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850B1 -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850B1
KR100853850B1 KR1020037000575A KR20037000575A KR100853850B1 KR 100853850 B1 KR100853850 B1 KR 100853850B1 KR 1020037000575 A KR1020037000575 A KR 1020037000575A KR 20037000575 A KR20037000575 A KR 20037000575A KR 100853850 B1 KR100853850 B1 KR 10085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ulse
signal
recording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932A (ko
Inventor
우다가와도시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 형성에 관한 환경 조건에 대응하여 리얼 타임으로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광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 색소 기록 매체에 대하여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데이터 기록(마크 및 스페이스 형성)을 행하는 기록시에, 반사광 정보 신호에 있어서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검출하여,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한다. 또 반사광 정보에 있어서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제2 펄스 신호 이후 신호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추정된 선두 펄스 신호값과 검출된 제2 펄스 신호 이후의 값의 비를 구하고, 구해진 비의 값과 기준이 되는 값의 비를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여, 레이저 출력 파워를 제어한다.
Figure R1020037000575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파워 보정 신호, 기록 매체, 선두 펄스.

Description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OPTICAL RECORDER AND LASER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을 행하는 광기록 장치, 및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기록 매체로서, CD 방식이나 DVD 방식의 광디스크가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라이트 원스(write-once) 미디어나 재기록형 미디어로서, 사용자 측에서 데이터 기록을 행할 수 있는 미디어 및 기록 장치도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라이트 원스 미디어로서 대표적인 CD-R(Compact Disc Recordable)나 DVD-R(Digital Versatile Disc Recordable)는, 디스크의 기록층으로서 유기 색소막을 이용하여, 프리 그루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 트랙에 대하여 레이저 조사(照射)를 행함으로써 유기 색소 변화에 의해 피트(마크)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기록을 행할 때는, 레이저 파워가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피트가 양호하게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재생시의 재생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광기록 장치에의 유기 색소막 기록 매체의 삽입시나, 기록 개 시 직전시 등에서, 기록 매체의 특정한 영역(테스트 기록 영역)에 있어서, 레이저 파워를 미묘하게 변화시키면서 테스트 기록을 몇 회인가 행하여, 그 영역의 재생 신호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되는 기록 레이저 파워를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다. 재생 신호의 품질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재생 RF 신호의 애심메트리(asymmetry)나 지터(jitter)가 평가 함수로 된다.
이와 같이 기록 동작전에 있어서 최적의 레이저 파워를 구하고, 기록시에는 이른바 APC(Automatic Laser Power Control)라고 하는 제어에 의해, 최적 파워에서의 레이저 출력이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기록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구해지는 최적 레이저 파워는, 어디까지나 테스트 기록 영역에서의 최적 파워이다.
디스크 상에서는, 기록 매체의 제조상의 기록막 형성 공정시에 기인하여, 디스크 내주로부터 외주에 걸친 기록막에 불균일한 부분(unevenness)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또, 반도체 레이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의 파장은 온도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록 매체 표면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파장에 의해, 기록 매체의 광 흡수 효율이 변동된다. 즉, 레이저 출력 파워가 일정하다고 해도, 레이저 파장의 변화에 따라서 디스크의 기록막이 받는 에너지가 변동되고, 이에 따라 형성되는 피트 마크(pit mark)의 상태가 변동된다. 즉, 기록 레이저 파워가 최적치로 출력되고 있더라도 형성되는 마크가 최적의 마크 상태로부터 변동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이들을 고려하면, 어떤 시점에서 디스크 상의 테스트 기록 영역에 대하여 실행한 파워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에 의해 구해진 레이저 파워의 최적치는, 반드시, 디스크 상의 전체 영역이나, 온도 변화 그 외의 모든 환경 조건 하에 있어서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로는 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예로서, APC 동작에 의해, 파워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구해진 최적 레이저 파워값에 의해 레이저 출력을 실행하고 있더라도, 그것은 항상 최적의 기록 동작(재생 시에 품질이 양호한 재생 신호가 얻어지는 것 같은 피트 형성 동작)이 반드시 실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테스트 기록 영역에서 구해진 최적 기록 파워만을 목표치로서 채용한 APC 동작을 행하는 경우, 시스템으로서의 재생 신호 품질의 마진을 고려하면, 기록 매체의 광 흡수 효율 변동을 극도로 억제하는 것이나, 온도 등에 따라 파장 변동이 잘 일어나지 않는 레이저 또는 온도 제어 기구를 탑재한 레이저 구동 장치를 채용하는 것 등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또한 비용면에서도 불리한 것이다.
또, 미리 재생 신호 품질의 열화를 상정한 포맷을 제안하는 것이라도 이 문제는 회피가능하지만, 이것은 고밀도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광기록/재생 시스템과는 역행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항상 최적의 레이저 파워에서의 기록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품질이 양호한 재생 신호가 얻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광기록 장치는, 기록할 데이터에 대한 인코드 처리에 의해 인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 인코드 데이터에 따라서 펄스 트레인형(pulse- train-manner)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시키는 레이저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기록 처리 수단과, 상기 레이저 구동 펄스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마크 및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열의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헤드 수단과, 상기 기록 헤드 수단에 의한 레이저 출력시의 반사광 정보 신호를 검출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 검출 수단과, 상기 반사광 정보 신호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광 정보 신호에서의, 상기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 및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는 신호값 검출 수단과,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 산출하는 추정 산출 수단과,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과, 상기 추정 산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에 대한 비(比)를 구하고, 구해진 비의 값(ratio)과,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출력의 파워를 제어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층으로서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 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추정 산출 수단에서는,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추정 산출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이용하여 수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또는 중간치, 또는 변조치인 것으로 한다.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또는 중간치, 또는 보텀치, 또는 평균치, 또는 변조치인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과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의 비로서 최적의 비의 값을, 기록 동작에 관한 각종 조건에 따라서 미리 기억해 두고, 기억되어 있는 비의 값 중에서, 현재 조건에 합치하는 비의 값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이 되는 비의 값으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은,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기록 장치에서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이다. 즉 레이저 출력시의 반사광 정보 신호에서의, 상기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 및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 산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과, 상기 추정 산출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에 대한 비를 구하고, 구해진 비의 값과,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사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출력의 파워를 제어한다.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 등에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상(相)변화 기록막의 기록 매체보다도 레이저 조사에 대하여 피트 마크가 신속하게 형성된다. 즉, 현재 레이저 조사에 의해 기록하고 있는 피트 마크의 영향이, 상기 레이저 조사시의 반사광에 나타난다. 상기의「피트 마크가 신속하게 형성된다」 라는 의미는, 기록하고 있는 피트 마크에 의해 그 기록 레이저의 반사광량이 변동될 수록 피트 마크가「신속하게」형성된다고 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기록 매체의 경우, 반사광 정보에 의해, 마크의 형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록 중에 마크 형성의 정보를 포함한 반사광 정보를 관측하고, 대략 동시적으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록 파워가 마크 형성에 있어서 최적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최적 상태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그 보정분을 레이저 파워 제어계로 피드백함으로써, 레이저 파워를 최적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펄스 트레인형의 발광 구동 및 RF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2는, RF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3은, 기록 파워 변화에 대한 RF 신호 파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기록 파워 변화에 대한 RF 신호 파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기록 파워 변화에 대한 RF 신호 파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기록 파워 변화에 대한 RF 신호 파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기록 파워에 대한 정규화 진폭치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8은, 기록 파워에 대한 정규화 진폭치의 보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기록 파워에 대한 정규화 보정 진폭치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주요부의 블럭도
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RF 신호의 샘플링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기록 파워 보정 처리의 플로 차트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다른 기록 파워 보정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실시예의 기록 파워 보정 처리에서의 비의 값과 기록 파워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의 블럭도 이다.
도 17은, 실시예의 다른 기록 파워 보정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실시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주요부의 다른 구성예의 블럭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의 RF 신호의 샘플링 동작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예의 RF 신호의 샘플링 동작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실시예의 RF 신호의 샘플링 동작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의 RF 신호의 샘플링 동작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실시예의 RF 신호의 샘플링 동작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광기록 장치 및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의 실시예로서, DVD-R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록 재생 장치) 및 그 레이저 파워 제어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명은 다음 순서로 행한다.
1.펄스 트레인 기록 방식 및 RF 신호
2.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3.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 1)
4.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 2)
5.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 3)
6.각종 변형예
1.펄스 트레인 기록 방식 및 RF 신호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DVD-R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이며, 또한 기록시에는 이른바 펄스 트레인 방식으로 레이저 발광 출력을 행한다.
먼저 여기서는, 기록시의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발광 구동 방식과, 상기 레이저 출력에 의한 기록 동작 중에 있어서 관측되는 반사광 정보 신호로서의 RF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고, 후술하는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에 대한 원리를 설명한다.
기록시에는, 기록할 데이터에 관해서는, 최종적으로는 NRZI 방식의 런렝쓰 리미티드 코드(run-length-limited code)에 인코드된다.
예를 들면 도 1 (a)에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 트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마크 M 및 스페이스 SP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트랙를 형성해 나가는 경우는, 인코드 데이터로서, 도 1 (b)와 같은 데이터 스트림(stream)이 인코드 처리계로부터 출력되고 있던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마크 M, 스페이스 SP로서, 8T 마크(피트), 3T 스페이스, 3T 마크, 4T 스페이스, 6T 마크를 형성하는 경우의 인코드 데이터 스트림을 나타내고 있다(T는 채널 비트에 상당하는 단위 길이).
그리고 도 1 (b)의 인코드 데이터에 대하여, 실제로 레이저 출력을 실행시키는 신호로서 도 1 (c)와 같은 펄스 트레인형이라고 하는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가 생성된다.
즉 레이저 구동 펄스로서는, 마크 M의 형성 기간에서는 기록 레벨의 펄스(라이트 펄스)가, 형성할 피트 길이에 따라서 단속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한 쪽 스페이스 SP에 상당하는 기간은, 재생 레벨이 연속된다.
레이저 구동 펄스의 실제의 파형은 다양하게 고려되고, 이 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지만, 이 예의 경우는, 인코드 데이터의 상승으로부터 1.5T 정도 지연되고, 라이트 펄스가 상승, 1.5T 기간 계속한다. 그 후, 0.5T 기간을 통하여 0.5T 기간의 라이트 펄스가 생성되고, 이것이 인코드 데이터의 하강까지 연속된다.
