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616B1 -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616B1
KR100835616B1 KR1020040054343A KR20040054343A KR100835616B1 KR 100835616 B1 KR100835616 B1 KR 100835616B1 KR 1020040054343 A KR1020040054343 A KR 1020040054343A KR 20040054343 A KR20040054343 A KR 20040054343A KR 100835616 B1 KR100835616 B1 KR 10083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tip
earrings
length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502A (ko
Inventor
도시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케이티 옵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96440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437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78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931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케이티 옵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케이티 옵티카
Publication of KR2005001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Adorn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과제] 안경의 프런트부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귀걸이이며, 귀걸이를 짧게 해서 귀의 오목부에 결합해서 안경을 걸 수 있고, 더군다나 어떠한 형상의 귀라도 통증이 따르지 않고, 결합해서 걸기 쉬운 안경 귀걸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귀걸이(4)의 선단에는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패트(16)를 구비하고, 이 귀걸이(4)는 길이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또 귀걸이 선단에 굴곡 또는 만곡해서 휘기 변형에 우수한 탄성재로 구성한 암(15)을 설치하고, 그리고 암 선단에 상기 패트(16)를 설치하고 있다.
안경, 프런트부, 탄성재, 패트, 귀걸이, 조정기구, 안경 프레임

Description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END PIECE OF THE GLASSES FRAME}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귀걸이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
도 2는 귀걸이 선단부의 실시예.
도 3은 귀걸이 선단부의 실시예.
도 4는 귀걸이의 길이 조정기구의 구체적인 예.
도 5는 귀걸이의 길이 조정기구의 구체적인 예.
도 6은 귀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귀걸이 길이 조정 도면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귀걸이부재의 나사부에 조정 너트를 나사결합하고 있을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귀걸이 본체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귀걸이부재의 나사부를 귀걸이 본체의 끼워넣기부 구멍에 끼워 넣은 경우의 도면.
도 11은 길이 조정부의 단면확대도.
도 12는 길이 조정 도면의 단면확대도.
도 13은 귀걸이 길이 조정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귀걸이 길이 조정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림 2 연결부재
3 힌지 4 귀걸이
5 이음매 6 기부
7 나사 8 결합부
9 선단굴곡부 10 귀
11 외륜 12 오목부
13 나사 14 파이프 너트
15 암 16 패트
17 다리 18 부착 링
19 축받이 20 축
21 만곡부 22 파이프
23 파이프 너트 24 나사
25 선단 26 홈
27 축 28 편심축
29 로크 링 30 맞닿기부
31 귀걸이 본체 32 귀걸이부재
33 조정 너트 34 로크 너트
본 발명은 안경을 얼굴에 걸 경우에, 프런트부는 코걸이 패트를 통하여 코에서 지지되고, 또 프런트부에서 연장되는 귀걸이는 귀에 걸리지만, 본 발명은 귀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안경은 프런트부와 이 프런트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귀걸이로부터 이루어지고, 이 귀걸이는 경첩 등의 이음매를 통해서 접을 수 있다. 프런트부의 형태는 여러가지이고, 일반적으로는, 양쪽 림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동시에 림 외측에는 힌지를 납땜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 림으로서 상측 반분(半分)의 하프 림을 사용하고, 렌즈 하측은 수사(水絲)로 유지하는 타입의 프런트부도 있다.
더욱이, 림을 이용하는 않고 양쪽 렌즈를 연결부재의 양측에 직접 나사 결합 하는 동시에, 렌즈 외측에는 힌지를 직접 나사 결합해서 구성하는 테두리없는 안경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프런트부에는 콧등에 닿아서 지지되는 코걸이 패트가 부착되어, 프런트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귀걸이는 얼굴 측면으로부터 귀에 도달하고, 귀걸이 선단부에 끼워 부착하고 있는 대략 L자 모양의 모던(귀걸이 부분)이 귀에 걸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안경은 프런트부와 귀걸이로 얼굴에 안정되게 걸 수 있는 것이다.
