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855B1 -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855B1
KR100876855B1 KR1020070040890A KR20070040890A KR100876855B1 KR 100876855 B1 KR100876855 B1 KR 100876855B1 KR 1020070040890 A KR1020070040890 A KR 1020070040890A KR 20070040890 A KR20070040890 A KR 20070040890A KR 100876855 B1 KR100876855 B1 KR 10087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die
extrusion
cavit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033A (ko
Inventor
전종현
Original Assignee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8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4Accessories for locating and holding core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다이캐스팅 주조기에서 주위에 플랜지 형상이 형성된 주물을 주조할 때, 그 주물을 압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물의 압출 분리 시 지지돌기의 파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압출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지지돌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절삭 공구의 파손이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금형(10)에 설치한 고정다이(14)와, 가동금형(20)의 상기 고정다이(14)의 대향 위치에 설치한 가동다이(24)의 사이에 캐비티(C)를 주위에 플랜지(31)를 형성하는 주물(RM)을 주조할 수 있게 형성하고, 상기 가동금형(20)에 압출판(26)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26)에 압출핀(27)을 그 자유단을 상기 캐비티(C)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캐비티(C)에서 주조되어 가동다이(24)에 고정된 주물을 압출핀(27)으로 압출토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출핀(27)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31)에 위치되는 압출핀(27)의 중심을 상기 캐비티(C)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핀(27)의 자유단에 단턱(41)을 내측을 외측보다 높게 형성하여 캐비티(C)에 용융물을 주입하여 주물(RM)을 주조할 때 상기 단턱(41)에 융용물을 주입시켜 플랜지(31)에 연결되는 지지돌기(4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주물의 압출 시 압출핀(27)이 지지돌기(42)에 구속되면서 고정다이(14)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부금형, 고정다이, 하부금형, 가동다이, 압출판, 압출핀, 플랜지, 단턱, 지지돌기, 캐비티, 주물

Description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CASTING RAW MATERIAL EJECTOR DEVICE OF DIE CASTING AND IT'S METHOD }
도 1은 종래의 금형의 주조상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금형의 고정금형을 제거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금형의 주물의 지지돌기 및 압출핀 부위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금형으로 주조한 주물의 지지돌기 및 지지부의 가공 전후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금형으로 주조된 주물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금형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고정금형을 제거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지지돌기의 절단 전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주물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금형 14 : 고정다이 20 : 하부금형 24 : 가동다이
26 : 압출판 27 : 압출핀 31: 플랜지 41 : 단턱
42 : 지지돌기 C : 캐비티 RM : 주물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다이캐스팅 주조기에서 주위에 플랜지 형상이 형성된 주물을 주조할 때 그 주물을 압출(Eject)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적어도 2개의 금형으로 분할하여 그 금형의 대향면에 캐비티(Cavity)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에 융용물을 가압 주입하면 주물은 가동금형에 주조되며, 상기와 같이 가동금형에 고정된 주물은 가동금형에 설치한 압출핀(Ejector pin, 방출핀, 취출핀)에 의하여 압출 분리하고 있다.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으로 대별되며, 상기 고정금형(10)은 고정형판(11)에 고정 몰드 베이스(12)를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 몰드 베이스(12)에 홈(13)을 형성하여 고정 다이(14)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가동금형(20)은 가동형판(21)에 가동 몰드 베이스(22)를 설치하여서, 상기 가동 몰드 베이스(22)에 홈(23)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다이(14)의 대향 위치에 가동다이(가동코어)(24)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양 다이(14)(24) 사이에 주조품 주조 공간인 캐비티(C)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가동 몰드 베이스(22)에는 압출판(Ejecor plate)(26)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26)에 