따라서 8T 마크를 형성하는 경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1.5T 리드 레벨을 통하여 1.5T 라이트 펄스가 출력되고, 그 후 0.5T 리드 레벨을 통한 0.5T 라이트 펄스가 5회 출력된다.
6T 마크의 경우는, 1.5T 리드 레벨을 통하여 1.5T 라이트 펄스가 출력되고, 그 후 0.5T 리드 레벨을 통한 0.5T 라이트 펄스가 3회 출력된다.
또, 3T 마크의 경우는, 1.5T 리드 레벨 → 1.5T 라이트 펄스로 3T 기간이 종료하므로, 후속의 0.5T 라이트 펄스는 없는 것으로 된다.
레이저 출력은, 이러한 레이저 구동 펄스에 따라 행해지기 때문에 피트 형성 기간은 단속적으로 레이저 파워가 커진다.
이러한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이 행해지는 경우에, 유기 색소막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으로서 검출되는 RF 신호는, 도 1 (d)와 같이 된다.
즉, 선두 펄스의 진폭이 비교적 커지고, 2번째의 펄스의 진폭은, 선두 펄스보다 작다. 그리고 3번째, 4번째···의 펄스의 진폭은, 2번째와 대략 동일 레벨 로 된다.
여기서 RF 신호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되는 각 펄스에 대해, 선두 펄스 P#1, 2번째 펄스 P#2, 3번째 펄스 P#3···n번째 펄스 P#n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펄스의 진폭의 피크치를 「PK」, 최저치를「BT」, 중간치를「CT」 로 나타내고, 예를 들면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를「PK1」,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를「PK2」 ···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동일하게 최저치를「BT」, 중간치를「CT」에 관해서도, 선두 펄스 P#1에 관해서는「BT1」「CT1」, 2번째 펄스 P#2에 관해서는「BT2」 「CT2」 · · ·로서 나타낸다.
또, 디스크의 트랙 상에 마크 M이 형성되지 않는 기간, 즉 스페이스 SP로 되는 기간에서는, 레이저 출력은 통상, 리드 레벨에 상당하는 비교적 낮은 레벨로 되지만, 그 스페이스 SP의 기간에 상당하는 RF 신호의 레벨, 즉 반사광량치를「LSP」로서 나타낸다.
또한, 2번째 펄스 P#2로부터 n번째 펄스 P#n에 대한 평균치를「av」로 한다. 또한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로부터 n번째 펄스 P#n의 피크치 PKn의 평균치를「avPK」, 2번째 펄스 P#2의 최저치 BT2로부터 n번째 펄스 P#n의 최저치 BTn의 평균치를「avBT」, 2번째 펄스 P#2의 중간치 CT2로부터 n번째 펄스 P#n의 중간치 CTn의 평균치를「avCT」로 나타낸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신호에 관해서는, 선두 펄스 P#1는 진폭 이 크고, 2번째 펄스 P#2 이후는 비교적 진폭이 작아지지만, 이것은, 레이저 구동 펄스에서의 선두의 라이트 펄스에 따른 레이저 조사에 의해 마크가 순간에 형성되기 시작함으로써, RF 신호의 2번째 펄스 P#2 이후는, 그 형성되어 있는 마크의 영향에 의해 반사광량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즉, RF신호, 특히 2번째 펄스 P#2 이후는, 형성하고 있는 마크 자체의 영향을 받는 정보로 되고, 환언하면, 마크 형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정보 신호로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도 6에 각종 기록 레이저 파워의 경우에서의 RF 신호 파형의 관측 결과를 나타낸다.
이것은, DVD-R에 대하여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발광을 어떤 광학계으로부터 행한 경우에, RF 신호용 포토·디텍터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를 전류·전압 변환하여, RF 매트릭스 증폭기를 통과한 후의, 직류 성분을 가지는 메인 빔의 총광량 RF 신호이다.
그리고 레이저 출력의 평균 파워가, 도 3은 2.24mW, 도 4는 3.27mW, 도 5는 3.73mW, 도 6은 4.72mW의 각 경우이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와,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 PK2···PKn에 대하여 보면, 어떤 기록 조건 하(특정한 기록 매체, 특정한 광학계, 어떤 선속도)에서는,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 PK2· · ·PKn의 값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특히 도 3, 도 4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 표면 상에 조사되는 광량의 크기에 따라서,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와,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 PK2· · ·PKn과의 비가 변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그 기록영역에 대하여, 재생 RF 신호의 품질을 지터 기준이라고 평가한 바, 기록시의 피크치 PK1와 피크치 PK2의 비가, 어떤 일정한 비의 값이 될 때에 최적이 되는 것도 판명되었다.
이들로부터, 기록시 RF 신호를 감시하여, 예를 들면 피크치 PK1와 피크치 PK2의 비를 산출하고, 이 비의 값이 최적의 기록 조건을 제공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비의 값(미리 각종 조건 상태에 있어서 계측해 둔 기준치)으로부터 어긋나고 있는 경우에는, 레이저 파워 제어계에 그 보정분을 부여함으로써, 그 환경에서의 마크 형성에 최적의 기록 파워를 출력할 수 있는 것 같은 피드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도 7에, 실험에 의해 얻어진 기록 레이저 파워와 규격화 진폭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규격화란, 선두 펄스 P#1의 진폭치(피크치)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하고, 진폭치를 나눈 값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고, 즉 비의 값에 상당한다.
여기서는,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 2번째 펄스 P#2의 규격화 피크치 (PK2/PK1), 3번째 펄스 P#3의 규격화 피크치(PK3/PK1), 3번째 펄스 P#3 (이후)의 규격화 최저치(예를 들면 BT3/PK1), 3번째 펄스 P#3 (이후)의 규격화 중간치(예를 들면 CT3/PK1), 3번째 펄스 P#3 이후의 규격화 변조치(예를 들면(PK3-BT3)/PK1)의 각각을, 레이저 파워가 2mW∼5mW의 범위 내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 시스템의 특정한 선속도 조건에서는, 기록 파워 평균치가 2.8mW 정도의 때, 재생 RF 신호가 품질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2번째 펄스 P#2의 규격화 피크치에 착안한 경우, 기록 파워를 서서히 올림에 따라서, 그 값이 0.80정도부터 내려 가고, 0.63정도로 안정되는 지점에서, 마크 형성 상태가 최적으로 된다고 생각된다.
이 현상을 근거로 하여, 환경 온도 변화나 매체 상의 막의 불균일한 부분 등에 의해 마크 형성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될 때에는, 2번째 펄스 규격화 피크치는, 0.63보다도 큰 값, 예를 들면 0.70과 같은 값을 나타낸다.
즉 이 규격화값인 비의 값(P2/P1)을 기록 중에 감시하고, 값의 변화를 정상으로 되돌리도록 기록 파워를 높이는 지령을 레이저 제어계에 부여하고, 실제로 기록 파워를 상승시킴으로써 2번째 펄스 규격화 피크치는 0.63의 값으로 돌아오고, 마크 형성도 그 환경 하에서 최적의 것으로 된다.
한편, 마크 형성에 필요한 에너지가 과잉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2번째 펄스 규격화 진폭치를 보고 있으며, 목표치 0.63에 대한 차이를 레이저 제어계에 피드백함으로써, 마크 형성이 항상 최적의 상태로 행해지게 된다.
그런데, 검출할 비의 값을「B/A」로 나타내려 하면, 여기까지는, 검출할 비의 값 B/A로서,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와,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의 비의 값(PK2/PK1)으로 했지만,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번째 펄스 P#3 이후의 펄스의 규격화 피크치, 규격화 최저치, 규격화 중간치, 규격화 변조치 등도, 예를 들면 2mW∼3mW)의 범위 내(즉 최적의 레이저 파워가 존재하면 상정되는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 리니어로 변동된다.
따라서,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와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의 비 뿐 아니라, 피크치 PK1와 피크치 PK3(또는 PK4· · ·)의 비, 피크치 PK1와 중간치 CT2(또는 CT3· · ·)의 비, 피크치 PK1과 최저치 BT2(또는 BT3· · ·)의 비, 피크치 PK1와 평균치 av(또는 avPK, avCT, avBT)의 비, 피크치 PK1와 변조치(PK2-BT2, 또는 PK3-BT3· · ·)의 비, 등에 의해서도, 동일한 레이저 파워의 피드백 제어가 가능해 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선두 펄스 P#1의 중간치 CT1를 사용하여 정규화한 경우도, 동일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A값으로서는 피크치 PK1 대신 중간치 CT1이나, 또는 변조치(PK1-BTl)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검출할 비의 값「B/A」로서는, PK2/PK1 이외에도, PK3/PK1, BT2/PK1, CT2/PK1, avPK/PK1··· 등 다양하게 고려된다.
또,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T 마크 형성 기간에는, 2번째 펄스 이후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B값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비(B/A)를 구하는 동작은, 3T 마크 형성 기간에는 행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상기와 같이 RF 신호로부터 관측되는 비의 값 즉, 값「A」로서의 선두 펄스에 관한 신호값(예를 들면 PK1, CT1 등의 어느 것인가)과, 값「B」로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신호값(예를 들면 PK2, PK3, CT2, CT3, BT2, BT3, av, avPK, 등의 어느 것인가)에 대한 비「B/A」를 검출하고, 그 비의 값에 따라 레이저 파워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것이, 동작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이 된다(단,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A값을 보정한다).
본 예에서는, 먼저, 유기 색소막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와같이, 기록 과정에서의 마크 형성 속도가 일반의 상변화 매체와 비교하여 빠르고, 기록 파워를 조사한 광속이, 바로 그 에너지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마크의 형성 상태를 나타내는 모양으로 매체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으로서, 광학계의 귀로를 통하여, RF용 포토·디텍터 상으로 가이드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 고밀도 기록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기록 매체에서의 열의 간섭을 피하여 정확한 위치에 마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발광을 채용한 경우가 상정된다.
종래부터 실행되고 있는 APC라고 하는 레이저 제어 방식으로서는, 환경 온도 변화나 경시 변화 등으로 반도체 레이저의 I-L(전류-광출력) 특성이 변동되는 것을, APC용 포토·디텍터에 출사 광속의 일부를 감시시키고(프론트·모니터), 출사광량의 추정을 행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었던 기록 파워의 목표치를 비교하면서, 레이저 구동 회로계에 상태를 피드백하는 방식이다.
