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337B1 - 동축 연결 플러그 - Google Patents

동축 연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337B1
KR100843337B1 KR1020067017093A KR20067017093A KR100843337B1 KR 100843337 B1 KR100843337 B1 KR 100843337B1 KR 1020067017093 A KR1020067017093 A KR 1020067017093A KR 20067017093 A KR20067017093 A KR 20067017093A KR 100843337 B1 KR100843337 B1 KR 10084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housing
plug memb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590A (ko
Inventor
볼프강 베 퇴르너
볼프강 아담작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베 퇴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베 퇴르너 filed Critical 볼프강 베 퇴르너
Publication of KR2006012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0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rotatable ca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부재(2)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부재(2)에는 내부 접촉부(3) 및 종축에 대하여 상기 내부 접촉부(3)에서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촉부가 제공되는 전기 연결 플러그(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부재(2)는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가 접촉측에서 상기 외부 접촉부의 외면에 적용되는데, 연결 플러그(1)의 외부 접촉부가 플러그 부재(2)의 하우징에 대한 축방향 운동을 통해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대하여 방사상 내부로 가압되도록 적용된다. 상기 플러그(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러그 부재(2)가 하우징에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플러그 부재(2)에 작용하는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10)의 작동을 통해 상기 플러그 부재(2)는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연결 플러그, 플러그 부재, 내부 접촉부, 외부 접촉부, 레버

Description

동축 연결 플러그{COAXIAL CONNECTING PLUG}
본 발명은 내부 접촉부 및 플러그 부재(profiled member)의 종축에 대하여 상기 내부 접촉부에서 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촉부를 구비한 플러그 부재 및 상기 플러그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그 내면이 접촉측 전방 개구부 영역에서 상기 외부 접촉부의 외면에 접하여,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가 플러그 부재의 하우징에 대한 축방향 운동을 통해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대하여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 전기 연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연결 플러그는 'Cinch 플러그' 또는 'RCA 플러그'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비대칭적 전달을 목적으로 가정용 전자 기기들 사이에서 분리가능한 케이블 연결(cable connection)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언급된 유형의 연결 플러그는 예를 들어 EP 0 460 145 B1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플러그에는 커버링 슬리브가 제공되고, 이 커버링 슬리브는 플 러그 부재를 둘러싼다. 상기 커버링 슬리브는 그 내면에 접촉측 전방 개구부 영역에서 플러그 부재의 외부 접촉부의 외면에 접한다. 상기 커버링 슬리브는 플러그 부재에 축방향으로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 슬리브가 나사고정시 축방향으로 플러그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면,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는 상기 플러그에 맞는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대해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를 누름으로써, 플러그와 소켓 사이에 압력맞춤식 클램핑 연결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는 소켓에 흔들리지 않고 느슨함이 없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공지의 연결 플러그를 갖고 전기적으로뿐만 아니라 기계적으로도 적절한 Cinch 소켓과의 안정되고 안전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지의 연결 플러그의 단점은, 가정용 전자 기기의 소켓에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비교적 번거롭다는 것이다. 보통의 경우, 이러한 기기에서는 기기 하우징에 장착된 소켓은 기기의 뒤쪽에 설치된다. 즉, 플러그의 사용자는 소켓에 플러그를 끼우기 위해 기기의 뒤쪽을 잡아야 한다. 양손으로 플러그 부재에 클램핑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커버링 슬리브를 조이기 위해서이다. 이때, 한손은 나사고정에 필요한 회전 운동을 실시하는 반면, 다른 한손은 플러그 부재가 같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 부재를 꽉 잡는다. 기기의 뒤쪽에 이미 끼워진 플러그들과 함께 다수의 소켓이 존재하면 플러그의 설치는 매우 번거롭다. 특히 Hifi 증폭기나 수신기의 경우에 그렇다. 양손으로 플러그를 소켓에 단단히 조이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소켓에 플러그를 끼울 때 대부분 기기 앞쪽에 서 있고, 기기 위쪽을 잡으면서 또는 측면으로 기기를 지나치면서 커버링 슬리브를 플러그 부재에 나사고정해야 하기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기기 앞에 서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배치로 인해, 플러그 부재에 나사고정 할 때 커버링 슬리브를 어느 방향으로 돌려야 할지 알기 어렵다. 