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384B1 - 에어백 도어 - Google Patents

에어백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384B1
KR102280384B1 KR1020140143301A KR20140143301A KR102280384B1 KR 102280384 B1 KR102280384 B1 KR 102280384B1 KR 1020140143301 A KR1020140143301 A KR 1020140143301A KR 20140143301 A KR20140143301 A KR 20140143301A KR 102280384 B1 KR102280384 B1 KR 10228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door plate
door
airba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206A (ko
Inventor
안성준
김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3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일체로 성형되는 도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플레이트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이중 사출 성형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연성영역이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하여, 에어백 전개 시 충격으로 인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모서리 영역에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도어{AIR BAG DOOR}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옆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에 대응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한 가지 종류의 합성수지를 금형 내에서 사출 공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그 후, 차량 조수석에도 에어백이 장착되기 시작하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 중에서 조수석 에어백이 내장되는 부위에 에어백의 전개를 위하여 PAB(Passenger-side AirBag) 도어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PAB 도어는 통상적으로, 레이저 가공된 파단부를 통해 구분되어 형성된다. PAB 도어는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파단부가 파단 되어 힌지 영역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전개되는 에어백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PAB 도어는 별물로 형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PAB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PAB 도어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AB 도어(2)는 별물로 마련되어 에어백 모듈의 전개 공간을 위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홀(1a)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PAB 도어(2)의 후크부(2a)가 억지끼움 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고무 망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PAB 도어(2)를 두드리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억지끼움 하게 된다. 그리고,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PAB 도어(2) 사이에 실링 패드(3)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PAB 도어(이하, 에어백 도어라 한다.) 구조는 작업자가 억지끼움을 위하여 에어백 도어를 두드리는 과정 중에 에어백 도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에어백 도어가 파손되는 과정 중에 그 충격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1)이 변형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 과정 주에 실링 패드(3)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에어백 전개 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어백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일체로 성형되는 도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플레이트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이중 사출 성형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연성영역이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재질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재질 보다 연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성영역은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방 양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성영역은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외측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경계 영역에서 접합 단면은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 단면은 에어백 전개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차 영역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기 도어플레이트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플레이트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이중 사출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인접하는 도어플레이트의 모서리 영역에 연성영역이 형성되어, 에어백 전개 시 충격으로 인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모서리 영역에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에어백 도어 사이에 실링패드의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플레이트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경계 영역에서 경사진 접합 단면과 단차 영역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백 전개 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아래로 당겨질 수 있는데, 단차 영역을 통해 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에어백 도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PAB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PAB 도어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에어백 도어의 측 단면도,
도 5는 연성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경사진 접합 단면과 단차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에어백 도어의 측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도어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도어플레이트(100)는 사로 다른 재질의 수지를 동시에 사출하는 이중사출 공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1)은 폴리프로필렌 파이버(PPF, Poly Propylene Fiber) 수지를 포함하여 강성이 높은 재질로 성형되는 반면에, 도어플레이트(100)는 연성이 높은 열가소성 올레핀(TPO, ThermoPlastic Olefin) 수지로 성형되어 에어백 전개 시 도어플레이트(10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유도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도어플레이트(10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 도어플레이트(100)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도어플레이트(10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서 이탈되거나 별물 조립 후 발포 공정 시 누액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 패드를 부착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연성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플레이트(100)에는 연성영역(110)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영역(110)은 에어백 전개 시, 도어플레이트(100)의 파단 영역(120)이 파단 되면서 에어 백이 전개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연성영역(110)은 도어플레이트(100)의 전방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성영역(110)은 소정의 반경(R)을 가지는 외측 둘레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도 4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에어백이 전개될 때, 도어플레이트(100)의 전방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응력이 집중되고, 그 결과 인스트루먼트 패널(1)이 파손될 수 있는데, 연성영역(110)은 응력이 집중 되는 이 영역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은 경사진 접합 단면과 단차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어플레이트(10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접합 단면에는 단차 영역(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 영역(10)은 에어백 전개 시, 전개 압력에 의해 에어백 모듈이 아래로 밀리면서 도어플레이트(100)의 후크 영역이 도어플레이트(100)를 당기면서 도어플레이트(10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1)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의 P가 에어백의 전개 방향을 나타내는 가상의 기준선이라면 단차 영역(10)은 에어백의 전개 방향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전개 압력에 의해 에어백 모듈이 아래로 밀리면서 도어플레이트(100)가 아래로 밀리더라도 이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도어플레이트(10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1)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단차 영역(10)을 기준으로 상측으로는 도어플레이트(100)가 위치하고 단차 영역(10)을 기준으로 하측으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개 압력에 의해 도어플레이트(100)가 아래로 당겨지는 구성을 고려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과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접합 단면은 에어백의 전개 방향(P)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접합면(20)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경사 접합면(20)상의 가상의 연장 기준선이 에어백의 전개 방향을 나타내는 가상의 기준선(P)과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 접합면(20)은 도어플레이트(10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접합 면적을 높임과 동시에 에어백 전개 시 도어플레이트(10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인스트루먼트 패널
10: 단차 영역
20: 경사 접합면
100: 도어플레이트
110: 연성영역
120: 파단 영역

