상기 도전체와 배면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편향전장을 발생시키는 전압인가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잉크수용부는 상기 도전체의 기록용지대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편향전장은 기록용 잉크입자를 임의로 편향시켜 기록용지 상에 착탄시키고,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편향시켜 상기 잉크수용부에 착탄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제어수단에 의해 분사된 기록용 잉크입자는 기록용지상에 착탄하여 기록도트를 형성한다. 한편,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경사편향전장으로부터의 편향작용에 의해 잉크수용부를 향하여 U 턴비행한다. 따라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기록용지에 착탄되지 않고 잉크수용부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 도전체의 기록용지 대향면에 설치된 잉크수용부에 의해 잉크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분사수단과 기록용지의 간격을 그다지 넓히지 않고서 잉크수용부를 설치할 수 있고, 기록의 제어 수준의 저하나 용지의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수단은 임의 개수의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잉크의 낭비를 제거하며, 동시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1제어수단은 기록동작 중 기록 신호에 따라 기록용 잉크입자를 분사시키고, 상기 제2제어수단은 기록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기록동작 중 기록용 잉크입자가 분사되지 않는 간헐시간에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분사시킬 수 있다. 예비분사 과정에서 기록동작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루풋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록용지의 반송동작을 정지하여 재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정밀도화상을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속용지 대응 고속라인주사형 잉크젯 장치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응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수단은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기록용 잉크입자 보다 저속도로 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속으로 분사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경사편향전장의 편향력을 고속으로 분사될 때보다 많이 받기 때문에, 확실하게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잉크수용부에 착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기록용 잉크입자보다 경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이 가벼운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경사편향전장의 편향력을 중량이 무거울 때보다 많이 받기 때문에, 확실하게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잉크수용부에 착탄시킬 수 있다.
예비분사용 잉크입자 및 기록용 잉크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대전수단은 예비분사용 잉크입자에 기록용 잉크입자 보다도 큰 전하를 갖게 하도록 대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전하로 대전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경사편향전장의 편향력을 작은 전하로 대전된 경우보다 더 많이 받기 때문에, 확실하게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를 잉크수용부에 착탄시킬 수 있다.
편향전장은 상기 잉크분사수단으로부터의 잉크입자분사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전계성분을 가지는 경사편향전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잉크입자를 효율적으로 편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l의 실시예에 의한 예비분사장치를 갖춘 잉크젯 기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잉크젯 기록장치의 기록헤드모듈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잉크젯 기록장치의 편향 전극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편향 전극배치에 의해 발생되는 경사편향전장의 등전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잉크젯기록장치에 의한 기록동작 및 예비분사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예비분사장치를 구비한 기록헤드 모듈 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예비분사장치를 구비한 잉크젯기록장치의 편향 전극배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예비분사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예비분사장치를 갖춘 잉크젯 기록장치(1)를 나타낸다. 잉크젯 기록장치(1)는, 잉크입자편향형 온-디맨드방식의 라인형기록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기록장치(1)는 기록헤드마운팅(20)과, 용지배면전극(30)과, 전하편향제어신호발생회로(40)와,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를 구비한다. 기록헤드모듈마운팅(20)에는 복수의 기록헤드모듈(10)이 탑재되어 있다. 용지배면전극(30)은 기록용지(60)의 배면에 위치하여, 용지반송경로 사이에 기록헤드모듈마운팅(20)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전하편향제어신호발생회로(40)는 용지배면전극(30)에 전하편향신호를 공급하며,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는 외부에서의 입력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입자를 분사제어하는 것이다.
전하편향제어신호발생회로(40)는 전하편향신호작성회로(41)와 배면전극드라이버회로(42)를 구비한다.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는 기록제어신호작성회로(51)와, 타이밍신호발생회로(52)와, 액츄에이터구동펄스작성회로(53)와, 액츄에이터드라이버회로(54)와, 예비분사용신호작성회로(56)를 구비한다.
타이밍신호발생회로(52)는 타이밍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타이밍신호는 기록제어신호작성회로(51), 액츄에이터구동펄스작성회로(53), 예비분사용신호작성회로(56), 및 전하편향신호작성회로(41)로 출력된다.
