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910B1 -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910B1
KR100869910B1 KR1020070094323A KR20070094323A KR100869910B1 KR 100869910 B1 KR100869910 B1 KR 100869910B1 KR 1020070094323 A KR1020070094323 A KR 1020070094323A KR 20070094323 A KR20070094323 A KR 20070094323A KR 100869910 B1 KR100869910 B1 KR 10086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ine needles
ocher
glutinous rice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김명순
Original Assignee
박영환
김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환, 김명순 filed Critical 박영환
Priority to KR102007009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5Non-ceramic b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 이불, 방석 등에 내부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침구용 솔잎황토 볼(boll)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몸에 유익한 천연재료인 솔잎, 황토, 찹쌀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볼(boll)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침구류의 내부에 상기 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침구용 솔잎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볼, 베개, 방석, 이불, 쿠션

Description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pine needles yellow earth for bedclothes bol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몸에 이익을 주는 물질로 널리 알려진 솔잎 및 황토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침구의 내부에 넣어 사용할 수 있는 볼을 만들어 제공함에 있어서, 이들이 가지는 성분의 보다 활성화시켜 제조함과 동시에 변형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강도로 구성함으로 장기간 침구에 적용하여 사용할수 있는 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에 있어 다양한 환(丸)의 형태로 자연에서 차출된 이로로운 물질을 구성하여 적용하는 기술은 다수 개발되고 있는 사실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주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황토 및 솔잎을 이용한 관련기술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20-1998-0016875는 상부로부터 망사, 스폰지, 합성수지 평판, 외피로 이루어진 방석 또는 등받이 표면의 중앙부 망사를 봉제하여 다수의 망 사포켓을 형성한 다음 황토볼과 황토세라믹 관체형 칩이 일정한 양으로 각각 담겨진 망사주머니가 포함된 원적외선 방사 황토볼이 내장된 침구 및 방석에 관한 것이고, 출원번호10-2001-0063821은 침구류의 내장재로서 이용되는 황토편 제조에 있어서, 순수한 황토를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건조기에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황토를 40메쉬를 가지는 촘촘한 망에 통과시켜 황토분말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황토분말에 숯 1 ∼ 5%와 쑥 1 ∼ 5%와 솔잎 1 ∼ 5%와 황토 80 ∼ 85%의 성분비로 배합하고 여기에 자연 접착제 10 ∼ 15%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된 황토를 성형틀에 넣고 100톤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윗면을 각지게 하여 황토편을 만들고 그늘에서 12시간동안 자연 건조한 다음 햇볕에 48시간동안 건조상태로 놓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황토편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상 살펴본 기술들은 침구류에 내장되는 볼의 포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침구류의 구조이거나, 볼의 제조에 있어서도 별도의 가공을 요하지 않고 단순 분쇄 후 결합재를 이용한 결합을 함으로 그 재료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없고, 결합재에 있어서도 공업용 등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이롭지 못한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상황이다.
출원번호 20-2003-0019808은 다수 개의 솔잎이 나란히 배열되어 이루어진 쿠션재와 쿠션재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감싸지고, 망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쿠션재를 구속하는 제 1 외피와 상기 제 1 외피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지고, 일 측에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어 솔잎가루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솔잎의 향기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제 2 외피와 제 2 외피의 둘레면에 축 방 향으로 감싸져 외관을 이루는 외피 본체 및 외피 본체의 양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내부를 밀폐시키는 마감편으로 이루어진 제 3 외피가 포함된 솔잎을 이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솔잎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침구자체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자연의 재료를 내장재로 사용하기 위해 침구의 구조의 변형을 주로 하여 개발하였고, 또한 황토 및 솔잎의 볼 또는 