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157B1 -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157B1
KR100849157B1 KR1020080027956A KR20080027956A KR100849157B1 KR 100849157 B1 KR100849157 B1 KR 100849157B1 KR 1020080027956 A KR1020080027956 A KR 1020080027956A KR 20080027956 A KR20080027956 A KR 20080027956A KR 100849157 B1 KR100849157 B1 KR 10084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ub
main
detection sensor
impac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921A (ko
Inventor
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2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mounting
    • B62J45/423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mounting on or besides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2Front wheel forks or equivalent, e.g. single t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88Cycles,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62J27/20Airbag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검지 센서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경사 충돌 등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좌우 프론트 포크(1) 사이에 전륜(2)을 배치하여 차축(3)에 의해 지지한다. 좌우 프론트 포크(1)에 있어서의 차축(3)의 근방이면서 상방 위치에 메인 센서(11)를 좌우 대칭으로 마련하고, 정면 및 경사 방향의 충돌에 있어서의 충격을 검지한다. 또한, 좌우 프론트 포크(1)의 각 메인 센서(11)보다 상방에 백업용 서브 센서(12)를 좌우 대칭으로 배치한다. 이것에 따라 방향 전환 성분을 제거하면서 각 충격 검지 센서를 감도가 양호한 장소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충격 검지 센서, 프론트 포크, 자동 이륜차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ATTACHMENT STRUCTURE OF IMPACT DETECTION SENSOR OF TWO-WHEELE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충격 검지 센서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에서 소정의 충격으로 에어백을 전개시킬 때에 충격을 검지하기 위한 충격 검지 센서를 전륜의 차축 내의 조향 축선 근방에 배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78342호 공보
상기 종래예에 따르면, 충격 검지 센서는 차축 하우징 내에 있으면서 차체 중심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즉, 조향 축선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향 전환 성분을 제거하면서, 정면 충돌시에 있어서 전륜으로부터 차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차축을 통하지 않고서 처음부터 프론트 포크에 충격이 직접 입력되는 경우가 있는 경사 충돌에 대해서는 전륜의 회동에 의해 릴리프도 더해져 충격 검지 센서의 감도가 낮아지는 경우도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축과 다른 장소에 충격 검지 센서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충격 검지 센서의 배치는 정면 충돌이나 경사 충돌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는 장소에 설정해야만 하고, 또한 조향 축선에서 멀어지는 경우는 방향 전환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만 한다.
또한, 고장시의 백업을 고려하여 충격 검지 센서를 메인과 서브의 조합으로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또한 이들 다수의 센서를 더욱 용이하게 적합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원은 이들의 요망을 실현할 수 있도록 충격 검지 센서를 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에 따른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은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 사이에 차축을 매개로 전륜을 지지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좌우 프론트 포크 각각에 대하여 충격 검지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충격 검지 센서는 주체적으로 충격을 검지하는 메인 센서와, 그 백업용인 서브 센서로 구성되며, 메인 센서를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 각각의 선단부에 각각 배치하고, 또한 좌우 프론트 포크에 있어서의 각 메인 센서의 상방 위치에 서브 센서를 각각 더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충격 검지 센서는 주체적으로 충격을 검지하는 메인 센서와, 그 백업용인 서브 센서로 구성되며, 메인 센서를 좌우 프론트 포크 각각의 선단측에 각각 마련되는 충격 검지 센서로 하고, 전륜의 상방에서 좌우 프론트 포크를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에 서브 센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센서가 차체 중심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5항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프론트 포크에 마련되는 충격 검지 센서를 차체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검지 센서를 전륜 차축의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 따르면, 충격 검지 센서를 좌우의 프론트 포크에 각각 배치하였기 때문에, 충격이 전륜으로부터 차축을 통해 프론트 포크에 전달되는 정면 충돌뿐만 아니라, 최초에 프론트 포크에 충격이 입력되는 경우가 있는 경사 