기록제어신호작성회로(51)는 타이밍신호와 입력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제어신호를 작성하여, 액츄에이터구동펄스작성회로(53), 예비분사용신호작성회로(56), 및 전하편향신호작성회로(41)로 출력된다. 예비분사용신호작성회로(56)는 기록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예비분사용액츄에이터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액츄에이터구동펄스작성회로(53) 및 전하편향신호작성회로(41)로 출력한다. 액츄에이터구동펄스작성회로(53)는 기록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기록용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예비분사용액츄에이터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예비분사용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기록용 펄스 신호 및 예비분사용 펄스신호는 후술하는 기록헤드모듈(10)의 액츄에이터(55)(도 3)를 구동하기 위한 잉크방울분사제어신호이다. 액츄에이터드라이버회로(54)는 기록용펄스신호 및 예비분사용펄스신호를 액츄에이터(55)를 구동하는 데 바람직한 전력으로 증폭시킨다.
전하편향신호작성회로(41)는 타이밍신호발생회로(52)로부터의 타이밍신호와 기록제어신호작성회로(51)로부터의 기록제어신호 또는 예비분사용신호작성회로(56)로부터의 예비분사용액츄에이터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하편향신호(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하편향신호는 배면전극드라이버회로(42)로 출력된다. 배면전극드라이버회로(42)는 전하편향신호를 소정의 전압으로 증폭하여 용지배면전극(30)으 로 출력한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전극드라이버회로(42)로부터의 전하편향전압은 + kv ∼ -kv 사이에서 변화된다.
다음으로, 기록헤드모듈(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록헤드모듈(10)은 온-디맨드 잉크젯방식의 리니어기록헤드모듈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기록헤드모듈(10)은 금속등의 도전부재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판(13)을 가진다. 오리피스판(13)에는 소정의 피치로 열형으로 배치된 n 개의 노즐구멍(12)으로 이루어지는 노즐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각 노즐구멍(12)의 직경은 약 30μm 이다. 오리피스판(l3)의 오리피스면(13A)에는 경사전계발생과 예비분사용 잉크입자용 잉크수용부를 겸하는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예비분사장치는 오리피스판(13),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 및 용지배면전극(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헤드모듈(l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헤드모듈(l0)은 n 개의 노즐소자(2)로 구성되어 있다.(도 3에는 1개의 노즐소자(2)만을 도시되어 있다.) 각 노즐소자(2)는 동일구조를 가지며, 오리피스판(13)에 형성된 노즐구멍(12)과, 잉크부압실(3), 및 압전소자등의 액츄에이터(55)로 구성된다. 잉크부압실(3)은 노즐구멍(12)을 개구종단으로 하며, 잉크부압실(3)의 내부에 잉크가 축적된다. 액츄에이터(55)는 잉크부압실(3)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55)에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로부터의 잉크방울분사제어신호가 입력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기록헤드모듈(10)에는 잉크부압실(3)에 잉크를 유도하는 잉크유입구멍과 상기 잉크유입구멍에 잉크를 공급하는 매니폴드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로부터의 잉크방울분사제어신호가 액츄에이터(55)에 인가되면, 액츄에이터(55)는 부압실(3)의 체적을 변화시키고, 노즐구멍(l2)으로부터 잉크입자를 분사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로부터의 잉크방울분사제어신호가 기록용펄스 신호인 경우에는 중량 1Ong 정도의 기록용 잉크입자(14)가 분사방향(E) 즉 기록용지(6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5 m/s의 속도로 분사된다. 한편, 잉크방울분사제어신호가 예비분사용 펄스신호인 경우에는 7ng 정도의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가 분사방향(E)으로 2.5 m/s의 속도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분사된 잉크입자(14, 15)는 편향되지 않으면 비편향 잉크입자비행궤도(90)에 따라 비행하여 기록용지(60) 상에 착탄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절히 편향되어 비행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는 예컨대, 두께 0.5 mm 정도의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등의 판이며, 잉크소자(2)에 의해 분사되는 잉크입자의 발생위치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판(13)의 오리피스면(13A)의 상기 노즐구멍 열(120)을 따라 노즐구멍열(120)로부터 약 300μm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다.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 오리피스판(l3), 및 노즐소자(2) 내의 잉크는 모두 접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의 하면(기록용지대향면)(1lA)에는 두께 0.2mm 정도의 잉크수용부용 잉크흡수체(111)가 매립되어 있다. 