또, 펄스·트레인형의 광기록 파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펄스폭에 맞춘 타이밍에서 출사광량의 모니터 신호를 샘플링하는 회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환경 온도 변화나 경시 변화 등이 있더라도, 출사측의 레이저·파워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레이저 출력 레벨을 특정한 최적 레벨로 제어하는 것이며, 마크 형성에 영향을 부여하는 요인으로서, 반도체 레이저의 I-L 특성 이외의 요인, 예를 들면 상술한 기록막의 불균일한 부분이나 온도 변화 등에 기인하는 파 장 변동에 의한 기록 매체 측의 에너지 흡수 효율의 변화 등의 요인에 관해서는 커버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경우는, 기록 중에 마크 형성의 정보를 포함한 반사광을 RF용 포토디텍터로 관측하고, 대략 동시적으로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록 파워가 마크 형성에 있어서 최적인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최적 상태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그 보정분을 레이저 파워 제어계로 피드백함으로써, 반도체 레이저의 파워를 제어하여, 기록막의 불균일한 부분이나 파장 변동에 따른 에너지 흡수 효율의 변화 등의 요인 등, 마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에 대해 커버할 수 있는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현한다.
구체적으로는, RF용 포토디텍터로 측정되는 신호는,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트레인형의 출사 광속에 대하여, 왕복의 광로 길이나 광전 변환 시간, 전송 시간 등에 의해 미묘하게 지연된 타이밍에서 광학계나 전기계의 주파수 특성으로 제한된 상태로 관측되지만, 이것을 적절한 타이밍에서 각각의 펄스 구간에 대응하여 샘플링하여, 그들의 진폭치의 비를 구함으로써 마크 형성의 양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구해진 비의 값을, 목표로 된 비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레이저 파워 제어를 위한 피드백 제어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비「B/A」를 검출하고, 그 비의 값에 따라 레이저 파워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가 2∼3mW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하는 시스템 조건 하에 유효한 것이다. 즉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3mW의 범위 내에서는, 각 규격화값, 즉 비「B/A」의 값의 변화가 리 니어인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B/A」와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레이저 파워를 증감시키는 제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4, 도 5, 도 6을 비교하여 보면, 레이저 파워가 3mW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와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의 차이에, 현저한 차이를 볼 수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각 규격화값 (B/A)의 값으로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파워가 3mW 이상이 되는 영역에서는 명확한 변화를 볼 수 없다. 따라서 비「B/A」와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비교하더라도, 레이저 파워 제어의 방향성(증가 또는 감소)는 판별할 수 없어, 적절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은,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가 2∼3mW의 범위 내에 있는 기록 시스템에서는 유효한 레이저 파워 제어의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가 3mW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 기록 시스템에서는, 상기의 사고 방식을 일보 추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 타입, 기록 밀도, 선속도, 그 외의 기록 조건에 대해 생각하면,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가 3mW가 되는 기록 시스템도 상정해야 한다.
이상의 배경을 근거로 하여,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레이저 파워 제어 동작은, 시스템의 조건에 의해 고선속(高線速)에서의 기록인 경우나 선두 펄스의 폭이 비교적 커지는 것 같은 라이트·스트래티지(strategy)를 이용하는 경우 등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고, 기록 최적 파워에 달하는 상태에서는, 마크 형성의 영향이 선두 펄스의 반사광량에까지도 미치는 것 같은 상태를 상정하고 있다.
상술한 기본적인 사고 방식으로서는, 선두 펄스 P#1의 반사광량인 A값(즉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값)을 하나의 기준으로 하여, 2번째 펄스 P#2 이후의 반사광량인 B값(즉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을 받는 값)의 정도를, 비(B/A)로서 조사함으로써, 마크의 형성 상태의 양호 여부를 판단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 도 3∼도 6의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예를 들면 3mW 이상의 경우에 비(B/A)의 값이 변화하지 않게 되는 것은,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 자체도, 상기 선두 펄스에 상당하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순간에 형성되는 피트 마크의 영향을 받아, 반사광량으로서의 진폭치가 억제되어 버린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의 반사광량도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을 받으면, 마크의 영향이 없는 반사광량으로서의 기준치인 A값이 불정확으로 되고, 결과적으로 비(B/A)만으로 최적 기록 파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 선두 펄스 P#1로서의 반사광량인 A값에의 마크 형성에 의한 영향분을 보정한 A'값을 사용하여, 비(B/A')에 따라 레이저 파워 제어를 행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동작이 된다.
도 8에, 기록 레이저 파워의 변화에 대한,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와, 이 피크치 PK1을 마크 형성의 영향이 없는 상태로 보정한 보정 피크치 PK1' 를 나타냈다. 보정 피크치 PK1'은, 기록 레이저 파워에 비례하여 리니어로 변화되는 특성으로 된다.
또한 도 8에는,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를 피크치 PK1로 규격화한 규격화값(PK2/PK1)과, 동일하게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를 보정 피크치 PK1'로 규 격화한 규격화 보정치(PK2/PK1')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규격화 보정치(PK2/PK1')를 보면, 기록 레이저 파워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변화되는 특성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규격화 보정치(PK2/PK1')는, 레이저 파워가 예를 들면 3mW 이상 커진 경우에도, 마크 형성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기능하는 것이 이해된다.
도 9에는, 도 7에 나타낸 각 규격화값에 대응하여, 규격화 보정치, 즉 각각 규격화의 기준을 피크치 PK1으로부터 보정 피크치 PK1'으로 변경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규격화 보정치는, 기록 레이저 파워의 변화에 대하여,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기록 레이저 파워가 커짐에 따라서 값이 작아지는 특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비(B/A')에 상당하는, 각 규격화 보정치(PK2/PK1') (PK3/PK1') (BT3/PK1') (CT3/PK1') ((PK3-BT3)/PK1')는, 상술한 기본적인 사고 방식과 동일한 레이저 파워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비(B/A')의 B값으로서는, 상기 기본적인 사고 방식으로 설명한 경우와 같이 2번째 펄스 P#2 이후에 관한 값으로서, 피크치 PK2, PK3· ·, 중간치 CT2, CT3· · ·, 최저치 BT2, BT3· · ·, 평균치 av, avPK, avCT, avBT, 변조치(PK 2-BT2, PK3-BT3)· · 등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A'값으로서는,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를 보정한 보정 피크치 PK1'이외에, 보정중간치 CT1', 보정변조치(PK1-BT1)'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A'값, 예를 들면 선두 펄스 P#1의 보정 피크치 PK1'는 다음과 같이 하여 얻는다.
보정 피크치 PK1'는,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이 없는 값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선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이 없는 값을 관측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스 SP 기간에 대응하는 RF 신호의 진폭치, 즉 (2)에 나타낸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검출하면 된다.
상술한 APC 제어는, 레이저 파워를 설정되어 있는 기록 파워(펄스 트레인의 피크에 상당)와 재생 파워(스페이스 기간의 레벨에 상당)에 대하여, 레이저 출력을 일정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이 없는 값으로서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검출하면, APC 시스템에 의해 설정되고 있는 기록 파워와 스페이스 영역에서의 파워와의 설정비를 이용하여, 마크 형성 상태의 영향이 없는 값으로서의 반사광량치, 즉 보정 피크치 PK1'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실제로는, 선두 펄스 파형은 광학 픽업, 기록 매체의 상태, 전기 회로계 각각의 주파수 특성의 제한 등에 의해, 다소 저하된 파형으로서 관측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명백히 선두 펄스 P#1로서의 반사광량에 마크 형성의 영향이 없는 것 같은 낮은 기록 파워의 상태로 캘리브레이션을 행하면, 보다 정밀도 양호한 기준치로서의 보정 피크치 PK1'가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얻은 보정 피크치 PK1'를 A'값으로 하고, 비(B/A')를 취하는 것으로 하면, 기록 레이저 파워가 어느 정도 높은 상태가 되더라도, 기록 매체 상의 유기 색소막의 불균일한 부분 등에 의한 전체적인 반사광량의 변화에 관해서는 좌우되지 않고, 마크 형성에 의한 2번째 펄스 P#2 이후의 반사광량 변화만을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각종 기록 조건에 대응하여 조사하여 얻은 최적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A'값과 B값의 비를 목표치로 하여, 검출된 비의 값 B/A'의 편차량을 산출하고, 레이저 제어계에 피드백함으로써,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에 마크 형성의 영향이 있는 경우에도, 정밀도 양호하게 마크 형성에 최적의 기록 파워를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광기록 장치의 실시예로 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예를 들면 DVD-R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장치로 한다. 또, 레이저 파워 제어에 관해서는, APC 제어에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RF 신호의 샘플치의 비의 값(B/A')을 이용하여 보정 제어를 행하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처리로서, 상기 비(B/A')의 값은,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를 보정한 피크치 PK1'와,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의 비를 사용하면 된다. (A값= PK1', B값= PK2)
비의 값으로는 각종 다른 예가 다양하게 고려되지만, 그에 대해서는 변형예에서 후술한다.
도 10은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0)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도 11은, 도 10의 구성 중에서 레이저 파워 제어에 관한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DVD-R로서의 디스크(100)는, 턴 테이블(7)에 적재되고, 기록/재생동작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6)에 의해 일정 선속도(CLV)로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광학 픽업(1)에 의해 디스크(100) 상의 트랙에 기록된 피트 데이터나 트랙의 워블링 정보, 랜드 프리피트 정보의 판독이 행해진다. 그루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트랙 상에 데이터로서 기록되는 피트는 이른바 색소 변화 피트이다.
픽업(1) 내에는, 레이저 광원이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4)나,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디텍터(5), 레이저광의 출력단이 되는 대물 렌즈(2), 레이저광을 대물 렌즈(2)를 통하여 디스크 기록면에 조사하여, 아직 그 반사광을 포토디텍터(5)에 가이드하는 광학계(24)가 형성된다.
또 레이저 다이오드(4)로부터의 출력광의 일부가 수광되는 모니터용 디텍터(22)도 설치된다.
픽업(1) 내의 구성은 도 1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레이저 다이오드(4)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에 대하여, 격자판(도시하지 않음), 콜리메이터 렌즈(24a), 파장판(도시하지 않음), PBS(편향빔 스플리터)(24b), 멀티·렌즈(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한 광학계(24)에 의해 대물 렌즈(2)에 가이드되어, 디스크(100)에 조사되고, 또 그 반사광이 포토디텍터(5)에 의해 검출된다.
또, 레이저 다이오드(4)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일부는 모니터용 디텍터(22)에도 가이드되고, 그 검출광이 후술하는 APC 동작에 사용된다.
