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152B1 -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152B1
KR100867152B1 KR1020070041549A KR20070041549A KR100867152B1 KR 100867152 B1 KR100867152 B1 KR 100867152B1 KR 1020070041549 A KR1020070041549 A KR 1020070041549A KR 20070041549 A KR20070041549 A KR 20070041549A KR 100867152 B1 KR100867152 B1 KR 10086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d
led lamp
door
ligh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281A (ko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07004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의 전동차 또는 일반 열차에서 승객의 추락사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승강장 스크린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 시스템을 도입 시 PSD 도어와 열차의 도어 사이의 틈에 끼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PSD 도어 베이스에 안전조명 장치를 설치하여 승객 하차시 플랫폼과 지하철 사이의 틈에 끼지 않도록 경각심을 주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는,
PSD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PSD 베이스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출사부는,
PSD 도어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방으로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램프부와,
상기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코드부와,
상기 접속코드부의 선단에 외부컨넥터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PSD 도어 후면 하단 베이스에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를 형성하여 승객 하차시 PSD 도어와 열차의 도어 사이의 틈에 끼지 않도록 경각심을 주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PSD 도어, LED 램프, 안전하차.

Description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safety lighting Device of PSD bas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광출사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수용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PSD 베이스 끝단부 11 : 미끄럼방지부
12 : 연통부 13 : 나사부
14 : 암나사부 15 : 나사삽입구멍
16 : 관통구멍 20 : 외부컨넥터부
100 : 광출사부 110 : 엘이디램프부
120 : 수용부 121 : 광원수용공간부
122 : 발광재질부 123 : 나사수용공간부
124 : 격벽부 125 : 바닥벽부
126 : 광투과부 130 : 접속코드부
140 : 컨넥터부
본 발명은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의 전동차 또는 일반 열차에서 승객의 추락사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승강장 스크린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 시스템을 도입 시 PSD 도어와 열차의 도어 사이의 틈에 끼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PSD 도어 베이스에 안전조명 장치를 설치하여 승객 하차시 플랫폼과 지하철 사이의 틈에 끼지 않도록 경각심을 주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에는 승객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안전대책이 마련되어 있는데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철도 차량에서는 차체의 출입구에 자동 또는 수동 의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출입구의 바닥측에는 문턱이 고정되
어 있다. 이 문턱은, 승객이 출입구에서 타고 내릴 때의 바닥면의 마멸 방지, 보강, 발밑의 미끄러짐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 차량과 승강장의 안전 발판사이의 공간을 50mm 이하로 규정을 짓고 있어 철도 차량이 운행하는 직선 코스의 경우에는 상기한 공간을 준수할 수 있지만 곡선 코스의 경우에는 상기 공간을 준수하기란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승강장에 안전 발판을 도입하여 상기한 공간을 준수할 수 있었으나, 상기한 안전 발판의 경우는 차량의 출입문이 작동되면서 안전 발판을 출현시켜 상기 공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사람들의 무게에 의해 오동작을 빈번히 일으키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철도 차량 자체의 발판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철도 차량 자체에 설치를 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설치시 수많은 철도 차량마다 조명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싼 제조 비용이 소모되었으며, 조명 장치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 손쉬운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직선 코스에서는 틈이 그렇게 많이 생기지는 않지만 곡선 코스에서는 틈이 상당히 발생하므로 이에 따른 원천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었다.