상기 잉크흡수체(111)에는 스테인리스강 섬유를 굳힌 판재나, 다공질의 스테인리스강 소결체의 판재가 사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헤드모듈(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잉크흡수체(111)와 연결되어 잉크흡입파이프(1l2)와 부압펌프(114)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흡수체(111)의 잉크는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넓어져, 부압펌프(1l4)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서 잉크흡입파이프(112)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배면전극(30)은 금속 등의 도전성부재로 형성된 평판이며, 오리피스면(13A)에서 약 1.5 mm 이격된 위치에, 오리피스면(13A)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용지배면전극(30)에는 편향제어신호발생회로(40)로부터 전하편향제어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용지배면전극(30)은 전하편향제어전압에 따른 전위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하편향제어전압은 + 1kv ~ -lkv 의 범위에서 변화되기 때문에 용지배면전극(30)의 전위도 + 1kv ~ -lkv 의 범위에서 변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와 오리피스판(13)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배면전극(30)에 -1kv의 전하편향제어전압을 인가하면,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 및 오리피스판(13)과 용지배면전극(3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이 전계의 등전위면(8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편향 잉크비행궤도(90)의 부근에서는 전계의 방향이 잉크분사방향 (E)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전계(85)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α 지점에서의 경사전계(85α)는 비편향 잉크입자비행궤도(90)와 수직 방향의 전계성분(85αx)과 잉크분사방향(E)의 전계성분(85αy)을 가진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 노즐구멍(12)으로부터 분사된 잉크입자(14, 15)는 전하편향제어신호발생회로(40)에 의해 생성된 전하편향제어신호에 의해 하전되어, 상기 대전된 잉크입자(14, 15)가 경사전계(85)에서 비편향 잉크입자비행궤도(90)와 수직방향, 즉 잉크의 분사방향(E)과 수직 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도 4에 있어서, α지점에서는 경사전계(85α)의 전계성분(85αx)에 의해 편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구멍(12)으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입자는 분사시 용지배면전극(30)의 전위에 따라 양극성 또는 음극성의 소정 전하량으로 대전되어, 경사전계(85)의 편향작용에 의해 비행방향이 변화하며 비행한다. 양극성으로 대전된 기록용 잉크입자(14)는 경사전계(85)의 작용에 의해 도 3의 좌측방향으로 편향되어, 비행궤적(91)을 따라 비행한다. 한편, 음극성으로 대전된 기록용 잉크입자(14)는 경사전계(85)의 작용에 의해 도 3의 우측방향으로 편향되어, 비행궤적(92)을 따라 비행한다. 따라서, 잉크입자(14)의 분사/비분사 및 잉크입자(14)의 편향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기록용지(60) 상에 기록도트(70)(도 1)로 이루어진 원하는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전계(85)의 방향은, 잉크입자(14)의 비행초기단계 α지점에 있어서의 경사전계(85α) 쪽이, 비행종반단계 β지점에 있어서의 경사전계(85β)보다 비편향 잉크입자 비행궤도(90)에 대한 직교의 정도가 크고, 잉크입자를 편향시키는 α지점의 전계성분(85αx)이 β지점이 전계성분(85βx)보다 크다. 따라서 잉크입자(14)에 비행초기단계부터 큰 편향력을 부 여할 수 있으며, 또한 잉크입자(14)의 비행시간경과에 따라 큰 편향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여 대전 잉크입자(14)를 효율적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또한 대전 잉크입자(14)는 경사전계(85)에서 편향되는 동시에 전계성분(85αy, 85βy)의 작용도 받기 때문에 잉크입자(14)가 대전된 극성에 따라 잉크입자분사방향(E)으로 가속 및 감속될 수 있다.
한편,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는 음극성으로 대전되도록 설정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턴비행궤적(93)을 따라 잉크흡수체(111)에 착탄된다. 이는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는 기록용 잉크입자(14)보다 중량이 가벼우며, 또한 저속도로 분사되기 때문에 경사전계(85)의 편향작용을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잉크젯기록장치(1)의 동작원리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잉크젯기록장치(1)에서는 단일 노즐구멍(12)으로부터 분사된 기록용 잉크입자(14)를 편향제어하여 기록동작을 행한다. 상기 기록동작에서는 용지반송을 행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용지(60)에 기록도트를 형성하는 기록도트형성구간과 기록도트를 형성하지 않는 기록도트비형성구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록도트비형성구간이란 예를 들면 문자 사이, 괴선 사이, 화상과 화상 사이 등, 기록도트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간이다. 또한 페이지 사이에서 용지반송기간 등의 기록이 전혀 행하여지지 않는 기간도 포함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록도트비형성구간 뒤의 기록도트형성구간을 특히 기록도트재형성구간이라고 부르도록 하겠다.
