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650B1 -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650B1
KR100852650B1 KR1020060084951A KR20060084951A KR100852650B1 KR 100852650 B1 KR100852650 B1 KR 100852650B1 KR 1020060084951 A KR1020060084951 A KR 1020060084951A KR 20060084951 A KR20060084951 A KR 20060084951A KR 100852650 B1 KR100852650 B1 KR 10085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biometric information
biometric
databa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366A (ko
Inventor
기미카즈 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는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체 인증 장치(400)는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1:1 인증부(412)와, 1:1 인증부(412)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는 생체 정보 전달부(413)와,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여,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1:N 인증부(4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BIOMETRIC AUTHENTICATION PROGRAM}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생체 인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입관자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이용자가 입관할 때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이용자가 시설 내에서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이용자가 퇴관할 때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네트워크 20∼22 : 시설
100 : 입퇴관용 단말 110 : 생체 정보 센서
120 : 리더 라이터 2001∼200n : 관내 단말
210 : 생체 정보 센서 300 : 업무 서버 장치
310 : 업무 데이터베이스 400, 401 : 생체 인증 장치
410 : 제어부 411 : 의뢰 접수부
412 : 1:1 인증부 413 : 생체 정보 전달부
414: 1:N 인증부 415 : 생체 정보 비교부
416 : 생체 정보 삭제부 420 : 기억부
421 : 이용자 데이터베이스 422 : 입관자 데이터베이스
43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500 : 이용자 정보 관리 장치
1000 : 컴퓨터 1010 : CPU
1020 : 입력 장치 1030 : 모니터
1040 : 매체 판독 장치
105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1060 : RAM 1061 : 생체 인증 프로세스
1070 : 하드디스크 장치 1071 : 생체 인증 프로그램
1072 : 이용자 정보 1073 : 입관자 정보
1080 : 버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는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간편하게 또한 안전하게 본인 인증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생체 인증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생체 인증 기술은 지문이나 손바닥의 정맥 등을 센서로 판독하여 미리 등록된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본인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기술이다.
종래 이용되어 온 패스워드나 ID 카드에 의한 본인 인증에서는, 인증을 받고자 하는 사람이 패스워드를 기억하거나 ID 카드를 휴대하거나 해야 했다. 또한, 패스워드나 ID 카드의 분실이나 도난이 있었던 경우는, 제3자에 의해 부정하게 본인 인증이 행해져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생체 인증 기술에 의한 본인 인증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생체 인증 기술의 구체적인 응용예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직원이 빌딩에 입장할 때에, 그 직원이 휴대하는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지문 정보를 대조 대상으로 하여 본인 인증을 행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는, 그 지문 정보를 서버 장치 내의 일시 보존 파일에 기록함으로써, 입장 후에 IC 카드를 이용하는 일없이 인증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응용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7627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예와 같이 지문 정보 등의 생체 정보를 IC 카드에 저장하고, 이것을 대상으로 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IC 카드의 위조나변조에 의해 제3자가 마치 본인이 된 것처럼 행세하여 부정하게 인증을 받게 될 위험이 높다.
한편, 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하여 엄중하게 일괄 관리한다고 했을 경우, 등록자가 많아지면 생체 정보의 대조에 시간이 걸려 충분히 고속의 응답 시간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는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생체 정보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판독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1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과,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 내에 상기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판독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으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단계와, 상기 제1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단계에 있어서 인증이 성공한 인증 대상에 관한 정보만이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와,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며,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생체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집중 관리하면서, 식별 번호와 조합하여 생체 정보를 1:1로 대조하는 제1 인증 수단과, 제1 인증 수단으로써 인증된 사람만의 정보가 전달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생체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한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삭제 의뢰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한 생체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제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인증이 불필요하게 된 사람의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비대화를 방지하여 생체 인증의 실행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한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경우에, 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할 때에, 그 정보의 내용에 따라 저장하는 테이블을 전환하여 복수의 테이블로 분할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2 인증 수단이 대조를 행하는 대상을 한정하여 인증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생체 정보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판독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1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생체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 수단과,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식별자가 부여된 생체 정보 내에 상기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판독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생체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집중 관리하면서, 식별 번호와 조합하여 생체 정보를 1:1로 대조하는 제1 인증 수단과, 제1 인증 수단으로써 인증된 사람에게만 부여되는 식별자를 가진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여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는, 본 발명을 휘트니스 클럽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휘트니스 클럽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생체 인증 시스템은 입퇴관용 단말(100)과, 관내 단말(2001∼200n)과, 업무 서버 장치(300)와, 생체 인증 장치(400)를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10)로써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생체 인증 시스템이 휘트니스 클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각 장치의 기능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퇴관용 단말(100)은 입장 카운터에서 이용자의 입관 및 퇴관을 체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생체 정보 센서(110)와, 리더 라이터(120)를 구비한다.
