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077B1 -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077B1
KR100832077B1 KR1020020028907A KR20020028907A KR100832077B1 KR 100832077 B1 KR100832077 B1 KR 100832077B1 KR 1020020028907 A KR1020020028907 A KR 1020020028907A KR 20020028907 A KR20020028907 A KR 20020028907A KR 100832077 B1 KR100832077 B1 KR 10083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equence
transmitting
delete delete
sema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339A (ko
Inventor
가토다카마사
모리모토다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9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analysis involving nucleo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16B20/20Allele or variant detection, e.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et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체간에서의 염기배열정보의 상위(相違)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개체에 있어서 유익한 의미정보 및/또는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c)를 가진다.

Description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NUCLEOTIDE SEQUENCE-RELATED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2는 공용컴퓨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은 메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개인용 컴퓨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5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소정의 질병에 대한 이환(罹患, morbidity)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6의 계속으로서, 소정의 질병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소정의 질병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소정의 질병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또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도 11의 계속으로서,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맞춤형 대중의약품 포털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도 14는 약종 메뉴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도 15는 개별 IC 확인입력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도 16은 확인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도 17은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메모리부 A에 보존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8은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메모리부 B에 보존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9는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약제를 제공하는 측으로 송신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0은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1은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링크용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2는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 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3은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도 23의 계속으로서,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건강진단 포털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상 이미지,
도 26은 건강진단코스 메뉴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상 이미지,
도 27은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건강진단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8은 개별 IC확인 입력화면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도 29는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메모리부 B에 보존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0은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부 A에 보존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1은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출력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
도 32는 요구자의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인 DB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3은 요구자의「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4는 자기의 다형패턴(polymorphism pattern)을 등록하는 도너(donor) 등록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5는 자기의 다형패턴을 등록하는 도너등록시스템에서 구축된 도너 DB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6은 요구자의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7은 도 36도의 계속으로서, 요구자의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공용 컴퓨터 및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회선망 2 : 공용 컴퓨터
3 : 개인용 컴퓨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통신회선망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간을 비롯한 각종 생물의 게놈 염기배열이 급속하게 결정되고 있고, 여러가지 데이터베이스에 게놈 염기배열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망을 거쳐 각종 연구기관이나 연구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게놈 염기배열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동시에 이와 같은 게놈 염기배열정보에 포함되는 염기배열을 사용하여, 게놈창약의 연구나 유전정보의 해석 등이 활발하게 행하여지고 있고, 1염기 다형으로 대표되는 개체간에서의 염기배열의 상위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체간에서의 염기배열의 상위란, 소정의 염기의 상위가 개체종 중 1% 이상의 빈도로 존재한다고 정의되는 다형과, 소정의 염기의 상위가 개체종 중 1% 미만인 변이개체(variation)를 의미하고 있다. 특히 다형에는 개체간에서의 1개의 염기의 상위인 1염기 다형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1 내지 수십염기(수천염기의 경우도 있음)가 결실 또는 삽입되어 있는 삽입/결실 다형, 2 내지 수십염기를 1단위로 하는 배열의 반복회수가 상위한 VNTR(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나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다형(반복배열이 2 내지 4염기정도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다형은 개체간에서의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의 상위나, 개체간에서의 소정의 유전자에 관한 발현효율의 상위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영향에 의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질병에 대한 이환 가능성이 개체간에서 다르거나, 소정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개체간에서 다르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다형 등의 개체간에서의 염기배열정보의 상위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개체에 있어서 유익한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재상태를 감안하여 개체간에서의 염기배열정보의 상위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개체에 있어서 유익한 의미정보 및/또는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처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은 이하를 포함한다.