얼굴에 걸린 안경이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물론, 얼굴로부터 벗어나지않도록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콧등에 닿아서 프런트부가 지지되는 코걸이 패트 의 재질로서 유연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또 피부 닿음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또 모던의 내측에도 실리콘 수지층을 설치하거나, 가는 요철면으로 하는 등의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신문이나 잡지를 읽을 때에 일시적으로 거는 노(老)안경의 경우, 프런트부를 콤팩트하게 한 안경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이것은, 휴대가 편리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신문, 잡지를 일시적으로 읽을 때에 큰 렌즈를 프런트부에 끼울 필요성도 적다. 이렇게, 프런트부의 사이즈를 작게 해도, 이 프런트부에서 귀에 걸도록 연장되는 귀걸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없고, 종래의 안경 프레임의 형태에서는, 안경 전체로서의 사이즈를 컴팩트화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귀걸이를 짧게 해서 선단에 패트를 부착한 귀걸이 형태가 알려지고, 이 패트는 귀 외륜의 오목부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귀걸이를 접은 때에는 전체가 매우 컴팩트화해서 휴대가 편리하다. 이러한 짧은 귀걸이를 구비한 안경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개평4―50818호에 관한 「안경의 귀걸이」가 알려져 있다. 이 귀걸이의 자유단부에는 인체의 귀의 오목한 곳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의 귀의 형상은 천차 만별이어서, 귀걸이의 자유선단부에 결합부를 형성해도, 이 결합부가 귀 외륜내의 오목부(오목한 곳)에 결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무리하게 결합하면 통증을 느끼고, 때로는 빠져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동 공보에는 귀걸이 전체를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예도 설명되어 있지만,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귀걸이에서는 전체가 휨 변형하고, 오목부에 결 합할 때의 결합 압(壓)이 지나치게 작아서 안경을 걸었을 때의 딱 맞는 감을 얻을 수 없고, 안경이 벗겨지기 쉽다.
또, 안경을 장착자의 얼굴에 딱 맞게 하기 위하여 모던의 구부러짐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귀걸이 전체의 길이가 조절되지만, 이것을 간이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귀걸이의 길이 조절기구를 구비한 안경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평7―270725호, 일본 특개평9―281446호).
일본 특개평7―270725호에는, 귀걸이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코일 스프링을 삽입하는 동시에, 그 일단을 귀걸이 본체 선단에 고정하고, 모던에 중공구멍을 형성해서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모던의 중공 구멍 내주에 고정하고, 이 모던에 중공구멍을 이음매부재로서 구성함으로써 귀걸이에 신축성을 갖게 한 귀걸이의 신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9―281446호에는, 안경 귀걸이를 신축 귀걸이와 회전운동 귀걸이와 기부(基部) 귀걸이에 의해 구성하고, 각통체(角筒體)로 구성한 회전운동 귀걸이와, 각통체로 구성하고 이 회전운동 귀걸이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운동 자유롭게 한 신축 귀걸이를 중복시켜서, 양자의 중복 부분에 신축 스프링을 개장(介裝)시킴으로써 신축 귀걸이를 신축 자유롭게 한 안경 귀걸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을 이용한 길이 조정기구에서는, 길이 조정을 오로지 스프링의 신축성에 의존하므로 조정 길이가 고정적이지 않고 불안정하게 된다. 즉, 귀걸이 길이를 긴 간격으로 조정할 경우에는 스프링을 강하게 잡아 당기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귀에 거는 힘도 강하여 통증을 느끼고, 완전하게 착용시키는 것이 어렵고, 조정 폭에도 한계가 있다. 또,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필연적으로 귀걸이의 굵기는 크게 되고, 안경 프레임으로서의 외관이 손상된다. 즉, 최근의 날씬한 안경 프레임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14는 길이 조정기구를 도시하는 구체예이며, 이 구체예에서는 나사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프런트부측에 연결되어 있는 귀걸이 본체(가)에 대하여, 귀걸이부재(나)를 회전하면 귀걸이(라)의 길이는 신축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정은 나사의 피치 간격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서, 소정의 길이로 로크 너트(다)를 체결하여 잠근다. 그러나, 로크 너트(다)를 체결하는 것만으로는 귀걸이부재(나)를 완전하게 고정할 수 없고, 약간 회전하면 선단부에 끼워 부착한 모던의 방향이 변해서 귀에 걸 수 없다.
