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691B1 -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691B1
KR100845691B1 KR1020020071568A KR20020071568A KR100845691B1 KR 100845691 B1 KR100845691 B1 KR 100845691B1 KR 1020020071568 A KR1020020071568 A KR 1020020071568A KR 20020071568 A KR20020071568 A KR 20020071568A KR 100845691 B1 KR100845691 B1 KR 10084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lm
heat
shrinka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337A (ko
Inventor
이규존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2007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6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A(terephthalic acid), IPA(Isophthalic acid) 및 NDA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이상의 디카르본산 화합물, 및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1,4-시클로디메탄올을 포함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펜타에리트리톨의 존재하에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수지 내 이산화티탄을 전체 수지의 14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98 내지 90 중량%(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 2 내지 10 중량% 를 블렌딩하여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조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초기 수축률 및 수축 응력이 적절하고, 시간에 따른 상기 수축률 및 수축 응력의 변화도 거의 없어 유리 또는 페트병에 라벨링한 경우, 그 직후 또는 장기간 보관후에도 라벨링 상태가 우수하며, 페트병등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수려하고 인쇄적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라벨링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Co-polyester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rmal-shrinkage film for label}
본 발명은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A(terephthalic acid), IPA(Isophthalic acid) 및 NDA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이상의 디카르본산 화합물, 및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1,4-시클로디메탄올을 포함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펜타에리트리톨의 존재하에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수지 내 이산화티탄을 전체 수지의 14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98 내지 90 중량%(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 2 내지 10 중량% 를 블렌딩하여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리 또는 각종 플라스틱 용기의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으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이하 "PVC"라 함), 폴리스티렌(이하 "PS"라 함)계 및 폴리에스테르의 일축 연신 필름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중, PVC계 필름은 비교적 저온에서 열수축이 가능하고, 수축이 일어나는 온도 범위가 넓을 뿐만 아니라, 인쇄특성도 양호하여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낮고, 소각처리 시에 염화수소가스가 발생시키는 등 환경오염를 야기하기 때문에, 현재 그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VC계 필름의 대체용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필름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페트병의 경우, 온수 살균 소독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페트병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음료업계가 비용절감의 차원에서 온수살균 공정을 생략한, 무균충전방식을 채용함에 따라, 비(非)내열성 페트병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비내열성 페트병의 경우에 약 80℃ 이상의 온도에서는 체적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80℃ 이하의 온도에서도 높고 균일한 수축률을 얻을 수 있는 라벨용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자체의 높은 결정성 때문에 PVC 등 다른 소재의 필름에 비해 수축 개시온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수축 개시온도에서 수축률이 급격히 증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불균일한 라벨링 및 페트병에의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필름에 대한 각종의 개량된 방법(참조: 일본 특개소51-88550호, 특개소61-64430호, 특개소63-7573 호, 특개소63-156833호, 특개소63-202429호, 특개평5-305667호, 특개평11-246684호 및 미국특허 제4093603호)이 제안되어 있는 바, 상기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이하 "TPA"라 함) 및 그 유도체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이하 "EG"라 함)을 반응시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라 함)수지를 제조할 때, 이소프탈산, 디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이하 "PDO"라 함), 네오펜틸글리콜(이하 "NPG"라 함)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하 "CHDM"이라 함)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화합물을 공중합한 비정질의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방법이거나, 혹은, PET 수지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또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블렌딩함으로써 수축률을 높게 하고 열봉합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수축률을 높이고 수축 불균일을 어느 정도 개선하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개선은 아니며, 특히 수축필름을 장기간 보관 저장 후 사용할 경우에는, 흡습에 의한 수축응력 현저한 증가 및 이에 따른 형태 변형 등 수축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결국 수축필름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현재 이러한 흡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친수성 말단기의 30% 이상을 1가의 카르본산 및/또는 1가의 알콜로 부분 봉쇄하거나(일본 특개소64-234419호), PET 수지의 카르복실 말단을 알킬페닐에테르로 부분 봉쇄하여(일본 특개평3-100018호) 흡습성을 낮추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는데, 상기 방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만족스런 흡습방지 효과도 가져오지 못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인쇄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인쇄시 백색 인쇄를 먼저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필름의 백색도가 떨어져 미려한 인쇄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는 비교적 저온을 포함한 넓은 온도범위에서, 수축시킬 수 있고, 수축률 및 수축 응력이 적절하며, 라벨링 후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그 수축특성에 변화가 없어 우수한 라벨링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필름의 백색도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라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라벨용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수득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디카르복시산 화합물, 및 특정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다관능성인 펜타에리트리톨,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1,4-시클로디메탄올과 함께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수지 내에 이산화티탄 (Titanium dioxide: 이하 "TiO2"라 함)을 포함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특정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블렌딩하여 수축필름을 제조할 경우, 열수축 변화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 저장 후에도 상기 특성이 유지되어 균일한 수축 발현을 할 수 있으며, 미려한 인쇄가 가능한 필름의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열수축 특성, 우수한 보관안정성 및 인쇄적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A, IPA(Isophthalic acid) 및 NDA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이상의 디카르본산 화합물, 및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1,4-시클로디메탄올을 포함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펜타에리트리톨의 존재하에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수지 내에 이산화티탄을 전체 수지의 14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98 내지 90 중량%(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 2 내지 10 중량%를 블렌딩하여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가 주된 반복단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일종으로, a) 디카르복시산 화합물 및, b)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다관능성인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네 오펜틸글리콜 또는 1,4-시클로디메탄올의 존재 하에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수지 조성물 내에 이산화 티탄을 포함한 수지이다.