(1)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b)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c)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 상기 단계(c)에서 취득한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단계(a)에서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및/또는 이 의미정보 및/또는 이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3) 적어도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단계(d)를 더 가지고,
상기 단계(c)에서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단계(d)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한 후,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4)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고,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로 수취한 후,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거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5)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단계(d)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단계(c)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6)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와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7) 적어도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는 단계(d)를 더욱 가지고,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단계(d)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8)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단계(d)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대응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단계(c)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한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9)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 상기 단계(b)에서는 요구정보에 따라 복수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단계(c)에서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 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1)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대하여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대하여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단계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2) 상기 의미정보가 건강진단검사항목에 관한 정보, 질병에 대한 이환 가능성에 관한 정보, 물품의 제조에 관한 정보, 물품의 종별선정에 관한 정보 및 다른 개체에 관한 적합성에 관계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3)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단계 (c)에서 취득한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기 부가적인 정보를 관련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4)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b)와;
적어도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c)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는 단계(d)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5)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대하여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대하여 상기 단계(d)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단계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6)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고,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로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7)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상기 단계(a)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b)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8) 상기 단계(b)에서는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단계(a)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대응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염기 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9)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단계(a)에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상기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및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0)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1) 상기 단계(a)에서는 요구정보에 따른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단계(b)에서는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2)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소정의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단계(a)와;
다른 개체에 관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다른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와 상기 다른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 사이의 적합성을 판정하 는 단계(b)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3) 상기 단계(b)에서 얻어진 판정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요구한 측, 및/또는 상기 판정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4)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로서,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와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관계지은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단계(a)와;
상기 단계(a)에서 취득한 의미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와 일치성이 있다고 인식된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진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추출하는 단계(b)와;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단계(b)에서 추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c)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5) 상기 단계(c)에서 얻어진 추출결과를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요구한 측, 및/또는 상기 추출결과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6)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상기 스텝(a)에서 수취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출하는 단계(c)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7) 상기 단계(b)에서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기록매체에 의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6)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8) 상기 단계(c)에서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한 정보처리수단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6)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29) 상기 단계(a)에서는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이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2차 위치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6)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30) 상기 단계(a)의 전에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출하는 단계(d)와;
상기 단계(c)의 후에 상기 단계(c)에서 송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취하는 단계(e)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6)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31)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상기 단계(a)에서 수취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조합시킨 복수의 조합 중에서 요구한 측이 가지는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과 대응하는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한 조합에 포함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b)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32)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출하는 단계(a)와;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출하는 단계(b)와;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취하는 단계(c)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33)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34) 상기 순서(c)에서 취득한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순서(a)에서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및/또는 이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35) 적어도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d)를 더욱 가지고,
상기 순서(c)에서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순서(d)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한 후,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36) 상기 순서(d)에서는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고,
상기 순서(c)에서는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로 수취한 후,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거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37)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 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순서(d)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순서(c)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38) 상기 순서(c)에서는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39) 적어도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d)를 더욱 가지고,
상기 순서(c)에서는 상기 순서(d)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0)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순서(d)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대응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순서(c)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1)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수단에 의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2) 상기 순서(b)에서는 요구정보에 따라 복수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상기순서(c)에서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3)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적어도,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c)와;
