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938B1 -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938B1
KR100855938B1 KR1020070008008A KR20070008008A KR100855938B1 KR 100855938 B1 KR100855938 B1 KR 100855938B1 KR 1020070008008 A KR1020070008008 A KR 1020070008008A KR 20070008008 A KR20070008008 A KR 20070008008A KR 100855938 B1 KR100855938 B1 KR 10085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weight
acid
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238A (ko
Inventor
이호상
이영수
나석현
남윤구
Original Assignee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9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 경화가 가능한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 용해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가교성 단량체, 산가 조절제, 과산화물, 아민계 화합물 혹은 유기산 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 피복, 산가, 시럽

Description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Syrup Composition for Asphalt Road Coating}
본 발명은 기재로서 아스팔트와의 접착력이 향상된 상온 경화형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피복재용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내용제성은 우수하나, 내후성이 떨어지고, 경화 시 수축이 크고, 저온 시공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에폭시계 수지의 경우, 내알카리성과 바닥과의 밀착성은 우수하나, 내후성이 떨어지고 경화시간이 길며, 저온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경우, 탄력성, 유연성은 우수하나, 내약품성, 내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지를 대신하여, 저온 경화성이 우수하고,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특개평11-228645에서 상온에서 경화가능한 아크릴 시럽 조성물을 설명하고 있으나, 접착력에 기재와의 접착력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 아크릴계 수지의 경우, 기재와의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 장기적으로 피복이 박리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로서 아스팔트와의 접착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산가조절제 및 가교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아스팔트와의 접착성 및 경화성을 향상시킨 수지시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재와의 접착성이 향상된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혼합물(a),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 용해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 한 분자내에 2 이상의 라디칼 반응성기를 갖는 가교성 단량체(c),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산가 조절제(d)를 혼합한 혼합물을 주제로 하고, 경화제(e) 및 경화촉진제(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로는 상기 산가조절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중합체 제조 시 단량체와 혼합하여 중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산가조절제는 중합체 제조 시 사용되거나 또는 주제 조성물로 단량체, 중합체 및 가교성 단량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혼합물(a)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단독 혹은 2종류 이상의 단량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 ~ 70 중량%와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30 ~ 70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스팔트와의 접착성 및 경화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특히,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 ~ 70 중량%와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0 ~ 35 중량%,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0 ~ 35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물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주제 성분 100 중량%중에서 30 ~ 8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3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시럽의 점도가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도가 낮아져 경화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 용해 가능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현탁중합, 벌크중합, 용액중합 등의 방법으로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0 ~ 70 중량%와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30 ~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아스팔트와의 접착성 및 경화성이 우수하다.
특히,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0 ~ 70 중량%와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0 ~ 60 중량%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는 필요에 따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가조절제(d)를 0.1 ~ 5중량%로 더 포함하여 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종 경화물에서의 아스팔트 표면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수성이 떨어진다. 이때 산가조절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단량체와 혼합 시 따로 산가조절제를 혼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는 주제 성분 100 중량%중에서 10 ~ 5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도가 낮아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는 중량평균분자량 5,000 ~ 200,000 g/mol, 유리전이온도 20 ~ 70℃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성 단량체(c)는 한 분자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단량체로서, 최종 경화물에서의 내화학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 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다이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다이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다이 프로필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다이 프로필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트리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 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병용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c)는 주제 성분 100 중량%중에서 0.1 ~ 30 중량%가 바람직하다. 0.1 중량%보다 적을 경우 경화 후 내화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화물의 유연성이 나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가 조절제(d)는 아스팔트 바닥 표면과 수지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한 분자 내에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화합물이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가 조절제(d)는 주제 성분 100 중량% 중에서 0.1 ~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조절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내수성이 떨어지고,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다.