도 5(a)에는 기록용지(60)에 얻어진 기록도트를, 도 5(a')에는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도시한다. 도 5(b)에는 잉크입자분사제어신호작성장치(50)로부터의 잉크방울분사제어신호(기록용펄스신호 및 예비분사용펄스 신호)를, 도 5(c)에는 전하편향제어신호발생회로(40)에서 생성된 전하편향제어신호를 도시한다. 또, 기록용지(60)는 도시되지 않은 기록반송기구에 의해 도 1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일정속도로 반송된다.
먼저, 최초의 기록도트형성구간에서 도 5(b)에 도시된 시각 T1에 기록용펄스(b1)가 액츄에이터(55)로 인가된다. 이를 통해 시각 T1으로부터 약간 경과하여 노즐구멍(12)으로부터 기록용 잉크입자(14)가 분사된다. 이 때, 도 5(c)에 나타내는 +1kV의 전하편향제어전압(c1)이 용지배면전극(30)에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펄스(b1)에 의해 분사된 기록용 잉크입자(14)가 음(-)으로 하전되어 있어, 기록용지(60)로 향하여 비행한다. 상기 비행 중,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편향제어전압은 -1kv로 변화되며, 경사전계(85)가 발생한다. 대전된 잉크입자(14)는 경사전계(85)에 의해 편향력을 받아 도 3에 도시된 비행궤적(92)을 따라 기록용지(60) 상의 도트위치(a1)(도 5(a))에 기록도트를 형성한다. 이 때, 편향비행 중에 잉크입자(14)의 비행속도가 어느 정도 감속된다.
다음으로, 시간 T 경과 후의 시각 T2에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용펄스(b2)가 액츄에이터(55)에 인가된다. 이를 통해 시각 T2로부터 약간 경과하여 기록용 잉크입자(14)가 분사된다. 이 때, -lkV의 전하편향제어전압(도 5(c))이 용지배면전극(30)에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펄스(b 1)에 의해 분사된 잉크입자(14)는 양(+)으로 대전된다. 양으로 대전된 잉크입자(14)의 비행 중에도 전하편향제어전압은 -1kV 로 유지되며, 잉크입자(14)는 경사전계(85)로부터 편향력을 받아, 도 3에 나타내는 비행궤도(91)를 따라 기록용지(60) 상의 도트위치(a2)(도 5(a))에 기록도트를 형성한다. 이 때, 편향비행 중에 잉크입자(14)의 비행속도가 어느 정도 가속된다.
다음으로, 시간 T 경과 후의 시각 T3에서, 액츄에이터(55)에 펄스 신호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도 5(b)), 잉크입자는 분사되지 않고, 도 5(a)에 나타내는 도트위치(a3)에 기록도트는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시간 T 경과 후의 시각 T 4 및 T 5에 있어서도 잉크입자는 분사되지 않고, 도트위치(a4) 및 도트위치(a5)에 기록도트가 형성되지 않는다.
시각 T 6에서는, 도트위치(a2)(도 5(a))에 기록도트를 형성했을 때와 같이, 기록용펄스(b6)에 의해 발생한 잉크입자(14)는 -1kV의 전하편향제어신호에 의해서 양(+)으로 대전되어, 경사전계(85)로 편향되어 도트위치(a 6)에 기록도트를 형성한다. 이상의 기록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기록용지(60) 상에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하는 기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록도트형성구간의 동작이 종료되면, 기록도트비형성구간으로 진입한다. 상기 구간에서는 노즐구멍(12)으로부터 잉크입자(14)가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이 기간에 노즐구멍(12) 부근의 잉크가 건조되어지면 잉크점도가 상승하여, 이후 기록도트형성구간의 초기에 기록용 잉크입자(14)가 불안정하게 분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정확한 기록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도트비형성구간에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발생시킨다. 즉,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 T7 및 T8에 예비분사용펄스(b7, b8)를 액츄에이터(55)에 인가한다. 예비분사용펄스(b7, b8)는 기록용펄스(b1, b2)보다 진폭이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용 잉크입자(14)와 비교하여 가벼운 중량의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저속도로 분사할 수 있다. 이들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는 +1kV의 전하편향제어신호(c7, c8)에 의해 음(-)극성으로 대전되어, 기록용지(60)를 향하여 비행한다. 그러나,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는 중량이 가벼우며 또한 저속도로 분사되기 때문에 경사전계(85)에 의해 감속되어 오리피스판(13)의 방향으로 복귀한다. 이와 동시에 경사전계(85)에 의해 잉크입자분사방향(E)와 수직방향으로 편향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U턴비행궤도(93)를 따라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의 잉크흡수체(111)에 착탄된다.