상기 순서(c)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d)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4) 상기 순서(c)에서는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고,
상기 순서(d)에서는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로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5)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 /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6) 상기 순서(b)에서는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대응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7)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순서(a)에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상기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및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45)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8)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수단에 의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49) 상기 순서(a)에서는 요구정보에 따른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순서(b)에서는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0)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소정의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a)와;
다른 개체에 관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소정의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와 상기 다른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 사이의 적합성을 제어수단에 의해 판정하는 순서(b)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1) 상기 순서(b)에서 얻어진 판정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요구한 측, 및/또는 이 판정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0)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2)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로서,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와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관계지은 의미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a)와,
상기 순서(a)에서 취득한 의미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와 일치성이 있다고 인식된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진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추출하는 순서(b)와;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순서(b)에서 추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추출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3) 상기 순서(c)에서 얻어진 추출결과를,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요구한 측, 및/또는 이 추출결과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4)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a)와;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5) 상기 순서(b)에서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기록매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6) 상기 순서(c)에서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한 정보처리수단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7) 상기 순서(a)에서는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이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2차 위치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순서(c)에서는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8) 상기 순서(a)의 전에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d)와;
상기 순서(c)의 다음에 상기 상기 순서(c)에서 송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e)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4)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59)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a)와;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조합시킨 복수의 조합 중에서 요구한 측이 가지는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한 조합에 포함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추출하는 순서(b)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60)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a)와;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b)와;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61)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수단과, 염기배열에 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2)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및/또는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기 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3) 상기 송수신수단은 적어도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한 후,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4)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로 수취한 후,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거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5) 상기 제어수단은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6)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7) 상기 송수신수단은 적어도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8) 상기 제어수단은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대응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7)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69)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0)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요구정보에 따라 복수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취득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1)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요구정보를 수취하고, 적어도 상기 제어수단으로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출하고,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2)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출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로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1)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3)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4) 상기 제어수단은 복수의 위치정보, 이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 및 이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대응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5)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 취득한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상기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및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6)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7) 상기 송수신수단은 요구정보에 따른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3)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8)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소정의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다른 개체에 관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 는 의미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다른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소정의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와 상기 다른 개체에 관한 의미정보 사이의 적합성을 판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79) 상기 제어수단으로 얻어진 판정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요구한 측, 및/또는 상기 판정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출하는 송수신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8)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0)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에 있어서,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와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관계지은 의미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취득한 의미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와 일치성이 있다고 인식된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진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추출하고,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개체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1) 상기 제어수단으로 얻어진 추출결과를,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를 요구한 측, 및/또는 상기 추출결과를 이용하는 측에 대하여 송출하는 송수신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0)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2)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의 수취, 상기 수취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취득, 상기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3) 상기 제어수단은 염기배열관련정보를 기록매체에 의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4)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출하는 송수신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8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5)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2차 위치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관련지은 송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6)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의 송출, 상기 송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수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7)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으로 수취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조합시킨 복수 의 조합 중에서 요구한 측이 가지는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과 대응하는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한 조합에 포함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8)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출하여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89)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이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0)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적어도,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c)와;