레이저 다이오드(4)는, 파장 650nm 또는 635nm의 레이저광을 출력한다. 또한 광학계에 의한 NA는 0.6이다.
대물 렌즈(2)는 2축 기구(3)에 의해 트래킹방향 및 포커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픽업(1) 전체는 슬레드(sled) 기구(8)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픽업(1)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4)는 레이저 드라이버(18)로부터의 드라이브 신호(드라이브 전류)에 의해 레이저 발광 구동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로부터의 반사광 정보는 포토디텍터(5)에 의해 검출되어, 수광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 되어 매트릭스 회로(9)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9)에는, 포토디텍터(5)로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여 전류 전압 변환 회로, 매트릭스 연산/증폭 회로 등을 구비하고,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의해 필요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재생 데이터에 상당하는 RF신호,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래킹 에러 신호 TE 등을 생성한다.
또한, 랜드 프리피트 및 그루브의 워블링에 관한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 P/P를 생성한다.
매트릭스 회로(9)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는 2치화 회로(11)에,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래킹 에러 신호 TE는 서보 회로(14)에, 푸시풀 신호 P/P는 어드레스 디 코더(26)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RF 신호는 펄스 샘플부(25)에도 공급되고, 후술하는 레이저 파워 보정 제어를 위한 처리에 사용된다.
어드레스 디코더(26)에서는 푸시풀 신호 P/P에 대하여, 랜드 프리피트 정보 추출, 트랙의 워블링에 동기한 워블 클록 생성, 디스크(100)에 프리포맷되어 있는 어드레스 정보의 디코드 처리 등을 행한다. 디코드된 어드레스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10)에 공급된다.
또한 생성된 워블 클록은 어드레스 디코더(26), 스핀들 서보 회로(23)에 공급되고, 또한 워블 클록으로부터 인코드용 클록이 생성되어 인코드/디코드부(12)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9)에 의해 얻어진 RF 신호는 2치화 회로(11)에서 2치화된 뒤에, 인코드/디코드부(12)에 공급된다.
인코드/디코드부(12)는, 재생시의 디코더로서의 기능 부위와, 기록시의 엔코더로서의 기능 부위를 구비한다.
재생시에는 디코드 처리로서, 런렝쓰 리미티드 코드의 복조 처리, 에러 정정 처리, 디인터리브 등의 처리를 행하여, 재생 데이터를 얻는다.
또한 인코드/디코드부(12)는, 재생시에는, PLL 처리에 의해 RF 신호에 동기한 재생 클록을 발생시키고, 그 재생 클록에 따라 상기 디코드 처리를 실행한다.
재생시에 있어서 인코드/디코드부(12)는, 상기와 같이 디코드한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20)에 축적해 간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0)로부터의 재생출력으로서는, 버퍼 메모리(20)에 버퍼링되고 있는 데이터가 판독되어 전송 출력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3)는,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80)와 접속되어, 호스트 컴퓨터(80)와의 사이에서 기록 데이터, 재생 데이터나, 각종 커맨드 등의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재생시에는, 디코드되어 버퍼 메모리(20)에 격납된 재생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80)에 전송 출력되게 된다.
또, 호스트 콤퓨터(80)로부터의 리드 커맨드, 라이트 커맨드 그 외의 신호는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하여 시스템 컨트롤러(10)에 공급된다.
한편, 기록시에는,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기록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지만, 그 기록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3)로부터 버퍼 메모리(20)에 보내져 버퍼링된다.
이 경우 인코드/디코드부(12)는, 버퍼링된 기록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로서, 에러 정정 코드 부가나 인터리브, 서브 코드 등의 부가, 디스크(100)에의 기록 데이터로서의 런렝쓰 리미티드 코드 변조 등의 인코드를 실행한다.
인코드/디코드부(12)는, 기록시에 있어서 인코드 처리를 위한 기준 클록으로서, 워블 클록에 동기한 인코드 클록을 이용한다.
인코드/디코드부(12)에서의 인코드 처리에 의해 생성된 NRZI 형식의 기록 데이터는, 라이트 스트래티지(21)에 의해 펄스 트레인형의 기록 펄스(레이저 구동 펄스)로 변환되어, 레이저 드라이버(18)에 보내진다.
이 라이트 스트래티지(21)에서는 기록 보상, 즉 기록층의 특성, 레이저광의 스폿형상, 기록 선속도 등에 대한 최적 기록 파워의 미세 조정이나 레이저 구동 펄스 파형의 조정도 행한다.
레이저 드라이버(18)에서는 공급된 레이저 구동 펄스에 따른 드라이브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4)에 부여하여, 레이저 발광 구동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100)에 기록 데이터에 따른 피트 마크(색소 변화 피트)가 형성되게 된다.
APC 회로(Auto Power Contro1)(19)는, 모니터용 디텍터(22)의 출력에 의해 레이저 출력 파워를 모니터하면서 레이저의 출력이 온도 등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회로부이다. 레이저 출력의 목표치는 시스템 컨트롤러(10)로부터 부여되고, 레이저 출력 레벨이, 그 목표치가 되도록 레이저 드라이버(18)를 제어한다.
APC 회로(19)의 상세한 구성예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서보 회로(14)는, 매트릭스 회로(9)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래킹 에러 신호 TE로부터, 포커스, 트래킹, 슬레드의 각종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래킹 에러 신호 TE 에 따라서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 FD, 트래킹 드라이브 신호 TD를 생성하고, 2축 드라이버(16)에 공급한다. 2축 드라이버(16)는 픽업(1)에서의 2축 기구(3)의 포커스 코일, 트래킹 코일을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픽업(1), 매트릭스 회로(9), 서보 회로(14), 2축 드라이버(16), 2축 기구(3)에 의한 트래킹 서보 루프 및 포커스 서보 루프가 형성 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10)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에 따라서, 트래킹 서보 루트를 오프로 하고, 2축 드라이버(16)에 대하여 점프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트랙 점프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서보 회로(14)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의 저역 성분으로서 얻어지는 슬레드 에러 신호나, 시스템 컨트롤러(10)로부터의 액세스 실행 제어 등에 따라서 슬레드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고, 슬레드 드라이버(15)에 공급한다. 슬레드 드라이버(15)는 슬레드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서 슬레드 기구(8)를 구동한다. 슬레드 기구(8)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픽업(1)을 유지하는 메인 샤프트, 슬레드 모터, 전달 기어 등에 의한 기구를 가지고, 슬레드 드라이버(15)가 슬레드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서 슬레드 기구(8)를 구동함으로써, 픽업(1)의 소요의 슬라이드 이동이 행해진다.
스핀들 서보 회로(23)는 스핀들 모터(6)를 CLV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스핀들 서보 회로(23)는, 데이터 기록시에는, 워블 클록을, 현재의 스핀들 모터(6)의 회전 속도 정보로서 얻고, 이것을 소정의 CLV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스핀들 에러 신호 SPE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재생시에는, 인코드/디코드부(12) 내의 PLL에 의해 생성되는 재생 클록(디코드 처리의 기준이 되는 클록)이, 현재의 스핀들 모터(6)의 회전 속도정보로 되기 때문에, 이것을 소정의 CLV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스핀들 에러 신호 SPE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핀들 서보 회로(23)는, 스핀들 모터 드라이버(17)에 대하여 스핀들 에러 신호 SPE 에 따라서 생성한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공급한다. 스핀들 모터 드라이버(17)는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서 예를 들면 3상 구동 신호를 스핀들 모터(6)에 인가하여, 스핀들 모터(6)의 CLV 회전을 실행시킨다.
또한 스핀들 서보 회로(23)는, 시스템 컨트롤러(10)로부터의 스핀들킥/브레이크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키고, 스핀들 모터 드라이버(17)에 의한 스핀들 모터(6)의 기동, 정지, 가속, 감속 등의 동작도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은 서보계 및 기록 재생계의 각종 동작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 시스템 컨트롤러(10)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0)는,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어떤 데이터의 전송을 구하는 리드 커맨드가 공급된 경우는, 먼저 지시된 어드레스를 목적으로 하여 시크(seek)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서보 회로(14)에 지령을 내어, 시크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를 타겟으로 하는 픽업(1)의 액세스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 후, 그 지시된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80)에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디스크(100)로부터의 데이터 판독/디코드/버퍼링 등을 행하여, 구해진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기입 명령(라이트 커맨드)이 발해지면, 시스 템 컨트롤러(10)는, 먼저 기록해야 할 어드레스로 픽업(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인코드/디코드부(12)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80)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라이트 스트래티지(21)로부터의 레이저 구동 펄스가 레이저 드라이버(18)에 공급됨으로써, 기록이 실행된다.
메모리(27)는, 시스템 컨트롤러(10)가 처리에 사용하는 ROM, RAM,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물론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형성되는 시스템 컨트롤러(10)에 내장되는 메모리로 해도 된다.
메모리(27)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각종 계수, 상수의 기억이나, 연산을 위한 가공물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 본 예의 경우는 메모리(27)의 비휘발성 영역에서, 후술하는 레이저 파워 보정 동작을 위한 정보로서, 각종 시스템 조건(예를 들면 미디어 타입이나 선속도 등)과, 그것에 대응하는 최적의 비의 값(PK2/PK1')이 기억된다. 예를 들면 공장 출하전에 있어 각종 시스템 조건 하에 있어서 실험적으로 최적의 비의 값이 요구되고, 그 결과가 데이터 테이블로서 격납되게 된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0)에서의 재생시의 동작과 기록시의 동작을 합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재생시의 동작>
·서보 동작
픽업(1)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매트릭스 회로(9)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래킹 에러 신호 TE 등의 서보 오차 신호로 변환되어, 서보 회로(14)에 보내진다. 서보 회로(14)로부터 나간 드라이브 신호 FD, TD는 픽업(1)의 2축 기구(3)를 구동하여, 포커스 서보, 트래킹 서보를 행한다.
·데이터 재생
픽업(1)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매트릭스 회로(9)에서 RF 신호로 변환되어, 인코드/디코드부(12)에 보내진다. 인코드/디코드부(12)에서는 채널 클록이 재생되고, 채널 클록에 따라 디코드가 행해진다. 디코드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3)에 보내진다.
·회전 제어
디스크(100)의 회전은, 인코드/디코드부(12)에서 재생된 채널 클록을 스핀들 서보 회로(23)에 이송 제어한다.
·어드레스 재생
어드레스는 RF 신호 중에 포함되어 있고, 인코드/디코드부(12)에서 디코드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0)에 보내진다.