충돌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충격 검지 센서를 좌우의 프론트 포크에 각각 마련함으로써, 방향 전환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 따르면, 충격 검지 센서를 메인 센서와 서브 센서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메인 센서에서 주체적으로 충격을 검지하고, 서브 센서로 메인 센서를 백업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의 메인 센서의 위치가 프론트 포크의 선단부측에 있기 때문에 충돌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프론트 포크에 있어서, 각각 하방에 메인 센서, 상방에 서브 센서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서브 센서는 좌우로 배치되고, 메인 센서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 따르면, 서브 센서를 전륜의 상방에서 좌우 프론트 포크를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서브 센서를 1개만으로 할 수 있고, 사용 갯수를 삭감하여 배치를 쉽게 한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 따르면, 서브 센서를 차체 중심 상에 배치시켰기 때문에, 조향 축선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서브 센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방향 전환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의 발명에 따르면, 좌우 프론트 포크에 마련되는 충격 검지 센 서를 차체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방향 전환 성분을 정확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에 따르면, 각 충격 검지 센서를 전륜 차축의 상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충돌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이 적용된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좌우의 프론트 포크(1)는 공지된 텔레스코픽식으로서, 각각 비스듬히 올라가게 뒤로 기울도록 경사져서 마련되고, 좌우의 하단부 사이에 전륜(2)이 차축(3)을 매개로 지지된다. 차축(3)의 상부는 헤드 파이프(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5)에 의해 조향된다. ST는 조향 축선이다.
헤드 파이프(4)가 전단에 마련된 차체 프레임(6)은 차체 커버(7)로 덮이고, 그 전측 상부(7a)의 핸들(5) 근방 위치에 에어백(8)을 접어 갠 상태로 수납하는 에어백 모듈(9)이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8)의 전개는 에어백 모듈(9)에 마련된 작동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된다.
작동 제어부(10)는 프론토 포크(1)에 마련된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가 검지한 충격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백(8)의 전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들 충격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에어백(8)을 고압 가스에 의해 급속 팽창시킴으로써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한다.
도면 중의 부호 13은 브레이크 캘리퍼스, 14는 파워 유닛, 15는 리어 아암, 16은 후륜, 17은 시트이다. 도시한 시트(17)는 더블 시트로서, 이 경우에는 앞자 리의 탑승자인 운전자(18)가 전개한 에어백(8)의 보호 대상이 된다.
도 2는 전륜(2)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프론트 포크(1)는 하부 케이스(20)와 내측 튜브(21)로 이루어진 내외 2중 하우징식의 것이다. 하부 케이스(20)의 하단부는 차축(3)의 지지부(22)를 이루고, 그 상방이면서 근방에 메인 센서(11)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부착되어 있다. 메인 센서(11)를 마련하는 위치는 충돌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메인 센서(11)의 후방에는 브레이크 캘리퍼스(13)가 배치되고, 브레이크 디스크(24)와 미끄럼 접촉한다. 브레이크 캘리퍼스(13)는 차축(3)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캘리퍼스 스테이(25)에 지지된다. 메인 센서(11)는 브레이크 캘리퍼스(13) 및 캘리퍼스 스테이(25)에 의해 튀는 돌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캘리퍼스 스테이(25)의 상방에는 서브 센서(12)가 역시 하부 케이스(20)의 후방측에 부착되어 있다. 서브 센서(12)의 상단은 전륜(2)의 림(rim; 26)에 대하여 그 내측에 위치한다. 이 위치는 충격 검지에 있어서의 감도가 메인 센서(11)와 동일해지는 위치이다. 또한, 메인 센서(11)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캘리퍼스(23) 및 캘리퍼스 스테이(25)에 의해 튀는 돌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도면 중의 27은 하부 브리지이고, 28(도 1)은 상부 브리지이다.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는 각각 측부에 플랜지(30, 31)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20)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보스(32)에 대하여 볼트(3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34는 신호선으로서, 그 일단부는 커플러(35)에 의해 서브 센서(12)의 상부에 접속된다. 메인 센서(11)측도 동일하다. 신호선(34)은 클 립(36)에 의해 하부 케이스(20)에 구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센서(11)와 서브 센서(12)를 공통의 케이스(37) 내에 상하로 수납하고, 이 케이스(37)의 개구부 근방이 되는 측부에 마련된 플랜지(38)를 하부 케이스(20)의 보스(32)에 볼트(33)(모두 도 2 참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부착 지점 및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센서(11)와 서브 센서(12)를 각각의 케이스에 수용하여 부착하여도 좋다.
