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61B1 -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61B1
KR101348161B1 KR1020110136068A KR20110136068A KR101348161B1 KR 101348161 B1 KR101348161 B1 KR 101348161B1 KR 1020110136068 A KR1020110136068 A KR 1020110136068A KR 20110136068 A KR20110136068 A KR 20110136068A KR 101348161 B1 KR101348161 B1 KR 10134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al connector
cover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729A (ko
Inventor
황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13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속되는 와이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Charging plug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직접 연소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촉진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어, 녹색교통 수단의 개발이 신속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불어, 가솔린이나 디젤을 만드는 원유가 지구상에 얼마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각 산업분야에서 대체 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의 보급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 공급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자동차 자체에 전력 공급원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탑재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한다.
그런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것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보급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기 충전에 있어 쉽고 편리하며 누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에 안전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버 조작에 따라 전기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인렛을 향해 돌출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가 이동되면서 바디와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속되는 와이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커버는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결합되는 클램핑; 및 상기 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브라켓 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이 결합된 와이어를 감싸며, 일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와이어와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 위치고정부가 구비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와이어 커버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클램핑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끼워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 및 브라켓을 상기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압착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위치고정부는 상기 클램핑을 중심으로 상기 전기커넥터 반대쪽으로 상기 클램핑이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의 피복이 벗겨진 여러 와이어 가닥이 분기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여러 와이어 가닥을 분기하여 안내하는 복수의 분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전기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전기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돌출 형성된 돌기가 끼워지는 락킹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전기커넥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가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레버와 연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커버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와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를 향해 돌출된 압착돌기가 구비된 압착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 및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전기커넥터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함께 이동 가능토록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된 바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그립은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상기 와이어 커버에 압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속용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그립은 바디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바디 커버 반대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바디 커버의 중공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 커버의 내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부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 그립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 및,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전기커넥터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함께 이동 가능토록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된 바디 그립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그립은 상기 와이어 커버의 압착 링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와이어 커버가 압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레버를 조작하면 전기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인렛을 향해 돌출되어 접속됨으로써 본 발명의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삽입하더라도 전기 충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 조작 여부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와이어 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어 와이어와 바디 간 마찰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 그립이 바디 커버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여 와이어 및 와이어 커버가 바디 그립에 걸리지 않고 이동 가능함으로써,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레버가 부드럽게 가볍게 조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커버가 바디 그립과 결속됨으로써, 와이어 커버가 바디 그립과의 구조적 간섭에 제한받지 않고 와이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커버와 바디 그립 간 마찰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에 관한 도면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레버 미조작 상태로, 바디를 반으로 절개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레버 조작 상태로, 바디를 반으로 절개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와이어와 와이어 커버 결합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레버 미 조작 상태로, 바디 결합부를 통한 바디 커버와 바디 그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레버 조작 상태로, 바디 결합부를 통한 바디 커버와 바디 그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은 레버 미조작 상태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 가이드가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 가이드 분해 사시도.
도 16는 도 14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6과 대응되는 레버 조작 상태 단면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는 전기커넥터(100)와, 와이어(200)와, 와이어 커버(300)와, 바디(400)와, 레버(500)와, 탄성부재(미도시)와, 탄성부재 가이드(7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커넥터(1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를 향해 바디(40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전진방향(화살표 A)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진방향(화살표 B)이라 한다.
전기커넥터(100)는 전기커넥터(100)의 외관을 이루며 바디(400)에 전진, 후진 가능토록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110)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의 인렉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된 터미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와이어(200)와 와이어 커버(3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200)는 전기 공급을 비롯하여 신호 전달 등을 위해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가닥의 와이어(200)는 하나로 묶여 와이어링 하니스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복수 가닥의 와이어(200)는 함께 하나의 피복(210) 속에 배선됨으로써 와이어링 하니스 구조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다만 전기커넥터(100)와 연결되는 전방부분(202)은 전기커넥터(100)와 전기적 접속을 위해 피복(210)이 벗겨진다. 이하, 복수 가닥의 와이어(200)를 묶어 설명할 경우, 와이어(200)를 와이어링 하니스(200)라 한다.
와이어 커버(300)는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바디(400)와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보호토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와이어 커버(300)는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하나로 결속되어 전기커넥터(100)의 전진, 후진에 따라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일체로 이동 가능토록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커버(300)는 클램핑(310)과, 브라켓(320)과, 압착 링(330)과, 압착패널(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310)은 와이어 커버(300)가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하나로 결속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외측에 끼워짐으로써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압착할 수 있다.