커버링 슬리브가 잘못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이 흔하며, 따라서 의도치 않게 플러그 부재에서 풀린다. 상기 언급된 이유들로 인해, 흔들림이 없고 안전한 전기 플러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더라도 상기 유형의 연결 플러그는 조작이 번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들과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한손만으로 소켓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플러그 부재가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플러그 부재에 작용하는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작동을 통해 상기 플러그 부재는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전기 연결 플러그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에서 플러그 부재의 축방향 이동은 레버의 작동을 통해 실행된다.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가 플러그 부재의 축방향 운동시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적절한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가압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는 레버의 간단한 작동을 통해 소켓에 고정되거나 또는 소켓에서 분리된다. 이때, 연결 플러그의 사용은 아무 문제 없이 한손만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소켓에 끼우기 위해, 한손만으로 플러그를 잡을 수 있다. 플러그와 소켓 사이의 압력맞춤식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레버(lever)만 작동하면 된다. 이 또한 한손만으로 실행할 수 있다. 소켓에서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 레버를 작동한 후, 플러그를 잡아 소켓에서 뽑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에 플러그를 고정할 때 또는 플러그를 뺄 때 그 어떤 나사작동이 필요치 않다. 따라서, 선행기술에 의해 공지된 플러그에서보다 플러그의 조작이 훨씬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에서, 플러그 부재의 하우징에 대한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플러그 외부 접촉부의 방사상 운동에 도달하기 위해,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는 그 외면에 원뿔 형상 단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그 전방 개구부의 영역에 원뿔 테이퍼(taper)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간단하게 플러그 부재의 축방향 운동이 외부 접촉부의 방사상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에서 하우징은 기본 몸체 및 상기 기본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 커버로 구성되고, 레버는 상기 기본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플러그 부재는 기본 몸체에서 하우징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접근할 수 있고 또는 하우징에서 완전히 뽑아낼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의 내부 접촉부 또는 외부 접촉부에는 납땜 등을 문제없이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링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기본 몸체와 하우징 커버는 링 몸체를 통해 하우징의 전방 개구부의 영역에서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 몸체는 하우징의 전방 개구부의 영역에서 특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은, 이 영역에서 하우징으로부터 플러그를 소켓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압축력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동시에, 기본 몸체와 하우징 커버는 링 몸체를 떼어냄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레버는 캠레버로 형성되고, 이 캠레버의 캠 섹션은 접촉측에서 벗어나 있는 플러그 부재의 뒤쪽에 배치된다. 캠 섹션의 성형(shaping)을 통해 레버의 회전운동을 플러그 부재의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결정된다. 캠 레버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캠 섹션을 통해 높은 추진력(thrust force)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 추진력은 축방향으로 플러그 부재에 적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켓에 플러그를 고정하기 위해 강한 압축력이 제공되는 반면, 레버의 작동 중 비교적 적은 힘만 필요한 장점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는 매우 편안하게 조작될 수 있다. 연결 플러그가 소켓에서 스스로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캠레버는, 클램핑 위치에서 셀프록킹으로 고정되도록 캠 섹션이 플러그 부재에 인접 배치되게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는, 플러그 부재의 뒤쪽에서 작용하는 캠레버로 형성된 레버를 가질 때, 하우징은 플러그의 종축에서 측면으로 케이블 가이드 섹션을 가져야 한다. 플러그 부재의 뒤쪽에 배치된 레버로 인해, 플러그 부재의 접촉부와 연결된 케이블은 이 영역에서 플러그의 하우징에서 빠질 수 없다. 측면으로 구부러진 케이블 가이드 섹션을 통해, 케이블은 하우징으로부터 측면으로 빠진다. 측면으로 구부러진 케이블 가이드 섹션으로 인해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양호하게 손에 잡히며, 플러그를 소켓에 끼우기 위해서 또는 소켓에서 플러그를 빼내기 위해 매우 편안하게 잡을 수 있다. 측면으로 구부러진 케이블 가이드 섹션은 '피스톨 그립(pistol grip)'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게는, 케이블 가이드 섹션의 영역에 클램핑 수단이 제공된다. 