다수의 압출핀(27)을 그 자유단이 상기 캐비티(C)에 노출되게 설치하여서, 캐비티(C)에 융용물을 가압 주입하여 주물(Raw Material)(RM)을 주조한 후 가동다이(24)에 고정되는 주물을 압출판(26)을 고정다이(14)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다이(24)에서 압출(방출, 취출) 분리토록 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6은 냉각핀이고, 17은 사이드 코어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한 주물(RM)을 주조할 때 그 주물(RM)의 주위에 플랜지(31) 형상이 형성된 것을 주조할 경우에는 주물의 압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압출핀(27) 중 일부의 자유단을 플랜지(31)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플랜지(31)에 지지돌기(받침돌기)(32)를 설치하여서, 압출핀(27)의 자유단으로 상기 지지돌기(32)를 밀어 주물을 압출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위에 플랜지(31) 형상이 형성된 주물(RM)에 있어서 그 플랜지(31)의 폭이 압출핀(27)의 직경보다 클 경우에는 플랜지(31)에 일정 강성을 가지는 지지돌기(32)를 형성하는 데 문제가 없지만, 플랜지(31)의 폭이 압출핀(27)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압출핀(27)과 지지돌기(32)의 직경을 축소하면서 그 숫자를 증가하고 있으나 주물의 압출 하중이 지지돌기(32) 및 압출핀(27)의 강성보다 클 경우 특히 지지돌기(32)의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할 때 주물(RM)의 불량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1)에 그 플랜지(31)보다 폭이 큰 지지부(3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33)에 지지돌기(32)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플랜지(31)에 형성하는 지지부(33)가 플랜지(31)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주물의 플랜지(31) 면을 절삭가공할 때 지지부(33) 및 지지돌기(32)에 절삭공구가 충격될 때 절삭공구가 파손되고, 또한 가공량이 많아 작업공수가 증가함으로 생산성이 저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서는 지지부(33) 및 지지돌기(32)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나 사이드 코어 수단(17)이 설치된 금형에 있어서는 사이드 코어 수단(17)의 작동 시 압출핀(27)과의 충돌이 발생하여 압출핀(27)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주물의 압출 분리 시 지지돌기의 파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압출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지지돌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거함과 아울러 절삭 공구의 파손이 없는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는 고정금형에 설치한 고정다이와, 가동금형의 상기 고정다이의 대향 위치에 설치한 가동다이의 주위에 플랜지를 형성한 주물을 주조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금형에 압출판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에 다수의 압출핀을 그 자유단을 상기 캐비티에 노출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출핀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에 위치되는 압출핀의 중심을 상기 캐비티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핀의 자유단에 단턱을, 내측을 외측보다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은 고정금형에 설치한 고정다이와, 가동금형의 상기 고정다이의 대향 위치에 설치한 가동다이의 사이에 캐비티를 주위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주물을 주조할 수 있게 형성하고, 상기 가동금형에 압출판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에 압출핀의 자유단을 상기 캐비티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캐비티에서 주조되어 가동다이에 고정된 주물을 압출핀으로 압출토록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출핀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에 위치되는 압출핀의 중심을 상기 캐비티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핀의 자유단에 단턱을, 내측을 외측보다 높게 형성하여 캐비티에 융용물을 주입하여 주물을 주조할 때 상기 단턱에 융용물을 주입시켜 플랜지에 연결되는 지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주물의 압출 시 압출핀이 지지돌기에 구속되면서 고정다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으로 대별되며, 상기 고정금형(10)은 고정형판(11)에 고정 몰드 베이스(12)를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 몰드 베이스(12)에 홈(13)을 형성하여 고정다이(14)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가동금형(20)은 가동형판(21)에 가동 몰드 베이스(22)를 설치하여서, 상기 가동 몰드 베이스(22)에 홈(23)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다이(14)의 대향 위치에 가동다이(가동코어)(24)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양 다이(14)(24) 사이에 주물(RM) 주조 공간인 캐비티(C)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가동 몰드 베이스(22)에는 압출판(26)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26)에 다수의 압출핀(27)을 그 자유단이 상기 캐비티(C)에 노출되게 설치하여서, 캐비티(C)에 융용물을 가압 