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201B1 -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201B1
KR100859201B1 KR1020070118314A KR20070118314A KR100859201B1 KR 100859201 B1 KR100859201 B1 KR 100859201B1 KR 1020070118314 A KR1020070118314 A KR 1020070118314A KR 20070118314 A KR20070118314 A KR 20070118314A KR 100859201 B1 KR100859201 B1 KR 10085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headliner
vehicle
shock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홍무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7011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021/0442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roof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헤드라이너와 루프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및 좌우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의 흡수 및 분산이 단계별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패널과 헤드라이너 사이에 내장되는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 또는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원뿔형상을 갖되 첨단부가 수평절단되어 상부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되, 완충부재는 복수의 층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져,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라이너에 부딪히는 순간 완충부재가 파단되면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헤드라이너, 충격흡수, 내장재, 고정판, 완충부재, 보강리브

Description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INTERIOR MATERIALS FOR IMPACT ABSORPTION OF VEHICLE HEADLINER}
본 발명은 차량 헤드라이너와 루프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및 좌우 어느 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의 흡수 및 분산이 단계별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사고시 헤드라이너에 탑승자의 머리가 부딪혀 피해를 입게 되는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의 헤드라이너와 루프패널 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내장재가 설치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가 설치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충격흡수용 내장재(2)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완충리브(3)와, 복수의 제1완충리브(3) 사이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완충리브(4)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완충리브(3, 4)에 의해 다수의 완충공간부(5)가 형 성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라이너(1)에 부딪히면 제1 및 제2완충리브(3, 4)가 부서지면서 충격력이 흡수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용 내장재(2)는 헤드라이너의 가장자리 부분(A 및 A'부분)에 길게 설치되거나 네 모서리 부분(B, B', C 및 C'부분)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용 내장재는 탑승자의 머리가 제1완충부재(3)의 측방향으로 부딪히는 경우에는 제1완충부재(3)가 쉽게 부서져 충격이 흡수될 수 있지만, 탑승자의 머리가 제1 및 제2완충부재(3, 4)의 상하방향으로 부딪히는 경우에는 서로 엮어져 구성되는 제1 및 제2완충부재(3, 4)가 쉽게 부서지지 않아 충격이 효율적으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탑승자를 보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 및 좌우 어느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의 흡수 및 분산이 단계별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패널과 헤드라이너 사이에 내장되는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 또는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원뿔형상을 갖되 첨단부가 수평절단되어 상부면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헤드라이너에 부딪히는 순간 상기 완충부재가 파단되면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완충부재는 복수의 층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면과 상부면은 개구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테두리에는 첨 단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홈이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테두리에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마련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의하면, 내부에 완충공간부를 갖는 완충부재가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복수의 홈과 보강리브가 형성됨으로써,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 및 분산이 단계별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효율이 증대될 수 있어 차량 충돌 사고시 헤드라이너에 부딪히는 탑승자의 머리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Ⅰ-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100)는 고정판(120)과 완충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판(120)은 차량의 루프패널과 헤드라이너(10) 사이에 내장되는 판부재로서 합성수지나 폴리우레탄폼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판(120)은 루프패널이나 헤드라이너(10) 어느 쪽에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충부재(110)가 고정판(12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고정판(120)이 루프패널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완충부재(110)가 헤드라이너(10)에 접촉되고 헤드라이너(1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완충부재(110)가 루프패널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정판(120)이 루프패널에 부착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완충부재(110)는 차량의 충돌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파단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고정판(12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형성되며 고정판(120)과는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110)는 그 하부면(112)이 고정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첨단부가 절단되어 상부면(114)이 형성된다. 완충부재(110)의 첨단부가 절단되도록 하는 것은 헤드라이너(10)와의 접촉면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완충부재(110)가 헤드라이너(10)와 루프패널의 사이에 설치됨으로 인해 갭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110)의 내부에는 공간부(도면부호 미표시됨)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공간부가 마련됨으로 인해 완충부재(110)에 상방향 또는 측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재(110)가 파단되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 때, 완충부재(110)는 복수의 층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도면상 완충부재(110)의 상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의 흡수와 분산이 단계별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충격 이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10)가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도면상 상방향에서 충격력이 가해지면 완충부재(110)는 Y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Z방향으로 충격력을 분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Y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이 흡수되는 것은 완충부재(110)의 테두리(116)가 Y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며, 또한 테두리(116)가 Z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충격력이 분산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완충부재(110)의 하부면(112)과 첨단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는 상부면(114)은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완충부재(110)의 테두리(116)에는 복수의 홈(117)이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것은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완충부재(110)가 용이하게 파단되면서 충격력이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완충부재(110)에 도면상 상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완충부재(110)의 테두리(116)가 찌그러지면서 내부의 공간부로 들어가게 되고, 측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완충부재(110)가 찌그러지면서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여기서, 완충부재(110)의 홈(117)은 첨단부 방향, 즉 하부면(112)에서 상부면(114)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가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Ⅱ-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100')는 고정판(120')과 완충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판(12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내장재(100) 의 고정판(120)과 그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부재(1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내장재(100)의 완충부재(110)와 마찬가지로 고정판(12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형성되며, 첨단부가 절단되어 상부면(114')이 형성되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부(미도시됨)가 마련된다. 그리고, 완충부재(110')는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 및 분산이 여러 단계를 거쳐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층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완충부재(110')의 하부면(112')과 상부면(114')은 개구되며, 완충부재(110')의 테두리(116')에는 복수의 홈(117')이 첨단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복수의 홈(117')은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완충부재(1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116') 상에 복수의 보강리브(118')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리브(118')는 완충부재(110')의 요구되는 강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며, 복수의 홈(117')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마련된다. 또한, 보강리브(118')는 테두리(116')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내장재의 충격에 따른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c는 도 3a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내장재의 충격에 따른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 헤드라이너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라이너(10)와 루프패널(11) 사이에 충격흡수용 내장재(100, 100')가 설치된 경우, 차량 충돌로 탑승자의 머리가 P방향으로 헤드라이너(10)에 부딪히게 되면 충격흡수용 내장재(100, 100')의 완충부재(110, 110')에 P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데, 완충부재(110, 110')는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기울어지게 되고 이 때 충격이 흡수되므로 탑승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로 탑승자의 머리가 P'방향으로 헤드라이너(10)에 부딪히게 되면 충격흡수용 내장재(100, 100')의 완충부재(110, 110')에 P'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데, 이 때 완충부재(110, 110')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면서 그 내부의 공간부로 찌그러져 들어가게 되어, 탑승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가 설치된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가 설치된 상태도.
도 2b는 도 2a의 Ⅰ-Ⅰ'에 대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가 설치된 상태도.
도 3b는 도 3a의 Ⅱ-Ⅱ'에 대한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내장재의 충격에 따른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c는 도 3a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내장재의 충격에 따른 변형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라이너 11 : 루프패널
100, 100' : 충격흡수용 내장재 110, 110' : 완충부재
112, 112' : 하부면 114, 114' : 상부면
116, 116' : 테두리 117, 117' : 홈
118' : 보강리브 120 : 고정판