Claims (7)

  1.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일체로 성형되는 도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플레이트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이중 사출 성형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연성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연성영역은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방 양측 모서리에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외측 둘레를 형성하고, 파단 영역이 파단됨에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전방 양측 모서리 부근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재질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재질 보다 연성인 에어백 도어.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경계 영역에서 접합 단면은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단면은 에어백 전개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에어백 도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영역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기 도어플레이트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위치하는 에어백 도어.
KR1020140143301A 2014-10-22 2014-10-22 에어백 도어 KR10228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01A KR102280384B1 (ko) 2014-10-22 2014-10-22 에어백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01A KR102280384B1 (ko) 2014-10-22 2014-10-22 에어백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06A KR20160047206A (ko) 2016-05-02
KR102280384B1 true KR102280384B1 (ko) 2021-07-22

Family

ID=5602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301A KR102280384B1 (ko) 2014-10-22 2014-10-22 에어백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875B (zh) * 2019-04-19 2020-12-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屏幕气囊装置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270A (ja) 1997-08-14 2002-03-19 テクスト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なるプラスチック材を鋳込むことによって形成される自動車用エアバッグカバーパネルのためのスキン
KR100787645B1 (ko) 2006-05-12 2007-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519A (ja) * 1997-03-17 1998-09-22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270A (ja) 1997-08-14 2002-03-19 テクスト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なるプラスチック材を鋳込むことによって形成される自動車用エアバッグカバーパネルのためのスキン
KR100787645B1 (ko) 2006-05-12 2007-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06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357B2 (en) Passenger air-bag door
CN101445091B (zh) 车辆气囊门
US7967330B2 (en) Crash pad for automotive interi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092422A (zh) 汽车用导风板以及密封构造
US9511737B2 (en) Curtain airbag apparatus
US20100213691A1 (en) Dashboard
US20140151983A1 (en) Airbag cover door having a variable length hinge
JP6150682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
KR102280384B1 (ko) 에어백 도어
JP2005532953A (ja) 補強部材を有するエアバッグを遮蔽する組立体及びその相応する製造方法
US10604099B2 (en) Air bag door for vehicle
KR102290047B1 (ko) 에어백 도어
JP5314918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GB2510663A (en) Outside mirror assembly
KR101637675B1 (ko)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JP6182467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
KR100859201B1 (ko) 차량 헤드라이너의 충격흡수용 내장재
KR102543535B1 (ko) 강화된 융착력의 pab 슈트의 사이드 마운팅 좌면 및 pab 슈트 제조방법
KR100828607B1 (ko) 차량용 크래쉬패드 및 그 성형방법
KR20100134473A (ko) 인비저블 에어백 장치
JP2018024267A (ja) エアバッグリッド補強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87881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JP2009286322A (ja) カウルルーバ
KR102507824B1 (ko) 차량용 배터리케이스 장치
JP6905865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