주입하여 주물(RM)을 주조한 후 가동다이(24)에 고정되는 주물(RM)을, 압출판(26)을 고정다이(14)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다이(24)에서 압출(방출, 취출) 분리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C)는 주물(RM)의 주위 플랜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압출핀(27)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31)에 위치되는 압출핀(27)의 중심(축심)을 상기 캐비티(C)의 외주연(플랜지의 외주연)보다 내측(주물의 중앙부측)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압출핀(27)의 자유단에 단턱(41)을 내측을 외측보다 높게 형성하여서, 캐비티(C)에 융용물을 가압 주입하면 캐비티(C)에서 주물(RM)이 주조됨과 아울러 상기 단턱(41)에 융용물이 주입되어 플랜지(31)에 연결되는 지지돌기(4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는 압출핀(27)의 중심이 캐비티(C)의 플랜지(31)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고 단턱(41)에 플랜지(31)에 연결되는 지지돌기(4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가동다이(24)에 고정된 주물(RM)을 압출핀(27)으로 압출 분리할 때 압출핀(27)의 자유단이 내측에 위치되면서 고정다이(14)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압출핀(27)은 지지돌기(42)에 지지됨으로써 압출핀(27)의 변형 및 파손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물(RM)은 가동다이(24)에서 압출 분리한 후 해머 등으로 지지돌기(42)를 가볍게 타격하면 플랜지(31)에서 도 10과 같이 낮은 높이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절단 분리되고, 지지돌기(42)의 분리된 부위는 낮으므로 플랜지(31) 면을 절삭공구로 절삭가공할 때 절삭공구의 파손이 없고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돌기(42)는 쉽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그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에 사이드 코어 수단을 설치할 경우에도 압출핀(27)과의 충돌이 없게 되어 압출핀(27)의 파손이 방지됨으로 주물(RM)의 압출 분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는 하부금형(20)에 가이드 핀(44)을 설치하여서 압출판(26)의 이동을 안내하여 압출핀(27)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지지돌기(42)와 단턱(41)의 면 접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주물(RM)의 압출 분리를 더욱더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는 상기 단턱(41)에 라운딩(R)을 형성함으로써 주물(RM)의 압출 시 압출핀(27)의 분리를 양호하게 한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은 상하 다이(14)(24)가 면 접촉되고 압출핀(27)이 이동하여 자유단이 캐비티(C)에 노출된 상태에서 캐비티(C)에 융용물을 가압 주입하면 주물(RM)이 주조됨과 아울러 압출핀(27)의 상단에 형성한 단턱(41)에 플랜지(31)에 연결되는 지지돌기(4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물(RM)의 플랜지(31)에 지지돌기(42)가 압출핀(27)의 자유단에 형성한 단턱(41)에 채워지면서 주조되면 압출판(26)을 고정다이(14)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출핀(27)이 주물(RM)을 가동다이(24)에서 압출 분리할 때 압출핀(27)의 변형 및 파손이 없고, 지지돌기(42)의 절단 분리가 신속하며, 지지돌기(42)는 높이가 낮으므로 절삭공구의 파손이 없고 절삭가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금형에 사이드 코어 수단을 설치할 경우에도 압출핀(27)과의 충돌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은 하부금형(20)에 가이드 핀(44)을 설치하여 주물(RM)의 압출 분리를 더욱더 양호하게 하고, 단턱(41)에 라운딩(R)을 형성함으로써 주물(RM)의 압출 시 압출핀(27)의 분리를 양호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주조기에서 주위에 플랜지 형상이 형성되는 주물을 주조할 때 금형의 압출핀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에 위치되는 압출핀의 중심을 주물의 플랜지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핀의 자유단에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에 플랜지에 연결되는 지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주물을 가동다이에서 압출 분리할 때 용이하고 압출핀의 변형 및 파손이 없으며, 또한 지지돌기의 절단 분리가 간편·신속하고, 지지돌기의 높이가 낮으므로 절삭공구의 파손이 없고 절삭가공이 신속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고정금형에 설치한 고정다이와, 가동금형의 상기 고정다이의 대향 위치에 설치한 가동다이의 사이에, 주위에 플랜지를 형성한 주물을 주조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금형에 압출판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에 다수의 압출핀을 그 자유단이 상기 캐비티에 노출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출핀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에 위치되는 압출핀의 중심을 상기 캐비티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핀의 자유단에 단턱을 내측을 외측보다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금형에 가이드 핀을 설치하여 압출판의 이동을 안내토록 한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단턱에 라운딩을 형성한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장치.
