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095B1 -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095B1
KR100737095B1 KR1020060040057A KR20060040057A KR100737095B1 KR 100737095 B1 KR100737095 B1 KR 100737095B1 KR 1020060040057 A KR1020060040057 A KR 1020060040057A KR 20060040057 A KR20060040057 A KR 20060040057A KR 100737095 B1 KR100737095 B1 KR 10073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loess
total weight
grill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운
Original Assignee
장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운 filed Critical 장기운
Priority to KR102006004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이나 구이봉을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원료로 사용되는 황토를 이물질을 제거하고 성형하기 용이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정제하는 정제공정과; 정제된 황토분말을 전체 중량의 97∼70%와, 분말형태로 구비되는 송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해초를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혼합공정과; 혼합물에 반죽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물을 혼합하여 압출기를 통하여 한번 더 고르게 혼합하고 반죽하여 성형물을 만드는 압출공정과; 성형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성형물 내에 존재하는 기포를 통상의 진공처리기를 통하여 제거하는 진공공정과; 성형된 봉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건조한 후 구이봉으로 만들 수 있도록 기포가 제거된 성형물을 봉 타입의 봉소재로 압출하는 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 구이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grill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과정을 도시한 2실시예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인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이봉을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이판을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육류 구이판을 도시한 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구이봉
200; 구이판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를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구이판이나 구이봉(구이바, 이하 구이봉이라 한다.)을 제조할 수 있는 구이소재의 제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구이판은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구성과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개발되어 현재 많은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구이판의 구성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구이판(1)은 금속재질이나 흙으로 소성 성형 되는 도자기재질로 중앙에 돌출부(2)를 가지는 접시모양의 구이판바디(3)를 형성하고, 상기 구이판바디(3)의 가장자리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림(4)을 형성한다.
상기 구이판바디(3)의 표면에는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기름유도홈(5)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림(4)의 일측에는 유도된 기름을 구이판(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름배출공(6)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판 중에서, 구이판이 금속재질로 구성된 경우에는 미량이나마 유출되는 중금속에 의하여 인체에 유해함을 주기 때문에 구이판에 구워진 육류를 섭취하는 섭취자들의 건강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흙으로 성형한 후 유약을 바르고 고온으로서 소성 한 구이판의 경우에는 제조상의 특성에 의하여 표면에 미세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코팅층을 가지 는 도자기와 같은 형태로 되기 때문에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구이판을 통하여 흡수되거나 배출되지 못하고, 구이판의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구이판에 항상 존재하는 기름성분에 의하여 육류가 쉽게 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기름이 구이판에 존재 함으로서 육류를 구울 때 기름이 상당히 먼 거리로 비산되어 육류 섭취자의 의류 등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바닥에 비산된 기름에 의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게 되는 것은 물론, 구워지는 육류가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기름 등에 의하여 튀겨지는 것과 같은 현상에 의하여 딱딱한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없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황토를 이용하여 구이판이나 구이봉을 제조할 수 있는 구이소재를 제공하고, 구이소재로 별도의 소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시킨 상태에서 육류를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이나 구이봉(구이바)를 성형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성분은 제거하고 황토에서 발생하는 유익한 성분에 의하여 육류의 맛을 담백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과정을 도시한 2실시예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인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이봉을 도시한 파절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구이판을 도시한 파절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원적외선이 발생 되어 인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인체 내부에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인체 내 세포가 가지고 있는 유해물질의 방출과 해독하는 광전효과가 있는 황토를 주원료로 한다.
여기에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특징이 있는 송진과,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여 모세혈관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는 미역, 다시마, 가사리(우뭇가사리와 풀가사리를 포함)와 같은 해초(이하 해초라 한다.)와 전분을 성분으로 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원료를 이용한 구이소재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정제공정,
먼저, 주원료로 사용되는 황토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성형하기 용이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1㎜ 이하의 직경을 가지도록 정제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정제공정에서 황토분말의 직경을 1㎜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은 성형시 황토분말의 직경과 직경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육류를 구울 때 수분이나 육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혼합공정,
상기 정제공정을 거친 황토분말을 전체 중량의 97∼70%를 사용하고, 송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해초를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압출공정,
상기 혼합공정을 통하여 주원료인 황토분말과 송진, 해초 및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고르게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과 성형하기 용이한 반죽과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을 정도의 물과 함께 압출기를 통하여 한번 더 고르게 혼합하고 반죽과 같은 상태로 다져준다.