이 클램핑 수단은 케이블 가이드 섹션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플러그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는 그 접촉영역에서 전기적 전도성 있는 접촉 블레이드(contact blade)로 형성되고, 플러그를 소켓에 고정하기 위해 전기적 절연 클램핑 텅(clamping tougue)이 제공되며, 이 클램핑 텅은 접촉 블레이드와 함께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가압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로는 전기적 전도성 접촉 블레이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Cinch 플러그와는 달리 외부 접촉부는 내부 접촉부를 전적으로 둘러싸지는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의 신호전달 특징이 현저히 개선된다. 소켓에 플러그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전기적 절연성 클램핑 텅들이 제공되고, 이 클램핑 텅은 플러그 부재의 하우징에 대한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을 통해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가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를 소켓에 기계적으로 유지할 때, 접촉 블레이드와 클램핑 텅은 상호 작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전기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측면에서 최적의 전기 연결 플러그가 제공된다. 상기 기술한 방식으로 형성된 플러그의 특별한 장점은, 연결 플러그와 함께 만들어진 플러그 연결(plug connection)의 임피던스가, 사용된 케이블의 웨이브 임피던스에 맞춰질 수 있도록 접촉 블레이드 평면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접촉 블레이드 평면은 플러그의 임피던스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의 제조시 이미 접촉 블레이드 평면의 적합한 사전 기준을 통해 최적의 임피던스 특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러그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접촉 블레이드는 소켓의 외부 접촉부를 향한 내면에 선형(linear-shaped) 융기부를 갖는다. 상기 선 형 융기부를 통해, 외부 접촉부와의 전기 접촉은 정확히 확정된 자리에 만들어진다. 상기 선형 융기부의 표면을 통해 플러그 연결의 접촉면은 정밀하고 재생산가능하게 확정된다.
도 1은 하우징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부재를 가진 연결 플러그;
도 2는 플러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완전히 조립된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면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연결 플러그가 도면부호 1로 표시되어 있다. 이 연결 플러그(1)는 플러그 부재(2)를 구비하며, 이 플러그 부재에는 내부 접촉부(3) 및 플러그 부재의 종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외부 접촉부가 배치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의 외부 접촉부는 그 접촉 영역에 있으며, 전기적 전도성이 있는 접촉 블레이드(contact blade)(4)로 형성되고, 대응하는 소켓(bush)에 플러그(1)를 고정하기 위해 전기적 절연 소재로 구성된 클램핑 텅(5)이 제공된다. 접촉 블레이드(4)를 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해, 솔더링 탭(soldering tab)(6)이 제공된다. 플러그 부재(2)는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데, 이 하우징은 기본 몸체(7) 및 이 기본 몸체(7)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 커버(8)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전방 접촉측 개구부 영역에서,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설치가능한 링 요소(9)를 통하여 기본 몸체(7)와 하우징 커버(8)가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1)에서, 링 요소(9)는 앞에서부터 하우징 상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2)는 하우징의 기본 몸체(7)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본 몸체(7)에는 플러그 부재(2)에 작용하는 레버(1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러그 부재(2)는 레버(10)의 작동을 통해 플러그(1)의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버(1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레버(cam lever)로서 형성되고, 이 캠레버의 캠 섹션(11)은 접촉측에서 벗어나 있는 플러그 부재(2)의 뒤쪽에 배치된다. 레버(10)를 화살표(12) 방향으로 작동함으로써, 플러그 부재(2)는 앞으로, 즉 플러그(1)의 접촉측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접촉 블레이드(4)와 클램핑 텅(5)은 그 외면에 원뿔 형상의 단부를 가지며, 하우징은 그 전방 개구부 영역에서 내면이 접촉 블레이드와 클램핑 텅의 외면에 접한다. 즉, 화살표(13)로 표시된 접촉 영역에 접한다. 하우징은 이 영역에 원뿔형 테이퍼(taper)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 부재(2)가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 이동함으로써, 접촉 블레이드(4)와 클램핑 텅(5)은 소켓(도시되지 않음)의 외부 접촉부에 대하여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접촉 블레이드(4)와 클램핑 텅(5)의 방사상 이동은 도 2에서 화살표(14)로 도시되어 있다. 레버(10)의 회전축은 슬리브(15)에 삽입된 나사(16)에 의해 형성되고, 동시에 이 나사를 통하여 하우징 커버(8)가 기본 몸체(7)에 부착된다.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연결 플러그(1)에서, 하우징은 플러그(1)의 종축의 측면으로 케이블 가이드 섹션(17)을 가지며, 이 케이블 가이드 섹션(17)에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플러그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 나사(18)가 제공된다.