도 4는 차체의 전후 방향에서 전륜(2)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차체 중심선(C)은 조향 축선(ST)과 겹치고, 차축(3)의 좌우 방향 중간점, 즉 차체 중심을 통과하고 있다. 메인 센서(11)는 좌우 프론트 포크(1, 1)에 있어서의 차축(3) 근방이면서 그 상방 위치에 마련되고, 차체 중심선(C)[조향 축선(ST)]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위치한다.
서브 센서(12)는 좌우 각각의 프론트 포크(1, 1)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센서(11)보다 상방이면서 전륜(2)의 상단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마련되고, 역시 조향 축선(ST)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다.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는 가속도 검출 타입의 공지된 충격 검지 센서로서, 이 중, 메인 센서(11)는 차축(3)의 근방에 위치하며, 정면 충돌 등에 있어서의 각종 방향의 충돌시의 충격을 주체적으로 검지하고, 이것을 작동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서브 센서(12)는 메인 센서(11)의 고장시 등에 있어서의 백업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역시 충돌시의 검지 신호를 작동 제어부(10)로 보낸 다.
작동 제어부(10)는 좌우의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의 각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충격이 충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10은 작동 제어부(10)에 있어서의 충돌 판정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충돌 판정 처리를 도시한 것이지만, 후술하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서브 센서(12)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도, 메인 센서(11)측에 대해서는 동일하며, 단지 서브 센서(12)에 대해서 후술하는 평균화 처리가 생략될 뿐이다.
도 10에 있어서, 좌우의 메인 센서(11)(이하, G 센서/R 및 G 센서/L로 함)의 각 검지 신호는 작동 제어부(10)로 보내지고, 여기서 우선 좌우의 검출값이 평균화된다(S1). 이 평균화는 방향 전환 성분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방향 전환시에 스티어링축 등이 핸들 스토퍼에 부딪힐 때에 발생하는 충격(G)을 없앨 수 있다.
다음에, 평균화된 값에 기초하여 충돌(G)(충돌시의 가속도, 이하 동일)을 연산하고(S2), 이 연산 결과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비교기(10a)로 비교한다. 연산한 충돌(G) 쪽이 임계값보다도 크면, 플러스(+)의 비교 신호를 AND 소자(10c)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마이너스(-)의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좌우의 서브 센서(12)(이하, G 센서/R 및 G 센서/L로 함)의 각 검지 신호도 동작 제어부(10)로 보내지고, 여기서 동일하게 평균화되며(S3), 평균화된 값에 기초하여 충돌(G)을 연산하고(S4), 이 연산 결과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비교기(10b)로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는 동일하게 처리되고, 연산한 충 돌(G) 쪽이 임계값보다도 크면, 플러스(+)의 비교 신호를 AND 소자(10c)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마이너스(-)의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측의 각각의 비교값은 AND 소자(10c)에서 판정되며, 양쪽의 비교값이 +일 때에만 충돌이라고 판단하여 충돌 신호를 CPU(1Od)로 보내고, 여기서 에어백(8)을 전개시키기 위한 동작 지령이 행해진다. 양쪽의 비교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 아닌 경우는, 충돌이라고 판정되지 않아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좌우의 메인 센서(11)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현저히 다르거나, 서브 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에 대하여, 메인 센서(11)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현저히 작은 값인 등의 소정 조건일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와는 별도의 도시하지 않은 에러 판정 처리에 의해 메인 센서(11)가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메인 센서(11)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서브 센서(12)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을 판단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서브 센서(12)는 메인 센서(11)의 백업용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정면 충돌 등에 있어서, 충격이 전륜(2)으로부터 차축(3)을 통해 프론트 포크(1)로 전달되면, 메인 센서(11)는 이것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작동 제어부(10)로 보낸다. 