상기 a) 디카르복시산 화합물은, TPA, IPA(Isophthalic acid) 및 NDA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2 이상 조합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TPA를 사용한다.
상기 b)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은 80 내지 65몰%(여기서 "몰%"는 전체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100몰%라 한 경우의 몰의 백분율이다)의 EG, 15 내지 25몰%의 NPG 및 5 내지 10몰%의 CHDM를 포함한다(TPA 100몰% :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 100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산화티탄(TiO2)은 평균입경이 0.5 내지 5 ㎛ 범위이며, 전체의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1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로 사용한다. 상기 크기가 5㎛ 초과일 경우는 반사율이 떨어져 외관이 불량하며, 0.5㎛ 미만일 경우는 응집이 발생하여 제막공정 중에 파단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가격이 비싸 경제적으로도 좋지 않다. 아울러,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15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색상의 미려함이 떨어지며, 4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백색도의 증가가 크지 않을 뿐 만 아니라 응집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산화티탄은 디카르복시산과 디히드록시화합물의 중합시 혼합될 수도 있고 중합 후, 수득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물에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의 펜타에리트리톨은, 전체 히드록시 화합물을 100몰%라 하였 을 때, 0.007 내지 0.045 몰%, 바람직하게는 0.014 내지 0.028 몰%의 양으로 사용하는 바, 상기 양이 0.007 몰% 미만일 경우에는 연신성 향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0.045 몰% 초과일 경우에는 가교(crosslinking)에 의한 수지의 용융점도 상승이나 응집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공지된 용융 중축합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바, 양호한 압출성형능을 위해 중합시 25℃의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중량비 3/2)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한 극한점도를 0.55 내지 0.85 dl/g의 범위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분자량 40,000 내지
100,000인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을 그라프트 시켜 수득한다.
상기 화합물은 0.1 내지 3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그라프트시키며, 공지된 모든 그라프트 중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수 말레인산이 3중량% 보다 많이 그라프트되면 수지의 색상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좋지 않으며, 0.1 중량% 보다 적게 그라프트된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그라프트 공중합시, 벤조일퍼옥사이드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등의 과산화물을 개시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용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98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95 중량%에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2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를 블렌딩하여 제조한다. 상기 변성폴리프로필렌 수지가 2 중량%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흡습 방지특성 및 보관안정성을 달성하기 어려운 반면, 상기가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필름의 수축률이 크게 저하되고 필름의 투명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T-다이법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융압출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은 다음,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한쪽 방향, 구체적으로, 필름 진행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3 내지 5.5 배 정도로 연신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지된 가열 열수축 터널법을 사용하여 페트병에 라벨링하는 바, 이 때, 열수축 터널 내의 가열온도는, 라벨이 실제 받는 온도가 70 ℃ 내지 100℃가 되도록 조절한다. 이 경우 열원의 온도는 150 내지 400℃의 범위로 조절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필름에 대해, 수축률, 수축응력, 라벨상태의 평가 및 반사율의 평가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한다.
□ 수축률
필름을 80±0.05 ℃의 글리세린 액(물 중탕) 중에서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30초 동안 열수축시켜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수축률을 측정한다:
수축율={(수축전 필름의 길이-수축후 필름의 길이)/수축전 필름의 길이}×100(%)
□ 수축응력 측정
Testrite MKV Shrinkage Force Tester(Woodfield Works 사 제조)를 사용하여, 가로방향(Transverse Direction, 이하 "TD"라 함)의 필름 시편을 300 mm × 20 mm 크기로 제작하여 시편의 양 끝을 클램프에 고정시킨 후 80℃의 등온상태에서 2분간 유지하면서, 제조 직후 및 3개월 후의 수축응력을 측정한다.