이와같이, 짧은 귀걸이를 구비한 종래의 안경 프레임에는 상기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 문제점이며, 귀걸이를 짧게 해서 귀의 오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선단에 설치한 것인데, 어떠한 형상의 귀라도 통증을 느끼는 않고 결합해서 걸기 쉬운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대상으로 삼는 안경은 노안경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의 근시안용 안경이나 선글라스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한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는, 종래와 같은 대략 L자 모양의 모던을 끼워 부착하지 않고,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더군다나, 이 결합부가 모든 모양의 귀에 맞도록 다음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1) 귀걸이의 길이는 조정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만, 구체적인 조정 수단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귀 외륜 내측의 오목부 형태는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임의의 오목부에 선단 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해서, 귀걸이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2) 귀걸이 선단부는 굴곡 또는 만곡해서 암을 가지고, 그 선단에 패트 등의 결합부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암 부분은 탄성변형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그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즉, 귀걸이 본체는 휨 변형가능하지만 비교적 강하고, 그 선단에서 굴곡 또는 만곡한 암에 탄성변형이 우수한 특성을 주는 것으로서, 결합부는 귀의 오목부에 끼우는 동시에, 적절한 압력이 부가된다.
(3) 결합부의 형태는 자유롭지만, 선단에 부착할 수 있어서 그 방향을 바꿀수 있다. 따라서 귀의 오목부의 내측 형상에 맞추어서 결합할 수 있다.
(4) 암에 걸어서 귀걸이 선단부 외주를 밀봉하고, 안경을 걸었을 때에 털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물론, 털이 걸리지 않는 선단부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밀봉이 필요 없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귀걸이를 구비한 안경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의 1은 렌즈가 끼워지는 림, 2는 연결부재, 3은 힌지, 4는 귀 걸이를 나타내고 있고, 양쪽 림(1,1)은 연결부재(2)의 양쪽사이드에 납땜붙임되어, 림(1,1)의 외측에는 상기 힌지(3,3)가 납땜 붙임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3,3)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이음매(5,5)를 통하여 상기 귀걸이(4,4)가 접힐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귀걸이(4)는 기부(6)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워서 나사(7)로 고정되고, 이 홈에 따라 슬라이드 함으로써 그 길이는 조정할 수 있다.
물론, 귀걸이(4)의 길이 조정기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외에도 여러가지 있고, 동 도면의 조정기구는 단순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 불과하다. 그리고 귀걸이 선단에는 수지로 만든 결합부(8)가 설치되고, 이 결합부(8)는 귀의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형상 오목부에 끼워서 결합된다.
이 결합부(8)는 대략 구슬형을 한 매끄러운 곡면으로 구성되어, 귀의 오목부에 껴지고, 위치 어긋나거나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이 결합부(8)의 형상은 상기 구슬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증이 따르지 않고 오목부에 결합할 수 있으면 좋다. 여기에서, 귀걸이(4)의 재질은 관계없지만, 종래의 안경 프레임용 귀걸이이면 좋고, 결합부(8)가 귀의 오목부에 끼워져도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적절한 휨 변형을 할 수 있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 탄력성이 우수하지 않는 귀걸이 재질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이음매로서 스프링 경첩이 사용된다. 이 스프링 경첩이란 주지하는 바와같이, 안경을 걸 때에 귀걸이(4)를 열린 상태로부터, 이 귀걸이(4)를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서 열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결합부(8)는 적절한 압축력으로 귀의 오목부에 걸어서 결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귀걸이 선단굴곡부(9)는 귀걸이(4)와 동일 선재가 아니고, 이 선단굴곡부(9)를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하고, 귀의 오목부에 결합하기 쉽고, 또 결합력을 이 선단굴곡부(9)에서 완화 조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동 도면의 A부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 도 2이다. 이와같이 여러가지 형태가 있지만, 안경을 걸었을 때에 귀걸이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패트(16)가 귀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통증이 따르지 않고 끼울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a)에 도시하고 있는 귀걸이 선단부에는 길이 조정기구를 가지고, 나사(13)는 파이프 너트(14)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한 암(15)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암(15)의 선단에는 패트(16)가 부착되어 있다. 귀걸이(4)는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트(16)가 귀의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조정된다. 이 상태에 의해, 암(15)은 자유롭게 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트 위치가 다소 어긋난 경우에도, 암(15)의 휨 변형에 의해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귀의 오목부에 통증을 주는 일은 없다. 여기에서, 패트(16)는 비교적 유연한 수지를 이용하거나, 또 오염 표면에 커버를 피복할 수도 있다.