이 때, 메인 센서(11)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는 충돌에 대하여 가장 고감도가 되는 프론트 포크(1)의 선단부 근방이면서 차축(3)의 상방 위치이기 때문에, 정면 충돌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경사 충돌에 있어서 프론트 포크(1)에 처음으로 충격이 입력되어도 메인 센서(11)는 프론트 포크(1)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센서(11)는 좌우 프론트 포크(1)에 조향 축선(ST)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 충돌에 대해서도 방향 전환 성분을 제거할 수 있어,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륜(2)으로부터 차축(3)을 통해 프론트 포크(1)로 충격이 전달되는 정면 충돌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프론트 포크(1)에 충격이 입력되는 경우가 있는 경사 충돌도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충격 검지 센서인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를 각각 좌우 프론트 포크(1)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메인 센서(11) 및 서브 센서(12) 각각의 방향 전환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와 동일한 도면이다. 또한, 이전 실시예와 공통인 부분에는 공통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극력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좌우 프론트 포크(1, 1) 사이에 걸쳐진 크로스 부재(40)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 서브 센서(12)를 1개만 마련하고 있다. 서브 센서(12)는 차체 중심선(C)[조향 축선(ST)] 상에 위치하고 있다.
크로스 부재(40)는 전륜(2)의 상단보다 약간 상방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며, 좌우의 프론트 포크(1)를 연결함으로써 프론트 포크(1)의 보강도 되고 있다. 이 크로스 부재(40)로서 하부 브리지(27)(도 2)를 대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서브 센서(12)가 크로스 부재(40)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 서의 차체 중심선(C)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조향 축선(ST)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서브 센서(12)에 대한 방향 전환의 영향을 아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 갯수를 1개만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갯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센서(12)를 반드시 차체 중심선(C) 상에 배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방향 전환의 영향을 그다지 고려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서브 센서(12)를 1개만 사용할 수 있다. 방향 전환 성분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는 좌우 대칭으로 2개 마련한다. 어느 쪽의 경우도 크로스 부재(40)의 좌우 폭을 전부 사용하여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배치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6 내지 도 9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서브 센서(12)를 1개만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 5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다. 도 6은 프론트 포크(1)의 하부 케이스(20)의 측면을 나타내고, 그 전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긴 지지 플레이트(50)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0)의 하부에는 플랜지(51)가 일체로 마련되고, 이 플랜지(51)에 의해 전방이 덮여진 상태로 메인 센서(11)가 볼트(5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0)의 상부는 하부 케이스(20)의 상부 전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는 보스(53)에 대하여 볼트(54)에 의해 측방에서 부착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0)의 하부는 하부 케이스(20)의 하단부 주위에 부착되는 고정 밴드(5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0a는 차축 홀더로서, 하부 케이스(2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차축(3)을 유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밴드(55)는 한 쌍의 반원호형 부재로서, 하부 케이스(20)의 하단부 주위에 서로의 반원호형부(56)를 마주보게 하여 겹치게 하는 동시에, 각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후의 단부(57) 중, 지지 플레이트(50)의 하부를 전측의 단부(57) 사이에 두고, 볼트(58) 및 너트(59)에 의해 함께 체결하고 있다. 또한, 후측의 각 단부(57)는 직접 볼트(58) 및 너트(59)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방측에 상태가 좋은 보스(5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지지 플레이트(50)의 상방측도 고정 밴드(55)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51)는 거의 직각으로 측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메인 센서(11)는 전방측이 플랜지(51), 내방측이 지지 플레이트(50), 그리고 후방측이 하부 케이스(20)로 덮어져 튀는 돌 등에 대한 보호가 보다 확실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축 홀더(20a)를 마련함으로써, 하부 케이스(20)의 후방에 메인 센서(11)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하부 케이스(20)의 전측에 용이하게 지지부를 마련할 수 있다.