이하는 상기 주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경화 시 사용되는 경화제로는 케톤 퍼옥사이드류, 다이 아실 퍼옥사이드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류, 다이 알킬 퍼옥사이드류, 퍼옥시 타르류, 알킬 퍼 에스터류 등의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특히, 경화성과 포트 라이프 관점에서 큐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다이 이소프로필 벤젠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취급상의 안전을 위하여 불활성 액체 또는 고체로 농도 25 ~ 50% 정도의 희석된 용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분체상의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는 시럽을 경화시키기 직전에 투입하며, 기재의 온도와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주제 100 중량부 대비 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경화가 되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속도가 매우 빨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경화 촉진제는 N,N-다이메틸-p-톨루이딘, N,N-다이(2-하이드록시 프로필)-p-톨루이딘, 트리-n-부틸 아민, N-에틸-N-하이드록시 에틸 아닐린, N,N-다이메틸 아닐린 등의 아민계 화합물, 또는 나프탈렌산 코발트, 옥틸산 코발트, 아세트아세틸산 코발트 등의 금속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 상을 병용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시럽을 경화시키기 진적에 투입해도 좋고, 미리 시럽 제조시 투입해도 무방하다. 경화 촉진제 첨가량은 경화성과 포트라이프,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주제 100 중량부 대비 0.005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왁스는 표면에서 산소와의 반응을 통해 경화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제 100중량부 대비 0.1 ~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녹는점이 다른 2종 이상의 왁스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파라핀류, 폴리에틸렌류, 스테아린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파라핀 왁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2,4-다이메틸-t-부틸 페놀 또는 2,6-다이-t-부틸-4-메틸 페놀 등과 같은 중합금지제를 첨가할 수있다. 특별히 저장중의 황변의 방지를 위하여 2,4-다이메틸-t-브틸 페놀과 2,6-다이-t-브틸-4-메틸 페놀이 바람직하다.
중합금지제는 주제 100중량부 대비 0.001 ~ 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미미하고,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경화시간이 길어지며, 경화 시 경화제의 필요량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 조성물의 경화성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트리부틸 포스파이트, 트리(2-에틸 헥실)포스파이트, 트리데실 포스파이트, 트리스티아릴 포스파이 트, 트리스(노닐 페닐)포스파이트,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등의 포스파이트류를 산화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골재 및 그 밖의 충전제와 혼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골재 및 충전제의 예로서는 모래, 규사, 석영사, 이것들의 착색물, 석영분, 규사분 등의 암석분, 착색한 자기, 도기의 소성 경화 분쇄물, 탄산칼슘, 알루미나, 유리비즈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로서 사기 물질 외에 착색 안료나 염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산화 티탄, 황산 바륨, 카본 블랙, 크롬 버밀리온, 벵갈라, 군청색, 코발트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등이 사용된다. 이들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 시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 900 중량부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여러 가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증점제, 요변제, 레벨링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중합체 1의 합성( 산가조절제를 포함하여 중합체 제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9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 및 메타크릴산 1 중량%를 혼합한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개시제로 AIBN(azobisisobutyronitrile) 0.15 중량부, 물 200 중량부, 분산제로 5% 폴리비닐알콜 용액(Kuraray사 POVAL PVA217) 0.84 중량부, 사슬전이 이동제로 노르말옥틸메르캡탄(normal-octylmercaptan)을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6 중량부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80℃로 90분간 현탁중합 반응시킨 후 잔류모노머의 제거를 위해 120℃까지에서 15분간 추가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된 비드는 탈수기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를 하였다. 그 결과 평균입경 350 ㎛, 중량평균분자량 80,000g/mol, 유리전이온도가 50도인 비드(중합체 1)가 제조되었다.
[ 제조예 2]
중합체 2의 합성( 산가조절제를 사용하지 않고 모노머만으로 중합체 제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중량%, 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를 혼합한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평균입경 350㎛, 중량평균분자량 80,000g/mol, 유리전이온도가 50도인 비드(중합체 2)가 제조되었다.
[ 실시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20 중량%,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 중량%로 구성된 단량체 혼합물을 50℃로 가온 교반하면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중합체 2를 26 중량%로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가교성 단량체로서 1,3-부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BDDA)를 3 중량%사용하고, 산가조절제로 메타크릴산(MAA)을 1 중량%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의 파라핀 왁스를 넣어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아크릴 시럽을 얻었다.