Claims (5)

  1.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패널(11)과 헤드라이너(10) 사이에 내장되는 충격흡수용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11) 또는 헤드라이너(12)에 부착되는 고정판(120); 및
    상기 고정판(12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원뿔형상을 갖되 첨단부가 수평절단되어 상부면(114, 114')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완충부재(110, 11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110, 110')는 복수의 층을 갖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져,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상기 헤드라이너(10)에 부딪히는 순간 상기 완충부재(110, 110')가 파단되면서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면(112, 112')과 상부면(114, 114')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10, 110')의 테두리(116, 116')에는 첨단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홈(117, 117')이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10')의 테두리(116')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18')가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KR1020070118314A 2007-11-20 2007-11-20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KR10085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314A KR100859201B1 (ko) 2007-11-20 2007-11-20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314A KR100859201B1 (ko) 2007-11-20 2007-11-20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201B1 true KR100859201B1 (ko) 2008-09-22

Family

ID=400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314A KR100859201B1 (ko) 2007-11-20 2007-11-20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2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911B1 (ko) 2012-11-20 2013-12-18 주식회사 잎성 자동차용 충격 흡수 보조재
KR101438641B1 (ko) 2013-10-29 2014-09-1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충격 흡수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60592A1 (fr) * 2015-10-09 2017-04-13 Cera Aps Dispositif d'absorption d'énergie pour composant d'habillage intérieur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745B1 (en) * 1998-02-04 2001-06-19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Formed energy absorber
US6752450B2 (en) * 1998-02-04 2004-06-22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Formed energy absorber
KR20070104887A (ko) * 2004-12-16 2007-10-29 오크우드 에너지 매니지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변화하는 지세를 갖는 모듈화된 에너지 흡수체 및 그 구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745B1 (en) * 1998-02-04 2001-06-19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Formed energy absorber
US6752450B2 (en) * 1998-02-04 2004-06-22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Formed energy absorber
KR20070104887A (ko) * 2004-12-16 2007-10-29 오크우드 에너지 매니지먼트, 인코포레이티드 변화하는 지세를 갖는 모듈화된 에너지 흡수체 및 그 구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7-0104887호 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911B1 (ko) 2012-11-20 2013-12-18 주식회사 잎성 자동차용 충격 흡수 보조재
KR101438641B1 (ko) 2013-10-29 2014-09-1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라이너용 충격 흡수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60592A1 (fr) * 2015-10-09 2017-04-13 Cera Aps Dispositif d'absorption d'énergie pour composant d'habillage intérieur de véhicule automobile
FR3042162A1 (fr) * 2015-10-09 2017-04-14 Cera Aps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pour composant d'habillage in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218B2 (en) Integral pelvic impact energy-absorbing pre-crush protective construction for vehicle door
US10486636B2 (en) Side pillar air curtain guide with air curtain insert of honeycomb construction
CN101353060A (zh) 具有内部缓冲结构的吸能车辆发动机罩组件
JP6041313B2 (ja) 車両用バンパー構造、及び、バンパーアブソーバー
KR20090063028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0859201B1 (ko)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JP2008174174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US11505135B2 (en) Vehicle interior structure
JP5062956B2 (ja) 自動車用外板部材
US6342288B1 (en) Shock absorbing material
US7832781B2 (en) Map pocket close-out as integrated pelvic bolster for vehicle door
JP6706718B2 (ja) 車両用内装部材
KR100882566B1 (ko)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KR200307541Y1 (ko) 자동차 헤드라이너의 충격 흡수 내장재
CN211969375U (zh) 车辆的通风盖板和具有其的车辆
KR102280384B1 (ko) 에어백 도어
JP2010149773A (ja) 内装用ライニングの構造
KR100895245B1 (ko)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부재
JPH0867213A (ja) 車両用ピラーの内装部品組付構造
JP2011105093A (ja) 車両用内装パネル
JP2012228897A (ja) 緩衝装置支持部材、緩衝装置支持構造体および車両
KR100906005B1 (ko) 충격흡수부재
US10479308B2 (en) Damping member for vehicle
KR20230141138A (ko) 자동차용 fmh 플레이트
KR200438492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트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