클램핑(310)은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브라켓(320)은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즉, 브라켓(320)은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브라켓 부재(320a,320b)로 분할 형성되어 클램핑(310)이 결합된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감쌀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브라켓(320)이 복수의 브라켓 부재(320a,320b)로 이루어짐에 따라, 브라켓(320)의 내부에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손상없이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320)은 와이어링 하니스(200)와의 결속력 증대를 위해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20)의 일측은 전기커넥터(10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브라켓(320)은 전방 끝단에 전기커넥터(100)의 커넥터 하우징(1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0)의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 전방 체결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320)에는 전기커넥터(100)의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111)가 끼워지는 락킹 홀(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브라켓(320)의 락킹 홀(322)이 전기커넥터(100)의 돌기(111)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20)은 전기커넥터(100)와 결속되어 전기커넥터(100)의 전진, 후진에 따라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마찰되지 않고 일체로 용이하게 연동될 수 있다.
브라켓(320)의 타측은 클램핑(310)을 통해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결속될 수 있도록 클램핑(310)이 브라켓(320)에 안착되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 위치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 위치고정부는 클램핑(310)을 중심으로 전기커넥터(100) 반대쪽으로 클램핑(310)이 걸림될 수 있도록 브라켓(3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323)(이하, '클램핑 위치고정용 걸림턱'이라 표기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램핑 위치고정용 걸림턱(323)은 클램핑(310)의 후방 끝단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전방 끝단이 전기커넥터(100)에 연결됨과 아울러 브라켓(320)의 전방 끝단이 전기커넥터(100)에 결속되어 있으므로, 클램핑 위치고정용 걸림턱(323)은 클램핑(310)을 전,후 양 방향에서 모두 위치 고정시키는 대신 클램핑(310)의 후방에서만 위치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져도 충분하다.
복수의 브라켓 부재(320a,320b)는 상호 후크(hook) 결합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브라켓 부재(320a)에는 이웃한 브라켓 부재(320b)에 형성된 후크 홀(324)에 끼움 가능한 후크(3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320)은 바디(400)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전반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바디(400)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브라켓(320)은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이동하면서 바디(400)와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바디(400)의 구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라켓(320)은 바디(400)의 바디 커버(410)의 내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전방부(326) 및, 전방부(326)의 후방에 연결되며 바디(300) 그립에 대응하여 전방부(326)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바디(400)의 바디 그립(420)에 위치되는 후방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320)이 바디(400)에 대응하여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대략 '∧'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후술할 바와 같이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이 전기커넥터(1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기 때문에, 전기커넥터(100)의 전진, 후진시 바디(400)와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320)의 전방부(326)는 브라켓(320)의 후방부(327)에 연결되며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진 전방부분(202)의 복수 가닥의 와이어를 일체로 함께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브라켓 연결부(326a)와, 복수 가닥의 와이어(200)를 분기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브라켓 연결부(326a)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부(326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분기부(326b)에 의해 복수 가닥의 와이어가 분기되어 용이하게 전기커넥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압착 링(330)은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에 의해 링형으로 형성되어, 와이어링 하니스(200)에 결합된 클램핑(310)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브라켓(320)의 외측에 끼워져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310) 및 브라켓(320)을 와이어링 하니스(200)에 압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링(330)에 의해 클램핑(310) 및 브라켓(320)의 결속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으며, 브라켓(320)과 와이어링 하니스(200) 사이로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성, 기밀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착 링(330)의 중앙 홀(332)은 압착 링(330)이 브라켓(320)의 외측에 끼워져 밀착될 수 있도록 브라켓(32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압착 링(330)의 중앙 홀(332)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더 참조하는 바와 같이 압착 링(330)의 외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커버(300)의 압착 링 부분이 바디 그립(420)의 제2손잡이부(424b) 내측면에 밀착되어 와이어 커버(300)가 바디 그립(420)에 압입될 수 있도록, 바디 그립(420)의 제2손잡이부(424b)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압착 링(330)의 외형은 바디 그립(420)의 제2손잡이부(424b)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착패널(340)은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브라켓(320)의 