도 8은 좌우의 하부 케이스(2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좌우의 하부 케이스를 상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크로스 부재(40)의 좌우 양단에는 반원호형의 브래킷(60)을 볼트(61)에 의해 측방에서 체결함으로써, 부착 구멍(62)(도 9)을 형성하고, 이 안으로 삽입된 하부 케이스(20)의 상단 대경부(大 徑部) 외주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크로스 부재(40)의 전측 단부면 중앙(63)에는 서브 센서(12)가 가로로 긴 상태로 전방에서 볼트(64)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서브 센서(12)는 길이 방향 중간부가 차체 중심선(C)과 겹치도록 차체 중심선(C)에 걸쳐 좌우로 길 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부재(40)의 전방부는 전측 단부면 중앙(63)이 후방으로 1단 낮게 되어 있고, 서브 센서(12)의 좌우 방향 양측은 브래킷(60)의 전반측 부분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센서(11)와 서브 센서(12)를 마련하면, 전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각 센서를 용이하게 또한 부착측 등의 주변의 다른 부재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보호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원리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륜(2)의 단차 통과시에 있어서의 충격으로서 메인 센서(11)가 충돌로 검지해 버리는 큰 노이즈에 대해서도 서브 센서(12)의 부착 위치를 메인 센서(11)보다도 약간 감도가 낮아지는 위치에 마련하면, 단차 통과시에 있어서의 노이즈를 메인 센서(11)가 검지하여도 서브 센서(12)가 검지하지 않는 한, 충돌 판정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이외의 각종 형식의 자동 이륜차에 적용할 수 있고, 프론트 포크의 형식은 도립형(倒立型)이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충격 검지 센서는 에어백 전개 판정용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에어백 재킷(탑승자 장착용 에어백)과 같은 다른 부재의 작동 판정에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이 적용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륜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
도 3은 충격 센서의 부착에 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차체 전방에서 전륜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하부 케이스의 정면도.
도 9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작동 제어부에 있어서의 충돌 판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포크
2 : 전륜
3 : 차축
8 : 에어백
10 : 작동 제어부
11 : 메인 센서
12 : 서브 센서
40 : 크로스 부재
50 : 지지 플레이트

Claims (5)

  1.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 사이에 차축(3)을 매개로 전륜(2)이 지지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좌우 프론트 포크(1)에 대하여 각각 충격 검지 센서를 배치하며,
    상기 좌우 프론트 포크(1)에 마련되는 충격 검지 센서를 차체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검지 센서는 주체적으로 충격을 검지하는 메인 센서(11)와, 이 메인 센서의 백업용인 서브 센서(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센서(11)를 상기 좌우 프론트 포크(1) 각각의 선단측에 각각 배치하고, 또한 상기 좌우의 프론트 포크(1)의 상기 각각의 메인 센서(11) 상방 위치에 상기 서브 센서(12)를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검지 센서는 주체적으로 충격을 검지하는 메인 센서(11)와, 이 메인 센서의 백업용인 서브 센서(12)로 이루어지며,
    좌우 프론트 포크(1)에 대하여, 각각의 선단측에 각각 메인 센서(11)를 배치하고, 또한 전륜의 상방에서 좌우 프론트 포크(1)를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40)에 서브 센서(12)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센서(12)는 차체 중심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검지 센서를 전륜 차축(3)의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KR1020080027956A 2005-09-06 2008-03-26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KR100849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7984 2005-09-06
JP2005257984A JP4648135B2 (ja) 2005-09-06 2005-09-06 自動2輪車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166A Division KR20070027439A (ko) 2005-09-06 2006-08-29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921A KR20080033921A (ko) 2008-04-17
KR100849157B1 true KR100849157B1 (ko) 2008-07-30

Family

