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046B1 - 팽창 밸브 및 팽창 밸브용 방진부재 - Google Patents

팽창 밸브 및 팽창 밸브용 방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046B1
KR100876046B1 KR1020020021938A KR20020021938A KR100876046B1 KR 100876046 B1 KR100876046 B1 KR 100876046B1 KR 1020020021938 A KR1020020021938 A KR 1020020021938A KR 20020021938 A KR20020021938 A KR 20020021938A KR 100876046 B1 KR100876046 B1 KR 10087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annular portion
expansion valve
support ring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945A (ko
Inventor
마사미치 야노
다이스케 아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3000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3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is disposed in the suction line and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심플하고 비용이 들지 않으며, 고압 냉매의 압력 변동에 대한 안정된 동작을 달성할 수 있는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밸브 본체(5a)는,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5b)와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5c)를 연통하는 오리피스(orifice)(7)를 구비한다. 또한, 오리피스(7)에 흐르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는 밸브체(8)와, 밸브체(8)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작동 바(9b)와, 작동 바(9b)를 구동시키는 온도 감지 구동부(9)를 구비한다. 고압측 통로(5)의 오리피스(7) 상류측에, 밸브체(8)의 볼 형상 밸브체(8c)를 구속하는 지지 링(10)을 배치한다. 지지 링(1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11)와 방진(防振) 스프링(12)으로 이루어지며, 방진 스프링(12)에 의해 밸브체(8)를 지지시킨다. 방진 스프링(12)은 만곡된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측면에 밸브체(8c)를 지지시킨다.

Description

팽창 밸브 및 팽창 밸브용 방진부재{EXPANSION VALVE AND VIBRATION-ISOLATING MEMBER USED THEREFO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 밸브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팽창 밸브의 지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상기 지지 링이 밸브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2의 지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3의 지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3의 지지 링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예 3의 지지 링이 밸브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4의 지지 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실시예 4의 지지 링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4의 지지 링이 밸브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종래의 팽창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냉동 사이클 2 : 냉매 압축기
3 : 응축기 4 : 수액기
5 : 팽창 밸브 5a : 밸브 본체
5b : 고압측 통로 5c : 저압측 통로
5d : 저압 냉매 통로 6 : 증발기
7 : 오리피스 8 : 밸브체(볼형상의 밸브체)
8a : 압축 코일 스프링 8b : 조절 나사
8c : 지지 부재 8d : 밸브실
8e : O링 9 : 온도 감지 구동부
9a : 플런저 9b : 작동 바
9c : 상부 기밀실 9c′ : 하부 기밀실
9d : 다이어프램(diaphram) 9e : 원반부
10, 10a, 10b, 10c : 구속 수단(지지 링)
11, 11a, 11b, 11c : 환형부
11b′, 11c′ : 설부(舌片) 11b″ : 설부 수용홈부
12, 12a, 12b, 12c : 방진 스프링
13, 13a : 슬릿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팽창 밸브에는 여러 가지 타입이 있는데, 증발기로 보내지는 고압 냉매가 통과하는 고압 냉매 통로의 중간 부분을 가늘게 좁혀 형성된 오리피스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마주보도록 밸브체를 배치하고, 증발기로부터 송출되는 저압 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밸브체를 개폐 동작시키도록 한 팽창 밸브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팽창 밸브로서, 도 11에 도시된 자동차의 공기 조화 장치 등의 냉동 사이클(1)에 사용되는 것이 있다. 즉, 냉동 사이클(1)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냉매 압축기(2)와, 이 냉매 압축기(2)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응축기(3)와, 응축기(3)에 접속되는 수액기(4)와, 수액기(4)로부터의 액상 냉매를 기액(氣液) 2상 냉매로 단열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5)와, 팽창 밸브(5)에 접속되는 증발기(6)로 구성되며, 상기 팽창 밸브(5)는 냉동 사이클(1)내에 위치하고 있다.
팽창 밸브(5)에는, 밸브 본체(5a)에 액상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5b)와 단열 팽창된 기액 2상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5c)가 설치되고, 고압측 통로(5b)와 저압측 통로(5c)는 오리피스(7)를 통해 서로 통하고, 또한 상기 오리피스(7)를 통과하는 냉매량을 조정하는 밸브체(8)를 밸브실(8d)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팽창 밸브(5)는, 밸브 본체(5a)에 저압 냉매 통로(5d)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또한 저압 냉매 통로(5d)내에는 플런저(9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플런저(9a)는 밸브 본체(5a)의 상부에 고정된 온도 감지 구동부(9)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온도 감지 구동부(9)는 그 내부가 다이어프램(9d)에 의해 구획되고, 상부 기밀실(9c)과 하부 기밀실(9c')이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9a) 상단의 원반부(9e)는 다이어프램(9d)에 맞닿는다.
