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74B1 -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74B1
KR100839974B1 KR1020070029037A KR20070029037A KR100839974B1 KR 100839974 B1 KR100839974 B1 KR 100839974B1 KR 1020070029037 A KR1020070029037 A KR 1020070029037A KR 20070029037 A KR20070029037 A KR 20070029037A KR 100839974 B1 KR100839974 B1 KR 10083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spool
high voltage
connecting member
wire
igni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범
임재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to KR102007002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4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devices
    • H01T13/44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devices with transformers, e.g. for high-frequency ign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2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rod-shaped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내연 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고압단자와 2차 스풀에 결합되는 2차 스풀 연결부재가 개시된다. 2차 스풀 연결부재는 상기 2 차 스풀의 고전압 측을 향하는 면에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 단자를 향하는 면에는 고압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고압단자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 단자 삽입공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된다. 2차 스풀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 상기 주 권선부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 상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의 고전압측에 형성된 보조 권선부; 및 상기 보조 권선부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 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의 끝단면에는 상기 2차 스풀 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2차 스풀과 보다 견고히 고정되며, 고압단자와 전기 전도성이 증대된다.
점화 코일, 2차 스풀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Secondary spool using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il and connecting member attached to the same}
도 1은 종래의 2차 스풀의 고전압측 끝단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5는 도 2의 연결부재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2차 스풀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0, 2100: 2차 스풀
300: 고압 단자
200, 1200, 2200, 3200: 연결부재
210, 1210, 2210, 3210: 돌출부
230, 1230, 2230, 3230: 고압단자 삽입공
1220, 2220: 와이어 이탈방지부
2230: (연결부재)와이어 권선부
110, 1110, 2110: 주 권선부
120, 1120, 2120: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
130, 1130: 보조 권선부
140: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
142, 1132, 2122: 삽입공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점화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연 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2차 스풀의 고전압 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용 점화 코일(이하에서는, 간단히 " 점화 코일" 이라 부른다)은 코일들의 상호 유도 작용을 통해 고전압을 생성함으로써 점화 플러그의 틈을 가로지르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점화 코일에는 몇 가지 타입이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홀에 장착되도록 개조된 스틱형(stick-type) 점화 코일이 있는데, 이 스틱형 점화 코일은, 봉 모양의 코어와, 코어의 바깥쪽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원통형 2차 스풀(spool)과, 이 2차 스풀에 감긴 2차 코일과, 2차 코일의 바깥쪽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원통형 1차 스풀과, 이 1차 스풀에 감긴 1차 코일을 구비한다. 즉, 코어, 2차 스풀,2차 코일, 1차 스풀 및 1차 코일은 점화 코일의 안쪽 가장자리로부터 그 순서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부재들은 중공 원통형 케이스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내에서의 각 부재의 전기적 절연성을 보장하고 각 부재를 서로 접착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에는 수지 절연재가 충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2차 스풀의 고전압측 끝단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2차 스풀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11)와, 주 권선부(11)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2)과,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2)의 고전압측에 형성된 보조 권선부(13)와, 보조 권선부(13)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14)을 포함한다.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14)의 끝단면에는 2차 스풀 연결부재(20)가 안착되는 안착부(15)가 요입되어 형성되며, 안착부(15)에는 고전압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16)이 형성된다.
2차 스풀 연결부재(20)는 2차 스풀에 권선된 와이어와 고압단자(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고압단자(30)를 2차 스풀(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2차 스풀 연결부재(20)는 금속 판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재 삽입공(21)이 관통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재(20)의 외주에는 안착부(15)를 둘러싸는 외벽에 억지 끼움되도록 스풀측 고정편(22)이 돌출되고, 연결부재(20)의 내주에는 고압단자(30)가 억지 끼움되도록 고압단자측 고정편(2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20)의 외주에는 와이어(1)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2차 스풀 연결부재(20)는 스풀측 고정편(22)이 조립과정에서 쉽게 휘어져 조립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견고성이 떨어져 쉽게 빠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압단자(30)와 고압단자측 고정편(23)에 의해서 점접촉하고 있으므로 전기 전도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2차 스풀과 보다 견고히 고정되며, 고압단자와 전기 전도성을 증대시킨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 및 이와 결합되는 점화 코일의 2차 스풀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의 고전압 측과, 고압 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2 차 스풀의 고전압 측을 향하는 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단자를 향하는 면에는 고압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고압단자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 단자 삽입공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 차 스풀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2차 스풀의 고전압측을 향하는 끝단의 폭이 줄어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주에 턱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2차 스풀에 권선된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 권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선부는, 상기 돌출부 보다는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 보다는 외주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이와 결합하는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스풀(100), 2차 스풀 연결부재(200) 및 고압단자(3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2차 스풀(100)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110)와, 주 권선부(110)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20)과,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20)의 고전압측에 형성된 보조 권선부(130)와, 보조 권선부(130)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140)을 포함한다.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20)에는 권선된 와이어가 지나갈 수 있도록 홈(121)이 형성되며, 보조 권선부(130)는 직경이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20) 및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1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 2 이탈 방지턱(120)의 끝단면에는 2차 스풀 연결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141)가 요입되어 형성되며, 안착부(141)에는 삽입공(14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이탈 방지턱(120)의 외벽에는 와이어 고정부(221)가 끼워지도록 홈(143)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2차 스풀 연결 부재(200)는 2 차 스풀의 고전압 측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어 삽입공(142)에 끼워지는 돌출부(210)와, 돌출부(210)의 고압단자(300)를 향하는 끝단 외주에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턱부(220)와, 고압 단자를 향하는 면에 고압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고압단자 삽입공(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부(220)의 외주의 일측에는 와이어(1)와 결합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240)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돌출부(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2차 스풀(100)의 고전압측을 향하는 끝단(211)의 폭이 줄어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끝단(211)의 폭이 줄어지도록 경사져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200)를 2차 스풀(100)의 삽입공(142)에 삽입하는 동작이 훨씬 용이하다.