상기 순서(c)에서 송출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d)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1)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2)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a)와;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3) 상기 순서(a)의 전에 상기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d)와;
상기 순서(c)의 다음에 상기 순서(c)에서 송출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e)를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2)기재의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4)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에 따른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a)와;
상기 순서(a)에서 수취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조합시킨 복수의 조합 중에서 요구한 측이 가지는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과 대응하는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한 조합에 포함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추출하는 순서(b)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5)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a)와;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순서(b)와;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 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6)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출하는 측으로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요구측 정보처리수단과;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측으로서,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이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제공측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요구측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의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시스템.
(97)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수취하는 단계(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c)를 가지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98)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 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
(99)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수단과;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00)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취하는 순서 (a)와;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b)와;
상기 순서(b)에서 취득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및/또는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어수단에 의해 취득하는 순서(c)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로서, 이용자에 대하여 소정의 질병의 이환 가능성을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요구자의 요구정보에 따라 이환 가능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단순한 모델로서 설명한다.
정보처리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망(1)과, 통신회선망(1)에 접속된 공용 컴퓨터(2)와, 통신회선망(1)에 접속된 복수의 개인용컴퓨터(3)를 구비하고,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와 개인용 컴퓨터(3)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공용 컴퓨터(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공용 컴퓨터(2)의 동작을 모두 제어하는 CPU(4)와, 정보 및 프로그램의 실행지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5)과,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표시수단(6)과, 일시적인 정보 및 재기록 불가능한 정보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7)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8)와, 이들 메모리(7) 및 데이터베이스(8)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9)과, 통신회선망(1)을 거쳐 개인용 컴퓨터(3)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17)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용 컴퓨터(2)에 있어서의 메모리(7)는 각각 다른 종류의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부 A(10) 및 메모리부 B(11)와,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3)나 표시수단(6)에 표시시키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화면 메모리(12)와, 본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처리프로그램(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용 컴퓨터(2)에서는 화면 메모 리 (12) 및 처리프로그램(13) 등을 내부의 메모리(7)에 가지지 않고,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와 접속된 외부 기록장치(도시 생략)에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공용 컴퓨터(2)에서의 데이터베이스(8)(기억수단)는, 다형번지(polymorphism address), 다형 패턴 및 의미정보가 기록된 메인 DB(14)와, 메모리부 A(10)에 기록된 정보를 보존하는 보관용 DB-A(15)와, 메모리부 B(11)에 기록된 정보를 보존하는 보관용 DB-B(16)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DB(1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형번지와, 이 다형번지에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다형패턴과, 이 복수의 다형패턴의 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져 기록되어 있다. 또 메인 DB(14)에는 복수의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의 조합(예를 들면 하플로타입(haplotype))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다형번지(위치정보)」란, 적어도 염기배열에서 다형이 존재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형이란, 예를 들면 이른바 SNP(Sing1e nuc1eotide polymorphism),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of polymorphism), VNTR(variab1e number of tandem repeat), 마이크로새털라이트(microsatellite)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다형」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개체종 중 1% 미만의 빈도로 밖에 존재하지 않는 염기 및 염기배열의 변화(변이개체)도 포함하는 의미로 한다. 따라서 「다형번지」는 개체종 중 1% 미만의 빈도로 밖에 존재하지 않는 염기 및 염기배열의 변화를 나타내는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다형번지」란, 수치, 문자 및 기호 등을 조합시켜 다형 등을 나타내는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다형번지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염색체번호와 다형이 존재하는 유전자를 나타내는 기호와 이 유전자에서의 다형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수치와의 조합에 의하여 표기할 수도 있고, 다형이 존재하는 유전자를 나타내는 기호와 이 유전자에서의 다형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수치와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다형번지는 다형별로 부여되는 다형 고유의 표기이어도 좋다. 다형번지로서 다형 고유의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형번지는 염기배열 중의 위치를 직접적으로는 나타내지 않으나, 다형 고유의 표기에 의거하여 간접적으로 위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다형번지」는 다형 고유의 표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형패턴(염기배열관련정보)」이란, 개체간에서 상위한 염기배열의 정보로서, 적어도 다형에서의 염기 또는 염기배열의 패턴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다형패턴」은, 다형에 한정되지 않고, 개체종 중 1% 미만의 빈도로 밖에 존재하지 않는 염기 및 염기배열의 패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A 또는 G를 취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다형번지에서, 「다형패턴」은「A」 및 「G」중 어느 하나로 표시된다.
또 「다형패턴」은 상동 염색체에서의 헤테로접합체(heterozygote) 또는 호모접합체(homozygote)를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A 또는 G를 취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다형번지에서 「다형패턴」은 「AA」,「GG」및「AC」 중 어느 하나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다형패턴」은 소정의 다형번지에서 취할 수 있는 패턴을 직접적으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표기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다형패턴」은 예를 들면 A 또는 G를 취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다형번지에서「A」를 취하는 경우에「아렐(allele) 1」로 하고, 「G」를 취하는 경우에 「아렐 2」로 표기하여도 좋다. 또 「다형패턴」이 상기한 바와 같이 「AA」, 「GG」및「AG」중 어느 하나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 「AA」로 표현할 수 있을 때에 「α」, 「GG」로 표현할 수 있을 때에 「β」, 「AG」로 표현할 수 있을 때에 「γ」로 표기하여도 좋다.
그외 「다형패턴」의 표기예로서는 다형이 마이크로새털라이트의 경우에는 「반복수(the number of repetitions)」를 나타내는 수치로, 다형이 삽입, 결실형인 경우에는「유/무(presence/absence)」를 나타내는 기호로 표기하여도 좋다.
여기서 「의미정보(semantic information)」란,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정보이고, 예를 들면 약제에 대한 응답성, 약제에 대한 부작용, 질환 및 장해에 대한 리스크, 체질·성질, 단백질 상호작용, 그외 다형패턴의 상위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표현형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의미정보」는 게놈·유전자에 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종류가 증가함과 동시에 정정이 행하여지는 종류의 정보이고, 항상 버젼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의미정보」는, 게놈·유전자의 연구성과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축적량이 증가·감소하여 더욱 정밀도가 높은 것이 된다.