환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분쇄 후 일반적 결합재를 사용하여 환 또는 볼을 제조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침구에서나 쉽게 넣어 사용할 수 있는 솔잎과 황토 성분의 볼을 제조함에 있어, 솔잎의 향을 높여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황토성분과 솔잎성분이 결합될 시 공업용 결합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볼을 구성하고, 또한 그 강도가 높아 부서짐이 없도록 천연재료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볼을 제조함으로 침구류 어디에서나 쉽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솔잎과 황토의 성분이 포함된 볼을 제공하는 것에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창안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향기가 좋은 솔잎의 향기가 잘 발현될 수 있도록 착즙된 솔잎의 부유물과 맑은액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찹쌀가루을 원료로 하여 결합재를 구성하여 황토와 상기 솔잎 추출물을 결합시킴으로 강도가 높고 향기가 좋은 침구용 내장 볼을 제공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을 통하여 천연재료만을 이용하여 견고하고 단단한 침구용 볼을 생산할 수 있어 침구류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솔잎성분의 향을 높여 사용자들이 좀더 향기를 느끼게 하였고, 솔잎과 황토의 우수한 효과를 사용자들이 침구류에 쉽게 적용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효과가 아주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솔잎 및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솔잎은 동의보감에도 풍습창(습기로 인해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질환)을 다스리고 머리털을 나게 하며, 오장육부를 편하게 하고, 곡식대용으로 쓰인다고 되어 있다. 솔잎은 체질에 별로 구애를 받지 않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각종 질병의 치료와 예방 뿐 아니라 강정효과도 우수하다. 솔잎에는 비타민 A, C, K, 엽록 소, 칼슘, 철분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이 들어있다. 또한 체내 합성이 불가능한 8종류의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우수한 단백질원이기도 하다. 솔잎은 체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리고, 말초신경을 확장시켜 호르몬의 분비를 높이는 등 몸의 조직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하므로 고혈압, 심근경색 등에 효과적이다. 또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감기예방과 치료에도 큰 도움을 준다. 솔잎은 혈당을 낮춰주는 성분인 글리코키닌도 포함하고 있는 당뇨병에도 도움을 준다. 비타민 C와 철분이 풍부해 빈혈에도 좋다. 뿐 만 아니라 솔잎 성분 중에는 담배 유해물질인 니코틴 독을 제거시켜주고 소화기의 기능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그 외에도 머리털을 나게 하고 흰머리를 검은 머리로 만들어주며, 눈이나 귀가 밝아지는 등 노화방지에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그 우수한 효능으로 선인식(仙人食)으로까지 불리어지는 소나무의 화학적 성분에는 혈당을 강화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는 기능이 있다.
황토의 효과를 옛 문헌들을 통해 살펴보면 여름철 땀띠가 날 때 황토를 가루를 내어 바르면 낫고, 배와 명치가 아플 때 “황토를 뜨겁게 하여 천에 싸서 찜질을 하면 곧바로 낫는다”라고 되어 있다. 또한 황토 원적외선의 기를 받으면 산후통, 질병 등 성인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황토 온돌방에 솔잎을 깔고 자면 당뇨병, 고혈압, 중풍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약쑥을 깔고 자면 산후부인병 위장병, 빈혈 등에 효과가 있으며 오늘날 냉(冷)과 지기(地氣)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냉증, 신경통,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고깃독, 열독, 아랫배 통증 및 식중독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복룡간의 효험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복 룡간은 아궁이 속 오래 묵은 흙을 말하는데 이는 부인의 어지러움이나 토혈 및 중풍치료제로 쓰였다. 아궁이에서 주방 일을 하던 옛날 여인들에게 암이나 기타 질병이 없었던 것도 이 복룡의 효험 때문으로 보고 있다. 산해경에 기록되어 있는 황토는 대체로 질병 치료에 효험을 보이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소나 말의 질병치료나 옴과 종기를 낫게 하는데 황툐요법의 사용법을 기록하고 있다. 산해경에서는 흙을 생과 사의 매개물로 다루는데 황토수는 죽지 않는 물로 비유하고 있다. 인체의 암이나 종기 등의 기타 유해한 세포들을 흙 속의 효소인 프로테아제가 분해, 해독시켜주고, 몸을 정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황토는 독이 없으며 폐, 비장, 방광에 좋은 영향을 끼치고 간에도 좋은 약 성분이 흡수된다. 또한 지혈, 어지러움, 경기, 설사에 잘 듣고 배멀미나 군살(비만)을 없애는데 쓰였다. 황토는 기(氣)를 내려 살과 근육을 튼튼하게 했기에 강병술에서 항마군의 상비약이 되기도 하였으며 해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했다. 조선왕실의 비전이 왕실양명술에는 뒷날 세상 사람을 구하는데 황토가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특히 온천을 개발하여 눈병 등을 치료했던 세종, 세조 임금은 황토를 민간에 알리게 했으며, 왕과 왕자들이 피로할 때 쉴 수 있도록 3평정도의 황토방을 궁궐 내부에 만들어 피로회복실로 사용했다고 한다. 또 황토는 상사병 치료제로도 효력을 발휘했다고 했는데, 강화도령 철종임금이 고행에 두고 온 첫사랑을 못 잊어 상사병에 시달렸을 때도 황토방에서 요양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상사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황토를 작은 은단처럼 만들어 먹였다고 한다.