돌출부(210)의 외경의 크기는 2차 스풀(100)의 삽입공(142)에 억지끼움 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고압 단자 삽입공(230)은 돌출부(2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즉, 돌출부(210)의 내주면이 삽입공(230)으로 형성된다.
돌출부는 이외에도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2차 스풀 연결부재(200b)는 돌출부(210b)의 외주에 돌부(212)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210b) 자체의 직경은 2차 스풀(100)의 삽입공(142)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나, 돌부(212)를 포함한 직경은 2차 스풀(100)의 삽입공(142)에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2차 스풀 연결부재(200b)에 비해 조립이 조금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의 2차 스풀(100b)은 삽입공(142b)의 내주면에 돌기(14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삽입공(142b)의 직경은 도 2의 2차 스풀 연결부재(200)의 돌출부(210) 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나, 돌기(144)를 포함하는 내주면의 지경은 2차 스풀 연결부재(200)의 돌출부(210)와 억지끼움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 또한, 도 2의 2차 스풀(100) 보다 조립이 조금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의 2차 스풀 연결부재(200c)는 돌출부(210c)의 형상이 4각 기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미도시된 2차 스풀의 삽입공(미도시)의 단면의 형상도 4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차 스풀 연결부재(200c)가 삽입공에 삽입된 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고압단자(300)는 고압단자 삽입공(230)에 삽입되도록 접촉단자(310)가 돌출 되어 형성되며, 반대측은 접화 코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종래에 알려진 일반적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압단자(300)의 형상에 큰 특징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2차 스풀 연결부재는 2차 스풀 연결부재의 돌출부(200)가 2차 스풀의 삽입공(142)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종래에 비해서 보다 견고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고압단자(300)의 접촉단자(310)가 고압단자 삽입공(230)에 삽입되어 면접촉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훨씬 증대된다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2차 스풀의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이 2차 스풀에 형성되지 않고 연결부재에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의 2차 스풀(1100)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1110)와, 주 권선부(1110)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120)와,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1120)의 고전압측에 형성된 보조 권선부(1130)를 포함한다. 즉, 제 1 실시예의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130)이 형성되지 않는다. 보조 권선부(1130)의 끝단면에는 2차 스풀 연결부재(1200)의 돌출부(1210)가 삽입되는 삽입공(1132)이 형성된다.