또한 직접 「다형패턴」에는 관련지어져 있지 않으나 「의미정보」로부터 더욱 도출되는 정보는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이다. 「의미정보」가 「질환에 대한 리스크」인 경우, 상기 리스크가 어느 일정한 수준을 초과하였을 때에 예를 들면 특정의 「건강진단검사항목」이 도출된다. 이 특정한 「건강진단검사항목」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의미정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소정의「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로서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다. 또 의미정보에는 소정의「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분류」 및 「분류(질환명)」 등이 관련지어져 있다. 즉 소정의 「다형번지」가 소정의 「다형패턴」인 경우, 질환명의 종류와 이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주석정보(annotative information)(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의미정보는 복수의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각각의 다형패턴의 조합(예를 들면 하플로타입)에 대하여 관련지을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의 조합마다 소정의 질환에 대한 다른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주석정보(의미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다형번지가 소정의 다형패턴의 조합인 경우,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주석정보(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의미정보에는 소정의 기준으로 결정한 「공개레벨(level of disclosure)」을 관련지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공개레벨」을 결정할 때의 기준으로서는 의미정보, 즉 여기에서는 「분류(질환명)」의 이환 가능성을 공개함에 의한 개인에 대한 예측치 못한 불이익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용 컴퓨터(2)에서 법률, 규칙 또는 자기의 행동기준 또는 이용자와의 계약 등을 감안하여 공개하는 것이 상응하지 않는 의미정보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는 「공개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시스템에서는 공개불가를 의미하는 「공개레벨」에 관련지어진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주석정보에 대해서는 이용자에 대하여 개시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하여 이용자에 대하여 예측치 못한 불이익이 될 수 있는 의미정보를 주는 것이나, 계약자 이외에 의미정보가 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동의의 확인(Informed Consent) 등에 의하여 소정의「공개레벨」에 관련지어진 의미정보의 개시를 용인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소정의「공개레벨」이 관련지어진 의미정보를 공개하는 시스템이어도 좋다.
또 「공개레벨」은 예를 들면 「1, 2, 3, …」 또는 「a, b, c, …」라는 3 이상의 복수의 단계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용 컴퓨터(2)측에서는 이용자의 연령, 자격 및 이용자와의 규약의 유무 등, 이용자의 종류에 따라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의의 확인 등에 의하여 소정의 공개레벨 이상(또는 미만)의 공개레벨에 관련지어진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주석정보만이 이용자측에 대하여 제공되도록 해당 이용자측이 공개레벨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8)에서 보관용 DB-B(16)에는 예를 들면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요구자 개인의 유전정보인 염기배열관련정보라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 보관용 DB-A(15)에는 예를 들면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요구자를 특정하는 정보 라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관용 DB-A(15) 및 보관용 DB-B(16)에 개인의 유전정보와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를 나누어 기록함으로써, 요구자의 유전정보와, 요구자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관련짓기 어렵게 된다.
또한 공용 컴퓨터(2)는 데이터베이스(8)를 내부에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접속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 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또 공용 컴퓨터(2)는 내부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8)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고, 내부의 데이터베이스(8)와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접속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개인용 컴퓨터(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인용 컴퓨터(3)의 동작을 모두 제어하는 CPU(20)와, 정보 및 프로그램의 실행지시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21)과,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표시수단(22)과, 일시적인 정보 및 재기록 가능한 정보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23)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장치(25)와,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2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3)는 통상의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 개인휴대단말 및 그 다른 이동통신기기 등, 어떠한 형태이어도 좋다.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메모리(23)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로부터의 정보 등을 기록하는 메모리부(26)를 가지고, 본 정보처리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처리프로그램(27)이 기록되어 있다.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는 개인의 게놈관련정보(28)가 기록되어 있다.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디스크나 자기카드 등의 자기기록매체, 광자기 기록방식이나 상변화 기록방식 등을 적용한 광학식 기록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는, 카드형상, 디스크형상, 스틱형상, 테이프형상 또는 드럼형상 등, 어떠한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는 단일한 개인(개체)의 게놈관련정보(28)를 기록한 것이 어도 좋으나, 복수의 개인(개체)에 관한 복수의 게놈관련정보(28)를 기록한 것이어도 좋다.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포함되는 게놈관련정보(28)란, 적어도 「다형번지」 및 개인(개체)의 염기배열을 해석한 결과로서 얻어지는 소정의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을 의미한다. 또 게놈관련정보(28)에는 기왕증(anamnesis), 특징, 진료기록카드정보, 건강진단결과라는 각종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는 게놈관련정보(28)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I로서 게놈관련정보(28)에 고유의 개별번호「Gno.」(지넘버) 및 생년월일 등의 개인정보를 기록하고, 데이터 II로서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을 기록하고, 데이터 III로서 기왕증을 기록하고, 데이터 IV로서 특징을 기록하고, 데이터 V로서 진료기록카드정보 등을 기록한다. 즉, 게놈관련정보(28)는 데이터 I, 데이터 II,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I 및 데이터 II에는 필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에는 부가적인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게놈관련정보(28)에서는 염기배열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형번지」와 이 다형번지에서의「다형패턴」을 링크시켜 기록하고 있다. 또 데이터 II에는 소정의 다형번지에서의 부가적인 정보를 「코멘트」로서 「다형번지」에 링크시켜 기록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데이터 II에는 소정의 개체에 관한 전 염기배열을 기록하여도 좋다. 데이터 II에 전 염기배열을 기록한 경우이더라도 데이터 II내에「다형번지」및 「다형패턴」이 포함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3) 및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는 각각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가 처리프로그램을 가지는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를 장착하여 처리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개인용 컴퓨터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의 메모리부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공용 컴퓨터(2)의 메모리(7)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13) 및 개인용 컴퓨터(3)의 메모리(23)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 (27)이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정보처리동작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 「(공)」이라고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2)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 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본 정보처리시스템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소지하는 각 개인이 개인용컴퓨터(3)를 사용하여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엑세스하여 공용 컴퓨터(2)의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의미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본 정보처리시스템은 복수인의 게놈관련정보(28)가 각각 기록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 (24)를 사용하여 각 개인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는 시스템이어도 좋다.