준비된 시럽은 촉진제로서 N,N-디메틸-파라-톨루이딘(N,N-dimethyl-p-toluidine, DMpT)를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투입하고, 경화제로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dibenzoyl perxoide, BPO) 3 중량부를 투입 후, 아스팔트 표면에 롤러로 도공하였다. 도공 2시간 경과 후, 경화성, 접차력과, 도공 시 도공성을 평가하여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실시예 2-3]
시럽 조성물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비교예 1-3]
시럽 조성물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후, 실시예 1과 같이 평가하여,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아래 표 1에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함량을 정리하였다.
[표 1]
Figure 112007007750617-pat00001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BA: n-부틸아크릴레이트, 2-HE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MAA: 메타크릴산, EA: 에틸아크릴레이트, BDDA: 1,3-부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DMpT: N,N-디메틸-파라-톨루이딘, BPO: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아래 표 2에서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 경과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표 2]
Figure 112007007750617-pat00002
경화성 : 시공 후, 40분이 지난 시점에서 표면을 손으로 눌렀을 때, 밀림이 없는지 확인. (O : 경화 완료, X : 경화 불량)
접착력 : 시공 후, 1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망치로 쳐서, 피복층의 박리 여부 확인 (O : 접착력 우수, X : 외부 충격시 박리현상 발견)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럽 조성물은 상온에서 경화 가능하며, 아스팔트 표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과 같이, 단량체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화성이 열세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같이 산가조절제인 메타크릴산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비하여 경화성과 접착성이 열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모노머 및 산가조절제와 가교성 단량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아스팔트와의 접착성이 개선되고 상온 경화가 가능한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화성이 우수한 시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에 있어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 ~ 70 중량%와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0 ~ 35 중량%,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0 ~ 35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단량체 혼합물(a),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 용해 가능하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0 ~ 70 중량%와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30 ~ 60 중량%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 한 분자내에 2 이상의 라디칼 반응성기를 갖는 가교성 단량체(c),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산가 조절제(d)를 혼합한 혼합물을 주제로 하고, 경화제(e) 및 경화촉진제(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b)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0 ~ 70 중량%와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0 ~ 6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단량체(c)는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 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다이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다이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다이 프로필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다이 프로필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트리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글리콜 다이 아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 글리콜 다이 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가 조절제(d)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9. 제 1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혼합물(a) 30 ~ 80 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b) 10 ~ 50 중량%, 가교성 단량체(c) 0.1 ~ 30 중량%, 산가 조절제(d)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큐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다이 이소프로필 벤젠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경화제 0.1 ~ 10 중량부, N,N-다이메틸-p-톨루이딘, N,N-다이(2-하이드록시 프로필)-p-톨루이딘, 트리-n-부틸 아민, N-에틸-N-하이드록시 에틸 아닐린, N,N-다이메틸 아닐린, 나프탈렌산 코발트, 옥틸산 코발트, 아세트아세틸산 코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촉진제 0.005 ~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2,4-다이메틸-t-부틸 페놀 또는 2,6-다이-t-부틸-4-메틸 페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0.001 ~ 1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왁스로 파라핀류, 폴리에틸렌류, 스테아린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0.1 ~ 5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KR1020070008008A 2007-01-25 2007-01-25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KR100855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008A KR100855938B1 (ko) 2007-01-25 2007-01-25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008A KR100855938B1 (ko) 2007-01-25 2007-01-25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238A KR20080070238A (ko) 2008-07-30
