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055B1 -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 Google Patents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055B1
KR100858055B1 KR1020060049153A KR20060049153A KR100858055B1 KR 100858055 B1 KR100858055 B1 KR 100858055B1 KR 1020060049153 A KR1020060049153 A KR 1020060049153A KR 20060049153 A KR20060049153 A KR 20060049153A KR 100858055 B1 KR100858055 B1 KR 10085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pper foil
substrat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153A (ko
Inventor
이현준
이신기
Original Assignee
대덕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덕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05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05K3/061Etching masks
    • H05K3/064Photores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처리하는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 마이크론 급의 고집적 인쇄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 형성을 위하여 수행하는 하프 에칭 단계에서, 기판의 외곽 둘레 일정 부분을 마스크하여 하프 에칭이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판에 강도를 부여하여 후속 컨베이어 이송 과정에서 기판이 틈새에 말려들어 가거나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쇄 회로 기판, 컨베이어, 박판, 하프 에칭.

Description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METHOD OF HALF-ETCHING THE COPPER LAYER FOR ULTRA-THIN PRINTED CIRCUIT BOARD}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박 하프 에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프 에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기판의 두 모서리 만에 대해 보호 영역을 구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프 에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박
10' : 하프 에칭 후의 동박
20, 21, 22, 23 : 기판 보호 영역
30 : 내부 기판 영역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층의 두께가 0.06 mm 이하이고 동박의 두께가 5 ㎛ 이하인 박판 인쇄 회로 기판(PCB)의 제조 기 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쇄 회로 가공 업체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이 고밀도화,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짐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되어야 할 동박 회로의 최소 선폭(minimum feature size)이 수십 마이크론 정도로 스케일링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가 고밀도화되고 있다. 그 결과, 동박 회로의 선폭을 수십 마이크론 정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동 도금 후 식각 단계에서 단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기판에 도포 되어 있는 동박의 두께도 동시에 얇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업체에서는 절연층 위에 코팅되어 있는 동박에 대해 일률적으로 전면 식각을 하는 하프 에칭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프 에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기판 위에 덮여 있는 12 ㎛ 내외 두께의 동박(10)에 대해 황산과산화수소류의 식각액을 이용해서 동박 전면을 식각함으로써 동박의 두께(10')를 약 3㎛ 내외로 얇게 하여 박판화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동박의 두께를 3㎛ 내외로 만들면 후속해서 회로 패턴을 형성할 때에 선폭을 3 ㎛ 내외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기판을 박판화하고 나면, 도금처리, 세정, 식각 등 후속되는 프로세스 진행을 위해 기판을 컨베이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하프 에칭 처리된 인쇄 회로 기판은 두께가 워낙 얇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에 걸리거나 틈새에 끼어져서 구겨지는 등, 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수 마이크론 정도로 박판화된 인쇄 회로 기판이 후속 공정 과정에서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층 위에 도포된 동박을 전면적으로 부분 식각하여 동박의 두께를 얇게 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하프 에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외곽 둘레 전체 또는 둘레 중 일부분에 대해 선정된 크기의 기판 보호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및 (b) 상기 정의된 둘레 보호 영역을 마스크하고, 나머지 노출된 영역을 식각 함으로써, 상기 보호 영역의 동박의 두께는 보존한 상태로 나머지 노출 영역의 동박 두께를 얇게 하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프 에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절연층 위에 도포된 두께가 10 ㎛ 이상인 동박을 전면적으로 부분 식각하여 동박의 두께를 3 ㎛ 이내로 얇게 만드는 인쇄 회로 기판의 하프 에칭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선정된 영역(제1 영역)은 마스크로써 마스킹 하고 기판의 나머지 영역(제2 영역)만을 노출함으로써 노출된 제2 영역만이 하프 에칭되고 마스킹 된 제1 영역은 10 ㎛ 이상의 동박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프 에칭함으로써 후속 공정 단계에서 형성할 동박 회로의 동박의 두께를 3 ㎛ 이하로 유지하되 기판에 강도를 부여하는 하프 에칭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네 변의 외곽 모서리로부터 50 mm 이내의 선정된 거리까지로 정의된 장방형 영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네 변 외곽 모서리 둘레 전체 또는 외곽 모서리 둘레 중 일부분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감광성 필름, 테이프 또는 치구를 마스크로 하여 마스킹 되어 하프 에칭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에칭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하프 에칭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프 에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가로 길이 L1, 세로 길이 L2인 장방형의 인쇄 회로 기판(예를 들어 409 mm x 510 mm 크기)의 사각형 둘레 변을 따라 선정된 폭 W 만큼의 장방형의 띠(stripe) 형태의 기판 보호 영역을 둘레를 남겨 두고, 그 내부만을 하프 에칭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의 둘레 외곽 띠 영역에는 하프 에칭 이전 상태의 동박 두께인 약 12 ㎛ (두께 t1)의 두께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후속 회로 형성을 위하여 3 ㎛ (두께 t2 ,t1 > t2) 이내 수준으로 전면 부분 식각이 진행된다. 여기서, 기판의 둘레에 형성되는 띠 영역의 폭 W는 50 mm 정도 이내가 설정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기판의 두 모서리 만에 대해 장방형의 띠 모양의 기판 보호 영역(제1 영역)을 구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박판 PCB 구현을 위해 내부 기판 영역(제2 영역; 30)은 종래 방식대로 하프 에칭을 진행하지만, 컨베이어 벨트에 걸리지 않도록 기판에 강도를 주기 위하여 사각형 기판의 두 모서리 변에만 둘레의 기판 보호 영역(21, 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에, 기판 보호 영역(21, 22)은 감광성 드라이 필름, 치구 또는 기타 테이프 등으로 마스크를 함으로써 하프 에칭 과정에서 식각 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폭은 50 mm 정도 내외 이내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프 에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사각형 기판의 일 모서리 변에만 동박(23)을 남겨둠으로써 기판에 강도를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프 에칭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판 보호 영역(20, 21, 22, 23)을 정의하는 방법으로서, 드라이 필름을 이용하거나, 치구(zig) 또는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통상 사용되는 감광성 드라이 필름 또는 감광성 잉크를 도포한 후 노광, 현상, 식각 과정을 거쳐 둘레에만 기판 보호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스크 영역을 정의하여 마스크로 사용하거나, 치구를 미리 제작하여 기판을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테이프를 기판의 둘레 보호 영역에 붙임으로써 하프 에칭 단계에서 둘레 부위가 식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 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진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프 에칭을 통해 박막화된 인쇄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두꺼운 두께의 동박 영역을 남겨두도록 함으로써 후속 컨베이어 처리 시에 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절연층 위에 동박이 도포된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동박을 전면 부분 식각하여 상기 동박의 두께를 3 ㎛ 이내의 두께로 얇게 만드는 하프 에칭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동박이 도포된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동박 표면에 감광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곽 둘레 네 변을 따라 장방형의 띠 영역에만 상기 감광성 필름이 남도록 하는 노광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감광성 필름을 노광, 현상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곽 둘레 네 변을 따라 폭(W) 50 mm 이내의 띠 형태의 보호 영역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외곽 둘레 네 변을 따라 패턴 형성된 띠 형태의 감광성 필름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노출된 영역의 동박 두께가 3 ㎛ 이내의 두께가 되도록 상기 동박을 전면 부분 식각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하프 에칭 방법.
  2. 삭제
KR1020060049153A 2006-06-01 2006-06-01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KR10085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153A KR100858055B1 (ko) 2006-06-01 2006-06-01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153A KR100858055B1 (ko) 2006-06-01 2006-06-01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53A KR20070115153A (ko) 2007-12-05
KR100858055B1 true KR100858055B1 (ko) 2008-09-10