이 경우, 먼저 단계 A1(SA1)에서 요구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메모리(23)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27)을 기동한다. 처리프로그램(27)에 의 해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를 구동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고,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서 데이터 I로서 기록되어 있는 「Gno.」를 판독한다. 판독한 「Gno.」는 메모리부(26)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 A2(SA2)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의하여 표시수단(22)에 표시된 화면 이미지에 의거하여 요구자가 제공을 받고 싶은 정보, 예를 들면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요구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 입력함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 (3)로부터 통신회선망(1)을 경유하여 공용 컴퓨터(2)에「대장암의 이환 가능성」 및「Gno.」를 송신한다. 또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통신회선망(1)을 경유하여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및「Gno.」를 기록한다.
다음에 단계 A3(SA3)에서는 공용 컴퓨터(2)가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 및 「Gno.」를 수신한다. 수신한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 및 「Gno.」는 메모리부 A(10)에 요구정보로서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 A4(SA4)에서는 요구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7)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하여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또한 이 처리프로그램 (13)은 공용 컴퓨터(2)에서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단계 A5(SA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분류(질환명)」를 검색하여 요구된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대장암)과 일치하는 것을 추출한다.
단계 A6(SA6)에서는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과 일치한 「분류(질환명)」(대장암)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를 판독한다. 판독한 「다형번지」는 메모리부 A(10)에 요구정보에 관련지은 위치정보로서 저장한다. 즉 메모리부 A(10)에는 소정의「Gno.」에 대하여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및「다형번지」가 기록되게 된다.
다음에 단계 A7(SA7)에서는 메모리부 A(10)에 기록되어 있는 「Gno.」및「다형번지」를 개인용 컴퓨터(3)에 송신함과 동시에, 송신하는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을 제출하는 명령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 송신한다. 또 이 때 요구정보의 종류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기왕증이나 특징 등의 부가적인 정보의 제출을 명령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A8(SA8)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Gno.」, 「다형번지」및 명령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Gno.」 및「다형번지」는 메모리부(26)에 기록된다.
다음에 단계 A9(SA9)에서는 수신한 명령정보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 (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I에 엑세스한다. 단계 A10(SA10)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I를 검색하여 명령된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을 판독하고, 다형번지와 다형패턴을 관련지어 메모리부 (26)에 기록한다. 이 때 데이터 I에 대하여 엑세스하여 단계(A8)에서 수신한 「Gno.」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계(A1O)에서는 다형패턴의 이외에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적인 정보도 동시에 판독하여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26)에 기록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A11(SA11)에서는 메모리부(26)에 일시적으로 기록한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필요에 따라 기록된 부가적인 정보를 「Gno.」와 함께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계 A12(SA12)에서는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필요에 따라 기록된 부가적인 정보를 공용 컴퓨터 (2)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다형패턴을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메모리부 A(10)에 기록한다.