또한, 밸브 본체(5a)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8c)를 통해 밸브체(8)를 밸브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8a)이 밸브실(8d)내에 배치되어 있고, 밸브실(8d)은 밸브 본체(5a)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조절 나사(8b)에 의해 형성되며, O링(8e)에 의해 기밀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플런저(9a)의 슬라이딩에 의해 밸브체(8)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바(9b)가 플런저(9a)의 하단에 맞닿아있다.
그리고, 온도 감지 구동부(9)내의 플런저(9a)가 저압 냉매 통로(5d)내의 온도를 상기 상부 기밀실(9c)에 전달하고, 그 온도에 따라 상부 기밀실(9c)의 압력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높은 경우, 상부 기밀실(9c)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다이어프램(9d)이 플런저(9a)를 밀어내리면, 밸브체(8)는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리피스(7)의 냉매 통과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증발기(6)의 온도가 내려간다.
한편,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부 기밀실(9c)의 압력이 하강하여, 상기 다이어프램(9d)에 의한 플런저(9a)를 밀어내리는 힘이 약해지고, 밸브체(8)는 밸브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8a)에 의해 밸브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리피스(7)의 냉매 통과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증발기(6)의 온도가 올라간다.
이와 같이, 팽창 밸브(5)는, 저압 냉매 통로(5d)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밸 브체(8)를 이동시켜 오리피스(7)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키고, 냉매 통과량을 조정하여 증발기(6)의 온도 조정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팽창 밸브(5)에서, 액상 냉매로부터 기액 2상 냉매로 단열 팽창시키는 오리피스(7)의 개구 면적은, 밸브체(8)를 밸브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하중이 가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8a)의 스프링 하중을 조절 나사(8b)로 조정함으로써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팽창 밸브로 보내지는 고압 냉매에는, 냉동 사이클내에 있어서 상류측에서 압력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 압력의 변동은, 고압 냉매액을 매체로 하여 팽창 밸브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팽창 밸브에서는, 밸브체에 상류측의 냉매 압력이 압력 변동에 의해 전달되면, 그것이 밸브체의 동작을 불안정하게 한다는 문제가 발생될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팽창 밸브의 유량 제어가 정확히 수행되지 못하거나, 혹은 밸브체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종래의 대응 수단으로서, 파워 엘리먼트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게 배치된 로드에 대해, 스프링 등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가세력(付勢力)을 부여함으로써 밸브체가 고압측 냉매의 압력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하여, 동작을 안정시키는 수단(일본국 특허 공개 2001-50617호 공보)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팽창 밸브는, 고압 냉매의 압력 변동에 대한 동작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축선 방향으로 진입 및 후 퇴하는 로드를 측방향으로부터 가압하는 스프링을 안정된 상태로 배치해야 하므로, 구조나 조립 작업이 복잡해져 고비용이 요구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심플하고 비용이 들지 않는 수단에 의해, 고압 냉매의 압력 변동에 대한 동작의 안정을 달성할 수 있는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의 수단을 강구하였다.