생체 정보 센서(110)는 손바닥의 정맥을 판독하기 위한 센서이다. 손바닥의 정맥은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높은 인증률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체내 조직이기 때문에, 위조가 곤란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체 인증을 위생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리더 라이터(120)는 IC 카드에 기억된 이용자 ID를 판독하기 위한 센서이다. IC 카드는 휘트니스 클럽을 이용하는 이용자마다 발행되고, 그 IC 카드를 소유한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ID 등이 기억된다.
또한, 이용자 ID를 기억하는 매체를 자기 카드 등의 다른 매체로 하고, 리더 라이터(120) 대신에 그 매체에 기억된 이용자 ID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리더 라이터(120) 대신에 또는 리더 라이터(120)에 부가하여 이용자 ID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관내 단말(2001∼200n)은 휘트니스 클럽 내에서 이용자의 본인 인증 등을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생체 정보 센서(210)를 가지며, 휘트니스 클럽 내의 각종 설비에 병설된다. 생체 정보 센서(210)는 손바닥의 정맥을 판독하기 위한 센서이다.
업무 서버 장치(300)는 휘트니스 클럽의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이용 상황을 기억하는 장치로서, 업무 데이터베이스(310)를 구비한다. 업무 데이터베이스(310)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나 이용자의 이용 상황을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생체 인증 장치(400)는 입퇴관용 단말(100) 및 관내 단말(2001∼200n)의 의뢰에 따라 생체 인증 기술에 의한 본인 인증을 행하고, 의뢰처에 인증 결과를 응답하는 장치로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를 구비한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는 휘트니스 클럽의 모든 이용자의 생체 정보(이 예의 경우는 정맥 정보)와 각종 속성 정보가 이용 ID와 대응되어 미리 등록되는 데 이터베이스이다.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는 휘트니스 클럽에 현재 입관하고 있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용 ID와 대응되어 일시적으로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 및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된 생체 정보는 부정 취득되는 일이 없도록 엄중하게 관리된다.
이용자는 휘트니스 클럽에 입관하는 데 있어서, 생체 정보 센서(110)에 자신의 생체 정보를 판독하게 하고, 리더 라이터(120)에 자신이 소유한 IC 카드의 내용을 판독하게 한다. 그리고, 입퇴관용 단말(100)은 판독한 생체 정보와 이용자 ID를 생체 인증 장치(400)에 송신하여 인증을 의뢰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이용자의 입관을 허가한다.
생체 인증 장치(400)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생체 정보와 이용자 ID의 송신을 받아 본인 인증을 의뢰 받으면, 송신된 이용자 ID를 키로 하여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검색하고, 그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킨다. 그리고, 인증을 성공시킨 경우는, 인증 대상자의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 중에서 인증 대상자의 생체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생체 정보와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를 1:1로 대조하여 본인 인증을 행함으로써, 미리 다수의 생체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라도, 본인 인증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용자는 휘트니스 클럽에 입관한 후, 각종 설비를 이용하는 데 있어 서, 그 설비에 병설되어 있는 관내 단말(2001∼200n)이 구비하는 생체 정보 센서(210)에 자신의 생체 정보를 판독하게 하여 본인 인증을 받아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다.
예컨대, 체육관의 트레이닝 장치를 이용할 때에 본인 인증을 받음으로써, 측정 데이터나 평가 결과 등이 자신의 이용자 ID와 관련되어 업무 서버 장치(300)의 업무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된다. 업무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된 자신의 측정 결과 등은 본인 인증을 받은 후에 관내 단말(2001∼200n)을 조작함으로써, 과거의 정보를 포함한 분석이 더해진 형태로 출력된다.
또한, 사전 예약이 필요한 강습을 수강하는 경우, 본인 인증을 받음으로써, 업무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된 예약 정보와 자신의 이용자 ID와의 대조가 행해져 수강의 가부가 판정된다. 또한, 음식을 먹을 때에는 본인 인증을 받음으로써, 요금을 사후에 정산할 수 있다.
생체 인증 장치(400)는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생체 정보의 송신을 받아 본인 인증을 의뢰 받으면,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대조해 나간다. 그리고, 일치하는 것이 있었던 경우는 인증을 성공시키고, 그 생체 정보와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 ID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그리고, 관내 단말(2001∼200n)은 응답된 이용자 ID를 업무 서버 장치(300)로 송신하여 필요한 서비스의 실행을 의뢰한다.
이용자는 휘트니스 클럽에 입관한 후에는 IC 카드를 포함시켜 가능한 한 쓸 데없는 것을 소지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입관 후에는 IC 카드와 본인 인증을 조합한 본인 인증을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인 인증시마다 이용자 ID를 키패드 등으로부터 입력시키는 것은 이용자에게 있어서 번잡한 작업이며,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여 생체 정보 센서(210)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대조해 나가는 것으로 하면, 등록수가 다수일수록 인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고, 실용성이 부족하게 된다.