(b)는 (a)와 거의 같은 형태이지만, 귀걸이에 대하여 암(15)의 굴곡각을 다르게 한 구체적인 예이다.
(c)는 (a)의 귀걸이 선단부 외주면을 밀봉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안경을 걸은 경우에 코일 스프링이 귓전에 위치하는 것으로, 털이 이 코일 스프링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부를 밀봉하고 있다. 밀봉의 방 법은 한정하지 않지만, 튜브를 삽입한 곳에서 가열하면 밀착할 수 있다.
(d)는 암 선단의 패트 부착 방법을 다르게 한 경우를 도시하고, 그 밖의 형태는 (a)와 공통이다. 패트에는 2개의 다리(17a,17b)를 설치해서 내측으로 휨 가능하게 하고, 암 선단의 부착 링(18)에 눌러 부착할 수 있다.
(e)는 암을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그리고 암 선단의 부착 링(18)에 대하여 패트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양 다리(17a,17b)는 부착 링(18)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있다.
(f)은 상기(e)과 같은 형태지만, 패트의 부착 구조가 약간 다른 것에 불과하다. 즉, 부착 링(18)의 일부에 절결부를 설치하고, 이 절결부로부터 패트(16)를 끼울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g)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한 암 선단에 축받이(19)를 설치하고, 이 축받이(19)로 패트(16)에 형성한 구형상 축(20)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패트(16)는 모든 방향으로 경사할 수 있고, 귀의 오목부 형상에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귀걸이 선단부 형태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귀걸이 선단부에는 길이 조정기구를 가지고, 나사(13)는 파이프 너트(14)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L자 모양으로 만곡한 암(15)은 탄성변형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암(15)의 선단에는 패트(16)가 부착되어 있다. 귀걸이(4)는 그 길이를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패트(16)가 귀의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조정된다. 이 상태에 따라서, 암(15)은 자유롭게 휠 수 있다. 또한 이 암(15)은 패트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쉽도록 만곡부(21)를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귀걸이 선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암(15)의 선단에는 패트(16)가 부착되고, 상기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지만, 귀걸이(4)의 길이 조정기구가 다르다. 귀걸이 선단부에는 파이프(22)가 설치되고, 이 파이프(22)에는 파이프 너트(23)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 파이프 너트(23)에는 나사(24)가 나사결합하고, 나사 선단(25)은 원추형을 이루어 뾰족해서, 파이프 밑바닥에 형성한 홈(26)에 끼워진다.
상기 나사(24)를 이완한 상태에서는 파이프 너트(23)는 파이프(22)에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고, 암(15) 및 패트(16)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그리고 패트(16)가 소정의 위치에 정해진 곳에서 나사(24)를 죄면, 선단(25)이 홈(26)에 넣어져 외주로 확장하고, 파이프 너트(23)는 그 외경을 팽창해서 파이프(22)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며, 귀걸이의 길이 조정기구의 다른 형태이다. 귀걸이 선단에는 파이프(22)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22)에는 축(27)이 끼워져 있어서, 축(27)으로부터는 암(15)이 만곡해서 뻗어있고, 암 선단에는 패트(1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축(27)의 일부에는 편심축(28)이 설치되고, 이 편심축(27)에는 로크 링(29)이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a)의 상태에서는 로크되어 있지 않고, 축(27)은 파이프(22)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패트(16)의 위치가 귀의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정할 수 있다. 정해진 곳에서, 축(27)을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편심축(28)에 끼워지는 로크 링(29)이 동시에 돌아서 이 축(27)은 로크된다. 축(27)에는 편심축(28) 측으로 맞닿기부(30a)를 연장시키고, 동일하게 로크 링(29)에도 맞닿기부(30b)를 가지고 있다. 거기에서, 축(27)이 회전하면, 맞닿기부(30a)가 로크 링(29)의 맞닿기부(30b)에 접촉해서 강제적으로 회전하여 로크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안경 프레임의 프런트부는 양쪽 림(1,1)을 연결부재(2)에 의해 연결하는 동시에, 림 외측에는 힌지(3,3)를 납땜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프런트부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림을 상반부에 렌즈의 일부가 끼워지는 하프 림으로 하고, 하측을 수사로 렌즈를 유지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림을 이용하지 않고 양쪽 렌즈를 연결부재에 의해 직접 나사 결합하고, 그리고 렌즈 외측에는 힌지를 직접 나사결합하는 테두리없는 안경으로 구성할 경우도 있다. 어쨌든, 프런트부의 힌지에는 귀걸이가 접힐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도 6은 패트 등의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하는 귀(10)를 나타내고 있는데, 귀(10)의 윤곽을 이루는 외륜(11)의 내측에는, 외륜과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오목부(12)가 있어서, 이 오목부(12)에 귀걸이 선단의 결합부(8)가 끼워져서, 위치 어긋나는 일이 없고, 물론, 빠지는 일도 없다.