ID=37770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166A KR20070027439A (ko) 2005-09-06 2006-08-29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KR1020080027956A KR100849157B1 (ko) 2005-09-06 2008-03-26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166A KR20070027439A (ko) 2005-09-06 2006-08-29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58256B2 (ko)
JP (1) JP4648135B2 (ko)
KR (2) KR20070027439A (ko)
CN (1) CN1927639B (ko)
AU (1) AU2006203357B2 (ko)
BR (1) BRPI0603674B1 (ko)
CA (1) CA2555938C (ko)
DE (1) DE102006040389B4 (ko)
FR (1) FR2890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7090A1 (en) * 2007-03-08 2008-09-11 Brian Edward Bodkin Motorcycle safety designs
JP4993287B2 (ja) * 2007-03-30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乗員保護装置
WO2009003854A2 (de) * 2007-07-04 2009-01-08 Takata-Petri Ag Motorradgassäcke, motorräder mit solchen gassäck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otorradgassacks und verfahren zum schutz eines fahrers eines motorrads im crashfall
US20090055053A1 (en) * 2007-08-26 2009-02-26 Yoram Carmeli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motorcycle rider
JP4498408B2 (ja) * 2007-12-27 2010-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DE602008003512D1 (de) 2007-12-27 2010-12-30 Honda Motor Co Ltd Grätschsitz-Fahrzeug mit Airbag
FR2929588B1 (fr) * 2008-04-02 2010-09-17 Cycles Lapierre Systeme de suspension pour bicyclette.
FR2936470B1 (fr) 2008-09-30 2011-07-15 Api Systeme de protection a coussin d'air pour vehicules motorises sans cellule de survie
JP2011073633A (ja) 2009-09-30 2011-04-14 Hond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5525881B2 (ja) * 2010-03-23 2014-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ジャケット作動装置
CN102442380B (zh) * 2010-10-08 2013-12-25 苏州益高电动车辆制造有限公司 车辆安全防撞装置
ITVR20110209A1 (it) * 2011-11-24 2013-05-25 Cefriel Societa Consortile A Respon Sabilita Limit Dispositivo di rilevamento d'urto.
ITVR20110210A1 (it) * 2011-11-24 2013-05-25 Cefriel Societa Consortile A Respon Sabilita Limit Dispositivo di rilevamento d'urto.
JP5914163B2 (ja) * 2012-05-22 2016-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バッグ起動判定装置
DE102012221188A1 (de) * 2012-11-20 2014-05-2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Fahrzeug
WO2015151012A1 (en) * 2014-03-31 2015-10-08 Dainese S.P.A. Impact detection device
WO2015159197A1 (en) * 2014-04-14 2015-10-22 Dainese S.P.A. Impact detection device
JP6148305B2 (ja) * 2015-09-30 2017-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9562806B (zh) * 2016-08-31 2020-07-2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跨骑型车辆
JP7237593B2 (ja) * 2016-12-01 2023-03-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傾斜車両
JP6736596B2 (ja) * 2018-03-16 2020-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JP7186867B2 (ja) * 2018-09-24 2022-12-09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二輪車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873049B2 (en) 2019-09-30 2024-01-16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for saddled vehicle
JP6967092B2 (ja) * 2020-01-16 2021-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11697466B1 (en) * 2021-09-23 2023-07-11 Stephen Shelton Motorcycle integrated safety system