또한, 최근 철도 차량의 운행시 승객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PSD 도어를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PSD 후면 하단 베이스 부분에 아무런 안전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아 상기한 곡선 코스 혹은 공간이 형성된 직선 코스에서 승객이 하차시 플랫폼과 철도 차량 사이의 틈에 끼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따른 PSD 도어와의 재설계를 통해 상기한 공간을 준수할 수 있는 기술이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SD 도어 후면 하단 베이스에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를 형성하여 PSD 도어와 열차의 도어 사이의 틈에 끼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는,
PSD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PSD 베이스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출사부는,
PSD 도어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방으로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램프부와,
상기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코드부와,
상기 접속코드부의 선단에 외부컨넥터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수용부내의 상부에 형성되어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공간부와,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에 충진되어 엘이디램프부의 발광을 배가시키기 위한 발광재질부와,
상기 수용부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나사부를 수용하는 나사수용공간부와,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와 나사수용공간부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부와,
상기 나사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삽입구멍이 형성된 바닥벽부와,
상기 엘이디램프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엘이디램프부는,
적어도 한 개에서 5개 정도 혹은 그 이상을 1조로 병렬로 구성하여 전기 접속시킴으로써, 단선시 전체 소등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는,
PSD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PSD 베이스의 끝단부(10)에 설치되어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10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출사부(100)는,
PSD 도어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방으로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램프부(110)와,
상기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코드부(130)와,
상기 접속코드부의 선단에 외부컨넥터부(2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넥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20)는,
수용부내의 상부에 형성되어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공간부(121)와,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에 충진되어 엘이디램프부의 발광을 배가시키기 위한 발광재질부(122)와,
상기 수용부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나사부를 수용하는 나사수용공간부(123)와,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와 나사수용공간부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부(124)와,
상기 나사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삽입구멍이 형성된 바닥벽 부(125)와,
상기 엘이디램프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투과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PSD 베이스 끝단부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PSD 베이스 끝단부의 상면에는 출입구의 폭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상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의하여 발밑이 미끄러지기 쉬운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PSD 베이스 끝단부에는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10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간에 광출사부를 삽입하여 상방을 향하여 광을 출사함으로써 PSD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승객들에게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출사부(100)의 일단으로부터는 접속코드부(130)가 연장되어 있어 접속코드부의 선단에는 컨넥터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PSD 베이스 끝단부에 광출사부(10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의 일측에 상기 컨넥터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부(12)가 형성되어 있어 컨넥터부가 외부로 도출되어 외부컨넥터부(20)와 연결되어 외부컨넥터부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바람직하게는 PSD의 구동부(헤더박스) 후면에 설치 구성된다.
상기 연통부(12)는 상기 컨넥터부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통해 광출사부에 구성된 엘이디램프부의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컨넥터부를 분리시켜 새로운 광출사부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수용부(120)는,
수용부내의 상부에 형성되어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공간부(121)와,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에 충진되어 엘이디램프부의 발광을 배가시키기 위한 발광재질부(122)와,
상기 수용부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나사부를 수용하는 나사수용공간부(123)와,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와 나사수용공간부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부(124)와,
상기 나사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삽입구멍이 형성된 바닥벽부(125)와,
상기 엘이디램프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투과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재질부(122)는 광원수용공간부에 충진되어 엘이디램프부의 발광을 배가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형광 물질의 발광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엘이디램프부의 발광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엘이디램프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광투과부(126)는 반투명한 수지제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120)는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공간부(121)와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수용공간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원수용공간부(121)와 나사수용공간부(123) 사이에 격벽부(124)가 형성되어 있어 나사부를 통해 결합시 엘이디램프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엘이디램프부는 적어도 한 개에서 5개 정도 혹은 그 이상을 1조로 병렬로 구성하여 전기 접속시킴으로써, 정렬된 복수의 엘이디램프 전체가 단선시에 소등되는 사태가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수용공간부(123) 내에는 나사부(13)을 형성하여 바닥벽부(125)에 접착 고정된다.