또한, 도 5(c)에 나타내는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용 전하편향제어신호(c7, c8)의 전압을 기록용 잉크입자(l4)용 전하편향신호(c1)의 전압 보다 크게 하면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의 대전량을 크게할 수 있어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가 용이하게 U턴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가 기록용지(60)에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보다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상기 기록도트비형성구간이 종료되면 기록도트재형성구간에 진입한다. 시각 T9, Tl0에서는 기록용 잉크입자(14)가 발생하고, 도트위치(a9, al0)에 기록도트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예비분사동작에 의해 노즐구멍(l2)에서 잉크점도의 상 승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도트재형성구간에서 비교적 초기의 시각 T9, T10 에서도 기록용 잉크입자(14)를 정상적으로 안정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트위치(a9, al0)에 정확하게 기록도트가 형성된다.
상기 동작원리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예비분사장치는 개개의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필요한 시점에서 단 1개라도 필요한 개수만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잉크수용부(111)가 오리피스전극(11)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잉크수용부(111)가 기록용지의 걸림현상을 야기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잉크수용부(111)를 배치하기 위해서 기록헤드모듈(10)과 기록용지(60)사이 간격을 넓힐 필요가 없으며 기록정밀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록도트비형성구간에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l5)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발생시켰지만, 기록도트재형성구간에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록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예비분사용신호작성회로(56)가 각 노즐구멍(12)에서 분사되는 기록용 잉크입자(14)의 분사상태를 감시하여, 잉크입자비분사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예비분사용 액츄에이터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분사시킨다. 예를 들면, 도 5(b)에 있어서, 시각 Tl0에 기록용 잉크입자(14)를 분사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다음 기록용 잉크입자(14)의 분사가 없으면, 시각 Tl0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후 시각 Tl1에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기록용 잉크입자(14)가 분사되지 않는 간헐시간에 예비분사용 잉크입자(l5)를 발생시키면, 기록도트형성구간에 서 장기간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노즐구멍((12)이 생긴 경우에도, 인쇄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예비분사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루풋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록도트비형성구간까지 기다리지 않고 예비분사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잉크입자분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각 노즐소자(2)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최후의 잉크분사 시각부터 잉크비분사시간을 계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비분사동작에서 단지 1개의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라도 확실하게 분사되기 때문에 잉크가 최저 필요량만 분사되어, 잉크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예비분사동작을 필요한 노즐소자(2)에 대해서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노즐소자(2)에 대해서 일제히 예비분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각 노즐소자(2)의 잉크입자분사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한 타이밍 및 빈도로 예비분사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오리피스전극겸 잉크수용부(11) 대신, 도 6에 도시된 오리피스 전극겸 잉크 수용부(110)가 기록헤드모듈(10)에 장착되어 있다. 경사전계 발생용 오리피스 전극겸 잉크 수용부(110)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잉크홈(113)이 약 160μm의 피치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잉크홈(113)은 잉크를 유도하는 가는 홈으로, 폭 약 80μm, 깊이 약 80μm이다. 경사전계 발생용 오리피스 전극겸 잉크수용부(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잉크도출구멍(l14)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경사전계 발생용 오리피스 전극겸 잉크수용부(110)의 단부 배면에는, 스펀지 등의 대용량 잉크흡수체(115)가 잉크도출구멍(114)에 파고들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U턴 비행하여 경사전계 발생용 오리피스 전극겸 잉크 수용부(110)에 착지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15)는 모세관 현상으로 잉크홈(113)을 따라 넓어져, 잉크도출구멍(114)을 통하여 대용량 잉크흡수체(115)에 흡수되어 회수된다. 