찹쌀은 멥쌀에 비하여 교착성이 강하나 영양학적 성분은 별 차이가 없다. 그 러나 인삼의 화학적 성분은 별것이 아니면서도 그 효능은 신비스런 것처럼, 찹쌀도 그 효험은 상상을 초월한다. 흔히 밥을 먹으면 소화가 안 된다고 죽을 쑤어 먹는데, 죽을 먹어도 소화가 잘 안 되는 사람이 찰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된다. 젖이 잘 안 나오는 산모가 찰밥을 먹으면 젖이 잘 나오며 설사가 심할 때 찹쌀로 죽을 쑤어 먹으면 설사가 멎는다. 변비가 생겼을 때는 찹쌀에 콩을 섞어 콩이 푹 익을 때까지 잘 끓여서 먹으면 통변이 되며, 병을 앓은 다음 회복기에 찰떡을 계속 먹으면 소화도 잘되고 회복이 빨라진다. 또한 종기가 났을 때 찹쌀로 지은 밥에 소금을 넣고 으깨어 떡을 만들어 붙이면 낫는 것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렇듯 사람의 몸에 이로운 성질로 가득한 천연재료인 솔잎, 황토, 찹쌀을 이용하여 침구용 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솔잎은 울진에서 채취된 소나무솔잎을 사용하였으며, 깨끗한 흐르는 물에 불순물을 대략 세척한 후, 분쇄하여 솔잎 파일(1)을 만드는데 2~5mm사이로 구성하여야 볼 구성 시 결합력이 우수하다.
그리고 별도로 솔잎을 세척한 후 상온상태에서 2~3일간 건조 시키고, 통상의 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을 한다. 착즙을 한 후, 착즙액을 10~20℃의 온도에서 3~5시간 저장하여 솔잎 분말성분을 침전시킨다. 침전물을 제거한 맑은 솔잎착즙 상등액(2) 만을 분리한다.
황토는 통상의 국산 황토를 사용하였으며 별도의 세척과정을 거치지 않고 망걸림 또는 분쇄 작업을 통해 250~500mash의 크기의 상태로 구성하여황토분말(3)을 구성한다.
찹쌀은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통상의 국산 찹쌀가루를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찹쌀가루를 이용하여 천연 결합제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솔잎착즙 상등액(2)을 중량대비 50~60%, 찹쌀가루를 40~50%로 혼합한 후, 100℃로 30~50분간 가열하여 접착풀과 같이 걸쭉한 상태의 찹쌀풀(4)을 구성한다. 상기 찹쌀풀(4)의 경우 일반 물을 사용하지 않고 솔잎착즙 상등액(2)을 사용함으로 자체 내에서도 솔잎의 향을 포함하여 차후 볼(boll) 생산 시 그 향의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재료들의 준비가 끝이나면 혼합을 하게 되는데, 전체중량대비 솔잎파일(1) 65~70%에 찹쌀풀(4) 20~25%, 황토 10%를 혼합하여 10~30분간 통상의 반죽기로 반죽물을 구성한다. 반죽물이 구성되면 통상의 볼(boll)생성기 또는 환(丸)제조기를 이용하여 원형의 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볼(boll)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 구성도

Claims (2)

  1. 솔잎과 황토를 분쇄하여 결합재를 이용하여 볼(boll)을 만든 후, 건조하여 구 침구용 볼(boll)을 만드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솔잎은 2~5mm사이의 파일(1)로 구성하고;
    황토는 250~500mash의 크기(3)로 구성하고;
    결합제로서 찹쌀풀(4)을 구성하여 전체중량대비 솔잎파일(1)은 65~70%, 황토(3)는 10%, 찹쌀풀(4)은 20~25%를 혼합하여 볼을 구성하되,
    찹쌀풀은 솔잎을 착즙을 한 후, 착즙액을 10~20℃의 온도에서 3~5시간 저장하여 솔잎침전물을 제거한 맑은 솔잎착즙 상등액(2)을 중량대비 50~60%, 찹쌀가루를 40~50%로 혼합한 후, 100℃로 30~50분간 가열한 찹쌀풀(4)을 결합제로 구성하여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여 볼을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침구용 솔잎 황토 볼 제조방법
  2. 솔잎과 황토를 분쇄하여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침구용 볼에 있어서,
    2~5mm사이의 솔잎파일(1)을 전체중량대비 65~70%, 250~500mash의 크기(3)의 황토 10%와 솔잎을 착즙을 한 후, 착즙액을 10~20℃의 온도에서 3~5시간 저장하여 솔잎침전물을 제거한 맑은 솔잎착즙 상등액(2)을 중량대비 50~60%, 찹쌀가루를 40~50%로 혼합한 후, 100℃로 30~50분간 가열한 찹쌀풀(4) 20~25%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침구용 솔잎 황토 볼.