·레이저 제어
APC 회로(19)는,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지시에 의해, 레이저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기록시의 동작>
·서보 동작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행해지지만, 레이저 파워의 상승에 의해 게인이 높아지 지 않도록, 매트릭스 회로(9) 또는 서보 회로(14)에서 보정된다.
·데이터 기록
인터페이스부(13)를 통하여 받아들인 데이터는, 인코드/디코드부(12)에서 ECC의 부가(附加), 재정렬, 변조 등의 채널 코딩이 행해진다. 채널 코딩을 받은 데이터는, 라이트 스트래티지(21)에서, 디스크(100)에 적합한 레이저 구동 펄스로 변환되어, 레이저 드라이버(18)(APC 회로(19))를 통하여, 픽업(1) 중의 레이저 다이오드(4)에 더해진다.
·회전 제어
매트릭스 회로(9)로부터 출력된 푸시풀 신호 P/P로부터 워블 클록이 생성되어, 스핀들 서보 회로(23)에 더해져 선속 일정(CLV)의 회전 제어가 행해진다.
·어드레스 재생
매트릭스 회로(9)로부터 출력된 푸시풀 신호 P/P에서 랜드 프리피트 정보가 검출된다. 검출된 랜드 프리피트 정보는 어드레스치로 디코드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0)에서 판독된다.
또, 푸시풀 신호 P/P로부터 인코드 클록도 발생되어, 인코드/디코드부(12)에 더해진다.
도 11에 의해, 본 예의 레이저 파워 제어에 관한 구성을 설명한다. 또, 본 예의 동작은 기록시의 레이저 파워 보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은, 기록시의 동작으로서 설명해 간다.
상기 도 10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록시에 있어서 레이저 드라이버(18)에 라이트 스트래티지(21)로부터의 레이저 구동 펄스, 즉 레이저 구동 전류 지시치와 변조 신호와의 조합 패턴이 입력되면, 레이저 다이오드(4)로부터는 레이저광이 출사되고, 상술한 광학계(24)를 통하여 대물 렌즈(2)로부터 디스크(100) 상의 소정 영역에 광 스폿으로서 집광하여 투영된다.
프론트 모니터용 디텍터(22)는, 출사 광속의 일부를 받아들이고, 레이저 파워의 발광량을 추정하기 위한 광량 검출을 행한다.
또한 디스크(100)에 집광된 광속은, 디스크 상의 마크 형성 상태를 반영하면서, 반사광(재생 신호)로서 광학계(24)로 되돌아가고, 최종적으로는, 다분할된 RF 신호용 포토디텍터(5)에 투영된다.
APC 회로(19)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전압 변환부(19a), 샘플/홀드 회로(19b), A/D 변환기(19c),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 목표치 유지부(19e), D/A 변환기(19f), 타이밍 제너레이터(19g)를 구비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19g)는, 인코드/디코드부(12)로부터 출력되는 인코드 데이터, 즉 레이저 구동 펄스의 원래로 되는 신호에 따라서, 각종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샘플/홀드 회로(19b), A/D 변환기(19c),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기록시에는,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발광이 행해지지만, APC 회로(19)에서는, 기록 레벨의 레이저 파워를 감시하고, 그것을 목표치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모니터용 디텍터(22)로부터의 신호(수광광량에 따른 전류)는, 전류/전압 변 환부(19a)에서 전압으로 변환되어, 샘플/홀드 회로(19b)에 공급된다.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발광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샘플/홀드 회로(19b)는, 타이밍 제너레이터(19g)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펄스 트레인 펄스폭이 유지되는 구간, 즉 기록 파워의 레이저 출력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에 타이밍을 맞추어, 그 신호를 샘플 및 홀드한다.
홀드 출력된 전압값은 A/D 변환기(19c)에서 디지털치로 변환되고, 이것이 현재의 추정 레이저 파워로서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에 공급된다.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는, 목표치 유지부(19e)에 세트되어 있는 레이저 파워 목표치와, 상기 추정 레이저 파워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에 적당한 양을 현행의 지시치에 중첩하고, D/A 변환기(19f)를 통해서 레이저 드라이버(18)에 공급한다. 목표치 유지부(19e)에는, 시스템 컨트롤러(10)에 의해 목표로 하는 레이저 파워치가 세트된다.
APC 회로(19)의 이러한 동작에 따라서 레이저 출력 파워가 목표치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기능이 얻어진다.
단, 이 APC 회로(19)에 의한 동작은, 어디까지나 레이저 출력에 관한 일정화제어로서, 레이저 파장 변동이나 기록막 불균일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기록 파워를 최적화하는 것이 아닌 것은, 먼저 설명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또한 레이저 파워 보정을 위한 구성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RF 신호에 대해 샘플링을 행하여 비를 구하고, 그 비에 따라 레이저 보정을 행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릭스 회로(9)에서는, RF 신호를 얻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류/전압 변환부(9a), RF 매트릭스 앰프(9b)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포토디텍터(5)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량에 따라 RF 신호가 생성된다.
매트릭스 회로(9)에서 얻어지는 RF 신호는, 펄스 샘플부(25)에 공급되고, 이 펄스 샘플부(25)에서, 비의 산출을 위한 소요의 샘플링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RF 신호에 대해 구하는 비의 값「B/A'」을, 선두 펄스 P#1에 대한 보정 피크치 PK1' 와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의 비「PK2/PK1'」 로 한다.
보정 피크치 PK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 기간에 상당하는 RF 신호의 반사광량치 LSP를 검출하고, 그 검출치 LSP와, APC 회로(19)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록 파워 목표치와 재생 파워 목표치의 설정비로부터 구해진다.
따라서, 펄스 샘플부(25)에서는, RF 신호의 반사광량치 LSP를 샘플링하는 구성이 설치된다. 또한 B값으로서 피크치 PK2의 값을 샘플링하는 구성이 설치된다.
즉,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 회로(25a2) 및 A/D 변환기(25b2)와, 스페이스 기간에 샘플 홀드를 행하는 샘플 홀드 회로(25d) 및 A/D 변환기(25e)가 설치되는 동시에, 타이밍 제너레이터(25c)가 설치된다.
또, 선두 펄스 P#1에 대한 보정 피크치 PK1'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얻으면 되지만, 실제의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를 얻음으로써, 보정 피크치 PK1'를 다시 최적화된 값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 회 로(25a1) 및 A/D 변환기(25b1)도 설치되어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도 12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코드/디코드부(12)로부터의 인코드 데이터에 따라서 도 12 (c)의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의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도 12 (d)의 신호를 피크 홀드 회로(25a1)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피크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b1)에, 홀드 출력된 피크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또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RF 신호의 2번째 펄스 P#2의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도 12 (e)의 신호를 피크 홀드 회로(25a2)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피크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b2)에, 홀드 출력된 피크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또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어떤 시점, 예를 들면 레이저 파워 보정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 등에 있어서, RF 신호의 스페이스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제12도 (f)의 신호를 샘플 홀드 회로(25d)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샘플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e)에, 홀드 출력된 샘플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이로 인해, A/D 변환기(25b1)로부터는 피크치 PK1가 디지털치로서 출력되고, 또한 A/D 변환기(25b2)로부터는 피크치 PK2가 디지털치로서 출력되고, 또 A/D 변환기(25e)에서는 반사광량치 LSP가 디지털치로서 출력되어, 각각 소요 시점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0)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도 12 (b)의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구동 펄스는 도 12 (a)의 인코드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기 때문에,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인코드 데이터로부터, 도 12 (c)의 RF 신호에서의 선두 펄스 P#1 기간, 2번째 펄스 P#2 기간, 및 스페이스 기간의 각 타이밍을 얻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레이저 출력 타이밍으로부터, 반사광 정보인 RF 신호가 펄스 샘플부(25)에 공급되는 타이밍까지는, 광학계(24) 및 매트릭스 회로(9)에서의 처리에 의한 지연이 있다. 따라서,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그 지연분을 고려한 타이밍에서, 샘플링 구간의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피크치 PK1, PK2, 스페이스 구간의 반사광량치 LSP는, 각각 시스템 컨트롤러(10)에 받아들여, 비의 산출이 행해져, 그 산출된 비의 값을 기준이 되는 비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가 생성된다.
도 11에서는, 시스템 컨트롤러(10) 내로서, 이러한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샘플치 입력부(10a), 추정 연산부(10b), 보정 연산부(10c), 보정 기준 유지부(10d), 보정 선두 펄스치 추정부(10e)가 설치된다. 또, 이들은 실제로는 시스템 콘트롤러(10) 내의 소프트 웨어에 의해 실현되면 된다.
상세한 처리예에 대해서는 도 13, 도 14에서 설명하지만, 먼저, 샘플치 입력부(10a)는, 피크치 PK2를 B값으로서 받아들여, 추정 연산부(10b)에 공급한다. 또한 피크치 PK1, 스페이스 구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받아들인 경우는, 이들을 보정 피크치 PK1'(A'값)을 얻기 위한 정보로서 보정 선두 펄스치 추정부(10e)에 공급하한다.
보정 선두 펄스치 추정부(10e)에서는, 스페이스 구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APC 회로(19)에서의 기록 파워/재생 파워의 비, 즉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10)가 APC 회로(19)에 지시한 목표치의 비에 대응시킴으로써, 마크 형성의 영향이 없는 상태의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A'값)을 추정 산출한다.
또, 공급된 피크치 PK1를 이용하여, 추정 산출한 피크치 PK1'을 수정하는 것도 행한다.
추정 연산부(10b)에서는, 샘플치 입력부(10a)에서 공급된 피크치 PK2를 B값로 하고, 또한 보정 선두 펄스치 추정부(10e)에서 공급된 보정 피크치 PK1'를 A'값으로 하고, 현재의 레이저 파워를 추정하는 값으로 하여, 비의 값 즉 B/A'(= PK2, /PK1')을 산출한다.
또한 보정 기준 유지부(10d)에는, 현재의 선속도 그 외의 기록 조건에 합치하여, PK2/PK1'의 최적치(이하, 기준비의 값이라고 함)가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메모리(27)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 조건마다의 최적의 비의 값의 테이블 데이터 중에, 현재 조건에 대응하는 최적의 비의 값이 로드되어 있다.