본 실시예는 부압펌프(114)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물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잉크도출구멍(l14)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흡인 파이프(112)를 연결하여 잉크를 흡인하여 회수하는 것도 가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전계 발생용 오리피스 전극(11)을 사용하는 대신 오리피스판(13)을 용지배면전극판(30)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도, 비편향 잉크입자비행궤도(90A)에 대하여 직교성분 을 가지는 경사전계(85)가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입자를 편향제어할 수 있다. 오리피스판(13)의 하면에는, 경사전계발생용 오리피스 전극겸 잉크수용부(11) 대신 잉크홈(1l3)이 형성되어 있다. U턴 비행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 (l5)는 잉크홈(113)에 착탄되어, 잉크홈(113)을 통해서 잉크가 회수된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 용지배면전극(30)을 드럼 등의 원호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잉크흡인파이프(112) 대신, 도 6 에 나타내는 대용량 잉크흡수체(l15)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어느 실시예에서도, 노즐구멍(12)의 간격과, 노즐구멍(12)으로부터의 잉크입자분사제어 및 편향방향 및 편향량을 소정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다른 복수의 노즐구멍(12)으로부터 분사된 잉크입자를 편향시켜 동일화소위치 또는 그 근방의 위치에 복수의 잉크입자를 다중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하나 또는 복수의 노즐소자(2)가 고장나 기록도트를 투입할 수 없더라도, 다른 노즐소자(2)로 보충 가능하여, 신뢰성이 높은 잉크젯 기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복수 노즐소자(2)로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록얼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기록용 잉크입자를 비편향입자비행궤도(90)의 양측에 2단 편향시키고, 비행궤도(91, 92)를 따라 비행시켜 기록하는 경우의 예비분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기록용잉크입자의 편향 단수나 편향량에는 제한이 없다.
물론, 기록용 잉크입자를 편향시키지 않고 비행궤도(90)를 따라 비행시켜 기록을 행하더라도 된다. 이 경우,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만 편향되어 유턴비행하는 것이 된다.
예비분사동작에 의해 분사된 예비분사용 잉크입자는, 편향전장을 발생시키는 도전체에 설치된 잉크수용부에 의해 회수되기 때문에, 잉크분사수단과 기록용지의 간격을 넓힐 필요가 없고, 기록정밀도의 저하나 용지의 걸림현상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동작을 중지시키지 않고 예비분사동작을 실행할 수 있 기 때문에 스루풋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안정된 잉크분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없는 잉크소자에 대해서만 개별적으로 필요한 양만 예비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잉크의 낭비을 없앨 수 있다. 예비분사용 잉크입자와 기록용 잉크입자를 동일한 편향전장으로 편향시킬 수 있어, 장치 전체를 간단하고 쉽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7)

  1. 잉크입자(15)를 발생/분사하는 잉크분사수단(2), 상기 잉크입자(15)를 회수하는 잉크수용부(111, l13), 및 상기 잉크분사수단(2)으로부터 분사된 상기 잉크입자(15)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상기 잉크 수용부(111, 113)에 착탄시키는 편향수단을 구비하는 예비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잉크입자(15)의 발생위치 근방에 설치되고 또한 잉크분사수단 보유 잉크의 전위와 동일한 전위를 가지는 도전체(11, 1l0, 13), 기록용지(60)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전극(30), 및 상기 도전체(l1, 110, 13)와 배면전극(30)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편향전장(85)을 발생시키는 전압인가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분사수단(2)으로부터 분사된 상기 잉크입자(15)는 상기 편향전장(85)에 의해 편향되어 상기 잉크수용부(111, 113)에 착탄되고,
    상기 잉크수용부(1l1, 113)는 상기 도전체(1l, 110, 13)의 기록용지대향면(11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전장(85)은 상기 잉크분사수단(2)에서 분사되는 잉크입자분사방향(E)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전계성분(85αx)을 가지는 경사편향전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11, 110, 13)는 배면전극(30) 방향으로 돌기된 돌출부(11, 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11, 110, 13)는 노즐구멍(12)이 형성된 오리피스판(13), 및 상기 오리피스판(13) 상에 설치되는 도전판(11, 1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11, 110, 13)는 상기 잉크수용부(111, 1l3)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부(111)는 잉크흡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부(l13)는 잉크를 유도하는 좁은 홈인 것을 특징으로 예비분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부(111, l13)에 연결되어, 상기 잉크수용부(111, 113)에 체류하고 있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회수부재(114, 115)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회수부재(114)는 잉크를 흡인회수하는 부압(負壓)펌프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예비분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회수부재(115)는 상기 잉크수용부에 체류하고 있는 잉크를 모세관현상에 의해 흡인하는 대용량의 잉크흡수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11. 