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961A -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961A
KR20010026961A KR1019990038482A KR19990038482A KR20010026961A KR 20010026961 A KR20010026961 A KR 20010026961A KR 1019990038482 A KR1019990038482 A KR 1019990038482A KR 19990038482 A KR19990038482 A KR 19990038482A KR 20010026961 A KR20010026961 A KR 2001002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pillow
ocher
pulp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242B1 (ko
Inventor
오성배
오주희
Original Assignee
오성배
오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배, 오주희 filed Critical 오성배
Priority to KR101999003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2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72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와 펄프, 그리고 전분에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령토와;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짚, 은행잎, 섬유 등과; 성형물의 표면을 매끈하게하고 방수성 및 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유와; 성형물의 방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쑥과; 피부를 좋게하고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귤, 솔잎; 등을 함께 혼합하여 침대판이나 베개와 같은 성형물을 제조하므로서 사용자의 건강을 크게 증진시킴은 물론이고, 황토와 펄프, 그리고 전분만을 가지고 형성한 성형물 보다 더욱 견고하고 방수성 및 발수성을 향상시킨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황토 45∼50중량%, 고령토 2∼5중량%, 펄프와 전분 40∼45중량%, 쑥, 짚, 두유, 섬유 등을 나머지 잔부로 균일하게 첨가,혼합하여 침대판 또는 베개로 성형한 후 열처리공정 및 건조공정을 소정의 온도 및 시간 동안 수행한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은 또 나머지 잔부에 은행잎, 귤, 솔잎 등이 첨가된 특징이 있고,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성형된 침대판 및 베개를 열처리하되, 일차열처리공정에서 20∼30분동안 100℃로 열처리한 후 이차열처리공정에서 10∼20분 동안 250∼300℃로 열처리하는 한편, 건조공정에서 24시간 동안 50∼90℃로 건조시킨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A bed manufacture method by a loess}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를 이용하여 성형된 침대판 및 베개를 굽지 않고도 이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강도 및 경도가 크게 강화하여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습할 때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할 때 수분을 방출하므로 습도조절기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유익한 성분이 함유되어 냄새와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킴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열이나 자연광에 의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이고, 보온 및 단열효과가 매우 탁월하고, 심지어 전통한의학에서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황토를 이용하여 침대판등을 제조하였으나, 황토는 자체 의 점성 또는 부착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로의 성형이 매우 어려울뿐만 아니라, 황토의 강도 및 경도가 약하여 사용중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동시에 그 표면이 부서러지는 문제점 등이 있어 실제적으로 그 사용이 불가능하고, 황토에 점토등을 혼합하여 성형한 제품등이 있으나 이러한 제품은 황토의 함량이 낮아 전술한 바와 같은 황토고유의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인을 해소한 제조방법이 본인에 의해 이미 선출원(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999-7578호)되었던 바, 이는 황토 70∼90중량%에 펄프와 전분 30∼10중량%로 혼합하여 소정형상으로 성형한 후 경화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토와 펄프, 그리고 전분만을 이용하여 침대판이나 베개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침대판이나 베개 등은 견고성과 결속력이 매우 크야 안정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인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황토와 펄프, 그리고 전분에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령토와;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있는 짚, 은행잎, 섬유 등과; 성형물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고 방수성 및 발수성을향상시킬 수 있는 두유와; 성형물의 방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쑥과; 피부를 좋게하고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귤, 솔잎; 등을 함께 혼합하여 침대판이나 베개와 같은 성형물을 제조한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황토 45∼50중량%, 고령토 2∼5중량%, 펄프와 전분 40∼45중량%, 쑥, 짚, 두유, 섬유 등을 나머지 잔부로 균일하게 첨가,혼합하여 침대판 또는 베개로 성형한 후 열처리공정 및 건조공정을 소정의 온도 및 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머지 잔부에 은행잎, 귤, 솔잎 등이 첨가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성형된 침대판 및 베개를 열처리하되, 일차열처리공정 에서 20∼30분동안 100℃로 열처리한 후 이차열처리공정에서 10∼20분 동안 250∼300℃로 열처리하는 한편, 건조공정에서 24시간 동안 50∼90℃로 건조시킨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대판 및 베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황토에 펄프와 전분, 그리고 고령토를 혼합하는데, 상기 펄프는 공급원으로 주로 폐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황토입자와 상호 결합되어 황토제품에 크랙이발생되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전분은 공급원으로 쌀이나 밀가루와같이 전분이 함유된 음식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황토입자에 부착력을 제공하여 황토를 손쉽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성형물의 표면이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게 되고, 상기 고령토는 성형물에 견고성을 부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이들에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짚, 은행잎, 섬유 등과;성형물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고 방수성 및 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유와; 성형물의 방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쑥과; 피부를 좋게하고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귤,솔잎; 등을 함께 투입하여 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물을 고온으로 가열함과 동시에소정의 교반기로 소정의 시간동안 균일하게 혼합한다. 한편, 상기 물을 가열하는 이유는 폐지가 잘 용해되어 펄프상태로 되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전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펄프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될 수 있는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되고나면, 물과 함께 각종 불순물을 배출한 후 상기 혼합물을 형틀에 넣고 침대판이나 베개와 같은 성형물을 제조한 다음, 일차열처리공정에서 20∼30분등안 100℃로 열처리한 후 이차열처리공정에서 10∼20분 동안 250∼300℃로 열처리하는 한편, 건조공정에서 24시간 동안 50∼90℃로 건조시킨다.