보정 연산부(10c)는, 추정 연산부(10b)에서 산출된 비의 값을, 보정 기준 유지부(10d)에 유지되어 있는 기준비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는 APC 회로(19)에서의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에 공급된다.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는 예를 들면, 목표치 유지부(19e)에 세 트되어, 상술한 레이저 파워 일정화 제어에 사용하고 있는 목표치를 상기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 보정한다.
또,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 목표치 유지부(19e)에 유지되어 있는 목표치 자체가 보정 갱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예에서는, 각 펄스 트레인형 파형에 대응한 RF 신호의 진폭치의 상관으로부터, 기록시에, 대략 동시적인 기록 파워의 추정치로서의 비를 산출한다. 이 비의 값과 기준비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기록 파워의 보정분을 산출하여, APC 루프의 동작을 보정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100)상의 마크 형성 상태를 가미한 최적 기록 파워 제어의 피드백이 행해진다.
3. 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 1)
시스템 컨트롤러(10)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파워 보정을 위한 처리, 즉 도 11에 나타낸 시스템 컨트롤러(10) 내의 기능 블록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의 하나를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또, 도 13의 각 스텝과 도 11의 기능 블록의 대응은 다음과 같이 된다.
F101, F104···보정 기준 유지부(10d)
F102, F103, F107···보정 선두 펄스치 추정부(10e)
F105, F106···샘플치 입력부(10a)
F108···추정 연산부(10b)
F109∼F112···보정 연산부(10c)
기록 레이저 파워의 보정 처리로서는, 시스템 컨트롤러(10)는 우선 스텝 F101로서, 기록 동작에 관한 각종 시스템 조건을 확인한다. 즉 미디어 타입, 기록 선속도, 기록 파워 목표치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스텝 F102에서, 펄스 샘플부(25)로부터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받아들인다.
그리고 스텝 F103에서는, 반사광량치 LSP와 시스템 조건(기록 파워 목표치와 재생 파워 목표치의 설정비)으로부터, 보정 피크치 PK1', 즉 A'값을 산출한다.
스텝 F104에서는, 스텝 F101에서 확인한 시스템 조건에 적합한 기준비의 값(B/A')ref를 메모리(2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인용한다.
이에 따라 보정 처리를 위한 준비가 정리되고, 이하, 스텝 F105로부터 보정연산 처리에 들어간다.
스텝 F105에서는, A/D 변환기(25b1)로부터 출력되는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을 받아들인다.
스텝 F106에서는, B값으로서, A/D 변환기(25b2)로부터 출력되는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를 받아들인다.
스텝 F107에서는, 스텝 F105로 받아들인 피크치 PK1를 사용하여, 상기 스텝 F103로 산출한 보정 피크치 PK1'(A'값)을 수정한다. 이것은 디스크(100) 상의 반사율 불균일을 고려한 수정이 된다.
예를 들면,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의, 기록 레이저 파워에 대한 변동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다. 따라서, 현재의 기록 레이저 파워로부터, 도 8의 특성에 의해 피크치 PK1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정되는 피크치 PK1 와, 실제로 검출된 피크치 PK1의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하면 그 차이는, 디스크의 반사율 불균일 등에 기인한 차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차이로서의 비율을, 보정 피크치 PK1'에도 승산함으로써, 추정된 보정 피크치 PK1'를, 반사율 불균일을 고려한 값으로 수정할 수 있다.
스텝 F108에서는, 비의 값 B/A'를 산출한다.
스텝 F109에서는, 산출한 비의 값 B/A'를, 기준비의 값(B/A')ref와 비교한다.
여기서, 비의 값 B/A'가 기준비의 값(B/A')ref보다 클 경우는, 스텝 F111로 진행하고, 현재의 기록 파워 목표치, 즉 APC 회로(19)에서의 목표치 유지부(19e)에 유지되고 있는 기록 파워 목표치에 대하여, 0.5mW 상승시킨 값을, 보정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로 한다.
그리고 스텝 F112로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를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로서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에 전달하고, APC 루프에 있어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를 이용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F105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Fl09에 있어서, 비의 값 B/A'가 기준비의 값(B/A')ref보다 작을 경우는, 스텝 F110으로 진행하고, 현재의 기록 파워 목표치, 즉 APC 회로(19)에서의 목표치 유지부(19e)에 유지되고 있는 기록 파워 목표치에 대하여, 0.5mW 하강시킨 값을, 보정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로 한다.
그리고 스텝 F112로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를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 로 하여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에 전달하고, APC 루프에 있어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를 이용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F105로 되돌아간다.
스텝 F105로 되돌아간 후는, 다시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즉, 비의 값 B/A'를 기준비의 값(B/A')ref와 비교하여, APC 루프에서의 기록 파워 목표치를 0.5mW씩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비의 값 B/A'가 기준비의 값(B/A')ref와 대략 일치하는 상태까지 수속시켜 간다.
그리고 어떤 시점에서, 스텝 F109에 있어서 비의 값 B/A'와 기준비의 값(B/A')ref가 대략 일치하였으면, 기록 파워 목표치의 보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도 13의 처리예에 의하면, APC 회로(19)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기록 파워 목표치를, 비의 값 B/A'와 기준비의 값(B/A')ref의 비교에 따라 보정해 두고, 최종적으로 비의 값 B/A'와 기준비의 값(B/A')ref가 일치하는 상태, 즉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로 제어되는 상태로 수속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파워 보정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실제의 기록 파워가 현재의 기록 동작 환경에 대하여 최적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4)의 I-L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나 경시 변화에 의한 레이저의 파장 변동, 및 그것에 의한 디스크(100)의 에너지 흡수 효율의 변화나, 디스크(100)의 막의 불균일 등에 의한 최적 기록 파워의 변화에도 대응하여,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최적의 마크 형성 동작이 실현되어, 재생시의 RF 신호 품질(지터 등)의 개선이 도모된다.
또한 반사율 불균일에도 대응하여 최적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4. 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 2)
도 14에, 기록 파워 보정 처리로서 도 13의 처리예 대신 채용할 수 있는 처리예를 나타낸다.
또 스텝 F201∼F208은, 도 13의 스텝 F101∼F108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14의 처리예의 경우는, 스텝 F208에서 비의 값 B/A'를 산출했으면, 계속해서 스텝 F209에서 (B/A')/(B/A)ref의 연산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 F210에서는, (B/A')/(B/A')ref의 값이 「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1」(=「1」이라고 간주되는 범위)이 아니면 스텝 F211로 진행한다.
스텝 F211에서는, 기준비의 값(B/A')ref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비의 값 B/A'의 편차량에 상당하는 비율α을 산출한다.
도 15에,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가이드되는 비의 값 B/A' 및 기준비의 값(B/A')ref와 기록 파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현재의 시스템 조건 하에서는 기록 파워로서 도시하는 기록 파워 Pref가 최적인 것으로 한다. 이 때, 산출된 비의 값 B/A'에 의하면, 시스템 조건으로부터 생각하면 도시하는 기록 파워 Po의 상태가 현재의 파워로서 추정되고 있는 것이 된다.
상기 「α」는, Pref= (1+α) Po로서의 값α이며, 즉 현재의 기록 파워 목표치로부터, 보정할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에의 비율이다.
또, α 값은 예를 들면 - 0.3 ≤α≤ 0.3의 범위로 한다.
α 값을 산출하였으면, 스텝 F212에서는, 현재의 기록 파워 목표치, 즉 APC 회로(19)에서의 목표치 유지부(19e)에 유지되고 있는 기록 파워 목표치에 대하여, (1+α)배한 값을, 보정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로 한다.
그리고, 스텝 F213으로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를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로서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19d)에 전달하고, APC 루프에 있어서 새로운 기록 파워 목표치를 이용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F205로 되돌아간다.
또, 이와 같이 보정 처리하는 경우는, 보정을 위한 α 값 산출의 알고리즘이 이상적인 상태이며, 기록 파워 목표치의 보정이 한번에 최적의 상태로 되는 것으로 하면, 스텝 F213으로부터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단, 반드시 항상 알고리즘이 이상 상태에 있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도 고려하면, 스텝 F205로 되돌아가 다시 스텝 F210에서의 판단을 행하고, 레이저 파워가 최적 상태에 충분히 가까이 하고 있는, 즉 (B/A')/(B/A)ref의 값이「1」(또는「1」이라고 간주되는 범위)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고, 보정 처리를 종료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이저 파워 보정 처리에 의해서도, 레이저의 파장 변동에 따른 디스크(100)의 에너지 흡수 효율의 변화나, 디스크(100)의 막의 불균일 등에 의한 최적 기록 파워의 변화에도 대응하여,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최적의 마크 형성 동작을 실현할 수 있어, 재생시의 RF 신호 품질(지터 등)의 개선이 도모된다.
5.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 3)
또 다른 기록 파워 보정 동작예를 도 16, 도 17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도 13, 도 14의 처리예에서는, A'값으로서 추정한 보정 피크치 PK1'을, 실제로 검출한 피크치 PK1를 사용하여 수정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크(100)의 반사율 불균일이 그다지 크지 않고, 또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화인 경우는, 추정 산출한 보정 피크치 PK1'를 다시 피크치 PK1의 검출치에 따라 수정할 필요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처리예는, 이러한 보정 피크치 PK1' 의 수정 처리를 생략한 것이다.
또, 따라서 이 경우 피크치 PK1를 검출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펄스 샘플부(25)의 구성으로는 도 16과 같이 되어, 즉 도 11에 나타낸 구성과 비교하여, 선두 펄스 P#1에 대한 피크 홀드 회로(25a1) 및 A/D 변환기(25b1)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샘플치 입력부(10a)의 동작에서는,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의 입력에 따라서 그 값을 B값으로서 추정 연산부(10b)에 공급하는 것과,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입력하였으면, 그 값을 보정 선두 펄스치 추정부(10e)에 공급하면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서는, 도 14의 처리에서의 스텝 F205, F207를 생략한 것으로 고려된다.
즉, 도 17의 스텝 F301∼F304는, 도 14의 스텝 F201∼F204와 동일하다.
또한, 도 17의 스텝 F305는, 도 14의 스텝 F206과 동일하다.
또한, 도 17의 스텝 F306∼F311는, 도 14의 스텝 F208∼F213과 동일하다.
도 17의 각 스텝의 처리에 관해서는, 상기 도 14와 중복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처리예에 의하면, 레이저 파워 최적화라는 효과에 더하여, 펄스 샘플부(25)의 구성의 간략화,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처리 부담의 삭감이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6.각종 변형예
이상, 실시예로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0) 및 그 레이저 파워 보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고려된다.
