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423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423B1
KR100833423B1 KR1020060031497A KR20060031497A KR100833423B1 KR 100833423 B1 KR100833423 B1 KR 100833423B1 KR 1020060031497 A KR1020060031497 A KR 1020060031497A KR 20060031497 A KR20060031497 A KR 20060031497A KR 100833423 B1 KR100833423 B1 KR 100833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insulating film
forming
bit line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997A (ko
Inventor
권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3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423B1/ko
Priority to US11/635,909 priority patent/US7572729B2/en
Publication of KR2007009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in via holes or trenches, e.g. non-conductive sidewall l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3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콘택홀 측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콘택홀 내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드레인 콘택 플러그와 버추얼 파워(Virtual Power) 라인 간의 거리를 확보하여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콘택 플러그, 질화막, 쇼트, 버추얼 파워 라인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도 1은 비트 라인 선택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비트 라인 선택부의 비트 라인과 비트 라인 선택 트랜지스터의 접합부를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 그리고 버추얼 파워(Virtual Power; VIRPWR) 라인의 제조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2 : 층간 절연막
104 : 드레인 콘택홀 106 : 스페이서
108 : 도전층 110 : 드레인 콘택 플러그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레인 콘택 플러그와 버추얼 파워(Virtual Power; VIRPWR) 라인 간의 거리를 확보하여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의 소거 동작은 플로팅 게이트의 전자를 F-N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 반도체 기판으로 빼냄으로써 수행되어지면, 이 소거 동작은 반도체 기판에 약 20V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소자는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 페이지 버퍼(page buffer)를 구비하는데, 페이지 버퍼는 비트 라인 선택부를 통해 메모리 셀 어레이의 비트 라인과 연결된다.
도 1은 비트 라인 선택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븐 비트 라인 선택 트랜지스터(HV1)와 오드 비트 라인 선택 트랜지스터(HV2)는 이븐 및 오드 비트 라인 바이어스 신호(DISCHe 및 DISCHo)에 따라 인접한 이븐 비트 라인(BLe)과 오드 비트 라인(BLo)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이븐 비트 라인(BLe)과 오드 비트 라인(BLo) 간에 직렬 접속되는데, 이들 트랜지스터(HV1 및 HV2)를 통해 버추얼 파워(VIRPWR)가 비트 라인으로 인가된다. 또한, 연결 노드(SO)와 이븐 비트 라인(BLe)을 접속시키는 접속 트랜지스터(HV3)와 연결 노드(SO)와 오드 비트 라인(BLo)을 접속시키는 접속 트랜지스터(HV4)가 구성되는데, 이들은 이븐 및 오드 비트 라인 선택 신호(BSLe 및 BSLo)에 따라 구동된다. 한편, 비트 라인 선택 트랜지스터들(HV1 및HV2)과 접속 트랜지스터들(HV3 및 HV4)은 각각 고전압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연결 노드(SO)는 비트 라인 선택부와 페이지 버퍼의 연결 노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트 라인 선택부는 노드(Q1)에서 이븐 비트 라인(BLe)과 선택 트랜지스터(HV1)의 접합부가 연결되며, 이븐 비트 라인 바이어스 신호(DISCHe)에 따라 선택 트랜지스터(HV1)가 구동되어 버추얼 파워(VIRPWR)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접지 전압(Vss) 또는 전원 전압(Vcc)이 비트 라인으로 인가된다. 또한, 노드(Q2)에서 오드 비트 라인(BLo)과 선택 트랜지스터(HV2)의 접합부가 연결되며, 오드 비트 라인 바이어스 신호(DISCHo)에 따라 선택 트랜지스터(HV2)가 구동되어 버추얼 파워(VIRPWR) 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접지 전압(Vss) 또는 전원 전압(Vcc)이 비트 라인으로 인가된다.
도 2는 비트 라인 선택부의 비트 라인과 비트 라인 선택 트랜지스터의 접합부를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 그리고 버추얼 파워(VIRPWR) 라인의 제조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21) 상부에 층간 절연막(22)이 형성되고, 층간 절연막(22)의 소정 영역에 비트 라인 선택 트랜지스터의 접합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콘택 플러그(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트 라인(24)과 콘택 플러그(23)가 서로 연결되고, 콘택 플러그(23)와 버추얼 파워(VIRPWR) 라인(25)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비트 라인(24)과 버추얼 파워 라인(25) 사이는 절연막(26)에 의해 절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갖는 비트 라인 선택부는 콘택 플러그(23)와 셀 동작에 따라 전원이 변화하는 버추얼 파워 라인(25)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 보하지 못하여 싸이클링(Cycling) 테스트시 누설 패스(path)가 형성되어 소거 동작시 페일이 발생되어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 콘택홀 측면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드레인 콘택 플러그와 버추얼 파워 라인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 측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 내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절연막 상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층 상부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로서,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서 비트 라인과 페이지 버퍼를 연결시키는 비트 라인 선택부와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고전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층간 절연막(102)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0)의 소정 영역 예컨데,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노출되도록 층간 절연막(102)을 식각하여 드레인 콘택홀(104)을 형성한다. 드레인 콘택홀(104) 내에 절연막(106)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 back) 공정으로 드레인 콘택홀(104) 측면에만 절연막(106)이 잔류하도록 한다. 이때, 절연막(106)은 30Å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산화막과의 습식 식각 선택비를 확보할 수 있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한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Si3N4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드레인 콘택홀(104)이 매립되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도전층(108)을 형성한다. 이때, 도전층(108)은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절연막(102)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도전층(108)을 연마하여 절연막(106)과 도전층(108)으로 구성된 드레인 콘택 플러그(110)를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습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106) 상부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때, 습식 식각 공정시 H3PO4 용액을 이용하고, 절연막(106)은 50Å 내지 100Å의 두께 정도 제거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건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도전층(108) 상부 모서리 부 분을 둥글게(a) 형성한다. 이때, 건식 식각 공정은 등방성 식각 공정이 가능한 장비인 캐소드(cathode) 전극에 바이어스(bias)가 걸리지 않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ce) 장비 또는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타입의 소오스가 장착되어 있는 장비를 사용한다. 또한, 건식 식각 공정시 등방성 식각이 용이한 SF6 및 Cl2 가스를 혼합한 혼합 가스를 이용하되, 절연막과의 식각 선택비 조절이 필요한 경우 SF6 및 Cl2 가스에 산소(O2) 가스를 첨가하여 이용한다. 여기서, 산소(O2) 가스는 SF6 및 Cl2 가스의 5% 내지 10% 정도의 양을 첨가하여 이용한다. 