상기의 공정들을 거쳐 완성된 성형물에 히팅수단을 설치하여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여 된 사각형태의 성형물에 가로,세로줄을등간격 형성하여 바둑판을 제조하여도 바람직하다.
<실시 예>
먼저, 용기에 황토 48중량%, 전분 및 펄프 40중량%, 고령토 2중량%를 투입한 다음, 쑥, 짚, 두유, 섬유, 은행잎, 귤, 솔잎 등을 10중량%를 물과 함께 첨가하여 교반기로 균일하게 혼합한다.
그런 다음, 물과 함께 각종 불순물을 배출한 후 상기 혼합물을 형틀에 넣고침대판이나 베개와 같은 성형물을 제조한 다음, 일차열처리공정에서 20분동안 100℃로 열처리한 후 이차열처리공정에서 10분 동안 300℃로 열처리하는 한편, 건조공정에서 24시간 동안 70℃로 건조하여 완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토와 펄프, 그리고 전분에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령토와;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짚, 은행잎, 섬유 등과; 성형물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고 방수성 및 발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유와; 성형물의 방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쑥과; 피부를 좋게하고 향기를 방출할 수 있는 귤, 솔잎; 등을 함께 혼합하여 침대판이나 베개와 같은 성형물을 제조하므로서 사용자의 건강을 크게 증진시킴은 물론이고, 황토와 펄프, 그리고 전분만을 가지고 형성한 성형물 보다 더욱 견고하고 방수성 및 발수성, 그리고 방충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황토 45∼50중량%, 고령토 2∼5중량%, 펄프와 전분 40∼45중량%, 쑥, 짚, 두유, 섬유 등을 나머지 잔부로 균일하게 첨가,혼합하여 침대판 또는 베개로 성형한 후 열처리공정 및 건조공정을 소정의 온도 및 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나머지 잔부에 은행잎, 귤, 솔잎 등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침대판 및 베개를 열처리하되, 일차열처리공정에서 20∼30분동안 100℃로 열처리한 후 이차열처리공정에서 10∼20분 동안 250∼300℃로 열처리하는 한편, 건조공정에서 24시간 동안 50∼90℃로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및 베개제조방법.
KR1019990038482A 1999-09-09 1999-09-09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제조방법 KR10031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482A KR100319242B1 (ko) 1999-09-09 1999-09-09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482A KR100319242B1 (ko) 1999-09-09 1999-09-09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961A true KR20010026961A (ko) 2001-04-06
KR100319242B1 KR100319242B1 (ko) 2002-01-05

Family

ID=1961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482A KR100319242B1 (ko) 1999-09-09 1999-09-09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03A (ko) * 2002-01-17 2003-07-28 안정주 기능성 베게제조
KR100416385B1 (ko) *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869910B1 (ko) * 2007-09-17 2008-11-21 박영환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1A (ko) * 1997-02-17 1998-10-15 장유진 점토를 이용한 건축내장용 판넬
KR200174806Y1 (ko) * 1997-06-26 2000-06-01 조종훈 황토 벽돌
KR100302884B1 (ko) * 1998-10-09 2001-11-30 문동철 황토제품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385B1 (ko) * 2001-12-18 2004-01-31 김구해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20030062603A (ko) * 2002-01-17 2003-07-28 안정주 기능성 베게제조
KR100869910B1 (ko) * 2007-09-17 2008-11-21 박영환 침구용 솔잎 황토 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242B1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6979A1 (en) Ceramic powder emitting far infrared ray, high-density bio-ston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19246B1 (ko) 황토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방법
KR100319242B1 (ko) 황토를 이용한 침대판 제조방법
KR100319245B1 (ko) 황토를 이용한 다목적 벽돌 제조방법
KR19990007578A (ko) 황토제품 제조방법
KR100319241B1 (ko) 황토를 이용한 다목적 판넬 제조방법
KR100336999B1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판 제조방법
KR100319243B1 (ko) 황토를 이용한 가구 제조방법
ATE269002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äuerten, feuchten, lagerstabilen gefüllten teigwaren
KR20070018750A (ko) 가구용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100319244B1 (ko) 황토를 이용한 기와 제조방법
KR101515570B1 (ko) 친환경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385B1 (ko) 한방 향 황토판과 그 제조방법
KR20010026960A (ko) 황토를 이용한 쌀통 및 김치통 제조방법
KR20000049399A (ko) 황토을 이용한 다목적 납골함 제조방법
KR20100025955A (ko) 편백나무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절단목
KR100863218B1 (ko) 팜섬유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성형체
CN110063458A (zh) 一种梅卤味柚皮腊肠的制备方法
KR20160058223A (ko) 녹차를 포함한 누룽지와 그 제조방법
CN108818831A (zh) 一种木材防霉剂的制备方法
KR930009280B1 (ko) 비닐장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584619A (zh) 一种实木切菜板的制作方法
KR101043131B1 (ko) 인테리어용 탈취제 블럭 조성물 및 탈취제 블럭 제조방법
KR101047124B1 (ko) 식물성 건축물 바이오코팅재
KR100737095B1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