잉크입자(14,15)를 발생/분사하는 잉크분사수단(2), 상기 잉크분사수단(2)을 제어하여 기록용잉크입자(l4)를 분사시키는 제1 제어수단(51), 잉크분사수단(2)을 제어하여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를 분사시키는 제2 제어수단(56),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를 회수하는 잉크수용부(111, 113), 및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잉크수용부(111, 113)에 착탄시키는 편향수단을 구비하는 잉크젯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잉크입자(14, 15)의 발생위치 근방에 설치되고 또한 잉크분사수단(2)이 보유하는 잉크의 전위와 동일한 전위를 가지는 도전체(11, 1l0, 13), 기록용지(60)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전극(30), 및 상기 도전체(l1, 110, 13)와 배면전극(30)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편향전장(85)을 발생시키는 전압인가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수용부(111, 113)는 상기 도전체(l1, 110, 13)의 기록용지대향면(11A)에 설치되며,
    상기 편향전장(85)은 기록용잉크입자(14)를 임의로 편향시켜 기록용지(60)상에 착탄시키고,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를 편향시켜 상기 잉크수용부(111, 113)에 착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51)은 기록동작 중에 기록 신호에 따라 기록용 잉크입자(14)를 분사시키고,
    상기 제2 제어수단(56)은 기록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기록동작 중의 기록용잉크입자(14)가 분사되지 않는 간헐시간에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56)은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를 기록용잉크입자(14)보다 저속도로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장치.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는 기록용잉크입자(14)보다도 경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장치.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 및 상기 기록용잉크입자(14)를 대전시키는 대전수단(4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대전수단(40)은 상기 예비분사용잉크입자(15)가 기록용잉크입자(l4)보다 큰 전하를 가지도록 대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전장(85)은 상기 잉크분사수단에서(2) 분사되는 잉크입자분사방향(E)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전계성분(85αx)을 가지는 경사편향전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기록장치.
  1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부(111, l13)에 연결되어, 상기 잉크수용부(111, 113)에 체류하고 있는 잉크를 회수하는 잉크회수부재(114, 115)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분사장치.
KR1020037000277A 2001-04-06 2002-04-04 예비분사장치 및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잉크젯 기록장치 KR100883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8076 2001-04-06
JP2001108076 2001-04-06
PCT/JP2002/003396 WO2002083425A1 (fr) 2001-04-06 2002-04-04 Dispositif de jet auxiliaire et dispositif d'impression a jet d'encre avec dispositif de jet auxili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78A KR20030093178A (ko) 2003-12-06
KR100883374B1 true KR100883374B1 (ko) 2009-02-11

Family

ID=1896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277A KR100883374B1 (ko) 2001-04-06 2002-04-04 예비분사장치 및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잉크젯 기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96632B2 (ko)
EP (1) EP1375158B1 (ko)
JP (1) JP3832583B2 (ko)
KR (1) KR100883374B1 (ko)
DE (1) DE60237587D1 (ko)
WO (1) WO20020834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40A2 (ko) * 2010-10-07 2012-04-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 보조 로보틱 노즐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정렬된 유기 와이어 패턴의 제조 방법
CN110382242A (zh) * 2017-06-20 2019-10-25 株式会社日立产机系统 喷墨记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451B2 (ja) * 2001-08-30 2009-04-0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混合液の液滴形成方法及び混合液の液滴形成装置
JP4389433B2 (ja) * 2002-09-10 2009-12-24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12935B2 (ja) * 2002-09-30 2008-07-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混合液の液滴形成方法及び液滴形成装置、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及び装置
JP3841213B2 (ja) * 2002-11-13 2006-11-01 ソニー株式会社 印画装置及び印画方法
SG116514A1 (en) * 2002-11-13 2005-11-28 Sony Corp Liquid-ejecting method and liquid-ejecting apparatus.