우선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에 대한 보정 피크치 PK1'를 A'값으로 하고, 또 2번째 펄스 P#2의 피크치 PK2를 샘플링하여 B값으로 하여, 비의 값 B/A'를 PK2/PK1'로 하는 예에 따라 설명했다.
그러나, 비의 값 B/A'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예가 고려된다.
예를 들면, B값으로서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의 평균치 avPK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펄스 샘플부(25)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면 된다.
즉 이 경우 펄스 샘플부(25)에는, A'값을 추정 연산하기 위해서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를 얻기 위한 구성으로서, 샘플 홀드 회로(25d) 및 A/D 변환기(25e)가 설치된다.
또한 평균치 avPK으로서의 B값를 구하기 위해, 2번째 펄스 P#2 이후의 각 펄스의 피크치 PK2..PK3· · · PKn을 샘플링하는 구성으로서, 피크치 PK2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 회로(25a2) 및 A/D 변환기(25b2), 피크치 PK3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 회로(25a3) 및 A/D 변환기(25b3)· · ·피크치 PKn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 회로(25a(n)) 및 A/D 변환기(25b(n))가 설치된다.
또, 상기 도 13, 도 14와 같이 A'값의 수정을 위해 선두 펄스 P#1의 피크치 PK1를 샘플링하는 경우는, 피크치 PK1에 대응하는 피크 홀드 회로(25a1) 및 A/D 변환기(25b1)가 설치되지만, 도 17의 처리가 채용되는 경우는, 피크 홀드 회로(25a1) 및 A/D 변환기(25b1)는 불필요하게 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5c), 도 19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코드/디코드부(12)로부터의 인코드 데이터에 따라서 도 19 (c)의 RF 신호의 선두 펄스 P#1의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도 19 (d)의 신호를 피크 홀드 회로(25a1)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피크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b1)에, 홀드 출력된 피크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또한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RF 신호의 2번째 펄스 P#2의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도 19 (e)의 신호를 피크 홀드 회로(25a2)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피크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b2)에, 홀드 출력된 피크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또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RF 신호의 3번째 펄스 P#3의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도 19 (f)의 신호를 피크 홀드 회로(25a3)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피크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b3)에, 홀드 출력된 피크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4번째 펄스 P#4로부터 n번째 펄스 P#n에도 대응하더라도, 각각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신호 및 A/D 변환 타이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또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어떤 시점, 예를 들면 레이저 파워 보정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 등에 있어서, RF 신호의 스페이스 구간에 대응하는 샘플 구간을 나타내는 도 19 (g)의 신호를 샘플 홀드 회로(25d)에 공급하고, 상기 구간에서의 샘플치를 홀드 출력시킨다. 또한, A/D 변환기(25e)에, 홀드 출력된 샘플치를 디지털치로 변환시키도록 타이밍 제어한다.
이로 인해, A/D 변환기(25e)로부터는 반사광량치 LSP가 디지털치로서 출력되고,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샘플치 입력부(10a)는 그 반사광량치 LSP를, 보정 피크치 PK1'(A'값)의 산출용 정보로서 받아들인다.
또한 A/D 변환기(25b1)로부터는 피크치 PK1가 디지털치로서 출력되고, 시스템 컨트롤러(1O)의 샘플치 입력부(10a)는 그 피크치 PK1를, 산출되어 있는 보정 피크치 PK1'(A'값)의 수정용 정보로서 받아들인다.
또한 A/D 변환기(25b2∼25b(n))에 의해, 후속하는 각 펄스의 피크치 PK2···PKn이 입력되지만, 샘플치 입력부(10a)는, 그 평균치 avPK을, (PK2+ PK3+· · ·+ PKn)/n의 연산에 의해 얻는다. 그리고 그 산출한 평균치 avPK을 B값으로 한다.
이후는, A'값, B값을 이용하여, 추정 연산부(10b)에서 비의 값 B/A'가 구해져, 보정연산부(10c)에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가 생성되면 된다. 즉 도 13 또는 도 14 또는 도 17의 처리가 행해지면 된다.
도 20은, B값으로서 2번째 펄스 P#2와 3번째 펄스 P#3의 보텀치 BT2, BT3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펄스 샘플부(25)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경우,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에 대한 샘플 홀드 회로(25d)(및 A'수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선두 펄스 P#1에 대한 피크 홀드 회로(25a1)) 이외에, 2번째 펄스 P#2에 대한 바텀(bottom) 홀드 회로와, 3번째 펄스 P#3에 대한 바텀 홀드 회로, 및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A/D 변환기가 설치되면 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도 20 (d)(e)(f)(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구간을 지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피크치 PK1, 및 최저치 BT2, BT3, 반사광량치 LSP를, 각각 소정 시점에서 샘플링시킨다.
이로 인해,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샘플치 입력부(10a)에는 피크치 PK1, 및 최저치 BT2, BT3, 반사광량치 LSP가 공급되지만, 반사광량치 LSP, 피크치 PK1를 A'값의 산출 및 수정을 위해 받아들인다. 또한 최저치 BT2, BT3에 관해서는 B값로서 받아들인다. 또, 최저치 BT2, BT3중 어느 한 쪽을 B값으로 해도 되고, 또는 평균치(= (BT2 + BT3)/2를 B값으로 해도 된다.
도 21은, B값으로서 2번째 이후의 펄스 P#2∼P#의 중간치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펄스 샘플부(25)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경우,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에 대한 샘플 홀드 회로(25d)(및 A'수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선두 펄스 P#1에 대한 피크 홀드 회로(25a1) 이외에, 2번째 이후의 펄스 P#2∼P#n에 대한 피크 홀드 회로와, 2번째 이후의 펄스 P#2∼P#n에 대한 바텀 홀드 회로, 및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A/D 변환기가 설치되면 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도 21 (d)(e)(f)(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구간을 지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피크치 PK1와, 2번째 펄스 P#2∼n번째 펄스 구간에서의 피크치 및 최저치와, 반사광량치 LSP를 각각 소요 시점에서 샘플링시킨다.
이로 인해, 시스템 콘트롤러(10)의 샘플치 입력부(10a)에는 피크치 PK1,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와 최저치, 및 반사광량치 LSP가 공급되지만, 반사광량치 LSP, 피크치 PK1을 A'값의 산출 및 수정을 위해 받아들인다. 또한 2번째 펄스 P#2 이후의 피크치과 최저치의 합을 2로 나눔으로써, 중간치 CT(2-n)를 산출하여, 이것을 B값으로 한다.
도 22는, B값으로서 2번째 이후의 펄스 P#2∼P#의 전체 샘플치의 평균치 av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펄스 샘플부(25)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경우,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에 대한 샘플 홀드 회로(25d)(및 A'수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선두 펄스 P#1에 대한 피크 홀드 회로(25a1)) 이외에, 2번째 이후의 펄스 P#2∼P#n에 대한 샘플 회로, 및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A/D 변환기가 설치되면 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도 22 (d)(e)(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구간을 지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피크치 PK1과, 2번째 펄스 P#2∼n번째 펄스 구간 에서의 소요 샘플링 간격에서의 진폭치, 및 반사광량치 LSP를 각각 소요 시점에서 샘플링시킨다.
이로 인해,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샘플치 입력부(1Oa)에는 피크치 PK1, 2번째 펄스 P#2 이후의 샘플치, 및 반사광량치 LSP가 공급되지만, 반사광량치 LSP 및 피크치 PK1을 A'값의 산출 및 수정을 위해 받아들인다. 또한, 2번째 펄스 P#2 이후의 샘플치의 합을 샘플수로 나눔으로써 평균치 av를 산출하고, 이것을 B값으로 한다.
도 23은, B값으로서 2번째 이후의 펄스 P#2∼P#의 최저치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펄스 샘플부(25)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경우, 스페이스 기간의 반사광량치 LSP에 대한 샘플 홀드 회로(25d)(및 A'수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선두 펄스 P#1에 대한 피크 홀드 회로(25a1)) 이외에, 2번째 이후의 펄스 P#2∼P#n에 대한 바텀 홀드 회로, 및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A/D 변환기가 설치되면 된다.
타이밍 제너레이터(25c)는, 도 23 (d)(e)(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구간을 지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피크치 PK1, 2번째 펄스 P#2∼n번째 펄스 구간에서의 최저치, 반사광량치 LSP를 각각 소요 시점에서 샘플링시킨다.
이로 인해, 시스템 컨트롤러(10)의 샘플치 입력부(10a)에는 피크치 PK1, 2번째 펄스 P#2 이후의 최저치, 및 반사광량치 LSP가 공급되지만, 반사광량치 LSP 및 피크치 PK1를 A'값의 산출 및 수정을 위해 받아들인다. 또한, 2번째 펄스 P#2 이후의 최저치를 B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비의 값 B/A'를 구하기 위한 A'값, B값으로는, 여러가지가 고려 된다. A'값으로는, 선두 펄스 P#1의 중간치 CT1이나 변조치 PK1-BT1에 대한 보정치, 즉 중간치 CT1'나 변조치(PK1-BT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B값에 관해서는, 2번째 펄스 P#2 이후에 관한 피크치, 최저치, 중간치, 평균치, 변조치(피크치-최저치) 등 보다 다양하게 고려된다.
또, 기준비의 값(B/A')ref로서 메모리(27)에 테이블 데이터화하여 미리 기억되는 값은, A'값, B값으로서 채용하는 값에 맞춘 값이 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선두 펄스 P#1의 중간치 CT1의 보정중간치 CT1'를 A'값, 2번째 펄스 P#2의 중간치 CT2를 B값로 하는 경우는, 기준비의 값(B/A')ref도, CT2/CT1'의 값으로서의 최적의 값으로 된다.