진공공정,
상기 압출기를 통하여 혼합하고 다져주면서 반죽과 같은 상태의 성형물로 압출하는 과정에서 반죽 내에 존재하는 기포 등을 제거하여 판 형태로 성형하여 완성한 구이판이나 봉과 같은 형태의 구이봉을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때 열에 의하여 팽창되어 구이판과 구이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진공처리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제거한다.
성형공정,
압출공정과 진공공정을 통하여 반죽과 같은 형태로 성형 되고 내부에 기포가 제거된 성형물을 봉 타입의 봉소재 또는 판상 타입의 판소재로 성형하고, 성형 봉소재와 판소재를 이용하여 구이봉과 구이판을 만든 후 건조함으로서 완료된다.
실시예 1.
주원료로 사용할 황토를 분말 타입으로 정제하고, 정제된 황토분말 70% 중량부와 송진과 해초 및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각각 10%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물과 함께 압출기에 투입하여 반죽과 같은 성형물을 만들고, 압출하기 전 통상적인 진공처리기를 이용하여 반죽 내부에 존재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성형물을 봉 타입으로 압출하고, 압출된 봉은 여러 개를 모아서 구이기(구이판과 같은 형태로 모아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절단한 후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시켜 구이봉(100)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주원료로 사용할 황토를 분말 타입으로 정제하고, 정제된 황토분말 90% 중량부와 송진과 해초 및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각각 1%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물과 함께 압출기에 투입하여 반죽과 같은 성형물을 만들고, 압출하기 전 통상적인 진공처리기를 이용하여 반죽 내부에 존재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기포가 제거된 상태의 성형물을 판상타입으로 압출하고, 압출된 판상시트는 카렌다를 통하여 한번 더 고르게 다지면서 면을 고르게 한 상태에서 박판의 금속재질로 된 막판이나 거물망과 같은 보강수단(150)을 개재한 후 구이판 모양으로 프레싱을 통하여 구이판을 성형한 후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시켜 구이판(200)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주원료로 사용되는 황토와 송진, 해초 및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구이소재를 이용하여 구이봉(100)과 구이판(200)을 만들 경우에는 접착제 성분에 의하여 순수 황토로 만들어지는 것에 비하여 황토분말 상호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줌으로서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건조과정이나 건조완료된 상태에서도 성형상태로 유지하는 데 유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이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구이봉(100)과 구이판(200)을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경우에는 구이봉(100)과 구이판(200)이 열을 전달받아 육류를 간접열(복사열)로 굽기 때문에 육류가 급격하게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육류가 구워질 때 발생하는 육즙(수분)과 기름성분은 구이봉(100)과 구이판(200) 성형시 발생하는 미세한 공극 사이로 배출되어 지고 그 배출양이 많거나 배출이 구이봉(100)과 구이판(200)의 저면에까지 이르게 되면 화원에 의하여 연소되어 소멸 되므로 이로 인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는 황토와 접착제인 송진 및 해초에 함유하고 있는 원적외선과 미네랄과 같은 유익한 성분이 육류로 침투하여 육류를 연하게 하면서 담백한 맛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워진 육류의 섭취를 돋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하여 구이판을 제조할 수 있는 구이소재를 제공하고, 구이소재로 별도의 소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시킨 상태에서 육류 를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이나 구이봉을 성형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성분은 제거하고 황토에서 발생하는 유익한 성분에 의하여 육류의 맛을 담백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2)

  1.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함에 있어서;
    주원료로 사용되는 황토를 이물질을 제거하고 성형하기 용이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정제하는 정제공정과;
    정제된 황토분말을 전체 중량의 97∼70%와, 분말형태로 구비되는 송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해초(미역, 다시마, 가사리)를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혼합공정과;
    혼합물에 반죽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물을 혼합하여 압출기를 통하여 한번 더 고르게 혼합하고 반죽하여 성형물을 만드는 압출공정과;
    성형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성형물 내에 존재하는 기포를 통상의 진공처리기를 통하여 제거하는 진공공정과;
    성형된 봉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건조한 후 구이봉으로 만들 수 있도록 기포가 제거된 성형물을 봉 타입의 봉소재로 압출하는 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2.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함에 있어서;
    주원료로 사용되는 황토를 이물질을 제거하고 성형하기 용이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정제하는 정제공정과;