또 본예에서는 단계 A7에서 공용 컴퓨터(2)가 「다형패턴」의 제출을 명령하는 명령정보를 송출하고, 단계 A1O에서 개인용 컴퓨터(3)는 명령정보에 따라 다형패턴을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로부터 판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시스템은 단계 A7에서 상기 명령정보를 송출하지 않는 시스템이어도 좋다. 이 경우, 단계 A10에서 개인용 컴퓨터(3)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단계 A8에서 수신한 다형번지에 의거하여 데이터 II를 검색하여 수신한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을 판독한다.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3)는 단계 A11에서 다형패턴 등을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에도 공용 컴퓨터(2)는 단계(A12)에서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과 일치한 「분류(질환명」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단계 A13(SA13)에서는 메인 DB(14)에 엑세스하여 수신한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DB(14)에서 하나의 다형번지에 대하여 복수의 다형패턴이 기록되어 있고, 수신한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이 메인 DB(14)에서 어느 다형패턴에 일치하고 있는지를 검색한다.
다음에 단계 A14(SA1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수신한 다형패턴이 일치한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져 있는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판독한다. 즉, 단계(A14)에서는 요구자가 제출한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에 따라 요구자의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판독할 수 있다. 판독한 이환 가능성은 요구자의 「Gno.」와 관련지어 메모리부(A10)에 저장한다. 이 때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부가적인 정보에 의해 보정한 형식으로 저장하여도 좋고, 부가적인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그 밖의 정보를 요구자의「Gno.」에 관련지어 저장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A15(SA15)에서는 메모리부 A(10)에 저장한 요구자의 「Gno.」 및 이환 가능성을 의미정보로서 통신회선망(1)을 거쳐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송신한다. 단계 A16(SA16)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가 요구자의「Gno.」 및 이환 가능성 (의미정보)을 수신한다. 수신한 의미정보는 메모리부(26)에 기록된다.
다음에 단계 A17(SA17)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메모리부(26)에 기록된 의미정보로부터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또한 단계 A15 내지 단계 A17 대신에 공용 컴퓨터(2)가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의미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판독하고(작성하고), 통신회선망(1)을 경유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도 공용 컴퓨터(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의미정보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요구자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를 사용하여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시스템에서는 개인의 다형패턴을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기록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사용함으로써, 메인 DB(14)에 기록된 의미정보를 다형번지를 개재시켜 개인이 이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개 인은 의미정보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에 기록하여 둘 필요는 없고, 다형번지와 다형패턴을 관련지은 게놈관련정보(28)를 소유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의미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종류가 증가하는 동시에 정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메인 DB(14)를 갱신함으로써 더욱 정밀도가 높고, 또한 폭 넓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 본 시스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의미정보의 증가 및 정정 등에 따라 메인 DB(14)을 갱신함으로써 개인이 최신의 의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게놈관련정보(28)를 기록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사용함으로써 이용자는 본 시스템을 이용할 때마다 게놈관련정보를 얻기 위한 검사를 할 필요가 없다. 즉 이용자는 일단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제작하면 이후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신의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게놈관련정보(28)를 기록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이용자 자신이 보유하는 경우, 본인의 게놈관련정보(28)를 외부의 기관에 위탁하여 보관시킬 때의 불안이나 해당 기관에 대한 부정엑세스에 의해 게놈관련정보(28)가 유출한다는 위험성을 회피할 수가 있다. 한편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복수의 개인에 관한 복수의 게놈관련정보(28)를 기록하여 외부의 기관에 위탁하여 보관시키는 경우, 개개인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취급의 서투름이나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손실이라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 (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의 모두를 통신회선망(1)을 거쳐 출력할 필요가 없고, 제출명령을 받은 일부의 게놈관련정보(28)만을 출력하면 좋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기밀성이 높은 개인 특유의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누설을 방지할 수있다.
또 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공용 컴퓨터(2)에서 요구자에게 제공하는 의미정보를 얻고 있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3)에서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취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3)의 정보처리능력이 비교적 낮더라도 충분히 원하는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3)에서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취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3)의 처리프로그램 (27)을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장착하는 카드 드라이브 등에 맞추어 규격화하기 쉬워진다.
