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834B1 -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 Google Patents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834B1
KR100840834B1 KR1020020031687A KR20020031687A KR100840834B1 KR 100840834 B1 KR100840834 B1 KR 100840834B1 KR 1020020031687 A KR1020020031687 A KR 1020020031687A KR 20020031687 A KR20020031687 A KR 20020031687A KR 100840834 B1 KR100840834 B1 KR 10084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ember
plunger
jig
plu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824A (ko
Inventor
이노우에아키라
스가와라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3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83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과제) 플런저 및 스프링의 외경을 작게 하지 않고서도 양 플러저의 첨단부의 간격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화된 배선회로를 정밀도 높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지그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지그 베이스(2)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되며, 스프링(4)에 의해서 전진방향으로 탄지된 1쌍의 플런저(3)를 형성한다. 플런저(3)는 스프링(4)에 연접하는 기부(6)와, 지그 베이스(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첨단부(5)를 구비하는 연출부(7)와, 기부(6)와 연출부(7)를 연결하는 연결부(8)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8)는 양 연출부(7)의 간격이 양 기부(6)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도록 기부(6)와 연출부(7)를 연결한다.

Description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PRINTED WIRING BOARD INSPECTION J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검사지그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설명적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검사지그의 조립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플런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플런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플런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검사지그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설명적 종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검사지그 2 - 지그 베이스
3,25,26,27 - 플런저 4 - 스프링
5 - 첨단부(尖端部) 6 - 기부(基部)
7 - 연출부(延出部) 8,8x,8y,8z - 연결부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를 검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를 검사하는 검사지그로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 베이스(30)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1쌍의 플런저(31)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각각의 플런저(31)는 지그 베이스(30)에 수용된 스프링(32)에 의해서 전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플런저(31) 및 스프링(32)은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 플런저(31)와 스프링(32)은 전기적으로 도통된 상태로 연접된다.
지그 베이스(30)는 양 스프링(32)을 서로 절연된 상태로 수용하는 스프링 유지판(33)과, 스프링 유지판(33)에 중합되며 각 스프링(32)의 일단에 맞닿는 도전성의 접점(34)을 수용하는 접점 유지판(35)을 구비하고 있다. 접점(34)에는 커넥터 슬리브(36)을 통해서 리드선(37)이 접속되어 있으며, 리드선(37)은 도시하지 않은 계측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 양 플런저(31)는 대경부(3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대경부(38)에 의해서 플런저(31)의 빠짐이 방지된 상태에서, 양 플런저(31)가 지그 베이스(30)의 플런저 수용부(39)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검사지그는 양 플런저(31)의 각 첨단부(40)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에 압접시키고, 상기 계측수단에 의해서 배선간의 도 통을 계측함으로써 배선회로를 검사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가 고밀도화됨에 따라서 더욱더 좁아진 간격의 배선회로를 검사할 수 있는 검사지그가 요망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밀도화된 배선회로를 검사하기 위해서, 양 플런저(31)의 양 첨단부(40)의 간격치수(x)를 보다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검사지그의 구성에서는, 양 플런저(31)의 양 첨단부(40)의 간격치수(x)를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 플런저(31) 및 스프링(32)의 외경을 작게 하고 있다. 이것은 플런저(31) 및 스프링(32)의 외경을 작게 한 만큼 양 플런저(31)의 간격 및 양 스프링(32)의 간격을 모두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런저(31)의 외경을 작게 하면 플런저(31)의 강도가 저하되고, 또 스프링(32)의 외경을 작게 하면 플런저(31)의 첨단부(40)를 배선회로에 확실하게 압접시키기 위한 탄지력이 불충분하게 됨으로써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런저 및 스프링의 외경을 작게 하지 않고서도 양 플러저의 첨단부의 간격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화된 배선회로를 정밀도 높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그 베이스와, 상기 지그 베이스에 축선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서 유지된 1쌍의 도전성 플런저와, 상기 지그 베이스에 수용되어 각 플런저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양 플런저의 첨단부를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에 압접시키고, 양 플런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계측수단에 의해서 상기 배선회로를 검사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에 있어서, 양 플런저는 상기 스프링에 일단이 연접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첨단부가 형성된 연출부(延出部)와, 상기 연출부를 상기 기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양 플런저의 각 연결부는 양 연출부의 간격이 양 기부의 간격보다 작게 되도록 연출부와 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양 플런저의 기부 및 스프링의 간격보다도 