결속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브라켓(3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320)과 와이어링 하니스(200) 사이에 개재되며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압착할 수 있도록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향해 돌출된 압착돌기(342)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브라켓(320)이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 부분과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진 전방부분(202)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우, 브라켓(320)과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진 전방부분(202) 사이가 상대적으로 공간적 여유가 생기는바, 압착패널(340)은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진 전방부분(202)을 압착할 수 있도록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진 전방부분(202)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압착패널(34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20)에 의해 브라켓(320)에 결속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20)가 체결되는 체결홀(344)이 형성될 수 있다. 압착돌기(34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피복(210)이 벗겨진 복수 가닥의 와이어를 나눠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바디(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400)는 전기커넥터, 와이어링 하니스 등을 보호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과, 바디 결합부(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 커버(410)는 전기커넥터가 바디 커버(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으로 왕복 이동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커버(410)는 파이프처럼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양쪽 끝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디 커버(410)는 중공방향에 대한 연직면인 종단면이 전반적으로 대략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바디 커버(410)의 중공은 전기커넥터(100)의 전진, 후진 경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기커넥터(100)가 직선으로 전진, 후진되는 것에 대응하여 중심축이 직선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커버(410)는 둘레방향을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피스(piece)(410a,41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바디 그립(420) 또한 바디 커버(410)와 함께 둘레방향을 따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피스(piece)(420a,42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바디 그립(420)은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기준으로 바디 커버(410)의 후방에 결합되며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바디 그립(4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그립(420)은 바디 커버(410)의 중공과 연결되며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파이프처럼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양쪽 끝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디 그립(420)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플러그를 손으로 쉽고 편리하게 잡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그립(420)은 바디 커버(410)와 결합되는 결합부(422)와, 결합부(422)로부터 바디 커버(410) 반대쪽, 즉 결합부(422)의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4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부(424)가 바디 커버(410)의 중공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합부(422)는 일부 또는 전체가 바디 커버(410)의 중공에 삽입되며, 결합부(422)의 외측면이 바디 커버(41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손잡이부(424)는 손으로 잡기 쉽고 편하도록 바디 커버(410)는 중공방향에 대한 연직면인 종단면이 전반적으로 대략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그 원형 크기가 바디 커버(410)나 결합부(422)보다 작을 수 있다.
손잡이부(424)는 결합부(422)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424a) 및, 제1손잡이부(424a)의 후방에 연결되며 제1손잡이부(424a)보다 외경이 더 크도록 형성된 제2손잡이부(4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손잡이부(424a)의 내측면에는 와이어 커버(300)와 결속되어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 커버(300)에 압착될 수 있게 돌출된 결속용 돌출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속용 돌출부(426)에 의해 와이어 커버(300)가 제1손잡이부(424a)에 압입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바디 그립(420)과 와이어 커버(300)가 하나로 결속되어 와이어 커버(300)를 통해 바디 그립(420)이 와이어(2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 그립(420)과 와이어 커버(300) 마찰이 방지되며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바디 그립(420)의 결합부(422)와 손잡이부(424) 사이에서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이 변하더라도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바디 그립(420)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와이어 커버(3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레버(500)의 조작이 힘들지 않고 부드럽고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제2손잡이부(424b)는 와이어 커버(300)가 압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커버(300), 보다 정확하게는 와이어 커버(300)의 압착 링(330)과 대응되는 부분의 내경이 와이어 커버(300)의 압착 링(330)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바디 그립(420)과 와이어 커버(300)가 하나로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 그립(4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 그립(4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피스(420a,420b)로 분할된 구조이기 때문에, 와이어 커버(300)가 바디 그립(420)에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다.