    정제된 황토분말을 전체 중량의 97∼70%와, 분말형태로 구비되는 송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해초(미역, 다시마, 가사리)를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 전분을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전체 중량의 1∼10%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혼합공정과;
    혼합물에 반죽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물을 혼합하여 압출기를 통하여 한번 더 고르게 혼합하고 반죽하여 성형물을 만드는 압출공정과;
    성형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성형물 내에 존재하는 기포를 통상의 진공처리기를 통하여 제거하는 진공공정과;
    기포가 제거된 성형물을 판상타입으로 압출하는 성형공정과;
    압출된 판상시트를 카렌다를 통하여 한번 더 고르게 다지면서 면을 고르게 한 상태에서 보강수단(150)을 개재한 후 프레싱을 통하여 구이판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구이판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KR1020060040057A 2006-05-03 2006-05-03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KR10073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057A KR100737095B1 (ko) 2006-05-03 2006-05-03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057A KR100737095B1 (ko) 2006-05-03 2006-05-03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095B1 true KR100737095B1 (ko) 2007-07-06

Family

ID=3850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057A KR100737095B1 (ko) 2006-05-03 2006-05-03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4B1 (ko) * 2016-04-05 2016-11-16 이수복 맥반석가루를 이용한 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655U (ko) * 1996-10-29 1998-07-25 이해식 토제 구이판
KR19980065124A (ko) * 1998-06-29 1998-10-07 김성식 황토구이불판
KR200196691Y1 (ko) * 2000-03-21 2000-09-15 박하령 식물 추출액 성분이 함유된 황토 고기 구이판
KR20010026962A (ko) * 1999-09-09 2001-04-06 오성배 황토를 이용한 구이판 및 찜통 제조방법
KR20020084471A (ko) * 2001-05-02 2002-11-09 김경용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655U (ko) * 1996-10-29 1998-07-25 이해식 토제 구이판
KR19980065124A (ko) * 1998-06-29 1998-10-07 김성식 황토구이불판
KR20010026962A (ko) * 1999-09-09 2001-04-06 오성배 황토를 이용한 구이판 및 찜통 제조방법
KR200196691Y1 (ko) * 2000-03-21 2000-09-15 박하령 식물 추출액 성분이 함유된 황토 고기 구이판
KR20020084471A (ko) * 2001-05-02 2002-11-09 김경용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4B1 (ko) * 2016-04-05 2016-11-16 이수복 맥반석가루를 이용한 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98448A1 (en) Eco-friendly and biodegradable edible utensils including cutlery and chopsticks and methods of making them
KR101402110B1 (ko) 누룽지용 재성형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0737095B1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소재 제조방법
CN103467075B (zh) 一种硅藻土陶瓷滤芯的制备方法
KR10072768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황토 숯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0319246B1 (ko) 황토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방법
KR101378104B1 (ko) 숯가루를 함유한 침대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CN101828843A (zh) 一种筷子及其制备方法
KR20000033318A (ko) 황토벽돌 제조방법 및 황토벽돌
KR20100136302A (ko) 원형 강정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원형 강정
KR101295634B1 (ko) 부유성과 조직감이 우수한 건조어묵의 제조방법
KR20050071440A (ko) 참숯이 혼합된 생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380147Y1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용 불판
KR101433468B1 (ko) 황색점토혼합조성물로 제작되는 생흙불판
KR20020085281A (ko) 황토와 게르마늄을 이용한 불판 및 그 제조방법
RU2399216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афельных листов
CN206137949U (zh) 一种烘焙模具
KR20010008490A (ko) 황토 구이판과 그의 제조방법
KR100327050B1 (ko) 황토를 이용한 고기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CN105660787A (zh) 一种芙蓉糕的加工方法
KR100319977B1 (ko) 황토판 삽·탈이 가능한 고기 구이판의 제조방법
KR20010026962A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판 및 찜통 제조방법
KR101328448B1 (ko) 친환경 황토불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황토불판
KR101506798B1 (ko) 도토리 찌개미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제조방법
KR20060082600A (ko) 황토를 이용한 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