청구항 제 1항의 팽창 밸브는, 증발기로부터 송출되는 저압 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온도 감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밸브체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는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구속력이 부여되는 구속 수단을 밸브체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의 팽창 밸브는,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와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를 구비한 밸브 본체와, 상기 오리피스에 흐르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작동 바와, 이 작동 바를 구동시키는 온도 감지 구동부를 구비한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통로의 오리피스 상류측에, 상기 밸브체를 구속하는 구속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항의 팽창 밸브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구속 수단이 상기 밸브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의 팽창 밸브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구속 수단이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의 팽창 밸브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밸브체가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속 수단은 밸브체를 지지하는 지지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5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탄성 변형 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방진 스프링에 의해 밸브체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7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5항 또는 제 6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상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이 환형부로부터 잘라져 나온 판체(板體)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8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5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하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이 환형부의 일측에 배치시킨 판체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9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방진 스프링이 만곡된 판형상체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서 밸브체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0항의 팽창 밸브는,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와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를 구비한 밸브 본체와, 상기 오리피스에 흐르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작동 바와, 상기 작동 바를 구동시키는 온도 감지 구동부와, 상기 밸브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통로의 오리피스 상류측에, 상기 지지 부재를 구속하는 구속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1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10항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 수단은 밸브체 또는/및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2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11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탄성 변형 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방진 스프링에 의해 밸브체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3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상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이 환형부로부터 잘라져 나온 판체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4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11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하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이 환형부의 일측에 배치시킨 판체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5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12 내지 14항의 수단에 있어서 방진 스프링이 만곡된 판형상체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의해 지지 부재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6항의 팽창 밸브는, 청구항 제 5 내지 15항의 수단에 있어서, 지지 링이 금속 탄성 소재를 이용한 환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환형 부재에는 그 직경의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교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팽창 밸브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팽창 밸브의 지지 링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지지 링이 밸브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지지 링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서,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팽창 밸브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의 팽창 밸브의 특징은, 도 11에 기재된 종래의 팽창 밸브(5)의 밸브체(8)에 있어서의 구속 수단(10)에 있으므로, 주로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의 팽창 밸브(5)는, 증발기(6)로부터 송출되는 저압 냉매의 온도와 압력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온도 감지 구동부(9)에 의해 구동되어, 밸브체(8)가 증발기(6)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는 팽창 밸브(5)에 적용된다. 상기 밸브체(8)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구속 수단(10)이 밸브체(8)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 구속 수단(10)에 의해, 본 발명의 과제, 즉, 고압 냉매의 압력 변동에 대한 밸브체(8)의 불안정한 동작이 해결된다.
즉, 밸브 본체(5a)는, 팽창 밸브(5)에 형성된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5b)와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5c)를 연통하는 오리피스(7)를 구비하고, 이 오리피스(7)에 흐르는 냉매량을 밸브체(8)가 조절한다.
조절 동작시에는, 밸브체(8)를 밸브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작동 바(9b)와, 이 작동 바(9b)를 구동시키는 온도 감지 구동부(9)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압측 통로(5b)의 오리피스(7)의 상류측에서, 밸브체(8)를 구속하는 구속 수단(10)을 밸브실(8d)내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속 수단(10)은 밸브 본체(5a)에 장착되며, 구속 수단(10)이 그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8)를 측면으로부터 구속한다.
밸브체(8)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8)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8c)에 의해 지지되며, 구속 수단(10)은 밸브체(8) 또는 지지 부재(8c)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링(1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는 밸브체(8)만을 지지 링(10)에 의해 탄성체에 구속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링(10)은 금속 탄성도가 높은 스틸,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11)와, 이 환형부(11)로부터 잘려져 나온, 예를 들면 4개의 만곡된 판형상체의 방진 스프링(12)으로 이루어지고, 방진 스프링(12)은 환형부(11)의 중심부 방향으로 선단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만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방진 스프링(12)에 의해 탄성적으로 볼 형상의 밸브체(8)의 둘레를 지지시킨다. 또한, 지지 링(10)은, 밸브 본체(5a)의 밸브실(8d)에 장전하기 위해,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환형부(11)의 일부에 슬릿(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지지 링(10)에 의하면, 환형부(11)가 밸브 본체(5a)에 장착됨으로써, 밸브체(8)는 그 둘레가 4군데에서 방진 스프링(12)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링(10)은 밸브체(8)의 구속 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냉동 사이클내에 냉매 압력의 변동이 생기더라도, 밸브체(8)의 동작을 안정되게 할 수 있고, 냉매 유량의 정확한 제어와 밸브체(8)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도 4에는 실시예 2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2는, 하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11a)와, 이 환형부(11a)의 일측에 배치시킨 판체형상의 방진 스프링(12a)으로 구성되는 지지 링(10a)으로 한 것이다. 또한, 지지 링(10a)에는, 실시예 1의 지지링(10)과 마찬가지로, 밸브 본체(5a)의 밸브실(8d)에 장전하기 위해,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환형부(11a)의 일부에 슬릿(13a)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지지 링(10a)의 방진 스프링(12a)은, 환형부(11a)의 중심을 향해 선단이 볼록하게 형성된 만곡된 판형상체로 구성되고, 그 측면에서 밸브체(8)의 둘레를 지지시킨다. 실시예 2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진 스프링(12a)은, 환형부(11a)로부터 잘라져 나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 2에서도,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냉동 사이클내에 냉매 압력의 변동이 생긴 경우에, 냉매 유량의 정확한 제어와 밸브체(8)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실시예 3의 지지 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지지 링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지지 링이 밸브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 및 2의 슬릿(13, 13a)을 대신하여, 환형부(11b)를 형성하는 판체의 단부에 교차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 교차부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부(11b)의 일단부로부터 폭이 좁은 소정 길이의 설부(舌片, 11b′)를 환형부(11b)와 동일한 곡률로 연장 설치하고, 환형부(11b)의 타단에는 상기 설부(11b′)를 안내 및 지지하는 설부 수용홈부(11b″)를 형성한다.