Family

ID=3914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153A KR100858055B1 (ko) 2006-06-01 2006-06-01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291B1 (ko) * 2011-10-17 2013-03-15 대덕전자 주식회사 미세 피치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362A (ja) * 1995-01-31 1996-08-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フエッチング方法及び製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362A (ja) * 1995-01-31 1996-08-13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フエッチング方法及び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153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23338A (ja) 金属板パターン及び回路基板の形成方法
TW200906249A (en) Gold finger of circuit boar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005241B2 (en) Process for making circuit board or lead frame
JP2005026645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8055B1 (ko) 박판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동박 하프 에칭 방법
CN112087874B (zh) 盲槽板制作方法
KR20110097322A (ko) 미세 피치의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JP2008182195A (ja) ドライエッチング用パターンマスクの方法と構造
KR20110090162A (ko) 인쇄회로기판 보강 빔 제조방법
US20240071824A1 (en) Process for developing fine openings in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with a plasma-etching technique
JP2004266230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78754B1 (ko) 박판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KR20060015949A (ko) 금속 패턴 형성 방법
JP2005026646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90175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overhang on electroplated surfaces of printed circuit boards
JP3269391B2 (ja) リードフレーム
JP2871437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06060054A (ja) 金属板パターン及び回路基板の形成方法
KR10079029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110734A (ko) 필름 캐리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3400962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0249167B1 (ko) 격리막 형성 방법
CN117976534A (zh) 一种防止钝化层蚀刻产生电弧击穿的方法及晶圆制备方法
JPH0574864A (ja) テープキヤリアの製造方法
JPH05327179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