그래서, 생체 인증 장치(400)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아 인증을 성공시킨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대상자의 이용자 ID와 생체 정보를 대응시켜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해 두고,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는,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대조해 나가고, 일치하는 것이 있었을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킨다.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는 이 휘트니스 클럽에 입관하고 있는 모든 이용자의 생체 정보가 저장되지만, 그 수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의 등록수보다도 적다. 따라서,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대조 대상으로서 인증을 행함으로써, 인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 필요한 시간을 단축화하여 실용적인 범위에 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 인증 대상자는 불특정하지만,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는, 인증 대상자는 입관시에 이미 본인 인증을 받아 특정되어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는, 인증 대상자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되어 있는 사람 중 누구인지까지도 판별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보다도 정밀도를 낮추어 생체 인증을 행하고, 인증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와는 달리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고속으로 처리 가능한 인증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증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용 생체 정보와,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용 생체 정보를 이용자 ID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는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용 생체 정보를 이용자 ID와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한,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는, 입퇴관 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와는 달리 저렴하게 도입할 수 있는 인증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시스템의 도입 비용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용 생체 정보와,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용 생체 정보를 이용자 ID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는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용 생체 정보를 이용자 ID와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휘트니스 클럽으로부터의 퇴관시에 입퇴관용 단말(100)이 구비하는 생체 정보 센서(110)에 자신의 생체 정보를 판독하여 본인 인증을 받고, IC 카드의 반환 등의 퇴관 처리를 받는다. 입퇴관용 단말(100)은 퇴관을 위해 생체 정보가 판독되면, 그 생체 정보를 생체 인증 장치(400)로 송신하여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되어 있는 이 이용자의 정보를 삭제하도록 의뢰한다.
생체 인증 장치(400)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생체 정보의 송신을 받아 생체 정보의 삭제 의뢰를 받으면,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고, 송신된 생체 정보와 대조해 나가며, 일치하는 것이 있었을 경우에, 그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삭제한다. 이에 따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의 비대화가 방지되어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의 응답 시간을 짧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생체 정보 센서(110) 및 생체 정보 센서(210) 가 손바닥의 정맥 이외의 생체 정보를 판독하는 센서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들 센서는 지문 센서 등의 다른 센서라도 좋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생체 인증 장치(4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생체 인증 장치(400)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 인증 장치(400)는 제어부(410)와, 기억부(420)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제어부(410)는 생체 인증 장치(400)를 전체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의뢰 접수부(411)와, 1:1 인증부(412)와, 생체 정보 전달부(413)와, 1:N 인증부(414)와, 생체 정보 비교부(415)와, 생체 정보 삭제부(416)를 구비한다.
의뢰 접수부(411)는 입퇴관용 단말(100) 및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본인 인증 의뢰 등을 접수하고, 접수한 의뢰를 의뢰 내용에 따라 1:1 인증부(412) 또는 1:N 인증부(414)로 분류하는 처리부이다.
1:1 인증부(412)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인증 대상자의 이용자 ID와 생체 정보가 송신되고,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에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1:1 인증부(412)는 본인 인증을 의뢰 받으면, 우선, 기억부(420)의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검색하고, 송신된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 해당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이용자 ID가 부정이라는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송신된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가 취득된 경우는, 이것과 송신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비교시킨다. 그리고, 양쪽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는, 인증이 성공한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하고, 생체 정보 전달부(413)에 지시하여 인증 대상자의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기억부(420)의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게 한다. 또한, 양쪽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는, 인증이 실패인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생체 정보 전달부(413)는 1:1 인증부(412)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대상자의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는 처리부이다. 생체 정보 전달부(413)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는 정보에는 대상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ID와, 1:N 인증부(414)에 있어서의 본인 인증 처리를 위해 필요한 이 대상자의 생체 정보가 적어도 포함된다.
1:N 인증부(414)는 관내 단말(2001∼200n)로부터 인증 대상자의 생체 정보가 송신되고, 본인 인증을 의뢰 받은 경우에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1:N 인증부(414)는 본인 인증을 의뢰 받으면,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며,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비교시킨다.
그리고, 취득된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는, 일치한다고 판정된 생체 정보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이용자 ID를 수반하여 인증이 성공한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또한, 취득된 생체 정보 모 두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는, 인증이 실패인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인증 의뢰에 대한 응답 시간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에 크게 의존한다. 그래서, 1:N 인증부(414)는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의 일치가 확인되고 나서 많은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생체 정보를 우선하여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취득한다. 한번 본인 인증을 받은 이용자가 다음에 본인 인증을 받을 때까지 잠시 기간이 벌어진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1:N 인증부(414)는 입퇴관용 단말(100)로부터 인증 대상자의 생체 정보가 송신되고, 이 대상자의 정보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삭제하도록 의뢰가 있었던 경우에도 의뢰를 할당받는다. 이 경우, 1:N 인증부(414)는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등록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고,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비교시킨다.