이 설부 수용홈부(11b″)는 환형부(11b)의 타단부 근방에서 상측 가장자리부와 하측 가장자리부 사이에 형성되며, 설부(11b′)가 설부 수용홈부(11b″)에 밸브 본체(5a)내에서 겹쳐진 상태에서, 환형부(11b)가 설부(11b′)에 의해 밸브 본체(5a)의 내벽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설부 수용홈부(11b″)의 깊이는, 설부(11b′)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이거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의 지지 링(10b)도,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로, 금속 탄성도가 높은 스틸,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고, 이 환형부(11b)로부터 잘라져 나온,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만곡된 판형상체의 방진 스프링(12b)으로 이루어지며, 방진 스프링(12b)은 환형부(11b)의 중심부 방향으로 선단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방진 스프링(12b)에 의해 탄성적으로 밸브체(8)의 둘레를 지지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지지 링(10b)에 의하면, 환형부(11b)가 밸브 본체(5a)에 장착 된 상태에서, 밸브체(8)는 그 둘레가 필요한 최소의 수인 3군데에서 방진 스프링(12b)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링(10b)은 밸브체(8)의 구속 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냉동 사이클내에 냉매 압력의 압력 변동이 생기더라도, 밸브체(8)의 동작을 안정되게 할 수 있고, 냉매 유량의 정확한 제어와 밸브체(8)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환형부(11b)에 슬릿이 없으므로, 다수의 지지 링(10b)을 함께 포장한 경우나, 팽창 밸브의 자동 조립 공정에서도, 지지 링(10b)끼리 얽히는 일 없이, 자동 조립 공정이 원활히 수행된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 4의 지지 링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지지 링의 장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지지 링이 밸브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11c)와, 이 환형부(11c)의 일측에 배치시킨 판체형상의 3개의 방진 스프링(12a)으로 구성되는 지지링(10c)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환형부(11c)를 형성하는 판체의 단부에 교차부를 형성하고, 이 교차부로서, 환형부(11c)의 일단부로부터 폭이 좁은 설부(11c′)를 환형부(11c)와 동일한 곡률로 연장 설치한다. 이 환형부(11c)의 타단은, 상기 설부(11c′)와 동일한 면내에서 교차하도록 환형부(11c)를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있다. 방진 스프링(12c)의 형상과 소재 및 개수는, 실시예 3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지지 링(10c)에 의하면, 환형부(11c)가 밸브 본체(5a)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체(8)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가 3군데에서 방진 스프링(12c)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링(10c)은, 밸브체(8)의 구속 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냉동 사이클내에 냉매 압력의 변동이 생기더라도, 밸브체(8)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고, 냉매 유량의 정확한 제어와 밸브체(8)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링(10, 10a, 10b, 10c)을 구성하는 방진 스프링(12, 12a, 12b, 12c)은 전체 폭에 걸쳐서,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였으나, 기타의 형상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선단부가 꼭지점이 되는 삼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탄성도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교차부의 실시 양태로서, 실시예 3 및 4를 도시하였으나, 기타의 형상이어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슬릿(13, 13a)은, 지지 링(10, 10a)의 둘레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횡단하도록 형성하였으나, 지지 링(10, 10a)의 둘레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 냉매의 압력 변동에 따른 팽창 밸브의 밸브체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속 수단은 구성이 간단하며, 가공이 간단하므로 밸브 본체로의 장착이 용이하며, 취급이 용이하여 유용성이 높은 팽창 밸브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고압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와 저압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를 연통하는 오리피스(orifice)를 구비한 밸브 본체와,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여 상기 오리피스에 흐르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는 볼 형상의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는 별체(別體)로서 상기 밸브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바와, 상기 작동 바를 구동시키는 온도 감지 구동부와, 상기 고압측 통로에서의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체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밸브체와 동심(同心)이 되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장착된 탄성 변형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와 일체로 형성된 방진(防振)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링이며, 상기 방진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탄성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밸브체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 고압 냉매가 유입되는 고압측 통로와 저압 냉매가 유출되는 저압측 통로를 연통하는 오리피스(orifice)를 구비한 밸브 본체와,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여 상기 오리피스에 흐르는 냉매의 양을 조정하는 볼 형상의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는 별체로서 상기 밸브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바와, 상기 작동 바를 구동시키는 온도 감지 구동부와, 상기 밸브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고압측 통로에서의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밸브체와 동심(同心)이 되도록 상기 밸브 본체에 장착된 탄성 변형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와 일체로 형성된 방진(防振)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링이며, 상기 방진 스프링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구속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은, 상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잘라져 나온 판체(板體) 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은, 하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의 일측에 배치한 판체 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만곡된 형상의 판형상체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서 상기 밸브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은 금속 탄성 소재를 이용한 환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재에는, 그 직경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슬릿 또는 교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7. 탄성 변형가능한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피(被)지지물을 탄성 지지하는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형부는, 가늘고 긴 판형상의 탄성 소재가 C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양단이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직경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용 방진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잘라져 나온 판체 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용 방진 부재.