도 7은 귀걸이 선단부에 설치한 조정부(55)와 패트(16)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외관도이며, (b)은 내부구조를 도시하고, 귀걸이 본체(31)와 귀걸이부재(32)가 조정부(55)를 통하여 연결되어, 귀걸이(4)의 길이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귀걸이 본체(31)의 선단부에 형성한 구멍에 귀걸이부재(32)가 삽입되고, 더욱이 구멍에의 삽입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귀걸이(4)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조정부(55)에는 조정 너트(33)와 로크 너트(34)가 설치되고, 이 조정 너트(33)는 귀걸이부재(32)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부(35)에 나사결합하고, 로크 너트(34)는 조정 너트(33)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부(36)에 나사결합해서 체결되어 있다. 도 8은 귀걸이부재(32)의 나사부(35)에 조정 너트(33)를 나사결합하고 있는 경우이며, (a)의 경우에는 조정 너트(33)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귀걸이부재(32)의 선단으로부터 조정 너트(33)까지의 길이(A)는 크고, (b)의 경우에는 조정 너트(33)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귀걸이부재(32)의 선단으로부터 조정 너트(33)까지의 길이(a)는 작게 되어있다.
귀걸이부재(32)의 선단으로부터 조정 너트(33)까지의 거리(A, a)는, 귀걸이 본체(31)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우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a)의 경우에는 길이(A)가 귀걸이 본체(31)의 구멍에 끼워지고, (b)의 경우에는 길이(a)가 귀걸이 본체(31)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그 때문에, 귀걸이(4)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지는 길이를 a와 같이 짧게 하고, 반대로 귀걸이(4)의 길이를 짧게 할 경우에는 끼워지는 길이를 A와 같이 길게 한다.
도 4는 귀걸이 본체(31)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선단부에는 귀걸이부재(32)가 끼워지는 끼워넣기부(37)를 가지고 있다. 끼워넣기부(37)는 선단을 개구한 구멍(38)을 형성하고, 그리고 가이드 홈(39)을 따라 설치하고 있다. 이 구멍(38)에 귀걸이부재(32)의 나사부(35)가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가이드 홈(39)에는 나사부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편(40)이 끼워져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편(40)은 가이드 홈(39)에 끼워지는 블록이며, 나사부(35)의 외 측으로 일부 돌출하고, 이 돌출부(41)가 가이드 홈(39)에 끼워 넣어 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편(40)은 그 방향이 변화되지 않도록 나사부(35)의 선단에 부착되고, 그 때문에 나사부(35)가 끼워넣기부(37)의 구멍(38)에 끼워 넣어지는 경우, 귀걸이부재(32)의 방향은 일정하고, 나아가서는 귀걸이부재(32)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패트(16)의 위치가 변하는 일은 없다.
이렇게, 귀걸이부재(32)의 나사부(35)는 구멍(38)에 끼워 넣고, 그 끼어 넣는 길이는 A이거나,또는 a로 이루어진다. 즉, 조정 너트(33)의 나사부 끝면(42)이 끼워넣기부(37)의 선단(43)에 접촉한다. 도 10은 끼워넣기부(37)의 구멍(38)에 귀걸이부재(32)의 나사부(35)가 끼워 넣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나사부(36)의 끝면(42)은 끼워넣기부(37)의 선단(43)에 맞닿을때 까지 끼워 넣는 수 있는 데는, 조정 너트(33)의 위치에 의해 끼워 넣는 나사부(35)의 길이가 변화된다.