KR100855938B1 true KR100855938B1 (ko) 2008-09-02

Family

ID=3982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008A KR100855938B1 (ko) 2007-01-25 2007-01-25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197B1 (ko) * 2010-05-26 2011-03-16 (주)새론테크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1065256B1 (ko) * 2011-07-21 2011-09-16 이종석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KR101231568B1 (ko) * 2010-12-09 2013-02-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미끄럼방지용 메타크릴레이트계 반응형 수지 조성물
KR101755026B1 (ko) * 2016-12-19 2017-07-07 김준혁 차선 도색용 상온 경화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65B1 (ko) * 2009-03-24 2009-11-20 이현종 고탄성 mma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체의 보강공법
KR101007231B1 (ko) * 2010-05-10 2011-01-12 박문선 변성 아크릴 시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2857B1 (ko) * 2011-06-07 2013-06-11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도로 피복용 도료 조성물
KR101274947B1 (ko) * 2011-07-29 2013-06-17 (주)노루페인트 시각장애인 안내용 유도돌기 접착제 조성물
KR101430652B1 (ko) * 2012-12-11 2014-08-14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도로 피복용 수지 조성물
KR101477750B1 (ko) * 2014-07-23 2015-01-06 주식회사 태웅산업 이액형 차선 도색용 도료 조성물
KR101886912B1 (ko) * 2015-05-29 2018-08-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아스팔트 도로 포장재용 수지 조성물
KR102232195B1 (ko) * 2020-01-09 2021-03-25 주식회사 티에프씨 콘크리트 표면용 피막양생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1953A (ja) * 1995-05-15 1996-11-19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シラップ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層または目地部形成用組成物
JP2000248234A (ja) 1999-03-03 2000-09-12 Nippon Shokubai Co Ltd 架橋性(メタ)アクリルシラップを含む接着剤用組成物
JP2001002957A (ja) * 1999-06-17 2001-01-09 Nippon Shokubai Co Ltd 架橋性(メタ)アクリルシラップを含む被覆材用組成物
JP2004339446A (ja) * 2003-05-19 2004-12-02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シラップ組成物、樹脂モルタル、及び積層体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1953A (ja) * 1995-05-15 1996-11-19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シラップ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水層または目地部形成用組成物
JP2000248234A (ja) 1999-03-03 2000-09-12 Nippon Shokubai Co Ltd 架橋性(メタ)アクリルシラップを含む接着剤用組成物
JP2001002957A (ja) * 1999-06-17 2001-01-09 Nippon Shokubai Co Ltd 架橋性(メタ)アクリルシラップを含む被覆材用組成物
JP2004339446A (ja) * 2003-05-19 2004-12-02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シラップ組成物、樹脂モルタル、及び積層体の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197B1 (ko) * 2010-05-26 2011-03-16 (주)새론테크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101231568B1 (ko) * 2010-12-09 2013-02-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미끄럼방지용 메타크릴레이트계 반응형 수지 조성물
KR101065256B1 (ko) * 2011-07-21 2011-09-16 이종석 친환경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미끄럼방지 그루빙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KR101755026B1 (ko) * 2016-12-19 2017-07-07 김준혁 차선 도색용 상온 경화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238A (ko)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938B1 (ko) 아스팔트 도로 피복용 시럽 조성물
AU2012292352B2 (en) Low-odour (meth)acrylic reaction resins
GB2543756A (en) Anaerobically curable compositions
CN103608415A (zh) 低温可固化粘合剂组合物
US20140224424A1 (en) Inhibitor combination, resin mixture containing same and use of same
JP6186994B2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KR20120064367A (ko) 미끄럼방지용 메타크릴레이트계 반응형 수지 조성물
KR100890173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레진몰타르용 이액형프라이머 조성물
KR100332651B1 (ko) 액상수지형성조성물과그조성물을형성하는2패키지시스템과투과성고체기판의시일방법
JP5059261B2 (ja) 2剤型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US20060293451A1 (en) Monomer-polymer systems with a controllable pot life
CN103842432B (zh) 自由基聚合型丙烯酸系树脂组合物、防水材料组合物和层积体及其制造方法
JP6989243B2 (ja) 土木建築用構造体、及び、滑り止め舗装構造体の製造方法
JP5824910B2 (ja) 樹脂モルタル組成物、および被覆物
JP4766777B2 (ja) 液状/粉末状からなる2材型硬化組成物
KR101805992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한 속건형 크랙 보수재 도료 조성물
JP2831613B2 (ja) (メタ)アクリル酸のジシクロペンテニルオキシアルキルエステルをベースとした組成物と、その建築分野での利用
JP2965166B2 (ja) 標示材用樹脂組成物
KR100852738B1 (ko) 복공판용 피복 수지 조성물
JP2008207182A (ja) 被覆層及びその形成方法
JP3844471B2 (ja) 高速硬化組成物
KR101430652B1 (ko) 도로 피복용 수지 조성물
KR102465240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액형 상온경화형 노면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470723B2 (ja) ラジカル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274947B1 (ko) 시각장애인 안내용 유도돌기 접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