DE102022117411A1 (de) 2022-07-13 2024-01-18 Porsche Ebike Performance Gmbh Überwach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342A (ja) * 1998-03-30 1999-10-12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084A (ja) * 1984-05-26 1985-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輪角減速度センサの支持・駆動装置
DE8508646U1 (de) * 1985-03-22 1985-06-27 Sporner, Alexander, Dr.-Ing., 8000 München Auffang- und Ablenkeinrichtung für Aufsassen von motorisierten Zweiradfahrzeugen
US4989922A (en) * 1988-11-23 1991-02-05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of anti-lock brake control for motorcycle vehicle
JP3685872B2 (ja) * 1996-06-11 2005-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バッグの圧力調整装置
JP2001165949A (ja) * 1999-09-30 2001-06-22 Honda Motor Co Ltd 車輪速度検出装置
US8366787B2 (en) * 2000-08-04 2013-02-05 Depuy Products, Inc. Hybrid biologic-synthetic bioabsorbable scaffolds
JP3801883B2 (ja) * 2001-07-17 2006-07-26 株式会社アクティブ ディバイス 衝突物進行方向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利用した二輪車用衝突安全装置
US7073619B2 (en) * 2001-12-19 2006-07-11 Universal Propolusion Company Vehicle frontal airbag system
JP4339549B2 (ja) * 2002-04-11 2009-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28264A1 (de) * 2002-06-25 2004-01-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ensoranordnung zum Auslösen eines Airbags für Motorräder
DE10238526A1 (de) * 2002-08-22 2004-03-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eigungserkennung
DE10309328A1 (de) * 2003-03-04 2004-09-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Crashsensorik für Motorräder
JP4414257B2 (ja) * 2004-03-23 2010-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輪速センサ取付け構造
JP4805570B2 (ja) * 2004-12-27 2011-11-02 株式会社ショーワ 二輪車のフロントフォー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342A (ja) * 1998-03-30 1999-10-12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03357A1 (en) 2007-03-22
KR20070027439A (ko) 2007-03-09
JP4648135B2 (ja) 2011-03-09
JP2007069699A (ja) 2007-03-22
FR2890353B1 (fr) 2010-10-29
CN1927639A (zh) 2007-03-14
BRPI0603674A (pt) 2007-04-27
US20070051551A1 (en) 2007-03-08
CA2555938C (en) 2009-12-22
CN1927639B (zh) 2010-08-11
CA2555938A1 (en) 2007-03-06
FR2890353A1 (fr) 2007-03-09
DE102006040389B4 (de) 2017-05-24
DE102006040389A1 (de) 2007-04-05
US7658256B2 (en) 2010-02-09
KR20080033921A (ko) 2008-04-17
BRPI0603674B1 (pt) 2016-11-22
AU2006203357B2 (en)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157B1 (ko) 자동 이륜차의 충격 검지 센서 부착 구조
US9604687B2 (en) Vehicle
JP4459084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付きの車両
JP2007062470A (ja) 操舵装置
US11794840B2 (en) Straddle type vehicle
EP3156312B1 (en) Vehicle
JP2007118842A (ja)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および車両
JP2006232216A (ja) 低床式小型車両におけ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7065532A (ja) 車両
JP2001219884A (ja) 鞍乗型車両用エアバック装置
EP2305520B1 (en) Airbag device for saddle-ride type vehicle
JP4040488B2 (ja) タイヤ空気圧検知装置の取付構造
JP4574381B2 (ja) 自動二輪車の運転者用ステップ構造
JP2009220667A (ja) 電動自転車
EP3786044B1 (en) Airbag device for saddle-type vehicles
JP6547064B2 (ja) 鞍乗型車両
EP3828066B1 (en) Airbag device for saddle-type vehicle
JP2009052918A (ja) タイヤ作用力検出装置
JP2012250624A (ja) 鞍乗り型車両
JPWO2019180829A1 (ja) 鞍乗型車両
JP2012250624A5 (ko)
EP3569485A1 (en) Transmission for saddled vehicle
CN113423632B (zh) 电动车辆
JP6002080B2 (ja) 車輪速検出機構
JP2005053273A (ja) 衝突センシ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