양 플런저의 연출부의 간격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기부 및 연출부의 외경을 작게 하지 않고서도 양 연출부의 첨단부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고밀도화된 배선회로를 정밀도 높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는, 상기 플런저의 연결부는 상기 기부의 측면에 상기 연출부의 측면을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접합함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에 있어서는 기부의 측면에 연출부의 측면을 접합함으로써 양 기부의 간격에 대해서 양 연출부의 간격을 용이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 부와 연출부를 접합하는 연결부는 연출부의 위치를 기부의 지름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양 연출부의 첨단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상기 플런저의 기부와 연결부와 연출부는 일체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기부와 연출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양 연출부의 간격을 양 기부의 간격보다 작게 하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를 굴곡시키는 것만으로 양 연출부의 간격을 양 기부의 간격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부에 있어서 굴곡시키는 양에 따라서 양 연출부의 간격과 양 기부의 간격의 차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양 연출부의 첨단부의 간격을 보다 정확하게 소망하는 간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굴곡되는 연결부에 의해서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양 연출부의 첨단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양 플런저의 첨단부는 각 연출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연(周緣)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연출부의 축선상에 첨단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양 첨단부의 간격치수가 양 연출부의 축선간의 간격이 된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연출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연에 첨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첨단부끼리를 각각 연출부의 반지름치수만큼 더 접근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그 베이스는, 상기 연출부가 끼워져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연출부와 상기 연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걸어서 플런저의 빠짐을 방지하는 제 1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 1 판부재와; 상기 제 1 판부재에 중합되며, 상기 연결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며 연출부를 진퇴방향으로 안내하는 구멍형상의 안내부가 형성된 제 2 판부재와; 상기 제 2 판부재에 중합되며, 상기 기부가 끼워져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기부와 상기 연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걸어서 상기 연결부를 소정의 후퇴위치에 규제하는 제 2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 3 판부재와; 상기 제 3 판부재에 중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구멍형상의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된 제 4 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그 베이스를 복수의 판부재를 적층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검사지그를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검사지그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제 3 판부재에 제 2 판부재를 중합시킨 후, 제 2 판부재에 플런저의 연결부를 끼워서 유지시킨다. 계속해서, 제 2 판부재를 제 3 판부재로부터 상승시켜서 양 플런저의 첨단부를 제 2 판부재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 2 판부재에 제 1 판부재를 중합시킨다. 계속해서, 제 2 판부재와 제 1 판부재의 중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2 판부재를 제 3 판부재에 중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양 플런저의 첨단부를 제 1 판부재의 양 관통구멍에 끼워 통과시킬 때에 양 첨단부가 양 관통구멍의 단부 모서리에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검사지그의 요부구성을 종단면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검사지그의 조립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3 내지 도 5는 플런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검사지그(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 베이스(2)와, 상기 지그 베이스(2)에 진퇴가능하게 유지되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적어도 1쌍의 플런저(3)와, 각 플런저(3)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을 구비하며, 양 플런저(3)의 첨단부(5)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에 압접시켜서 배선간의 도통을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플런저(3)는 도전성을 얻기 위해서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4)에 연접된 기부(6)와, 지그 베이스(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출부(7)와, 상기 기부(6)와 상기 연출부(7)를 연결하는 연결부(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출부(7)에 형성되는 첨단부(5)는 각 연출부(7)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연(周緣)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8)는 납땜 등과 같이 도전성을 가지는 접합수단을 이용하여 기부(6)의 측면과 연출부(7)의 측면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부(8)에 있어서는 기부(6)의 축선(a)에 대해서 연출부(7)의 축선(b)이 편심된다. 이 때, 양 연출부(7)의 편심방향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이 되기 때문에, 양 기부(6)의 간격보다도 양 연출부(7)의 간격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4)은 금속제로 되어 있으며, 플런저(3)의 기부(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연접된다. 또, 스프링(4)은 접점(9)에 맞닿아 있으며, 이 접점(9)은 커넥터 슬리브(10)를 통해서 접속된 리드선(11)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계측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계측수단은 배선회로의 전기적 도통을 계측하는 것이다.