바디 결합부(430)는 바디 그립(420)과 바디 커버(41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하되, 특히 바디 그립(420)과 바디 커버(410)를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상호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결합부(430)는 전진, 후진 방향을 따라 이동경로가 형성된 바디 가이드(432)와, 바디 가이드(43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토록 바디 가이드(432)에 결합되는 바디 슬라이더(4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가이드(432)는 바디 슬라이더(434)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바디 슬라이더(43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길게 바디 가이드 홈(432a)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가이드 홈(432a)은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양쪽 끝이 개방될 수 있다. 바디 가이드 홈(432a)은 바디 가이드 홈(432a)의 길이방향(화살표 C)에 수직한 바디 가이드 홈(432a)의 깊이방향(화살표 D)을 따라서 바디 슬라이더(434)가 바디 가이드 홈(432a)에 끼워지거나 바디 가이드 홈(432a)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바디 슬라이더(434)와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키며, 바디 슬라이더(434)가 전진, 후진방향(화살표 A, 화살표 B)을 따라 바디 가이드 홈(432a)의 개방된 양쪽 끝을 통해서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 가이드 홈(432a)은 바디 가이드 홈(432a)의 길이방향(화살표 C)의 연직면인 종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바디 가이드 홈(432a)의 깊이방향을(화살표 D) 따라 바디 슬라이더(434)의 유격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디 그립(420)이 바디 커버(4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 간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바디 슬라이더(434)는 바디 가이드 홈(432a)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디 가이드 홈(432a)에 끼워지는 바디 슬라이더 돌기(43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 가이드(432)와 바디 슬라이더(434)는 각각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 중 어느 쪽이든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바디 그립(420)의 결합부가 바디 커버(410)의 중공에 삽입되는 것에 대응하여 바디 가이드(432)가 바디 커버(410)의 내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바디 슬라이더(434)가 바디 그립(420)과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바디 가이드(432)는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의 재질이 상이하며 바디 커버(410)가 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된 경우라면, 바디 커버(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바디 커버(410)와 상이한 재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그립(420)과 동일, 유사한 재질로 따로 제조된 후 볼트 체결 등에 의해 바디 커버(4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 슬라이더(434)는 바디 그립(42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경우, 바디 그립(420)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 가이드(432)와 바디 슬라이더(434)는 각각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의 복수의 피스(410a,410b,420a,420b) 각각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바디 그립(4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커버(300)에 의해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구조적으로 결속되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전기커넥터(100)에 결속되어 전기커넥터(100)의 이동거리만큼만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다만, 바디 커버(410)와 바디 그립(42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스토퍼는 바디 커버(4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전기커넥터(100)의 돌출 완료시 바디 그립(420)의 전방 끝단이 걸림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걸림턱(412)(이하, '스토퍼용 걸림턱'이라 표기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용 걸림턱(412)에 바디 그립(420)이 걸림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전기커넥터(100)가 과도하게 전진되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레버(5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버(500)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전기커넥터(100)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레버(500)는 바디(4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기커넥터(100) 또는 전기커넥터(10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속된 부재(예컨대, 와이어 커버(300) 등)에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결합부(510)는 구조적으로 전기커넥터(100)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충전 플러그의 전제적인 레이 아웃(lay out)을 고려하여 와이어 커버(300)에 결합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레버(500)는 레버 결합부(5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레버(500)의 수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이루도록 바디(4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 손잡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50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수동 조작될 수 있도록, 일측이 바디(400)에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힌지축(530)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탄성부재(600) 및 탄성부재 가이드(7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성부재(600)는 레버(500)의 수동 조작에 연동하여 압축되며 레버(500)의 조작이 해제되면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기커넥터(100)가 후진하여 충전 대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 스프링 등 탄성 변형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으로든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700)는 탄성부재(600)가 전기커넥터(100)의 전진,후진에 연동하여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부재 가이드(700)는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와,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과, 탄성부재 가이드 결합부(7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와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 중 어느 하나는 바디(400)에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는 전기커넥터(100)와 연동되면서 상대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가 바디(400)에 고정되고,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이 전기커넥터(100)와 연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는 내부에 탄성부재(600)가 삽입되어 상기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712a)을 갖는 통 구조의 본체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712)는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이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를 관통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양쪽 끝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체부(712)의 내부공간(712a)은 개방된 양쪽 끝 중 어느 한쪽은 탄성부재(600)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나머지 한쪽은 탄성부재(6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600)가 직경이 