도 10의 (b)는 A―A단면, (c)는 B―B단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조정 너트(33)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나사부(35)의 끼워 넣는 길이가 변화하여 귀걸이(4)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부(35)를 끼워 넣는 것 만으로는 끼워넣기부(37)로부터 빠져버리기 때문에, 로크 너트(34)을 체결해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로크 너트(34)는 끼워넣기부(37)를 덮어서 조정 너트(33)의 나사부(36)에 나사결합해서 체결되어 있다. 끼워넣기부(37)에는 외경을 크게 하는 단차를 형성하는 테이퍼면(44)을 가지고, 로크 너트(34)가 조정 너트(33)의 나사부(36)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 테이퍼면(44)을 체결해서 로크할 수 있다. 도 11은 로크 너트(34) 에 의해 체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귀걸이(4)의 길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로크 너트(34)를 떼어낸 곳에서 조정 너트(33)를 회전시켜, 도 7에 있어서의 패트(16)의 위치가 변화된다. 그리고 적당한 위치에 이루어진 곳에서, 로크 너트(34)를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형태이며, 로크 너트(34a)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로크 너트(34)는 귀걸이 본체(31)의 끼워넣기부(37)를 커버하기 위한 통부를 구비하고 있는데, 동 도면의 로크 너트(34a)는 커버 통부(54)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로크 너트(34a)를 죄는 것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커버 통부(54)와의 경계역이 흔들려서 표면도장 막이 벗겨지는 일은 없다. 여기에서, 커버 통부(54)는 소정의 위치에 미리 납땜 붙임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귀걸이의 길이를 정하기 위한 별도의 귀걸이 길이 조정구를 도시하고 있다. 귀걸이의 길이를 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정부(31)의 로크 너트(34)를 이완해서 조정 너트(33)를 회전시키면 되는데, 동 도면에 도시하는 귀걸이 길이 조정구를 사용하므로서 간단하게 더군다나 단시간에 조정할 수 있다.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고, 귀걸이 본체(45)와 귀걸이부재(46), 조정 너트(52)로 구성되어 있다. 귀걸이부재(46)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48)의 선단에는 가이드편(49)을 설치할 수 있어, 귀걸이 본체(45)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 넣는 동시에, 가이드편(49)은 가이드 홈(5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귀걸이부재(46)의 나사부(48)에는 조정 너트(52)가 나사결합한다. 또 로크 너트(47)는 귀걸이 본체(45)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클릭부(51)에 걸어서 부착할 수 있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로크 너트(47)에는 나사 구멍 이외에 결합 구멍이 일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귀걸이 본체(45)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끼워넣기부(53)는 로크 너트(47)의 결합 구멍에 끼워지는 동시에 클릭부(51)는 오목홈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조정 너트(52)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부는 로크 너트(47)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해서 연결된다. 거기에서, 조정 너트(52)를 회전하면, 나사결합하고 있는 나사부(48)가 이동하고, 귀걸이부재(46)는 귀걸이 본체(45)에 대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고, 귀걸이의 길이가 조정된다.
이 귀걸이 길이 조정구는 안경을 걸은 상태에서 귀걸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이것에 맞추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조정 너트(33)를 돌려서 귀걸이 길이를 결정하고, 그 후 로크 너트(34)를 체결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다만, 이 길이 조정구를 신축가능한 안경 귀걸이로서의 이용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안경은 귀걸이 선단에 결합부(8)를 설치한 경우지만, 일반적인 안경과 같이, 모던을 귀걸이 선단부에 끼워 부착할 경우에도 같이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는 그 선단에 결합부를 가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는, 그 선단에 패트 등의 결합부를 가지고, 이 결합부는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의 오목부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귀걸이는 그 길이가 조정되고, 또 귀걸이 선단으로부터 굴곡 또는 만곡된 암에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귀걸이 선단의 결합부는 귀의 오목부에 정확하게 결합하고, 더군다나 위치 어긋난 경우에도 탄성재로 구성되는 암이 변형해서 이 오목부에 통증을 주지 않고, 얼굴에 걸린 안경은 안정한다. 귀걸이는 종래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선단의 암에는 코일 스프링이나 초탄성 재질이 사용되므로써 결합부는 오목부에 정확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귀걸이의 스프링 힘으로 적절한 결합력이 작용해서 걸 수 있다.
또, 결합부는 그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더군다나 실리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는 등, 오목부와의 착용감이 높고, 표면에 커버를 부착하는 것으로 더러워진 경우에는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선단에 설치해서 귀 외륜이나 외륜 내측의 오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까지가 귀걸이 길이로 되고, 종래의 귀걸이에 비교해서 짧고, 귀걸이를 접었을 경우에 안경은 컴팩트화 된다. 따라서 항상 휴대하는 노안경의 경우에는,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다.