  9.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의 둥근 고리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의 일측에 배치된 판체 형상의 방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용 방진 부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스프링은 만곡된 형상의 판형상체로 형성되며, 그 측면에서 피지지물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용 방진 부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20021938A 2001-07-12 2002-04-22 팽창 밸브 및 팽창 밸브용 방진부재 KR100876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1690 2001-07-12
JPJP-P-2001-00211690 2001-07-12
JP2001400573A JP4142290B2 (ja) 2001-07-12 2001-12-28 膨張弁
JPJP-P-2001-00400573 200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45A KR20030006945A (ko) 2003-01-23
KR100876046B1 true KR100876046B1 (ko) 2008-12-26

Family

ID=2661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938A KR100876046B1 (ko) 2001-07-12 2002-04-22 팽창 밸브 및 팽창 밸브용 방진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2188B2 (ko)
EP (1) EP1275916B1 (ko)
JP (1) JP4142290B2 (ko)
KR (1) KR100876046B1 (ko)
CN (1) CN1239865C (ko)
DE (1) DE60215261T8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597B2 (ja) 2002-10-29 2008-08-20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4331571B2 (ja) * 2003-03-12 2009-09-16 株式会社不二工機 膨張弁
JP3899055B2 (ja) * 2003-07-23 2007-03-28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EP1598581B1 (en) * 2004-05-17 2007-06-06 Fujikoki Corporation Expansion valve
DE102005050086A1 (de) * 2004-11-08 2006-05-11 Otto Egelhof Gmbh & Co. Kg Expansions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Kältemittelanlage
EP1666817A3 (en) * 2004-12-01 2007-01-17 Fujikoki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valve
JP4489603B2 (ja) * 2005-01-18 2010-06-23 株式会社不二工機 逆止弁
US7178362B2 (en) 2005-01-24 2007-02-20 Tecumseh Products Cormpany Expansion device arrangement for vapor compression system
US8267329B2 (en) * 2007-01-26 2012-09-18 Fujikoki Corporation Expansion valve with noise reduction means
CN101542172B (zh) * 2007-05-22 2011-01-12 千代田空调机器株式会社 阀装置
JP5440694B2 (ja) 2010-04-26 2014-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5933210B2 (ja) * 2011-09-22 2016-06-08 株式会社不二工機 弁装置
CN103075566B (zh) * 2011-09-22 2018-01-19 株式会社不二工机 阀装置
JP6142181B2 (ja) * 2013-03-12 2017-06-0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および防振ばね
JP6435486B2 (ja) 2014-09-24 2018-12-12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制御弁
DE112016002623B4 (de) * 2015-06-09 2019-12-24 Denso Corporation Druckreduzierventil
CN110966426B (zh) * 2018-09-30 2022-08-26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膨胀阀
CN111322435A (zh) * 2020-02-14 2020-06-23 曲阜天博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pcv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481U (ja) * 1982-06-25 1983-1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膨張弁
JPH05346276A (ja) * 1992-05-15 1993-12-27 Nippondenso Co Ltd 膨張弁
JPH102223A (ja) * 1996-06-13 1998-01-06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のエア抜き弁
JPH1137057A (ja) * 1997-07-15 1999-02-09 Unisia Jecs Corp プランジャポンプ
KR100196729B1 (ko) * 1995-07-13 1999-06-15 오가와 마사히사 온도식 팽창 밸브
US6145753A (en) * 1997-03-11 2000-11-14 Fujikoki Corporation Expans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0730A (en) 1940-04-24 1941-10-28 Cyril Alphonso Pugh Improvements in relief valves
FR2521987A1 (fr) 1982-02-23 1983-08-26 Ugine Kuhlmann Procede de preparation d'alcools polyfluores du type rfch2ch2oh
US4531542A (en) * 1983-08-22 1985-07-30 Baird Manufacturing Company Fluid dampened back pressure regulator
US4542852A (en) * 1984-03-05 1985-09-24 The Singer Company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thermostatic expansion valves
US5033505A (en) * 1984-11-28 1991-07-23 Nupro Company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ES2100972T3 (es) * 1991-05-14 1997-07-01 T G K Co Ltd Valvula de expansion.