일정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경우, 본체부(712)의 내부공간(712a)의 한쪽 끝(712b)은 탄성부재(6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본체부(712)의 내부공간(712a)의 나머지 한쪽 끝(712c)은 탄성부재(600)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의 안내에 따라 탄성부재(600)가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아울러 탄성부재(600)가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주변 구성요소와 구조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탄성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는 바디(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부(71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재 체결부(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 체결부(714)는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가 주변과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바디(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부(712)의 외측면에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바디(4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체결부재 체결부(714)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가 바디(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바디(400)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714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714a)에는 체결부재가 볼트인 경우, 볼트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은 전기커넥터(100)와 연동되면서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의 내부공간(712a)에 삽입된 탄성부재(600)를 탄성변형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은 락 바디(722)와, 락 헤드(7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락 바디(722)는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탄성부재(600)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관통되어 탄성부재(600)의 탄성변형을 안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기커넥터(1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전기커넥터(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락 바디(722)는 탄성부재(600)를 관통하기에 용이한 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락 헤드(724)는 전기커넥터(100)가 전진 이동하여 바디(400)로부터 돌출될 때,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탄성부재(600)를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 내에서 압축시킬 수 있도록 락 바디(72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락 헤드(724)는 탄성부재(600)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전기커넥터(100)의 전진방향(화살표 A)을 따라 탄성부재(6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전기커넥터(100)의 전진방향(화살표 A)을 따라 락 바디(722)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락 헤드(724)는 탄성부재(600)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도록,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조적으로 탄성부재(600)와 간섭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락 헤드(724)는 탄성부재(600)의 직경보다 직경이 더 큰 원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락 헤드(724)는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의 본체부(712)의 내부공간(712a)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은 전기커넥터(1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전기커넥터(1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전기커넥터(100)의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탄성부재 가이드 지지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락 바디(722)에는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부재 가이드 체결핀(740)이 관통되며, 탄성부재 가이드 체결핀(740)의 양쪽 끝이 각각 한 쌍의 탄성부재 가이드 지지부(11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탄성부재 가이드 체결핀(740)의 양쪽 끝에는 각각 탄성부재 가이드 지지부(114)를 관통한 부분에 E링(750)이 끼워지며, E링(750)이 탄성부재 가이드 지지부(114)에 밀착됨으로써, E링(750)에 의해 탄성부재 가이드 체결핀(740)이 탄성부재 가이드 지지부(114)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결합부(730)는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와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을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호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 가이드 결합부(730)를 구성하기 위해,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의 본체부(712)에는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탄성부재 가이드 홀(732)이 형성되며,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에는 탄성부재 가이드 홀(732)에 끼워져 탄성부재 가이드 홀(7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탄성부재 가이드 돌기(73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홀(732)은 전기커넥터(100)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가이드 돌기(734)는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 즉 락 헤드(724)로부터 전기커넥터(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부(734a) 및, 탄성부재 가이드 홀(7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연결부(734a)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턱부(734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 가이드 결합부(730)에 의해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와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의 상대 이동이 안내될 수 있으며, 아울러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710)와 탄성부재 가이드 락(720)의 상대 이동 거리 제한에 의해 전기커넥터(100)의 과도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레버(50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본 발명의 충전 플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인렛에 삽입한 후, 도 3과 같이 손으로 레버(500)의 레버 손잡이부(520)가 바디 그립(420)을 향하도록 레버(500)를 당기면 레버(500)와 결합된 와이어 커버(300)의 브라켓(320)이 전진 이동하며, 이에 따라 와이어 커버(300)의 브라켓(320)과 결합된 전기커넥터(100)가 바디 커버(4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전기커넥터(100)가 바디(400)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인렛을 향해 돌출되어 접속된다. 이와 아울러, 와이어 커버(300)를 통해 전기커넥터(100)와 결속된 와이어링 하니스(200) 및 바디 그립(420)이 전기커넥터(100)와 일체로 전진 이동한다. 따라서, 전기커넥터(100)와 전기자동차의 충전부 인렛의 접속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전기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는 전기커넥터(100)의 전진과 연동하여 전기커넥터(100)의 전진방향(화살표 A)을 향해 압축된다.
그리고, 레버(500)를 놓게 되면, 압축된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600)가 압축 전 상태로 전기커넥터(100)의 후진방향(화살표 B)을 향해 인장된다.
따라서,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에 의해 탄성부재 가이드(700)를 통해 탄성부재(600)와 결속된 전기커넥터(100)가 바디 커버(4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진 이동하여 바디 커버(410)에 삽입되며, 와이어 커버(300)를 통해 전기커넥터(100)의 후진 이동과 함께 와이어링 하니스(200) 및 바디 그립(420)이 후진 이동한다.
