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855B1 - 액티브 후드 힌지 - Google Patents

액티브 후드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855B1
KR100877855B1 KR1020060127064A KR20060127064A KR100877855B1 KR 100877855 B1 KR100877855 B1 KR 100877855B1 KR 1020060127064 A KR1020060127064 A KR 1020060127064A KR 20060127064 A KR20060127064 A KR 20060127064A KR 100877855 B1 KR100877855 B1 KR 10087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od
hinge bracket
hoo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605A (ko
Inventor
경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8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후드 힌지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후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다가 보행자와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후드의 후방부를 들어 올려서 보행자의 충돌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후드에 사용되고 있는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차량의 중량과 부품수 및 원가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도록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브라켓과, 이 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후드에 결합되는 힌지아암, 상기 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가스리프트, 상기 힌지브라켓을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후크 및,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힌지브라켓이 후크로부터 해방되게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후드 힌지{Active hood hin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힌지브라켓 2-힌지아암
3-가스리프트 4-마운팅브라켓
5-핀 6-후크
7-조작로드 8-액츄에이터
9-후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드 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자가 후드에 충돌할 때에 후드의 후방부를 전방으로 들어올려서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저감시키도록 한 액티브 후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후드는 엔진룸을 개폐하기 위해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데, 소형차의 경우에는 단지 하나의 레버를 구비한 레버식 힌지가 사용되는 반면에 준중형차 이상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후드의 중량과 강도를 고려하여 4절 링크로 이루어진 힌지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액티브 후드 힌지는 통상시에 후드를 개폐 작동하다가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할 경우에 보행자의 특히 머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후드의 후방부를 전방으로 밀어 올려서 후드의 변형 공간을 확보하여 보행자의 충격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액티브 후드 힌지는 부품수가 많으면서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중량 증가 및 원가절감에 불리한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후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다가 보행자와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후드의 후방부를 들어 올려서 보행자의 충돌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후드에 사용되고 있는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차량의 중량과 부품수 및 원가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액티브 후드 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브라켓과, 이 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후드에 결합되는 힌지아암, 상기 힌지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후드에 연결되는 가스리프트, 상기 힌지브라켓을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후크 및,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힌지브라켓이 후크로부터 해방되게 상기 후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후크가 차체에 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후크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조작로드와, 이 조작로드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 속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로드를 밀어주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아주면서 화약이 심어진 격막을 구비하고, 상기 격막의 화약은 상기 후드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로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폭발되게 상기 충돌감지센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조립 사시도와 그 측면도 및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브라켓(1)의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1a)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a)에는 힌지아암(2)의 일단이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아암(2)은 도시되지 않은 후드에 체결된다. 따라서 후드가 상기 힌지아암(2)과 힌지브라켓(1)을 매개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의 타측에는 가스리프트아암(1b)이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리프트아암(1b)의 선단에는 가스리프트(3)의 하단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스리프트(3)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후드의 내측면에 적절한 부위에 연결되어, 후드의 개방시에 가스리프트가 신장되면서 후드의 개방력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가스리프트아암(1b)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에는 보스(1c)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1c)는 차체에 장착된 L자 형상의 마운팅브라켓(4)과 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힌지브라켓(1)이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의 후방에는 핀(5)이 끼워져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핀과 대향하는 힌지브라켓(1)의 바닥면에는 개구부(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d)를 통해 후크(6)의 일단이 상기 핀(5) 쪽으로 돌출해서 상기 핀(5)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고, 상기 후크(6)의 하부에는 후크(6)를 차체에 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핀구멍(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6)의 하단부에는 조작로드(7)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로드(7)의 타단은 액츄에이터(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8a) 속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로드(7)를 밀어주는 압축스프링(8b)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아주는 격막(8c)을 구비하고, 상기 격막(8c)에는 화약이 심어져 있다.
도 4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후드(9)의 전방에는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공지의 충돌감지센서(10)가 설치되고, 상기 충돌감지센서(1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상기 격막(8c)의 화약으로 인가되게 연결되며, 상기 가스리프트(3)의 피스톤로드(3a)는 후드(9)의 내측면 소정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후드의 개폐작동시에는 상기 힌지브라켓(1)이 후크(6)와 마운팅브라켓(4)의 핀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후드가 개폐될 때에 후드(9)와 연결된 상기 힌지아암(2)이 힌지브라켓(1)을 중심으로 후드와 함께 회전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가스리프트(3)가 가스리프트아암(1b)을 통해 힌지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로 신장 및 수축되면서 후드의 개폐력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중에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하게 되면, 상기 충돌감지센서가 충돌 충격을 감지해서 상기 격막의 화약에 감지신호를 인가하여 격막의 화약을 폭발시킴으로써, 하우징(8a)의 개구부를 막고 있던 격막(8c)이 파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격막(8c)이 파괴되면 하우징에 내장된 압축스프링(8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작로드(7)가 차량의 후방으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려지고, 상기 조작로드(7)는 후크(6)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크(6)가 조작로드(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상기 핀(5)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힌지브라켓(1)은 핀(5)을 통해 후크(6)에 걸려져서 차체에 지지되어 있다가 상기와 같이 후크로부터 해방되게 된다.
상기 힌지브라켓(1)이 후크(6)로부터 해방되면 힌지브라켓(1)에는 가스리프트(3)의 작용력이 작용하여 힌지브라켓(1)이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드(9)의 후방부위가 점선의 상태에서 실선의 상태로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후드에 충돌할 때에 후드의 후방부가 차체에 대해 소정 각도로 들어 올려져서 후드의 적절한 변형 공간이 확보하게 됨으로써, 보행자가 후드에 부딪칠 때에 받게 되는 충격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힌지에 의하면, 보행자가 후드에 충돌할 때에 후드의 후방부위를 들어 올려서 후드의 변형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보행자의 상해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후드의 개폐력을 보조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스리프트를 사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차량의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브라켓(1)과;
    상기 힌지브라켓(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후드(9)에 결합되는 힌지아암(2)과;
    상기 힌지브라켓(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후드(9)에 연결되는 가스리프트(3)와;
    차체에 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힌지브라켓(1)을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후크(6)와;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힌지브라켓(1)이 상기 후크(6)로부터 해방되게 상기 후크(6)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후크(6)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된 조작로드(7)와, 상기 조작로드(7)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8)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8)는,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8a) 속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로드(7)를 밀어주는 압축스프링(8b)과, 상기 하우징(8a)의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막아주면서 화약이 심어진 격막(8c)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격막(8c)의 화약은 상기 후드(9)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로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폭발되게 상기 충돌감지센서(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힌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1)의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1a)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a)에 상기 힌지아암(2)의 일단이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의 타측에는 가스리프트아암(1b)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스리프트아암(1b)의 선단에 상기 가스리프트(3)의 하단이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스리프트아암(1b)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에는 보스(1c)가 형성되어 상기 보스(1c)가 차체에 장착된 마운팅브라켓(4)과 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힌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1)의 후방에는 핀(5)이 끼워져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핀(5)과 대향하는 상기 힌지브라켓(1)의 바닥면에는 개구부(1d)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d)를 통해 상기 후크(6)의 일단이 상기 핀(5) 쪽으로 돌출해서 상기 핀(5)에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힌지.
KR1020060127064A 2006-12-13 2006-12-13 액티브 후드 힌지 KR10087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064A KR100877855B1 (ko) 2006-12-13 2006-12-13 액티브 후드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064A KR100877855B1 (ko) 2006-12-13 2006-12-13 액티브 후드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605A KR20080054605A (ko) 2008-06-18
KR100877855B1 true KR100877855B1 (ko) 2009-01-13