건식 식각외에 Hot SC-1 용액을 이용한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식각 공정을 통하여 도전층(108)이 100Å 내지 300Å 내외로 식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습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106) 상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건식 식각 공정시 도전층(108) 상부 모서리 부분을 더욱더 둥글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전층의 상부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드레인 콘택홀 측면에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드레인 콘택 플러그와 버추얼 파워 라인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소정의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 측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 내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상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층 상부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CVD 또는 ALD 방법을 이용한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30Å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상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습식 식각 공정으로 실시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공정은 H3PO4 용액을 이용하고, 상기 절연막은 50Å 내지 100Å의 두께 정도 제거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일부를 식각하는 공정은 마이크로웨이브 장비 또는 ICP 타입의 소오스가 장착되어 있는 장비를 사용하는 건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식각 공정은 SF6 및 Cl2 가스를 혼합한 혼합 가스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F6 및 Cl2 가스에 산소(O2) 가스를 첨가하여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O2) 가스는 상기 SF6 및 Cl2 가스의 5% 내지 10% 정도의 양을 첨가하여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일부를 식각하는 공정은 Hot SC-1 용액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상부 일부를 식각하는 공정에 의하여, 상기 도전층 상부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상부 일부를 식각하는 공정에 의하여, 상기 도전층은 100Å 내지 300Å의 두께로 식각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60031497A 2006-04-06 2006-04-0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3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497A KR100833423B1 (ko) 2006-04-06 2006-04-0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1/635,909 US7572729B2 (en) 2006-04-06 2006-12-08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497A KR100833423B1 (ko) 2006-04-06 2006-04-0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997A KR20070099997A (ko) 2007-10-10
KR100833423B1 true KR100833423B1 (ko) 2008-05-29

Family

ID=3857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497A KR100833423B1 (ko) 2006-04-06 2006-04-0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72729B2 (ko)
KR (1) KR100833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97B1 (ko) * 2005-02-28 2007-0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76072B1 (ko) 2008-08-01 2011-10-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소자의 소거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01A (ko) 2001-12-26 2003-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20050011461A (ko) * 2003-07-23 2005-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토리지노드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50064328A (ko)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KR20060008596A (ko) 2004-07-21 2006-0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7736A (en) * 1995-04-03 1996-06-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Dimple-free tungsten etching back process
DE19903196A1 (de) * 1999-01-27 2000-08-10 Siemens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Erkennbarkeit von Alignmentmarken
US6475916B1 (en) * 2000-01-18 2002-11-05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of patterning gate electrode with ultra-thin gate dielectric
JP2002016016A (ja) * 2000-06-30 200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04560B1 (ko) * 2001-01-06 2003-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469763B1 (ko) 2003-02-03 2005-02-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US7074717B2 (en) * 2003-03-04 2006-07-11 Micron Technology, Inc. Damascene processes for forming conductive structures
KR100539444B1 (ko) * 2003-07-11 2005-12-2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JP2006066514A (ja) * 2004-08-25 2006-03-09 Seiko Epson Corp 強誘電体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1362B1 (ko) * 2005-01-13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확산방지막을 갖는 배선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7473976B2 (en) * 2006-02-16 2009-01-0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Lateral power transistor with self-biasing electr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01A (ko) 2001-12-26 2003-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20050011461A (ko) * 2003-07-23 2005-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토리지노드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50064328A (ko)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KR20060008596A (ko) 2004-07-21 2006-0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8286A1 (en) 2007-10-11
KR20070099997A (ko) 2007-10-10
US7572729B2 (en) 200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8800B (zh) 非揮發性記憶體單元及其製造方法
CN100372068C (zh) 导电间隔物延伸的浮栅
US20070264775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157927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2941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US789295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with reduced void generation
KR10083342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07015509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D flash memory device
US20080211037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Isolation Layer Thereof
JP200606669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4303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KR10069542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4713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22959A1 (en) Method of forming gate of flash memory device
KR100771553B1 (ko) 전하트랩층을 갖는 매몰형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제조방법
WO2007114559A1 (en) Self-aligned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00957B1 (ko) 스플릿 게이트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100631851B1 (ko) 2비트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695430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KR10088022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91120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11280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0164A (ko) Nand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726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136134A (ko) Nand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