□ 페트병에서의 라벨상태 평가
본 발명에서의 저온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종래의 가열 열수축터널법에 의해, 페트병에 라벨링한 후 페트병의 변형 정도, 라벨의 상하 수평라인의 편차 정도, 라벨의 주름상태 및 페트병에의 밀착도등을 고려하여, 육안을 사용하여 라벨 상태를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한다:
◎:매우 우수,
○:우수,
△:보통,
×:좋지 않음.
□ 반사율 평가
광원색차계(일본 전색공업 주식회사, Model : SZS-Σ80)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파장 중 440 nm 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한다.
실시예 1 내지 3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 TPA 100몰%를 사용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난 비율로, 디히드록시 화합물 성분으로서 EG, NPG 및 1,4-CHDM를 사용하며 펜타에리트리톨를 첨가하고, TiO2를 혼합하여 공중합하였다. 25℃의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중량비 3/2)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한 극한 점도 0.70 dl/g의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지에, 개시제로 벤조일퍼옥사이드 0.1중량% 사용하여 무수말레인산을 2중량% 그라프트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하기 표 1의 비율(상기 수지 대비)로 블렌딩하고, 통상의 T-다이법으로 성형하여 필름을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필름의 제조 직후 및 제조 3개월 후의 수축률, 수축응력, 반사율을 측정하고, 통상의 열수축 터널법을 이용해 80℃의 온도에서 페트병에 라벨링한 다음 라벨상태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필름의 경우, 제조 직 후, 수축률이 높고, 수축응력이 낮아 열수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 3개월 후에도 상기 우수한 열수축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페트병에 라벨링한 직후는 물론 3개월 경화후에도 페트병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반사율 도 낮아 미려한 인쇄가 가능하고, 라벨상태도 시간경과에 관계없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펜타에리트리톨의 양을 0.014 몰%로 하고,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지 않으며, 변성 프로필렌을 2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열수축용 필름을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필름의 제조 직후 및 제조 3개월 후의 수축률, 수축응력, 반사율을 측정하고, 통상의 열수축터널법을 이용해 페트병에 라벨링한 다음 라벨상태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로부터, 코폴리에스테르내에 이산화티탄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수축율 등의 수축특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반사율의 면에서 매우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펜타에리트리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열수축용 필름을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필름의 제조 직후 및 제조 3개월 후의 수축률, 수축응력, 반사율을 측정하고, 통상의 열수축터널법을 이용해 페트병에 라벨링한 다음 라벨상태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로부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내에 펜타에리트리톨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수축률의 증가가 현저할 뿐 아니라, 페트병에 라벨링 시, 시간 경과에 따라 페트병의 변형이 심하고, 라벨링 상태가 매우 좋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펜타에리트리톨을 0.014몰% 사용하고,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열수축용 필름을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필름의 제조 직후 및 제조 3개월 후의 수축률, 수축응력, 반사율을 측정하고, 통상의 열수축터널법을 이용해 페트병에 라벨링한 다음 라벨상태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로부터, 코폴리에스테르 내에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딩하지 않은 경우, 시간 경과시 수축률의 증가가 현저할 뿐아니라, 수축응력도 크게 증가해 장기 보관의 경우, 페트병의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고, 라벨상태도 매우 좋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펜타에리트리톨을 사용하지 않고,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열수축용 필름을 수득하였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필름의 제조 직후 및 제조 3개월 후의 수축률, 수축응력, 반사율을 측정하고, 통상의 열수축터널법을 이용해 페트병에 라벨링한 다음 라벨상태를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로부터, 펜타에리트리톨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수축률 및 수축 응력의 시간경과에 따른 증가가 현저하여 장기 보관시 페트병의 변형이 심할 뿐 아니라 라벨의 상태도 매우 좋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디히드록시화합물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성분비(몰%) TiO2 (중량%) 변성 폴리프로필렌 (중량%)
EG NPG CGDM 펜타에리트리톨
실시예 1 77.993 15 7 0.007 25 3
실시예 2 77.986 15 7 0.014 25 2
실시예 3 77.972 15 7 0.028 25 2
비교예 1 77.986 15 7 0.014 - 2
비교예 2 78 15 7 - 25 2
비교예 3 77.986 15 7 0.014 25 -
비교예 4 78 15 7 - 25 -

수축률(%) 수축응력(N) 페트병 변형유무 반사율(%) 라벨 상태
직후 3개월 후 직후 3개월 후 직후 3개월 후 직후 3개월 후
실시예 1 41 42 5.9 6.2 94.0
실시예 2 38 38 5.5 5.7 94.5
실시예 3 36 38 5.4 5.6 93.6
실시예 4 39 39 5.4 5.6 59.7
실시예 5 45 49 7.8 9.7 93.1
실시예 6 44 48 7.4 8.0 91.1 ×