Claims (11)

  1. 내부 접촉부(3) 및 종축에 대하여 상기 내부 접촉부(3)에서 방사상으로 떨어져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 접촉부가 제공되는 플러그 부재(2), 및 상기 플러그 부재(2)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그 내면이 접촉측 전방 개구부 영역에서 상기 외부 접촉부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외부 접촉부가 플러그 부재(2)의 하우징에 대한 축방향 운동을 통해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는 전기 연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2)가 상기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플러그 부재(2)에 작용하는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10)의 작동을 통해 상기 플러그 부재(2)는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는 그 외면에 원뿔 형상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 개구부 영역에 원뿔형 테이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본 몸체(7) 및 상기 기본 몸체(7)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 커버(8)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10)는 상기 기본 몸체(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링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몸체(7)와 하우징 커버(8)는 상기 링 요소(9)에 의해 하우징의 전방 개구부 영역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0)는 캠레버로 형성되고, 상기 캠레버의 캠 섹션(11)은 접촉측에서 벗어나 있는 플러그 부재(2)의 뒤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는, 클램핑 위치에서 셀프록킹으로 고정되도록 캠 섹션(11)이 플러그 부재(2)에 인접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러그의 종축에서 측면으로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 섹션(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이드 섹션(17)에는 케이블을 플러그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 플러그의 외부 접촉부는 그 접촉 영역에서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는 접촉 블레이드(4)로 형성되고, 소켓에 플러그를 고정하기 위하여 전기적 절연 클램핑 텅(5)이 제공되며, 상기 클램핑 텅은 접촉 블레이드(4)와 함께 소켓의 외부 접촉부에 대하여 방사상 내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블레이드(4)는 소켓의 외부 접촉부를 향한 내면에 선형 융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플러그.
KR1020067017093A 2004-01-24 2004-12-01 동축 연결 플러그 KR100843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03651A DE102004003651B4 (de) 2004-01-24 2004-01-24 Koaxialer Verbindungsstecker mit Hebei
DE102004003651.9 2004-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590A KR20060123590A (ko) 2006-12-01
KR100843337B1 true KR100843337B1 (ko) 2008-07-03

Family

ID=3474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093A KR100843337B1 (ko) 2004-01-24 2004-12-01 동축 연결 플러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367842B2 (ko)
EP (1) EP1711983A1 (ko)
JP (1) JP2007519190A (ko)
KR (1) KR100843337B1 (ko)
CN (1) CN1926726A (ko)
AU (1) AU2004314627A1 (ko)
CA (1) CA2554557A1 (ko)
DE (1) DE102004003651B4 (ko)
MX (1) MXPA06008346A (ko)
RU (1) RU2319266C1 (ko)
TW (1) TW200525836A (ko)
WO (1) WO2005071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7866A1 (de) * 2008-02-06 2009-08-13 THÖRNER, Wolfgang B. Bananenstecker
RU2491675C1 (ru) * 2009-08-12 2013-08-27 Абб Текнолоджи Лтд. Разъем типа "тюльпан" и электрическая контак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KR101283621B1 (ko) * 2011-12-16 2013-07-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KR101348161B1 (ko) * 2011-12-16 2014-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NL2010294C2 (en) * 2013-02-13 2014-08-14 Boudewijn John Sambeek Connection device, assembly thereof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DE102015116817A1 (de) * 2015-10-03 2017-04-0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zwischen einem elektrischen Leiter und einer technischen Einrichtung
DE102021134189A1 (de) * 2021-12-22 2023-06-22 Zumtobel Lighting Gmbh ELEKTRISCHES MODUL ZUM ANSCHLIEßEN AN EINE TRAGSCHIENE UND KONTAKTIERUNGSELEMENT HIERFÜR
DE202022102406U1 (de) 2022-05-03 2022-06-13 Wolfgang B. Thörner Verbindungsstecker