또, 실시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예를 들면 DVD-R에 대응하는 기록 재생 장치로 했지만, 물론 다른 종류의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로서도 실현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동작 원리상, 레이저 조사에 대한 마크 형성의 응답성이 빠른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 가장 바람직하지만,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가 아니더라도, 레이저 조사에 대하여 마크 형성의 응답이 빠른 기록 매체, 즉 형성되는 마크의 영향이 반사광에 나타나는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로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 도 10에서 설명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0)의 예는, 호스트 컴퓨터(80)에 접속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30)로 했지만, 본 발명의 광기록 장치로는 호스트 컴퓨터(80) 등과 접속되지 않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는, 조작부나 표 시부가 설치되거나, 데이터 입출력의 인터페이스 부위의 구성이, 도 10과는 상이한 것이 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기록이나 재생이 행해지는 동시에,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되면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유기 색소 기록 매체에 대하여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데이터 기록(마크 및 스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열의 형성)을 행하는 기록시, 반사광 정보 신호에 있어서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검출하여,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한다. 또한 반사광 정보에 있어서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추정된 선두 펄스 신호값과 검출된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의 비를 구하고, 구해진 비의 값과,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여, 레이저 출력 파워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피트 마크 형성이라는 기록 상태 그 자체를 관측하여 레이저 파워를 보정하는 것으로 되고, 기록 시점의 모든 환경 상태(마크 형성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을 고려하여 최적의 상태로 레이저 파워가 보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반도체 레이저의 I-L 특성의 온도 의존성이나 경시 변화 등에 기인하는 파장 변동에 의한, 기록 매체의 에너지 흡수 효율의 변화나, 기록 매체면 내의 막불균일 등에도 대응하여, 레이저 파워가 제어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항상 최적의 상태에서의 마크 형성이 실현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 어, 재생시의 RF 신호 품질(지터 등)의 개선이 도모된다.
또, 또 반사광 정보에서의,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여,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추정 산출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이용하여 수정함으로써, 추정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기록 매체 상의 반사율 불균일에도 대응한 최적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적절한 레이저 파워 제어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또는 중간치 또는 변조치로 하는 것이나,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또는 중간치, 또는 최저치, 또는 평균치, 또는 변조치로 하는 것이, 상기 레이저 파워 보정 처리에 가장 적절한다.
또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과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의 비로서 최적의 비의 값을, 기록 동작에 관한 각종 조건에 따라서 미리 기억해 두고, 기억되어 있는 비의 값 중에서, 현재 조건에 합치하는 비의 값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이 되는 비의 값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미디어 타입, 선속도, 목표 레이저 파워 등의 다양한 기록 조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최적의 레이저 파워에서의 기록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품질이 양호한 재생 신호가 얻어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7)

  1.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기록을 행하는 광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할 데이터에 대한 인코드 처리에 의해 인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인코드 데이터에 따라서 펄스 트레인형(pulse-train-manner)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시키는 레이저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기록 처리 수단과,
    상기 레이저 구동 펄스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마크 및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열의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헤드 수단과,
    상기 기록 헤드 수단에 의한 레이저 출력시의 반사광 정보 신호를 검출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 검출 수단과,
    상기 반사광 정보 신호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광 정보 신호에서의 상기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 및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는 신호값 검출 수단과,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 산출하는 추정 산출 수단과,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과 상기 추정 산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에 대한 비를 구하 고, 구해진 비의 값과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출력의 파워를 제어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층으로서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가로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추정 산출 수단은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추정 산출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상기 신호값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이용하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중간치, 변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중간치, 최저치, 평균치, 변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과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의 비로서 최적인 비의 값을 기록 동작에 관한 각종 조건에 따라서 미리 기억해 두고, 기억되어 있는 비의 값 중 현재 조건에 합치하는 비의 값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이 되는 비의 값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7.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마크 및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열의 기록을 실행하는 광기록 장치에서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으로서,
    레이저 출력시의 반사광 정보 신호에서의 상기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 및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에 대응하는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 산출하고,
    상기 검출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과 상기 추정 산출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에 대한 비를 구하고, 구해진 비의 값과 기준이 되는 비의 값을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출력의 파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레이저 출력시의 반사광 정보 신호에서의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추정 산출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상기 검출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이용하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중간치, 변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중간치, 최저치, 평균치, 변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과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의 비로서 최적인 비의 값을 기록 동작에 관한 각종 조건에 따라서 미리 기억해 두고, 기억되어 있는 비의 값 중 현재 조건에 합치하는 비의 값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이 되는 비의 값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12.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 기록을 행하는 광기록 장치에 있어서,
    기록할 데이터에 따라서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시키는 레이저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레이저 구동드라이버와,
    상기 레이저 구동 펄스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레이저 출력을 행하여 상기 기록 매체 상에 마크 및 스페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열의 기록을 실행하는 기록 헤드와,
    상기 기록 헤드에 의한 레이저 출력시의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반사광 정보 신호를 검출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 검출기와,
    상기 반사광 정보 신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광 정보 신호에서의 상 기 스페이스 기간에 대응하는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 및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을 검출하는 신호값 검출 회로와,
    상기 신호값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정 산출하는 추정 산출 회로와,
    상기 신호값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과, 상기 추정 산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에 대해 연산하고, 구해진 값과 기준이 되는 값을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연산 회로와,
    상기 연산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파워 보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출력의 파워를 제어하는 레이저 파워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기록층으로서 유기 색소막을 가지는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검출 회로는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선두 펄스 신호값을 추가로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추정 산출 회로는 상기 스페이스 기간 신호값을 이용하여 추정 산출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상기 신호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선두 펄스 신호값을 이용하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선두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중간치, 변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은 상기 펄스 트레인형의 레이저 출력에서의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의 전부 또는 일부의 펄스에 대응하는 반사광 정보 신호의 피크치, 중간치, 최저치, 평균치, 변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회로는 상기 선두 펄스 신호값과 상기 제2 펄스 및 그 이후 펄스 신호값의 비로서 최적인 비의 값을 기록 동작에 관한 각종 조건에 따라서 미리 기억해 두고, 기억되어 있는 비의 값 중 현재 조건에 합치하는 비의 값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장치.
KR1020037000575A 2001-05-28 2002-05-24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KR100853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8873A JP2002358641A (ja) 2001-05-28 2001-05-28 光記録装置、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
JPJP-P-2001-00158873 2001-05-28
PCT/JP2002/005065 WO2002097804A1 (en) 2001-05-28 2002-05-24 Optical recorder and laser power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32A KR20030020932A (ko) 2003-03-10
KR100853850B1 true KR100853850B1 (ko) 2008-08-22

Family

ID=1900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575A KR100853850B1 (ko) 2001-05-28 2002-05-24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3468B2 (ko)
JP (1) JP2002358641A (ko)
KR (1) KR100853850B1 (ko)
CN (1) CN1231894C (ko)
TW (1) TWI230377B (ko)
WO (1) WO2002097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1297B (en) * 2001-12-31 2004-01-11 M E T Technology Co Ltd Method to increase the successful burning rate for burning optical disk
JP4336871B2 (ja) * 2002-02-07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学情報の記録条件調整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3889673B2 (ja) * 2002-06-19 2007-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220663A (ja) 2003-01-10 2004-08-05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ビーム出射制御方法、並びに、光ビーム出射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09205B2 (ja) * 2003-01-10 2009-01-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ビーム出力制御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ビーム出射制御方法、並びに、光ビーム出射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953637B1 (ko) 2003-07-07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디스크정보 기록방법
CN100409334C (zh) * 2003-07-07 2008-08-06 Lg电子株式会社 记录介质、配置其控制信息的方法、使用其用于记录或再现数据的方法及其装置
JP4151506B2 (ja) * 2003-08-01 2008-09-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832713B2 (ja) * 2003-08-08 2011-12-07 三星電子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におけるライトストラテジの調整方法
JP4500025B2 (ja) * 2003-09-04 2010-07-14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KR101094178B1 (ko) * 2003-11-12 2011-12-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프론트 포토 디텍터의 유입 반사광 검출 및 광디스크장치의 이상유무 검출방법
US7366080B2 (en) * 2003-11-14 2008-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aser control unit, laser control circuit, and laser-power adjustment method
GB0400662D0 (en) 2004-01-13 2004-02-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 write signal in an optical disc system
JP4452136B2 (ja) * 2004-03-30 2010-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同期再生装置及び端末装置
JP2005353133A (ja) * 2004-06-09 2005-12-22 Hitachi Ltd 適切なサンプルホールドタイミングの導出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CN101976570A (zh) * 2004-10-05 2011-02-16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光驱的发光装置校正系统与方法
JP4083761B2 (ja) * 2005-07-22 2008-04-30 東芝サムスン 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記録パワー値決定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660883B1 (ko) * 2005-10-28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광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516320A (ja) * 2005-11-14 2009-04-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放射線源の電力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7948409B2 (en) * 2006-06-05 2011-05-24 Mediatek Inc.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for optical disc drive and method thereof
JP2009540482A (ja) * 2006-06-15 2009-11-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前方検知信号生成
KR100859253B1 (ko) * 2007-02-09 2008-09-18 한국원자력연구원 실시간 대구경 레이저 빔의 근시야상 검출을 위한 리니어ccd 신호처리시스템 및 방법
JP4537430B2 (ja) * 2007-07-31 2010-09-01 太陽誘電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TWI393134B (zh) * 2008-11-19 2013-04-11 Mediatek Inc 自動功率控制系統及方法以及計算起始驅動信號之方法
JP2010287264A (ja) * 2009-06-09 2010-12-24 Sony Corp レーザ駆動装置及びレーザ駆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834A (ja) * 1999-04-13 2000-10-24 Hitachi Ltd 情報の記録方法及び情報の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481B1 (en) * 1999-04-28 2003-08-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814476B2 (ja) * 2000-09-28 2006-08-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2002358640A (ja) * 2001-05-28 2002-12-13 Sony Corp 光記録装置、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834A (ja) * 1999-04-13 2000-10-24 Hitachi Ltd 情報の記録方法及び情報の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7804A1 (en) 2002-12-05
CN1231894C (zh) 2005-12-14
KR20030020932A (ko) 2003-03-10
US20040013065A1 (en) 2004-01-22
JP2002358641A (ja) 2002-12-13
US7113468B2 (en) 2006-09-26
CN1463423A (zh) 2003-12-24
TWI230377B (en)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850B1 (ko) 광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KR100880189B1 (ko) 광 기록 장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US7995441B2 (en) Real time power control for optical recording drives
JP2002288831A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30095486A1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k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US7791998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US7609601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JP2007018582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JP4048972B2 (ja) レーザパワー調整方法、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20080069158A1 (en) Laser power control technique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in and from optical disk under laser power control
US73049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laser diode in optical disc drive
US7170837B2 (en) Optical disk devic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tracking offset signal according to laser diode current or temperature
US20100165813A1 (en) Optical recording apparatus with high-speed forward laser power control (lpc)
JP329372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EP2395508A1 (e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US7787335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JP369285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300005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40165509A1 (en) Pulse shape modulation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technique using pulsed laser beam
JP2008159133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2009540482A (ja) 前方検知信号生成
US20100182883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laser power setting method
JP2006302481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