그리고, 취득된 생체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는, 일치한다고 판정된 생체 정보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삭제하도록 생체 정보 삭제부(416)에 지시하고, 삭제가 성공한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또한, 취득된 생체 정보 모두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는, 삭제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
생체 정보 비교부(415)는 정맥 정보 등의 2개의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양쪽 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이다. 도 2에 있어서는, 생체 정보 비교부(415)가 1:1 인증부(412)와 1:N 인증부(414)에 공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1:1 인증부(412)와 1:N 인증부(414)가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해당하는 처리부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해당하는 처리부가 각각 다른 생체 인증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생체 정보 삭제부(416)는 1:N 인증부(414)의 지시에 따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특정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부이다. 어떠한 이유에 의해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의 정보의 삭제 누설이 생겨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가 비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의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정리하는 기능을 생체 정보 삭제부(416)에 갖게 하여도 좋다. 예컨대, 소정의 시각이 되면,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기억부(420)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로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를 구비한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는 인증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이용자의 정보가 미리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는 1:1 인증부(412)에서 인증된 이용자의 정보가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3은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는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ID와, 이용자의 성명 및 주소라는 이용자의 속성 정보와, 이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용 자마다 등록된다.
도 4는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는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ID와, 이용자의 생체 정보가 이용자마다 등록된다.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써 관리되고 있는 모든 항목을 유지할 필요는 없고, 처리상 필요한 항목만을 유지한다.
또한,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를 복수의 테이블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를 중요 고객용 테이블과 그 밖의 고객용 테이블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체 정보 전달부(413)는 이용자의 정보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할 때에,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 저장되어 있는 이 이용자의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어느 쪽 테이블에 저장할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1:N 인증부(414)가 중요 고객용 테이블을 우선하여 생체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요 고객용이 본인 인증을 받는 경우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켜, 중요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휘트니스 클럽에서 어떤 이용자는 체육관만을 이용하는 계약으로 되어 있고, 어떤 이용자는 수영장만을 이용하는 계약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를 체육관을 이용 가능한 이용자의 테이블과 수영장을 이용 가능한 이용자의 테이블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육관과 수영장 양쪽을 이용하는 계약으로 되어 있는 이용자의 정보는 양쪽의 테이블에 저장된다. 테이블을 분할함으로써, 각 테이블에 저장되는 정보의 건수를 감소시켜, 본인 인증 의뢰에 대한 응답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 및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는 반드시 생체 인증 장치(400) 내에 존재할 필요는 없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장치에 이들 한쪽 혹은 양쪽을 유지시켜, 생체 인증 장치(4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이들에 액세스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생체 인증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을 구비하는 시설(20∼22)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에 의해 접속하고, 이 네트워크(1)에 접속된 이용자 정보 관리 장치(500)에 유지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시설(20∼22)에서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설(20∼22)은 생체 인증 장치(400) 대신에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자기 장치 내에 갖지 않는 생체 인증 장치(401)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집중 관리하고,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를 분산 관리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시설마다 관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관리를 위한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는 데이터 항목을 인증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항목으로 좁혀 가고, 전송량을 삭감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처리의 고속화와 부하의 경감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생체 인증 시스템의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이용자가 입관할 때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이용자로부터 입관을 요구받으면, 입퇴관용 단말(100)은 리더 라이터(120)를 통해 이용자가 소유한 IC 카드로부터 이용자 ID를 판독하고(단계 S101), 생체 정보 센서(110)를 통해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102). 그리고, 판독한 이용자 ID와 생체 정보를 생체 인증 장치(400)로 송신하여 본인 인증을 의뢰한다(단계 S103).
생체 인증 장치(400)는 이용자 ID와 생체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104), 수신한 이용자 ID를 검색키로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를 검색하고, 송신된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105). 그리고, 송신된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가 취득된 경우는, 이것과 송신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비교시킨다(단계 S106).
여기서, 양쪽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는, 인증이 성공한 취지를, 양쪽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는, 인증이 실패인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단계 S107). 그리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는(단계 S108 긍정), 생체 정보 전달부(413)에 지시하여 인증 대상자의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게 한다(단계 S109).
한편, 생체 인증 장치(40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입퇴관용 단말(100)은 인증 결과에 따라 입관을 허가할지 거부할지를 결정하고(단계 S110), 업무 서버 장치(300)에 그 결과를 통지하여 기록시킨다(단계 S111).