특히, 도 2 및 도 3, 도 4,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전기커넥터(100)의 이동에 따른 와이어 커버(300)와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결속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버(500) 조작에 의해 와이어 커버(300)의 브라켓(320)이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전진 이동하면 브라켓(320)의 클램핑 위치고정용 걸림턱(323)이 클램핑(310)을 밀며,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전기커넥터(100)의 전진 이동방향으로 클램핑(310)에 끌려갈 수 있다. 아울러, 압착패널(340)이 브라켓(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링 하니스(200)를 브라켓(320)에 압착하며, 압착 링(330)이 브라켓(32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링 하니스(200)의 클램핑(310) 부분 및 클램핑(310)을 브라켓(320)에 압착하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브라켓(320)에 결속되어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500) 조작이 해제될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커버(300)가 와이어링 하니스(200)와 결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와이어링 하니스(200)가 와이어 커버(300)와 일체로 전기커넥터(100)와 함께 후진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기커넥터 110; 커넥터 하우징
200; 와이어 210; 피복
300; 와이어 커버 310; 클램핑
320; 브라켓 330; 압착 링
340; 압착패널 400; 바디
410; 바디 커버 420; 바디 그립
430; 바디 결합부 432; 바디 가이드
434; 바디 슬라이더 500; 레버
600; 탄성부재 700; 탄성부재 가이드
710; 탄성부재 가이드 커버 720; 탄성부재 가이드 락
722; 락 바디 724; 락 헤드

Claims (14)

  1.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속되는 와이어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커버는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결합되는 클램핑; 및
    상기 와이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브라켓 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이 결합된 와이어를 감싸며, 일측이 상기 전기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와이어와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핑 위치고정부가 구비된 브라켓;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와이어 커버는 상기 와이어에 결합된 클램핑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끼워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램핑 및 브라켓을 상기 와이어에 압착시키는 압착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위치고정부는 상기 클램핑을 중심으로 상기 전기커넥터 반대쪽으로 상기 클램핑이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와이어의 피복이 벗겨진 복수의 와이어 가닥이 분기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와이어 가닥을 분기하여 안내하는 복수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전기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전기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돌출 형성된 돌기가 끼워지는 락킹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전기커넥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기 위한 레버가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레버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커버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와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를 향해 돌출된 압착돌기가 구비된 압착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0.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 및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전기커넥터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함께 이동 가능토록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된 바디 그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디 그립은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상기 와이어 커버에 압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속용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디 그립은 바디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바디 커버 반대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바디 커버의 중공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 커버의 내부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부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 그립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 및,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전기커넥터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함께 이동 가능토록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된 바디 그립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그립은 상기 와이어 커버의 압착 링과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와이어 커버가 압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14.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전기커넥터;
    상기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된 와이어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속되는 와이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전기커넥터가 돌출 가능토록 설치되는 바디 커버; 및
    상기 전기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전기커넥터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함께 이동 가능토록 상기 바디 커버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커버와 결속된 바디 그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KR1020110136068A 2011-12-16 2011-12-16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KR10134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068A KR101348161B1 (ko) 2011-12-16 2011-12-16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068A KR101348161B1 (ko) 2011-12-16 2011-12-16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729A KR20130068729A (ko) 2013-06-26
KR101348161B1 true KR101348161B1 (ko) 2014-01-07

Family

ID=4886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068A KR101348161B1 (ko) 2011-12-16 2011-12-16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5907B2 (en) 2017-01-04 2020-01-07 Chargepoint, Inc. Cable clamp for a charging cabl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010915B1 (ko) * 2019-04-22 2019-08-14 캄텍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플러그 락킹 액츄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206A (ja) * 1993-04-19 199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チャージ用コネクタの嵌合装置
KR20040047113A (ko) * 2002-11-29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러그 콘넥터 케이스
KR20060123590A (ko) * 2004-01-24 2006-12-01 볼프강 베 퇴르너 동축 연결 플러그
KR20080004985U (ko) * 2007-04-24 2008-10-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206A (ja) * 1993-04-19 1994-11-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チャージ用コネクタの嵌合装置
KR20040047113A (ko) * 2002-11-29 200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러그 콘넥터 케이스
KR20060123590A (ko) * 2004-01-24 2006-12-01 볼프강 베 퇴르너 동축 연결 플러그
KR20080004985U (ko) * 2007-04-24 2008-10-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와이어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729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0087B2 (ja) 電源ケーブル接続器
CN101395764B (zh) 带紧固件的连接器盖罩
JP3292278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US8834202B2 (en)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charging
US6602090B2 (en) Connector
US20110223792A1 (en) Charging connector
WO2011129271A1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
WO2014203845A1 (ja) シールドユニット
KR20120025837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JP2001143810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CN108292834B (zh) 电缆的保持结构
KR101348161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EP2905846B1 (en) Terminal spacer
KR101313059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KR101283621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JP3754414B2 (ja) エンジンのワイヤハーネス保持装置
KR101348152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플러그
KR101348155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플러그
JP6197551B2 (ja) 給電用コネクタ
JP201100910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978778B1 (ko) 분리 방지용 콘넥터
KR101314111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KR20120030190A (ko)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88596Y1 (ko) 다용도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CN210272914U (zh) 一种带有保护连接件的线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