DE102023111222A1 (de) 2022-05-03 2023-11-09 Wolfgang B. Thörner Verbindungssteck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75024C (de) * 1938-02-16 1939-04-29 Ver Kunstmuehlen Landshut Rose Steckverbindung mit einem den Kontaktdruck auf den Steckerstift erzeugenden Exzenter, insbesondere fuer die Anschlusskabel bei Kraftfahrzeugbatterien
US3491329A (en) * 1967-05-29 1970-01-20 Gerald W Lecocq Releasable electrical terminal
US3616673A (en) * 1969-08-12 1971-11-02 Louis F Miklos Combination rotating and reciprocating rivet tool
DE8436689U1 (de) * 1984-12-14 1985-05-23 Thörner, Wolfgang B., 4300 Essen Cinch-Stecker
US4801906A (en) * 1987-10-19 1989-01-31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trip indicator unit
JP2585911B2 (ja) * 1989-12-23 1997-02-26 ベー テルナー,ヴォルフガング シンチプラグ
JP3042816B2 (ja) * 1992-12-18 2000-05-22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
DE4326474A1 (de) * 1993-08-06 1995-02-09 Wolfgang B Thoerner Verspannbar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9515822C1 (de) * 1995-04-29 1996-08-22 P Osypka Ges Fuer Medizintechn Steckverbinder mit einem Stecker und einer Buchse
US6305963B1 (en) * 1996-08-16 2001-10-23 Agilent Technologies, Inc. Push-lock BNC connector
DE29809365U1 (de) * 1997-09-11 1998-08-13 Televes, S.A., Santiago de Compostela, La Coruna Stecker für Koaxialkabel
US6056578A (en) * 1998-01-13 2000-05-02 Advanced-Connectek, Inc.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6371788B1 (en) * 2000-05-19 2002-04-16 Molex Incorporated Wafer connection latching assembly
US6293813B1 (en) * 2000-06-30 2001-09-25 Silicon Graphics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backplate assembly
US20050148230A1 (en) * 2004-01-07 2005-07-07 Flynn James D. Coupling device that includes opposing pawls engagable into opposing pawl catch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 43 26 474 A1 (THOERNER, WOLFGANG B.; 45149 ESSEN, DE) 9 February 1995 (1995-02-09)
WO 86/03895 A (THOERNER, WOLFGANG, B) 3 July 1986(1986-0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03651B4 (de) 2013-04-18
US20070155242A1 (en) 2007-07-05
JP2007519190A (ja) 2007-07-12
AU2004314627A1 (en) 2005-08-04
EP1711983A1 (de) 2006-10-18
MXPA06008346A (es) 2006-12-14
CA2554557A1 (en) 2005-08-04
DE102004003651A1 (de) 2005-08-11
US7367842B2 (en) 2008-05-06
RU2319266C1 (ru) 2008-03-10
CN1926726A (zh) 2007-03-07
TW200525836A (en) 2005-08-01
KR20060123590A (ko) 2006-12-01
WO2005071800A1 (de)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285B2 (en)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TWI524602B (zh) 數位小訊號及rf微波同軸超小型按鈕差動對系統
US8961224B2 (en) Coupl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0843337B1 (ko) 동축 연결 플러그
JP2005235476A (ja) 防水中継コネクタ
US20180261962A1 (en) Corrugated cable co-axial connector
WO2005083848A1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112522A (en) Securable connector
JP2011511423A (ja) バナナプラグ
FR2551591A1 (fr) Dispositif pour le reglage d'un signal delivre sur une prise pour fiche cylindrique, et appareil equipe d'un tel dispositif
US62209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n object to a device
KR100880050B1 (ko) 마찰 결합 슬리브를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EP1608039A1 (fr) Borne de connexion auto-dénudante et appareillage éléctrique équipé d'une telle borne
US10199759B2 (en) Touch-protected socket, plug, and plug-in connection
JP3356476B2 (ja) Tv同軸プラグ
US20020039853A1 (en) Connector
JP2007149499A (ja) コネクタ及びプラグ並びにジャック
JP4354310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5235473A (ja) 中継コネクタ
JP2006344490A (ja) 同軸コネクタ
US20240022020A1 (en) Cable Connector
WO2001009984A1 (fr) Socle
JP3126613U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取外し防止ブッシング
JP2009295350A (ja) 電線コネクタ
JP2902333B2 (ja) 同軸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