상기 지그 베이스(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상측에서 순차적으로 제 1∼제 5 판부재(12,13,14,15,16)가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판부재(12)는 상기 연출부(7)가 끼워져 통과하는 관통구멍(17)과, 상기 연결부(8)의 단차를 걸어서 플런저(3)의 빠짐을 방지하는 제 1 걸림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판부재(12)에 중합된 제 2 판부재(13)는 상기 연결부(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여 연출부(7)의 진퇴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판부재(13)에 중합된 제 3 판부재(14)는 상기 기부(6)가 끼워져 통과하는 관통구멍(20)과, 상기 연결부(8)의 단차를 걸어서 연출부(7)를 소정의 후퇴위치에 규제하는 제 2 걸림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플런저(3)는 지그 베이스(2)의 제 1∼제 3 판부재(12,13,14)에 의해서 빠짐 방지된 상태에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 제 1 판부재(12)의 관통구멍(17)과 제 3 판부재(14)의 관통구멍(20)은 연출부(7)와 기부(6)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출부(7)와 기부(6)를 안내하기 때문에, 플런저(3)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방지된다.
또, 제 3 판부재(14)에 중합된 제 4 판부재(15)는 상기 플런저(3)의 기부(6) 에 연접된 스프링(4)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2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4 판부재(15)에 중합된 제 5 판부재(16)는 상기 접점(9)을 유지하는 접점 유지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검사지그(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기부(6)의 축선(a)에 대해서 양 연출부(7)의 축선(b)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심되고, 게다가 양 첨단부(5)가 양 연출부(7)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연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3)나 스프링(4)의 외경을 작게 하지 않고서도 양 첨단부(5)의 간격치수(x)를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3)는 연결부(8)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지그 베이스(2)에 유지되기 때문에, 양 첨단부(5)의 간격치수(x)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밀도화된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를 정밀도 좋게 또한 확실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검사지그(1)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우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판부재(14)에 제 2 판부재(13)를 중합시키되, 제 2 판부재(13)의 안내부(19)와 제 3 판부재(14)의 관통구멍(20)을 연이어 통하게 한다. 그리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19) 및 관통구멍(20)에 플런저(3)의 기부(6) 및 연결부(8)를 끼워서 유지시킨다.
계속해서,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판부재(13)를 상승시켜서 양 첨단부(5)를 안내부(19)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 2 판부재(13)에 제 1 판부재(12)를 중합시킨다. 그리고,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부재(12)와 제 2 판부재(13)를 일체로 하강시켜서 제 2 판부재(13)를 제 3 판부 재(14)에 중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양 플런저(3)의 양 첨단부(5)를 제 1 판부재(12)의 양 관통구멍(17)에 끼워 통과시킬 때에, 양 첨단부(5)가 양 관통구멍(17)의 격벽부(24)의 하단 모서리에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제 4 판부재(15) 및 제 5 판부재(16)에 대해서는,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5 판부재(16)의 접점 유지부(23)에 접점(9)을 장착한 후, 제 5 판부재(16)에 제 4 판부재(15)를 중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 4 판부재(15)의 스프링 수용부(22)에 스프링(4)을 삽입하여 둔다.