도 7은 이용자가 시설 내에서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경우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 받으면, 관내 단말(2001∼200n)은 생체 정보 센서(210)를 통해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201). 그리고, 판독한 생체 정보를 생체 인증 장치(400)로 송신하여 본인 인증을 의뢰한다(단계 S202).
생체 인증 장치(400)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203),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미처리의 생체 정보를 1건 취득한다(단계 S204). 여기서, 모든 생체 정보를 취득 완료하면(단계 S205 긍정), 인증이 실패인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단계 S208).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미처리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던 경우는(단계 S205 부정),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비교시킨다(단계 S206). 여기서, 양쪽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는(단계 S207 긍정), 일치한다고 판정된 생체 정보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이용자 ID를 수반하여 인증이 성공한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단계 S208). 그리고, 양쪽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는(단계 S207 부정), 단계 S204에서부터 처리를 다시 한다.
한편, 생체 인증 장치(40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관내 단말(2001∼200n)은 응답이 인증의 성공을 나타내는 것이면(단계 S209 긍정), 서비스의 제공을 업무 서버 장치(300)에 의뢰하고(단계 S210), 업무 서버 장치(300)는 의뢰 받은 서비스의 제공을 행한다(단계 S211).
도 8은 이용자가 퇴관할 때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이용자로부터 퇴관 처리를 요구받으면, 입퇴관용 단말(100)은 생체 정보 센서(110)를 통해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301). 그리고, 판독한 생체 정보를 생체 인증 장치(400)로 송신하여 이 이용자의 정보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삭제하도록 의뢰한다(단계 S302).
생체 인증 장치(400)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303),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미처리의 생체 정보를 1건 취득한다(단계 S304). 여기서, 모든 생체 정보를 취득 완료하면(단계 S305 긍정), 삭제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단계 S309).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미처리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던 경우는(단계 S305 부정), 취득된 생체 정보와 송신된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비교부(415)에 비교시킨다(단계 S306). 여기서, 양쪽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는(단계 S307 긍정), 취득된 생체 정보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삭제하도록 생체 정보 삭제부(416)에 지시하고(단계 S308), 삭제가 성공한 취지를 의뢰처에 응답한다(단계 S309). 그리고, 양쪽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는(단계 S307 부정), 단계 S304에서부터 처리를 다시 한다.
한편, 생체 인증 장치(40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입퇴관용 단말(100)은 업무 서버 장치(300)에 그 응답 결과를 통지하여 기록시킨다(단계 S310).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해 온 생체 인증 장치(400)의 기능은 미리 준비된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1071)을 실행하는 컴퓨터(1000)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컴퓨터(1000)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0)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102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1030)와,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록한 기록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등을 판독하는 매체 판독 장치(1040)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50)와, 각종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1060)과, 하드디스크 장치(1070)를 버스(1080)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드디스크 장치(1070)에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41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1071)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 대응하는 이용자 정보(1072)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대응하는 입관자 정보(1073)가 기억된다. 또한,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와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의 한쪽 혹은 양쪽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컴퓨터에 기억시켜 둘 수도 있다.
그리고, CPU(1010)가 생체 인증 프로그램(1071)을 하드디스크 장치(1070)로부터 판독하여 RAM(1060)에 전개함으로써, 생체 인증 프로그램(1071)은 생체 인증 프로세스(1061)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생체 인증 프로세스(1061)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 및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부터 판독한 정보 등을 적절하게 RAM(1060) 상의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에 전개하고, 이 전개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생체 인증 프로그램(1071)은 반드시 하드디스크 장치(1070)에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CD-ROM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1000)가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공중회선,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통해 컴퓨터(10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 등에 이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컴퓨터(1000)가 이들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생체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에서 집중 관리하면서, 식별 번호(이용자 ID)와 조합하여 생체 정보를 1:1로 대조하는 1:1 인증부(412)와, 1:1 인증부(412)에서 인증된 사람만의 정보가 전달된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에 대하여 생체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는 1:N 인증부(414)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입관했을 때에 행해진 1:1 인증에 의해 인증된 생체 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입관자 데이터베이스(422)로 전달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전달하지 않고,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 내에서 1:1 인증에 의해 인증된 생체 정보에 대해서는 어떠한 식별자를 부여해 두고, 이후 행해지는 1:N 인증에 있어서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421) 내의 식별자가 부여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1:N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기 1) 생체 정보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 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판독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1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과,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 내에 상기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판독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2) 부기 1에 있어서, 삭제 의뢰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한 생체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3) 부기 1 또는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경우에, 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4) 부기 1 또는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수단은 상기 제1 인증 수단보다도 고속으로 인증 처리의 실행이 가능한 생체 인증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5) 부기 1 또는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수단은 상기 제1 인증 수단보다도 정밀도를 낮추어 고속으로 인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6) 부기 1 또는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수단은 LRU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7) 부기 1 또는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다른 생체 인증 장치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8) 부기 1 또는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인증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항목만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부기 9)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으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송신된 생체 정 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단계와,