JP3452719B2 (ja) 1995-12-14 2003-09-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DE19649554B4 (de) * 1996-11-29 2008-07-10 Robert Bosch Gmbh Membrandruckregelventilanordnung
US5950984A (en) * 1997-11-03 1999-09-14 Spx Corporation Solenoid valve
DE19842155B4 (de) * 1998-09-15 2005-06-30 Stabilus Gmbh Ventileinrichtung
JP3576886B2 (ja) 1999-01-13 2004-10-1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2001050617A (ja) 1999-05-28 2001-02-23 Fuji Koki Corp 膨張弁
JP3843652B2 (ja) 1999-08-05 2006-11-0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空調装置用膨張弁
JP2001082835A (ja) 1999-09-13 2001-03-30 Denso Corp 圧力制御弁
US6431209B1 (en) * 2000-03-16 2002-08-13 Ross Operating Valve Company Multi-pressure ball-poppet control valve
SE516441C2 (sv) * 2000-06-06 2002-01-15 Wiklund Henry & Co Pådragsventilanordning vid tryckmediumdrivna verkty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481U (ja) * 1982-06-25 1983-12-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膨張弁
JPH05346276A (ja) * 1992-05-15 1993-12-27 Nippondenso Co Ltd 膨張弁
KR100196729B1 (ko) * 1995-07-13 1999-06-15 오가와 마사히사 온도식 팽창 밸브
JPH102223A (ja) * 1996-06-13 1998-01-06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のエア抜き弁
US6145753A (en) * 1997-03-11 2000-11-14 Fujikoki Corporation Expansion valve
JPH1137057A (ja) * 1997-07-15 1999-02-09 Unisia Jecs Corp プランジャ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2290B2 (ja) 2008-09-03
DE60215261D1 (de) 2006-11-23
JP2003090647A (ja) 2003-03-28
KR20030006945A (ko) 2003-01-23
DE60215261T2 (de) 2007-06-06
US6702188B2 (en) 2004-03-09
DE60215261T8 (de) 2009-06-04
CN1239865C (zh) 2006-02-01
US20030010834A1 (en) 2003-01-16
EP1275916B1 (en) 2006-10-11
EP1275916A2 (en) 2003-01-15
CN1397778A (zh) 2003-02-19
EP1275916A3 (en) 200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68B1 (ko) 팽창밸브
KR100876046B1 (ko) 팽창 밸브 및 팽창 밸브용 방진부재
JP6368895B2 (ja) 制御弁
JP4666904B2 (ja) 膨張弁
US7373788B2 (en) Expansion valve
EP1069359B1 (en) Pilot operated flow regulating valve
JP6053543B2 (ja) 温度式膨張弁
JP2008076031A (ja) 膨張弁
JP2008138812A (ja) 差圧弁
KR20010076283A (ko) 온도팽창밸브
US6314753B1 (en) Supercooling degree-controlled expansion valve
US6209793B1 (en)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in which a valve seat is movable in a flow direction of a refrigerant
EP3421906A1 (en) Expansion valve
JP4704451B2 (ja) 膨張弁用防振部材
JP2001012824A (ja) 制御弁
KR20030074134A (ko) 팽창밸브 및 그 케이스
KR101027488B1 (ko) 팽창밸브
JP3859913B2 (ja) 膨張弁
JP2004138292A (ja) 膨張弁
JP2001091107A (ja) 膨張弁
JP2001091110A (ja) 膨張弁
JP2001091109A (ja) 膨張弁
JP2019011886A (ja) 膨張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