그 후, 제 4 판부재(15)에 제 1 판부재(12) 및 제 2 판부재(13)가 적층된 제 3 판부재(14)를 중합시키되, 플런저(3)의 기부(6)를 제 4 판부재(15)의 스프링 수용부(22) 내에 수용된 스프링(4)에 맞닿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검사지그(1)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8)에 있어서 기부(6)와 연출부(7)를 편심시키고서 납땜 등에 의해서 접합한 플런저(3)를 채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연결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6)와 연출부(7)가 일체로 된 플런저(25)에 있어서, 기부(6)와 연출부(7)의 경계위치에 원주형상의 연결부(8x)를 형성함에 의해서 연출부(7)의 축선(b)을 기부(6)의 축선(a)에 대해서 편심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런저(25)는 기부(6), 연결부(8x) 및 연출부(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의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6)와 연출부(7)가 일체로 된 플런저(26)에 있어서, 기부(6)와 연출부(7)의 경계위치를 굴곡시켜서 연결부(8y)로 하여도 된다. 상기 연결부(8y)는 연출부(7)의 축선(b)을 기부(6)의 축선(a)에 대해서 편심시키기 위해서 굴곡성형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플런저(26)끼리의 연출부(7)의 간격을 접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8y)를 형성할 때에는, 연결부(8y)의 굴곡량을 조절함에 의해서 연출부(7)의 축선(b)을 기부(6)의 축선(a)에 대해서 소망하는 치수로 편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플런저(26)끼리의 연출부(7)의 간격을 소망하는 간격으로 접근시킬 수 있다.
이것 이외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6)와 연출부(7)가 일체로 된 플런저(27)에 있어서, 기부(6)와 연출부(7)의 경계위치를 톱니형상으로 복수 굴곡시켜서 연결부(8z)를 형성하여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안내부(19)에 도 5에 나타낸 연결부(8z)를 수용한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납땜 등에 의해서 접합된 연결부(8)와 마찬가지로, 안내부(19)에 있어서의 연결부(8z)의 안내가 안정되기 때문에 플런저(27)의 진퇴를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의 각 플런저(3,25,26,27)에 있어서는 첨단부(5)가 연출부(7)의 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였으나, 이것 외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출부(7)의 축선(b)상에 첨단부{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첨단부(40) 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8,8x,8y,8z)에 의한 연출부(7)의 편심에 의해서만 첨단부끼리를 접근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첨단부를 연출부(7)의 주연에 형성할 것인지 혹은 연출부(7)의 축선상에 형성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의 정밀도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 플런저에 있어서의 연출부의 간격이 기부의 간격보다도 작게 되도록 연출부와 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런저 및 스프링의 외경을 작게 하지 않고서도 양 플러저의 첨단부의 간격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화된 배선회로를 정밀도 높게 검사할 수 있다.

Claims (5)

  1. 지그 베이스와, 상기 지그 베이스에 축선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서 유지된 1쌍의 도전성 플런저와, 상기 지그 베이스에 수용되어 각 플런저를 전진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양 플런저의 첨단부를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회로에 압접시키고, 양 플런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계측수단에 의해서 상기 배선회로를 검사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에 있어서,
    양 플런저는 상기 스프링에 일단이 연접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첨단부가 형성된 연출부와, 상기 연출부를 상기 기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양 플런저의 각 연결부는, 양 연출부의 간격이 양 기부의 간격보다 작게 되도록 연출부와 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연결부는, 상기 기부의 측면에 상기 연출부의 측면을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게 접합함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기부와 연결부와 연출부는 일체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기부와 연출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양 연출부의 간격을 양 기부의 간격보다 작게 하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양 플런저의 첨단부는 각 연출부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베이스는, 상기 연출부가 끼워져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연출부와 상기 연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걸어서 플런저의 빠짐을 방지하는 제 1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 1 판부재와,
    상기 제 1 판부재에 중합되며, 상기 연결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며 연출부를 진퇴방향으로 안내하는 구멍형상의 안내부가 형성된 제 2 판부재와,