JP4044012B2 (ja) * 2003-08-29 2008-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静電吸引型流体吐出装置
EP1674263A2 (en) * 2004-12-24 2006-06-28 Fuji Photo Film Co., Ltd. Fine droplet ejecting devic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241492A (ja) *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溝形成方法
JP5760700B2 (ja) * 2011-05-30 2015-08-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5756786B2 (ja) * 2012-09-19 2015-07-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電デバイス及びその使用方法
US8857954B2 (en) 2013-03-11 2014-10-14 Eastman Kodak Company Printhead including coanda catcher with grooved radius
US8746863B1 (en) * 2013-03-11 2014-06-10 Eastman Kodak Company Printhead including coanda catcher with grooved radius
JP5657156B1 (ja) * 2014-03-31 2015-01-21 ナガセテク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静電塗布装置、静電塗布装置用電源装置及び静電塗布方法
KR20220019143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린팅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7872A (en) 1976-12-20 1978-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xial droplet aspirator
US4122458A (en) 1977-08-19 1978-10-24 The Mead Corporation Ink jet printer having plural parallel deflection fields
US4667207A (en) 1986-06-13 1987-05-19 Burlington Industries, Inc. Ink jet system catche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9627A (en) * 1972-12-13 1973-10-30 Dick Co Ab Ink jet printing system using ion charging of droplets
US4010477A (en) * 1976-01-29 1977-03-01 The Mead Corporation Head assembly for a jet drop recorder
US4184167A (en) * 1978-07-03 1980-01-15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Ink jet collection system
US4207578A (en) * 1979-01-08 1980-06-10 The Mead Corporation Catch trough for a jet drop recorder
JPS55150377A (en) * 1979-05-11 1980-11-22 Ricoh Co Ltd Ink jet printer
US4514735A (en) * 1983-08-12 1985-04-30 The Mead Corporation Ink jet printer start-up and shutdown
JP3182187B2 (ja) * 1991-12-11 2001-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0755790A1 (en) 1995-07-25 1997-01-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k jet recording device
JPH11334106A (ja) 1998-05-27 1999-12-0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211159A (ja) 1999-01-22 2000-08-0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88759B2 (ja) * 2001-11-02 2006-06-21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ライン型記録ヘ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7872A (en) 1976-12-20 1978-06-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xial droplet aspirator
US4122458A (en) 1977-08-19 1978-10-24 The Mead Corporation Ink jet printer having plural parallel deflection fields
US4667207A (en) 1986-06-13 1987-05-19 Burlington Industries, Inc. Ink jet system catcher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7040A2 (ko) * 2010-10-07 2012-04-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 보조 로보틱 노즐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정렬된 유기 와이어 패턴의 제조 방법
WO2012047040A3 (ko) * 2010-10-07 2012-06-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 보조 로보틱 노즐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정렬된 유기 와이어 패턴의 제조 방법
CN110382242A (zh) * 2017-06-20 2019-10-25 株式会社日立产机系统 喷墨记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32583B2 (ja) 2006-10-11
EP1375158A4 (en) 2006-05-24
JPWO2002083425A1 (ja) 2004-08-05
KR20030093178A (ko) 2003-12-06
US6796632B2 (en) 2004-09-28
DE60237587D1 (de) 2010-10-21
EP1375158A1 (en) 2004-01-02
EP1375158B1 (en) 2010-09-08
US20030179264A1 (en) 2003-09-25
WO2002083425A1 (fr)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374B1 (ko) 예비분사장치 및 예비분사장치를 갖추는 잉크젯 기록장치
KR960015882B1 (ko) 고밀도 잉크 분사 프린트 헤드용 측벽 작동기
US8104879B2 (en) Printing by differential ink jet deflection
JP4403707B2 (ja) インク滴吐出状態検知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124187A (ja) インクジエツト式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インク液滴制御方法ならびにインクミスト吸着方法
JP594632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623832A2 (en) Liquid ejection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49291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that reuses refresh ink
JPH048364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2001047713A1 (fr) Imprimante a jet d'encre de type a balayage en ligne
US6908166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with ink refresh function
JP423945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荷電偏向制御装置
JPH046215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78097B2 (ja) 荷電偏向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82413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379455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記録ヘッド
JP384976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6613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241219B2 (ja) オンデマンド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6784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8020447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方法
JP391618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00947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261905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H115877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