Claims (13)

  1. 삭제
  2. 프런트부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에 있어서, 이 귀걸이의 선단에는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패트 등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이 귀걸이는 길이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또 귀걸이 선단에 굴곡 또는 만곡해서 휨 변형이 우수한 탄성재로 구성된 암을 설치하고, 그리고 암 선단에 상기 결합부를 부착하고,
    적어도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한 암의 영역을 밀봉해서 털의 걸림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3. 프런트부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에 있어서, 이 귀걸이의 선단에는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패트 등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이 귀걸이는 길이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또 귀걸이 선단에 굴곡 또는 만곡해서 휨 변형이 우수한 탄성재로 구성된 암을 설치하고, 그리고 암 선단에 상기 결합부를 부착하고,
    상기 패트 등의 결합부를 암 선단에 형성한 부착 링에 헐겁게 끼워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4. 프런트부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에 있어서, 이 귀걸이의 선단에는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패트 등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이 귀걸이는 길이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또 귀걸이 선단에 굴곡 또는 만곡해서 휨 변형이 우수한 탄성재로 구성된 암을 설치하고, 그리고 암 선단에 상기 결합부를 부착하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상기 귀걸이에서, 이 안경 귀걸이는 귀걸이 본체와 귀걸이부재로 구성하는 동시에 귀걸이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한 끼워넣기부의 구멍에는 귀걸이부재의 나사부를 끼워 넣고, 이 나사부에는 조정 너트를 나사결합해서 끼워넣기부에 끼워 넣는 나사부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고, 또 끼워넣기부에는 가이드 홈을 축방향으로 설치해서 구멍에 끼워 넣은 나사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조정 너트의 나사부에 로크 너트를 체결해서 귀걸이 본체와 귀걸이부재를 연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5. 제 4 항에 있어서, 귀걸이부재의 나사부 선단에는 가이드편을 부착하고, 이 가이드편의 돌출부를 끼워넣기부에 설치한 가이드 홈에 끼워서 회전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6. 프런트부의 양측에 접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귀걸이에 있어서, 이 귀걸이의 선단에는 귀의 외륜 또는 외륜 내측에 있는 오목부에 결합하는 패트 등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이 귀걸이는 길이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또 귀걸이 선단에 굴곡 또는 만곡해서 휨 변형이 우수한 탄성재로 구성된 암을 설치하고, 그리고 암 선단에 상기 결합부를 부착하고,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상기 귀걸이에서, 이 안경 귀걸이는 귀걸이 본체와 귀걸이부재로 구성하는 동시에 귀걸이부재의 선단부에 설치한 끼워넣기부의 구멍에는 귀걸이 본체의 나사부를 끼워 넣고, 이 나사부에는 조정 너트를 나사결합해서 끼워넣기부에 끼워 넣는 나사부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고, 또 끼워넣기부에는 가이드 홈을 축방향으로 설치해서 구멍에 끼워 넣은 나사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조정 너트의 나사부에 로크 너트를 체결해서 귀걸이 본체와 귀걸이부재를 연결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7. 제 6 항에 있어서, 귀걸이 본체의 나사부 선단에는 가이드편을 부착하고, 이 가이드편의 돌출부를 끼워넣기부에 설치한 가이드 홈에 끼워서 회전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 너트는 상기 끼워넣기부의 주위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통부와 분리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가능한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9. 귀걸이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길이 조정구에 있어서, 이 안경 귀걸이는 귀걸이 본체와 귀걸이부재로 구성하는 동시에 귀걸이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한 끼워넣기부의 구멍에는 귀걸이부재의 나사부를 끼워 넣고, 이 나사부에는 조정 너트를 나사결합해서 끼워넣기부에 끼워 넣는 나사부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하고, 또 끼워넣기부에는 가이드 홈을 축방향으로 설치해서 구멍에 끼워 넣은 나사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리고 상기 조정 너트와 연결한 로크 너트를 끼워넣기부 선단에 회전자유롭게 걸어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길이 조정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트 등의 결합부를 암 선단에 형성한 부착 링에 헐겁게 끼워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40054343A 2003-07-14 2004-07-13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KR100835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6440 2003-07-14
JP2003196440A JP3584378B1 (ja) 2003-07-14 2003-07-14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JP-P-2003-00378492 2003-11-07