실시예 7 41 47 7.3 9.0 90.5 ×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조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초기 수축률 및 수축 응력이 적절하고, 시간에 따른 상기 수축률 및 수축 응력의 변 화도 거의 없어 유리 또는 페트병에 라벨링한 경우, 그 직후 또는 장기간 보관후에도 라벨링 상태가 우수하며, 페트병등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수려하고 인쇄적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라벨링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TPA, IPA(Isophthalic acid) 및 NDA(Naphthalene dicarboxyl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이상의 카르본산 화합물, 및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1,4-시클로디메탄올을 포함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펜타에리트리톨의 존재하에 공중합하여 제조하고 수지 내에 이산화티탄을 전체 수지의 14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98 내지 90 중량%(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 2 내지 10 중량%블렌딩하여 제조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은, 전체 혼합물을 100몰%라 하였을 때, 79.993몰% 내지 65몰% 의 에틸렌 글리콜, 15 내지 25몰%의 네오펜틸글리콜 및 5 내지 10몰%의 1,4-시클로디메탄올을 포함하며, 상기 펜타에리트리톨은 0.007 내지 0.045 몰%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평균 입경이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용융압출시켜 수득된 미연신 시트를 필름 진행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KR1020020071568A 2002-11-18 2002-11-18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084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68A KR100845691B1 (ko) 2002-11-18 2002-11-18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68A KR100845691B1 (ko) 2002-11-18 2002-11-18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37A KR20040043337A (ko) 2004-05-24
KR100845691B1 true KR100845691B1 (ko) 2008-07-11

Family

ID=3733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568A KR100845691B1 (ko) 2002-11-18 2002-11-18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6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460A (ja) * 1995-03-07 1996-09-17 Kanebo Ltd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フィルム
KR19990048299A (ko) * 1997-12-09 1999-07-05 조정래 저온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조성물
KR20000027779A (ko) * 1998-10-29 2000-05-15 장용균 장식용 폴리에스테르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0318105A (ja) * 1999-05-06 2000-11-21 Fuji Seal Inc 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ラベル
KR20020056105A (ko) * 2000-12-29 2002-07-10 구광시 백색필름 제조용 폴리에스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30032156A (ko) * 2001-10-16 2003-04-26 주식회사 효성 내구성이 향상된 저온 열수축성 코폴리에스테르 필름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460A (ja) * 1995-03-07 1996-09-17 Kanebo Ltd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フィルム
KR19990048299A (ko) * 1997-12-09 1999-07-05 조정래 저온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조성물
KR20000027779A (ko) * 1998-10-29 2000-05-15 장용균 장식용 폴리에스테르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0318105A (ja) * 1999-05-06 2000-11-21 Fuji Seal Inc 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ラベル
KR20020056105A (ko) * 2000-12-29 2002-07-10 구광시 백색필름 제조용 폴리에스터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30032156A (ko) * 2001-10-16 2003-04-26 주식회사 효성 내구성이 향상된 저온 열수축성 코폴리에스테르 필름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37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395B2 (en) Copolyesters plasticized with polymeric plasticizer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JP4122287B2 (ja) 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熱収縮性フィルム
JP2001081210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943178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イルム
JP453555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77335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80237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056322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00845691B1 (ko)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제조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 조성물
JPH08192464A (ja)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フィルム
JPH05254015A (ja) ポリエステル系シュリンクフイルム
EP0532943B1 (en) Polyester resin
JP2004051888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19990048299A (ko) 저온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조성물
JP450209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20030032156A (ko) 내구성이 향상된 저온 열수축성 코폴리에스테르 필름조성물
EP1298171B1 (en)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JP2723136B2 (ja) 高延伸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4240274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H0748443A (ja) ポリエステル熱収縮性フィルム
JP2003082128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281487B2 (ja) 多層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ラベル
JP2574728B2 (ja) 中空容器
JP2011094159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08899A (ko) 폴리에스테르계 고수축 연신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