상기 제1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단계에 있어서 인증이 성공한 인증 대상에 관계된 정보만이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와,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여,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
(부기 10) 생체 정보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판독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1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생체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 수단과,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식별자가 부여된 생체 정 보 내에 상기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판독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특히,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운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생체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집중 관리하면서, 식별 번호와 조합하여 생체 정보를 1:1로 대조하는 제1 인증 수단과, 제1 인증 수단으로써 인증된 사람만의 정보가 전달된 제2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생체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인증이 불필요하게 된 사람의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비대화를 방지하여 생체 인증의 실행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할 때에, 그 정보의 내용에 따라 저장하는 테이블을 전환하여 복수의 테이블로 분할된 상태로 저장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제2 인증 수단이 대조를 행하는 대상을 한정하여 인증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생체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집중 관리하면서, 식별 번호와 조합하여 생체 정보를 1:1로 대조하는 제1 인증 수단과, 제1 인증 수단으로써 인증된 사람에게만 부여되는 식별자를 가진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여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 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간편하게 또한 고속으로 생체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5)

  1. 생체 정보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판독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1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수단과,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 내에 상기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판독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삭제 의뢰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송신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한 생체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체 인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경우에, 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4.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단계와,
    상기 제1 인증 단계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인증 단계에서 인증이 성공한 인증 대상에 관계된 정보만이 저장되는 제2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와,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 정보를 순차 취득하여,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송신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5. 생체 정보 센서에 의해 판독된 생체 정보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생체 인증 장치로서,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여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생체 인증의 대상인 모든 생체 정보가 등록된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생체 정보와 상기 판독된 생체 정보를 대조하여 양쪽이 일치한 경우에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1 인증 수단과,
    상기 제1 인증 수단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에 대응된 생체 정보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 수단과,
    인증 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생체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식별자가 부여된 생체 정보 내에 상기 식별 번호를 수반하지 않고서 판독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인증을 성공시키는 제2 인증 수단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인증 장치.
KR1020060084951A 2006-04-28 2006-09-05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852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26807 2006-04-28
JP2006126807A JP4832951B2 (ja) 2006-04-28 2006-04-28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366A KR20070106366A (ko) 2007-11-01
KR100852650B1 true KR100852650B1 (ko) 2008-08-18

Family

ID=3822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951A KR100852650B1 (ko) 2006-04-28 2006-09-05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2396B2 (ko)
EP (1) EP1850293A3 (ko)
JP (1) JP4832951B2 (ko)
KR (1) KR100852650B1 (ko)
CN (1) CN101064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2720A (ja) * 2005-08-19 2007-03-01 Fujitsu Ltd 生体認証による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生体認証による情報処理システム
US8082446B1 (en) * 2006-11-30 2011-12-20 Media Sourcery, Inc. System and method for non-repudiation within a public key infrastructure
DK200701800A (da) * 2007-12-17 2009-06-18 Laursen Peter Biometrisk adgangssystem
JP5028143B2 (ja) 2007-05-23 2012-09-1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安全管理システム
JP4974761B2 (ja) * 2007-05-25 2012-07-11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安全管理システム
JP4992974B2 (ja) * 2007-07-11 2012-08-08 富士通株式会社 利用者認証装置、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TWM326235U (en) * 2007-07-23 2008-01-21 Inpaq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linear polarized flat antenna
JP5117865B2 (ja) * 2008-01-10 2013-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ES2338509B1 (es) * 2008-02-01 2011-03-04 Intelligent Data, S.L. Microcomputador biometrico.