상기 나사부에는 소정의 위치에 암나사부(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바닥벽부(125)에는 암나사부(14)에 대응되는 나사삽입구멍(15)이 형성되고 PSD 베이스 끝단부(10)에는 나사삽입구멍(15)에 대응되도록 관통구멍(16)이 형성되므로, 나사부(13)의 암나사부(1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17)를 이 나사삽입구멍(15) 및 관통구멍(16)에 끼움으로써 상기 PSD 베이스 끝단부(10)에 광출사부(10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에 광출사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PSD 베이스 끝단부에 광출사부(10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에 대하여 광출사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광출사부가 고장날 경우에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는,
PSD 도어 후면 하단 베이스에 플랫폼의 끝부분임을 알리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를 형성하여 승객 하차시 PSD 도어와 열차의 도어 사이의 틈에 끼지 않도록 경각심을 주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PSD 베이스에 설치되는 안전 조명장치로서,
    상기 PSD 베이스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램프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엘이디램프부를 수용하는 광원수용공간부;
    상기 엘이디램프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부;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부를 수용하는 나사수용공간부; 및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와 상기 나사수용공간부를 구분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코드부와,
    상기 접속코드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외부컨넥터부와 연결되는 컨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광원수용공간부에 충진되어 엘이디램프부의 발광을 배가시키는 발광재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램프부는,
    적어도 한 개의 엘이디램프를 1조로 병렬로 구성하여 전기 접속시킴으로써, 단선시 전체 소등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KR1020070041549A 2007-04-27 2007-04-27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KR10086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49A KR100867152B1 (ko) 2007-04-27 2007-04-27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49A KR100867152B1 (ko) 2007-04-27 2007-04-27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81A KR20080096281A (ko) 2008-10-30
KR100867152B1 true KR100867152B1 (ko) 2008-11-06

Family

ID=4015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49A KR100867152B1 (ko) 2007-04-27 2007-04-27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717B1 (ko) * 2011-02-08 2012-12-21 주식회사 우진기전 플랫폼 스크린 도어의 상태표시등
CN114312858A (zh) * 2022-03-01 2022-04-12 方大智源科技股份有限公司 全开站台门门槛指示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773A (ja) * 1996-02-06 1997-08-12 Kotsu Syst Kikaku Kk 軌道式輸送装置における引き戸式ドアの戸挟み検知装置
KR200359711Y1 (ko) 2004-05-21 2004-08-21 김동욱 지하철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200425034Y1 (ko) 2006-06-19 2006-08-28 김복만 승강장 스크린도어용 기둥 고정구조
KR100711963B1 (ko) * 2007-01-15 2007-05-02 서윤산업(주) 모듈화된 psd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773A (ja) * 1996-02-06 1997-08-12 Kotsu Syst Kikaku Kk 軌道式輸送装置における引き戸式ドアの戸挟み検知装置
KR200359711Y1 (ko) 2004-05-21 2004-08-21 김동욱 지하철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200425034Y1 (ko) 2006-06-19 2006-08-28 김복만 승강장 스크린도어용 기둥 고정구조
KR100711963B1 (ko) * 2007-01-15 2007-05-02 서윤산업(주) 모듈화된 psd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81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561B1 (ko) 철도 차량
KR100867152B1 (ko) 피에스디 베이스 안전 조명장치
JP4538379B2 (ja) ステップライト装置
KR100837063B1 (ko) 과속방지턱의 엘이디 모듈 결합구조 및 엘이디 모듈점등제어시스템
KR200416192Y1 (ko) 비상표시 및 탈출표시수단을 구비한 터널 및 지하차도의안전 유도등
US8007147B2 (en) Vehicle door safety warning lamp
JP2005145344A (ja) ステップライト
US8029174B2 (en) Threshold lighting system
KR100723026B1 (ko) 비상표시 및 탈출표시수단을 구비한 터널 및 지하차도의안전 유도등
JP3204922U (ja) シートベルト警報装置
KR20170059839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신호등 장치
JP4288262B2 (ja) 鉄道車両用乗降口の床構造
JP4597786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00115536A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WO2019172435A1 (ja) 照明装置
TWM539465U (zh) 安全門指示裝置及安全門
KR200309308Y1 (ko) 철도차량용 자동문 개폐표시 램프
KR100840303B1 (ko) 진입차량 정차위치 안내표시장치
JP2007099041A (ja) 電車のドアのガイドレール
KR200482744Y1 (ko)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JP3132643U (ja) 車両の停止表示装置
CN210403080U (zh) 一种轨道交通应急疏散用辅助装置
CN209320830U (zh) 一种客车
KR101262716B1 (ko) 터널 조명기구를 이용한 시선 유도등 구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