KR1020070094323A 2007-09-17 2007-09-17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086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23A KR100869910B1 (ko) 2007-09-17 2007-09-17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323A KR100869910B1 (ko) 2007-09-17 2007-09-17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910B1 true KR100869910B1 (ko) 2008-11-21

Family

ID=4028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323A KR100869910B1 (ko) 2007-09-17 2007-09-17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90B1 (ko) * 2009-07-07 2010-05-13 주식회사 코로텍 황토 포장 재료 및 포장 시공 방법
KR101609936B1 (ko) * 2014-07-23 2016-04-06 백명희 흙과 솔잎을 이용한 항균성 도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368A (ko) * 1997-04-17 1997-07-24 최순형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바닥재 성형방법
KR20000018105A (ko) * 2000-01-12 2000-04-06 박말선 베개용 볼 제조방법
KR20010007860A (ko) * 2000-10-10 2001-02-05 김환귀 자연소재 건축자재
KR20010026961A (ko) * 1999-09-09 2001-04-06 오성배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KR20010100142A (ko) * 2001-10-13 2001-11-14 이해식 침구의 내장재로 들어가는 황토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4828A (ko) * 2002-10-17 2004-04-29 우숙자 기능성 베개
KR20050049136A (ko) * 2003-11-21 2005-05-25 한우석 건축용 황토 패널 제조방법
KR20060125973A (ko) * 2005-06-01 2006-12-07 김종헌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368A (ko) * 1997-04-17 1997-07-24 최순형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바닥재 성형방법
KR20010026961A (ko) * 1999-09-09 2001-04-06 오성배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KR20000018105A (ko) * 2000-01-12 2000-04-06 박말선 베개용 볼 제조방법
KR20010007860A (ko) * 2000-10-10 2001-02-05 김환귀 자연소재 건축자재
KR20010100142A (ko) * 2001-10-13 2001-11-14 이해식 침구의 내장재로 들어가는 황토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4828A (ko) * 2002-10-17 2004-04-29 우숙자 기능성 베개
KR20050049136A (ko) * 2003-11-21 2005-05-25 한우석 건축용 황토 패널 제조방법
KR20060125973A (ko) * 2005-06-01 2006-12-07 김종헌 수면촉진 숨쉬는 베개용볼 및 베개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90B1 (ko) * 2009-07-07 2010-05-13 주식회사 코로텍 황토 포장 재료 및 포장 시공 방법
KR101609936B1 (ko) * 2014-07-23 2016-04-06 백명희 흙과 솔잎을 이용한 항균성 도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0824A (zh) 一种补气养血保健冲料
CN104770823B (zh) 一种调节内分泌保健冲料
CN102349585B (zh) 一种含白茶的美容养颜袋泡茶
KR20000049633A (ko) 자연선식과 그 제조방법
CN105876011A (zh) 一种疏肝养生减肥混合茶及其制备方法
KR10181794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
CN107223920A (zh) 红枣枣核的加工方法及采用该方法制备的枣核、枣核茶
CN1701724A (zh) 一种平衡膳食营养的固体饮料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5918871A (zh) 一种余甘果豆豉酱及其制作方法
CN102940219A (zh) 一种土豆饼及其制作方法
KR100869910B1 (ko)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CN102771719A (zh) 红茶珍珠米的制造工艺
KR101186508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5212040A (zh) 一种含黑玉米的复合营养粉及其制备方法
KR20110040568A (ko) 말뼈를 주재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480311B1 (ko) 체질 맞춤형의 학습 능력 증진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CN107094929A (zh) 一种玫瑰薄片红茶
KR20100072143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82688A (ko) 월드 홍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748224B1 (ko) 검정깨, 쥐눈이콩, 및 마늘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제조방법
CN101250471B (zh) 蜂蜜蜂王浆保健补酒及其制备方法
KR100596223B1 (ko) 매실과 다시마가 첨가된 청국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4791A (ko) 민들레차제조방법
KR101186509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주먹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