JP5376493B2 (ja) * 2008-09-26 2013-12-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署名システム及び電子署名方法及び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90317B1 (ko) 2009-02-26 2016-12-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운동 시스템 및 통신을 위한 방법
JP2010244365A (ja) 2009-04-07 2010-10-28 Sony Corp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生体情報認証サーバ、生体情報認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10287124A (ja) * 2009-06-12 2010-12-24 Glory Ltd 生体照合システムおよび生体照合方法
US7698322B1 (en) 2009-09-14 2010-04-13 Daon Holding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duplicate checks with existing computer systems
JP5440121B2 (ja) * 2009-11-24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入室管理装置及び入室管理方法
CN102800138B (zh) * 2011-05-26 2016-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门禁控制的方法及装置
WO2013018216A1 (ja) * 2011-08-03 2013-02-0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管理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5791148B2 (ja) * 2011-09-14 2015-10-07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認証システム及び信頼度判定方法
CN103136817A (zh) * 2011-11-28 2013-06-05 常熟安智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掌静脉识别智能控制系统
CN103136822A (zh) * 2011-12-05 2013-06-05 常熟安智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掌静脉别墅管理系统
TW201340037A (zh) * 2012-03-30 2013-10-01 Utechzone Co Ltd 同步無間隙式多管制要件結合分離裝置
CN103390296A (zh) * 2012-05-07 2013-11-13 常熟安智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指静脉识别智能楼宇可视对讲系统
CN103390295A (zh) * 2012-05-07 2013-11-13 常熟安智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掌静脉识别智能楼宇可视对讲系统
JP2014160439A (ja) * 2013-02-21 2014-09-04 Hitachi Ltd 生体認証方法
CN103888342B (zh) * 2014-03-14 2018-09-04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及装置
US9509775B2 (en) * 2014-09-18 2016-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operative occupant sensing
KR20160080457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슈프리마 보안 구역 출입 인증 시스템 및 방법
MY186222A (en) * 2015-01-30 2021-06-30 Sicpa Holding Sa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a security article and identification of the security article user
CN104834899A (zh) * 2015-04-12 2015-08-12 合肥翔瑞车库自动化设备有限公司 智能车库门的指纹识别系统
CN106156234A (zh) * 2015-04-24 2016-11-23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生物信息识别方法、识别装置以及智能锁
JP6559024B2 (ja) * 2015-09-10 2019-08-1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機器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金融処理システム、機器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48443B1 (ko) * 2016-03-01 2020-10-14 구글 엘엘씨 핸즈프리 서비스 요청에서 얼굴 템플릿 및 토큰 프리-페치
KR20190046063A (ko) * 2017-10-25 2019-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서버
CN108280910B (zh) * 2018-01-29 2020-12-29 安徽建筑大学 一种智能建筑用楼宇门禁联动控制系统
CN108492420B (zh) * 2018-03-29 2020-06-30 成都惠网远航科技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安防系统
KR20210154999A (ko) * 2019-05-13 202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65136A1 (en) * 2020-02-27 2023-03-02 Nec Corporation Server device, conference assistance system, conference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7116372B1 (ja) 2021-05-31 2022-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認証端末、認証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54484A1 (ja) * 2021-05-31 2022-12-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ステム、サーバ装置、認証方法及び記憶媒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004A (ko) * 2000-11-29 2002-06-05 구자홍 홍채인식을 이용한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03091509A (ja) * 2001-09-17 2003-03-28 Nec Corp 携帯通信機器の個人認証方法およびそれを記述したプログラム
JP2003108984A (ja) * 2001-07-27 2003-04-11 Toshiba Corp 顔画像認識装置、通行制御装置、顔画像認識方法、及び通行制御方法
KR20040014354A (ko) * 2002-08-09 2004-02-14 유니레크 가부시키가이샤 개인 인증 장치 및 시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111A (ja) 1992-07-29 1994-02-25 Nippondenso Co Ltd 個人識別装置
US5802199A (en) * 1994-11-28 1998-09-01 Smarttouch, Llc Use sensitive identification system
US6140938A (en) * 1995-04-14 2000-10-31 Flick; Kenneth E. Remote control system suitable for a vehicle and having remote transmitter verification
US5869822A (en) * 1996-10-04 1999-02-09 Meadows, Ii; Dexter L. Automate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US6119096A (en) * 1997-07-31 2000-09-12 Eyetick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passenger check-in and boarding using iris recognition
FR2776153B1 (fr) * 1998-03-10 2000-07-28 Ordicam Rech Et Dev Procede pour l'identification securitaire d'une personne et dispositif porta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DE19824883C2 (de) * 1998-06-04 2001-08-09 Michael Harlander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trieb eines Verkaufsgeschäfts
JP3835132B2 (ja) 1999-06-29 2006-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3668089B2 (ja) * 2000-02-18 2005-07-06 株式会社山武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1236539A (ja) * 2000-02-25 2001-08-31 Oki Electric Ind Co Ltd 個人認証装置
US6496595B1 (en) * 2000-05-19 2002-12-17 Nextgenid, Ltd. Distributed biometric acc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4586237B2 (ja) * 2000-05-23 2010-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生体照合システム
KR100381621B1 (ko) * 2000-06-01 2003-04-26 남현도 신체정보가 등록된 기록매체를 이용한 보안장치 및보안검증 방법
CN1176444C (zh) * 2000-08-31 2004-11-17 株式会社阿尔发 打开门道的方法和系统
JP2004512620A (ja) * 2000-10-25 2004-04-22 カタリーナ・マーケティン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購入の許可又は不許可をバイオメトリックスを使用して決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213125A (ja) 2001-01-16 200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入退室管理システム