  4. 고정금형에 설치한 고정다이와, 가동금형의 상기 고정다이의 대향 위치에 설치한 가동다이의 사이에 캐비티를 주위에 플랜지를 형성하는 주물을 주조할 수 있게 형성하고, 상기 가동금형에 압출판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판에 압출핀의 자유단을 상기 캐비티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캐비티에서 주조되어 가동다이에 고정된 주물을 압출핀으로 압출토록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압출핀 중 그 자유단이 플랜지에 위치되는 압출핀의 중심을 상기 캐비티의 외주연보다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하고, 상기 압출핀의 자유단에 단턱을, 내측을 외측보다 높게 형성하여 캐비티에 융용물을 주입하여 주물을 주조할 때 상기 단턱에 융용물을 주입시켜 플랜지에 연결되는 지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주물의 압출 시 압출핀이 지지돌기에 구속되면서 고정다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하부금형에 가이드 핀을 설치하여 압출판의 이동을 안내토록 한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단턱에 라운딩을 형성한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방법.
KR1020070040890A 2007-04-26 2007-04-26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890A KR100876855B1 (ko) 2007-04-26 2007-04-26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890A KR100876855B1 (ko) 2007-04-26 2007-04-26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033A KR20080096033A (ko) 2008-10-30
KR100876855B1 true KR100876855B1 (ko) 2008-12-31

Family

ID=4015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890A KR100876855B1 (ko) 2007-04-26 2007-04-26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8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822A (ja) 1984-01-28 1985-08-19 Sankyo Kasei Kk 射出成形機
JPS62156063A (ja) * 1985-12-27 1987-07-11 Nippon Denso Co Ltd ダイカスト方法およびダイカスト装置
JP2001030053A (ja) 1999-07-22 2001-02-06 Toyota Motor Corp ダイカスト金型の加圧・押出し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822A (ja) 1984-01-28 1985-08-19 Sankyo Kasei Kk 射出成形機
JPS62156063A (ja) * 1985-12-27 1987-07-11 Nippon Denso Co Ltd ダイカスト方法およびダイカスト装置
JP2001030053A (ja) 1999-07-22 2001-02-06 Toyota Motor Corp ダイカスト金型の加圧・押出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033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4083A1 (en) Mold support device, molding machine, and molding method
KR102347292B1 (ko) 주조제품용 버 제거장치
EP0273586A2 (en) Vertical injection apparatus
CN105290331A (zh) 一种先抽芯后顶出的浇注模具结构
KR100876855B1 (ko) 다이캐스팅의 주물 압출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89406A (ja) 鋳造装置
KR100710989B1 (ko) 알루미늄 휠의 성형용 금형
CN212045732U (zh) 一种防毛刺的光学镜片注塑模具
JP3960128B2 (ja) 金型内のガス抜き方法
KR101326606B1 (ko) 가스빼기 사출금형
KR100407258B1 (ko) 트리밍기의 버제거장치
KR20050017224A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 장치의 제품 취출 구조
KR100471279B1 (ko) 다이캐스팅용 이젝팅 장치
CN210730938U (zh) 一种异形轮毂压铸模具
JP2012040599A (ja) 鋳造装置
JP4659050B2 (ja) 樹脂成形用金型
JP5550915B2 (ja) 離型方法とその装置
JP4794339B2 (ja) 鋳型装置、鋳造方法、および塗型方法
JP4725214B2 (ja) 成形金型
JP2006061956A (ja) トリミングプレスおよびトリミング方法
CN210359149U (zh) 适用于同一射砂机的组合型覆膜砂砂壳模具
JP3110704U (ja) ダイカスト装置
CN219634289U (zh) 橡胶模具
JP2013035242A (ja) 金型装置
CN218928458U (zh) 一种可进行二次脱模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