JP2003378492A JP4049319B2 (ja) 2003-11-07 2003-11-07 伸縮可能なメガネツル及びツル長さ調整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502A KR20050010502A (ko) 2005-01-27
KR100835616B1 true KR100835616B1 (ko) 2008-06-09

Family

ID=3347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343A KR100835616B1 (ko) 2003-07-14 2004-07-13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18036B2 (ko)
EP (1) EP1498767B1 (ko)
KR (1) KR100835616B1 (ko)
AT (1) ATE442608T1 (ko)
DE (1) DE60200402303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8068B2 (en) * 2006-04-28 2009-0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yewear with mask attachment features
US20070252944A1 (en) * 2006-04-28 2007-11-01 Welchel Debra N Eyewear with enhanced fit
US20070252943A1 (en) * 2006-04-28 2007-11-01 Welchel Debra N Eyewear with enhanced air flow and/or absorption features
US7648234B2 (en) * 2006-04-28 2010-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yewear with heating elements
US7475982B2 (en) * 2006-12-15 2009-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por barrier attachment for eyewear
US8756720B2 (en) 2010-05-04 2014-06-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ple lens geometries for safety glasses
DE202010009601U1 (de) 2010-06-28 2011-04-07 Ferdinand Menrad Gmbh & Co. Kg Längenverstellbarer Brillenbüg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623U (ko) * 1985-04-04 1986-10-17
JPH04124227U (ja) * 1991-04-23 1992-11-12 株式会社アヤ文化店 眼 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54167A (ko) * 1933-10-31
FR336231A (fr) * 1903-06-08 1904-03-02 Zeiss Carl Soc Stéréoscope à lentilles pour vues séparées
GB312111A (en) * 1928-02-18 1929-05-21 Edwin Thomas Cornw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ectacle- or like frames
US2503275A (en) * 1945-07-17 1950-04-11 Jacob L Kleinman Adjustable eyeglass temple
JPH0450818A (ja) 1990-06-15 1992-02-19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DE9205717U1 (ko) * 1992-04-29 1992-07-02 Roskaritz, Gottlieb, 2000 Hamburg, De
FR2706637B1 (fr) * 1993-06-11 1995-10-27 Pentax Vision Co Ltd Monture de lunettes.
JP3433200B2 (ja) 1994-03-25 2003-08-04 株式会社村井 眼鏡の伸縮テンプル構造
JPH09281446A (ja) 1996-04-16 1997-10-31 World Opt:Kk 眼鏡つる
US6176576B1 (en) * 1997-06-06 2001-01-23 Radians, Inc. Eyewear supported by a wearer's concha of an e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623U (ko) * 1985-04-04 1986-10-17
JPH04124227U (ja) * 1991-04-23 1992-11-12 株式会社アヤ文化店 眼 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502A (ko) 2005-01-27
DE602004023032D1 (de) 2009-10-22
EP1498767A1 (en) 2005-01-19
EP1498767B1 (en) 2009-09-09
ATE442608T1 (de) 2009-09-15
US7018036B2 (en) 2006-03-28
US20050012893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8716A (en) Goggles, in particular for sports and/or leisure wear
US8875346B2 (en) Hinge assembly for eyewear
KR100646839B1 (ko) 안경테 및 렌즈걸이
KR100835616B1 (ko) 안경 프레임의 귀걸이
JP4824513B2 (ja) 眼鏡フレーム
KR200259078Y1 (ko) 부착식 안경
JP3584378B1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2007286473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HK1061576A1 (en) Spectacles of the type without the surround
JP2603678Y2 (ja) 眼鏡用パ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4792263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3224215U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367300Y1 (ko) 안경테, 힌지 및 안경
CN2329986Y (zh) 可调整镜片角度之眼镜结构
JP3006215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2010181446A (ja) セミテンプル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フィッティング構造
JP3526842B2 (ja) 眼鏡の連結機構
JP2008298909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2004258068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2005141071A (ja) 伸縮可能なメガネツル及びツル長さ調整具
JP2004117938A (ja) 眼鏡枠
KR20210142938A (ko) 마스크 견착구조를 갖는 안경테
JP3078171U (ja) 眼 鏡
JP3110851U (ja) 眼鏡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