US20020112177A1 (en) * 2001-02-12 2002-08-15 Voltmer William H. Anonymous biometric authentication
JP2002342862A (ja) * 2001-05-16 2002-11-29 Hitachi Ltd アクセス管理システム
US6709333B1 (en) * 2001-06-20 2004-03-23 Sierra Design Group Player identification using biometric data in a gaming environment
KR100453220B1 (ko) * 2001-12-05 2004-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문 특징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CN1367459A (zh) 2002-03-12 2002-09-04 李梁海 多终端联网型指纹识别门禁系统
JP4010875B2 (ja) 2002-05-29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指紋照合付カードリーダ装置
US7155416B2 (en) * 2002-07-03 2006-12-26 Tri-D Systems, Inc. Biometric based authentication system with random generated PIN
JP4223243B2 (ja) 2002-08-06 2009-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出入管理装置
WO2004023390A1 (ja) * 2002-08-30 2004-03-18 Fujitsu Limited 電子記憶装置,認証装置および認証方法
JP2004118592A (ja) * 2002-09-26 2004-04-15 Aisin Seiki Co Ltd ユーザ認識装置
US20040064453A1 (en) * 2002-09-27 2004-04-01 Antonio Ruiz Large-scale hierarchic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for secured ingress and egress using biometrics
US7161465B2 (en) * 2003-04-08 2007-01-09 Richard Glee Wood Enhancing security for facilities and authorizing providers
US20060038655A1 (en) 2003-07-04 2006-02-23 Rudolf Hauke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devices against unauthorized access, particularly for identifying in a casino
US20050210267A1 (en) * 2004-03-18 2005-09-22 Jun Sugano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su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orrespondence confirmation method and system, object confirmation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 products for them
US20050226468A1 (en) * 2004-03-30 2005-10-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ntext awareness in a wireless system
US20060074872A1 (en) * 2004-09-30 2006-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database buffer memory management using dynamic SQL statement cache statistics
JP4373314B2 (ja) * 2004-09-30 2009-11-25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を用いる認証システム
JP4401270B2 (ja) * 2004-10-25 2010-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使用管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4672357B2 (ja) * 2004-12-20 2011-04-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
JP4804759B2 (ja) * 2005-01-11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機能を持つicカードの更新方法及びicカード更新装置
WO2006118555A1 (en) * 2005-03-31 2006-11-09 Brian Scott Miller Biometric control of equipment
US7890752B2 (en) * 2005-10-31 2011-02-15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ssociating an originator of a network packet with the network packet using biometric information
US7545961B2 (en) * 2005-12-22 2009-06-09 Daon Holdings Limited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US7986816B1 (en) * 2006-09-27 2011-07-26 University Of Alaska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 factor authentication using gaze tracking and iris scanning
JP5439770B2 (ja) * 2008-09-05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004A (ko) * 2000-11-29 2002-06-05 구자홍 홍채인식을 이용한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03108984A (ja) * 2001-07-27 2003-04-11 Toshiba Corp 顔画像認識装置、通行制御装置、顔画像認識方法、及び通行制御方法
JP2003091509A (ja) * 2001-09-17 2003-03-28 Nec Corp 携帯通信機器の個人認証方法およびそれを記述したプログラム
KR20040014354A (ko) * 2002-08-09 2004-02-14 유니레크 가부시키가이샤 개인 인증 장치 및 시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64045B (zh) 2010-07-28
US20070260887A1 (en) 2007-11-08
CN101064045A (zh) 2007-10-31
JP4832951B2 (ja) 2011-12-07
EP1850293A3 (en) 2010-02-17
US8572396B2 (en) 2013-10-29
JP2007299214A (ja) 2007-11-15
KR20070106366A (ko) 2007-11-01
EP1850293A2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50B1 (ko) 생체 인증 장치 및 생체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897709B1 (ko) 분배 장치의 사용자 액세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0287124A (ja) 生体照合システムおよび生体照合方法
JP4992974B2 (ja) 利用者認証装置、利用者認証方法および利用者認証プログラム
US20020112177A1 (en) Anonymous biometric authentication
JPH11224236A (ja) 遠隔認証システム
US20080183707A1 (en) Verification Apparatus, Verification Method and Verification Program
US200602040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CN112005231A (zh) 生物特征认证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
JP2003186845A (ja) バイオメトリクス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JP3587045B2 (ja) 認証管理装置及び認証管理システム
JP3589579B2 (ja) 生体認証装置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145179B2 (ja) 光学式読取りコードを用いた本人確認システム
JP2001014276A (ja)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117865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JP202401925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5720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03286B2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2140708A (ja) 指紋による個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12045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または制御プログラム
WO2021009969A1 (ja) 処理管理システム、処理管理装置、処理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016726A (ja) 認証装置、認証方法、扉開閉管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88936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サーバ
JP6583460B2 (ja) 認証システム
JP5355502B2 (ja) 生体情報貸出し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貸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