Family

ID=3980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064A KR100877855B1 (ko) 2006-12-13 2006-12-13 액티브 후드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58B1 (ko) 2010-06-08 2013-05-31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자동차의 피봇식 플랩에 배치된 스프링 장치
KR102089186B1 (ko) 2018-12-10 2020-03-16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액티브후드시스템의 화약식 액추에이터용 실린더 조립 어셈블리
KR20200070750A (ko) 2018-12-10 2020-06-18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액티브후드시스템의 화약식 액추에이터용 실린더 고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99B1 (ko) * 2010-09-28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KR101650890B1 (ko) * 2014-12-12 2016-08-2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방 레이더 고정용 브라켓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761A (ja) * 2000-10-18 2002-04-23 Kia Motors Corp 自動車のフード押上装置
KR20020044304A (ko) * 2000-12-05 2002-06-15 이계안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50117747A (ko) * 2004-06-11 2005-1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액티브 후드
KR20060002175A (ko) * 2004-07-01 2006-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후드 오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761A (ja) * 2000-10-18 2002-04-23 Kia Motors Corp 自動車のフード押上装置
KR20020044304A (ko) * 2000-12-05 2002-06-15 이계안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50117747A (ko) * 2004-06-11 2005-1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액티브 후드
KR20060002175A (ko) * 2004-07-01 2006-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후드 오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58B1 (ko) 2010-06-08 2013-05-31 스타비루스 게엠베하 자동차의 피봇식 플랩에 배치된 스프링 장치
KR102089186B1 (ko) 2018-12-10 2020-03-16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액티브후드시스템의 화약식 액추에이터용 실린더 조립 어셈블리
KR20200070750A (ko) 2018-12-10 2020-06-18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액티브후드시스템의 화약식 액추에이터용 실린더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605A (ko)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7183B2 (ja) 車両用フードの跳ね上げ装置
US8573658B2 (en) Active hood latch system for vehicle
JP4991725B2 (ja) 歩行者を保護する自動車のボンネットのヒンジ組立体
JP5118828B2 (ja) 車両
KR100877855B1 (ko) 액티브 후드 힌지
KR101122190B1 (ko) 안전장치
FR2886612B1 (fr) Dispositif de commande de l&#39;ouverture du capot d&#39;un vehicule, notamment pour proteger la tete d&#39;un pieton en cas de choc.
US10584520B2 (en) Method for closing a motor vehicle hood
US20150107927A1 (en) Active hood apparatus for vehicle
US20090288271A1 (en) Over center sprung hood hinge for use with activ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JPH11310158A (ja) 車両用フードの衝撃吸収装置
JP2008120117A (ja) 車両のフード跳ね上げ装置
EP2108549B1 (en) Hinge for automobile hoods
KR100774772B1 (ko) 액티브 후드 힌지
JP3842022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KR20130043454A (ko) 차량용 후드의 힌지 구조체
KR100756963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KR100733694B1 (ko) 차량의 후드 리프트 장치
JP3808288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KR101189565B1 (ko) 엔진후드 래치의 세이프티 후크 레버
KR101608613B1 (ko) 액티브 후드 리프트 시스템
JPH10119823A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KR100372429B1 (ko) 자동차 후드의 에어가이드 작동장치
CN217054771U (zh) 一种可回位的发动机罩盖主动铰链
KR101841020B1 (ko) 자동차 후드의 피봇형 액티브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