    상기 제 2 판부재에 중합되며, 상기 기부가 끼워져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구 비함과 아울러 상기 기부와 상기 연결부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를 걸어서 상기 연결부를 소정의 후퇴위치에 규제하는 제 2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 3 판부재와,
    상기 제 3 판부재에 중합되며,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구멍형상의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된 제 4 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KR1020020031687A 2002-06-05 2002-06-05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KR100840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687A KR100840834B1 (ko) 2002-06-05 2002-06-05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687A KR100840834B1 (ko) 2002-06-05 2002-06-05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824A KR20030093824A (ko) 2003-12-11
KR100840834B1 true KR100840834B1 (ko) 2008-06-23

Family

ID=4365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687A KR100840834B1 (ko) 2002-06-05 2002-06-05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6318A1 (ja) * 2008-02-01 2009-08-06 Nhk Spring Co., Ltd. プローブユニッ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417A (ja) * 1991-07-12 1993-02-19 Nec Corp プローブカード
JPH06289052A (ja) * 1993-04-02 1994-10-18 Sakaki Yano プローブの固定構造及びこの構造に用いるプローブ
JPH11142433A (ja) * 1997-11-10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垂直針型プローブカード用のプローブ針とその製造方法
JPH11344508A (ja) * 1998-06-02 1999-12-14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プローブ及びこのプローブを用いたプローブカード
JP2000028638A (ja) * 1998-07-10 2000-01-28 Nhk Spring Co Ltd 導電性接触子
JP2000241447A (ja) * 1999-02-18 2000-09-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ばねプローブ、ばねプローブ組立体及びそれらの組立方法
KR20020096295A (ko) * 2001-06-19 2002-12-31 한무웅 반도체 칩의 전기적 검사용 프로브 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417A (ja) * 1991-07-12 1993-02-19 Nec Corp プローブカード
JPH06289052A (ja) * 1993-04-02 1994-10-18 Sakaki Yano プローブの固定構造及びこの構造に用いるプローブ
JPH11142433A (ja) * 1997-11-10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垂直針型プローブカード用のプローブ針とその製造方法
JPH11344508A (ja) * 1998-06-02 1999-12-14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プローブ及びこのプローブを用いたプローブカード
JP2000028638A (ja) * 1998-07-10 2000-01-28 Nhk Spring Co Ltd 導電性接触子
JP2000241447A (ja) * 1999-02-18 2000-09-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ばねプローブ、ばねプローブ組立体及びそれらの組立方法
KR20020096295A (ko) * 2001-06-19 2002-12-31 한무웅 반도체 칩의 전기적 검사용 프로브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824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8627B (zh) 弹簧接触组件
CN1255686C (zh) 导电接触单元系统
CN101501509B (zh) 具有柔性内互连件的电接触探针
CN104897933B (zh) 弹簧套筒式探针及其制造方法
EP2239587B1 (en) Probe unit
TWI779192B (zh) 探針、檢查夾具、檢查裝置、以及探針的製造方法
US20080088331A1 (en) Socket for test
US20100244872A1 (en) Inspection sock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8735678B (zh) 一种量子裸芯片立体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
WO2020202735A1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これを備えた検査用ソケット
KR20190105082A (ko) 프로브 및 전기적 접속 장치
US20100084178A1 (en) bond strength and interconnection in a via
WO2014017426A1 (ja) プローブユニット、基板検査装置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製造方法
JP2016520835A (ja) テストプローブ、テストプローブアセンブリ及びテストプラットフォーム
KR100840834B1 (ko) 프린트 배선판의 검사지그
JP3711264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検査治具
JP2015173005A (ja) 回路基板及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5345598B2 (ja) 検査治具及び接触子
JP2012073213A5 (ko)
CN109346860B (zh) 一种btb连接器端子和btb连接器
WO2018168136A1 (ja) プローブピンおよび検査ユニット
KR102324248B1 (ko) 검사 장치용 블록 조립체
JP2004356180A (ja) プレスフィットピン実装基板構造およびプレスフィットピン接続検査方法
CN100356183C (zh) 印刷电路板的检查工具
KR101591501B1 (ko) 접촉율이 향상된 컨택트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