이에 맞춰, 2차 스풀 연결부재(1200)는 2 차 스풀의 고전압 측을 향하는 면 에 돌출되어 삽입공(1122)에 끼워지는 돌출부(1210)와, 돌출부(1210)의 외주에 턱 지도록 형성되어 2차 스풀에 권선된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이탈방지부(1220)와, 고압 단자를 향하는 면에 고압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고압단자 삽입공(1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 이탈방지부(1220)의 외주의 일측에는 와이어(1)와 결합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1240)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보조 권선부(1130)에 권선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분이 2차 스풀 연결부재(1200)에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 이탈 방지부(1220)가 고압단자(300)와 직접 접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더욱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보조 권선부(1130)에 해당하는 구조가 2차 스풀 연결부재(1200)에 형성된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2차 스풀 연결부재(2200)의 와이어 이탈방지부(2220)와, 돌출부(2210)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 권선부(2250)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 권선부(2250)는, 돌출부(2210) 보다는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와이어 이탈방지부(2220) 보다는 외주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2차 스풀 연결부재(2200)와 결합되는 2차 스풀(2100)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2110)와, 주 권선부(2110)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2120)을 포함하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2120)의 끝단면에는 2차 스풀 연결부재의 돌출부(2210)가 삽입되는 삽입공(21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2차 스풀 및 이에 결합되는 2차 스풀 연결부재는 전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스풀의 단부의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2차 스풀(100) 및 고압단자(30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2차 스풀 연결부재(3200)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선재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즉, 제 1 실시예의 2차 스풀 연결부재(3200)와 동일하게 2차 스풀 연결 부재(3200)는 2 차 스풀의 고전압 측을 향하는 면에 돌출되어 삽입공(142)에 끼워지는 돌출부(3210)와, 돌출부(3210)의 고압단자(300)를 향하는 끝단 외주에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턱부(3220)와, 고압 단자를 향하는 면에 고압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고압단자 삽입공(3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턱부(3220)의 외주의 일측에는 와이어와 결합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3240)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만, 제 1 실시예와 같이 면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결과, 재료비가 절감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2차 스풀 및 2차 스풀 연결부재는 2차 스풀 연결부 재의 돌출부가 2차 스풀의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종래에 비해서 보다 견고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고압단자의 접촉단자가 고압단자 삽입공에 삽입되어 면접촉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훨씬 증대된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1)

  1.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의 고전압 측과, 고압 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2 차 스풀의 고전압 측을 향하는 면에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단자를 향하는 면에는 고압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고압단자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 단자 삽입공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 차 스풀 연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2차 스풀의 고전압측을 향하는 끝단의 폭이 줄어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에 턱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2차 스풀에 권선된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이탈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 권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선부는, 상기 돌출부 보다는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부 보다는 외주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
  7. 제 1 항의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2차 스풀에 있어서,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
    상기 주 권선부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
    상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의 고전압측에 형성된 보조 권선부; 및
    상기 보조 권선부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2 와이어 이탈 방지턱;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의 끝단면에는 상기 2차 스풀 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8. 제 5 항의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2차 스풀에 있어서,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
    상기 주 권선부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 및
    상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의 고전압측에 형성된 보조 권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권선부의 끝단면에는 상기 2차 스풀 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9. 제 6 항의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2차 스풀에 있어서,
    와이어가 권선되는 주 권선부; 및
    상기 주 권선부의 고전압측 외주부에 돌출된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어 이탈 방지턱의 끝단면에는 상기 2차 스풀 연결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스풀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
KR1020070029037A 2007-03-26 2007-03-26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KR10083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37A KR100839974B1 (ko) 2007-03-26 2007-03-26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37A KR100839974B1 (ko) 2007-03-26 2007-03-26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74B1 true KR100839974B1 (ko) 2008-06-19

Family

ID=3977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037A KR100839974B1 (ko) 2007-03-26 2007-03-26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65A (ko) * 2010-07-23 2012-02-0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터미널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258A (ja) 1997-10-15 1999-04-30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1060487A (ja) 1999-06-18 2001-03-06 Ngk Spark Plug Co Ltd プラグキャップおよびプラグ取付方法
JP2003045729A (ja) 2001-07-27 2003-02-14 Hanshin Electric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258A (ja) 1997-10-15 1999-04-30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1060487A (ja) 1999-06-18 2001-03-06 Ngk Spark Plug Co Ltd プラグキャップおよびプラグ取付方法
JP2003045729A (ja) 2001-07-27 2003-02-14 Hanshin Electric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265A (ko) * 2010-07-23 2012-02-0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터미널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화장치
KR101651211B1 (ko) 2010-07-23 2016-08-2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터미널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53204A (ja) 点火コイル
US9728322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026294A (en) Ignition plug socket structure
KR100839974B1 (ko)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 이에 결합되는연결부재
US20030098764A1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626481B2 (en) Ignition coil
US20060091987A1 (en) Ignition coil with secondary winding center tap connected to shield
JP4028893B2 (ja) イグニッションコイル
JP2007198193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3655870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CN107077962A (zh) 内燃机用点火线圈
JP4747987B2 (ja) 点火コイル
JP5458962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60209A (ja) スティック形点火コイル及びその円筒部材
JP3629983B2 (ja) 点火コイル
JP3163436U (ja) ソレノイド
JP3783957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KR100891945B1 (ko) 내연기관용 점화 코일의 2차 스풀과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JP2016092218A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及びその取付構造
JP4501673B2 (ja) 点火コイル
JP5181858B2 (ja) 点火コイル
JP3888491B2 (ja) 点火コイル
JP2007242802A (ja) 点火コイル
JP2007162651A (ja) 点火コイル
JP2016012599A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