그런데 본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공용 컴퓨터(2)의 메모리(7)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13) 및 개인용 컴퓨터(3)의 메모리(23)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27)이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정보처리동작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도 「(공)」이라고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2)에 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여기서는 먼저 단계 B1(SB1)에서는 요구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메모리(23)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27)을 기동한다. 처리프로그램(27)에 의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를 구동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서 데이터 I로서 기록되어 있는 「Gno.」를 판독한다. 판독한 「Gno.」는 메모리부(26)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 B2(SB2)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의해 표시수단(22)에 표시된 화면 이미지에 의거하여 요구자가 제공을 받고 싶은 정보, 예를 들면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요구정보)을 개인용 컴퓨터(3)에 입력함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통신회선망(1)을 경유하여 공용 컴퓨터(2)에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및 「Gno.」를 송신함과 동시에, 메인 DB(14)의 「분류(질환)명」가 대장암인 「다형번지」와 상기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모든「다형패턴」과 이 모든「다형패턴」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환 가능성」의 제출을 요구한다. 즉 요구자는 단계(B2)에서 메인 DB(14)의 「분류(질환명)」이 대장암인「다형번지」와 상기「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모든「다형패턴」과 상기 모든「다형패턴」각각에 의미를 부여하는「이환 가능성」으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요구한다.
다음에 단계 B3(SB3)에서는 공용 컴퓨터(2)가 상기 요구정보를 수신한다. 공용 컴퓨터(2)는 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한다. 그리고 단계 B4(SB4)에서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다음에 단계 B5(SB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분류(질환명)」를 검색하여 요구된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대장암)과 일치하는 것을 추출한다. 단계 B6(SB6)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 (14)에 엑세스하여,「대장암의 이환 가능성」과 일치하는「분류(질환명)」(대장 암)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 이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모든 「다형패턴」 및 모든 다형패턴에서의 「이환 가능성」을 판독한다. 판독한 「다형번지」, 「다형패턴」및「이환 가능성」은, 메모리부 A(10)에 요구정보에 관련지어 저장한다. 즉 메모리부 A(10)에는 소정의 「Gno.」에 대하여 「다형번지」, 「다형패턴」 및 「이환 가능성」이 기록되게 된다.
다음에 단계 B7(SB7)에서는 메모리부 A(10)에 기록되어 있는 「Gno.」, 「다형번지」, 「다형패턴」 및 「이환 가능성」을 통신회선망(1)을 거쳐 개인용 컴퓨터 (3)에 대하여 송신한다. 단계 B8(SB8)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Gno.」, 「다형번지」, 「다형패턴」 및 「이환 가능성」을 수신한다. 수신한 「Gno.」, 「다형번지」, 「다형패턴」 및 「이환 가능성」은 메모리부(26)에 기록된다.
다음에 단계 B9(SB9)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 (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I에 엑세스한다. 이 때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에도 엑세스하여 수신한 「Gno.」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단계 B10(SB10)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게놈관련정보(28)로부터 수신한 「다형번지」와 일치하는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을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B10(SBl0)에서는 수신한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모든 「다형패턴」 중에서 추출한 다형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검색한다.
단계 B11(SB11)에서는 수신한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모든「다형패턴」 중에서 일치한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이환 가능성」을 추출함과 동시에, 추출한 「이환 가능성」을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요구자는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의미정보)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단계(B11)에서는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적인 정보도 동시으로 판독하여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부가적인 정보에 의해 보정한 형식으로 출력하여도 좋다.
특히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를 개인용 컴퓨터(3) 이외의 외부에 대하여 전혀 출력하지 않는다. 즉 게놈관련정보(28)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와 개인용 컴퓨터(3) 사이에서만 주고 받는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기밀성이 높은 개인 특유의 게놈관련정보(28)의 누설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공용 컴퓨터(2)의 메모리(7)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13) 및 개인용 컴퓨터(3)의 메모리(23)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27)이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정보처리동작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도 「(공)」이라고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2)에 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여기서는 먼저 단계 C1(SC1)에서 요구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메모리(23)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27)을 기동한다. 처리프로그램(27)에 의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를 구동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 세스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서 데이터 I로서 기록되어 있는 「Gno.」, 데이터 II로서 기록되어 있는 모든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을 판독한다. 판독한 「Gno.」 및 「다형패턴」은 메모리부(26)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 C2(SC2)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의해 표시수단(22)에 표시된 화면 이미지에 의거하여 요구자가 제공을 받고 싶은 정보, 예를 들면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요구정보)을 개인용 컴퓨터(3)에 입력함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통신회선망(1)을 경유하여 공용 컴퓨터(2)에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과, 메모리부(26)에 기록되어 있는 「Gno.」,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을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C3(SC3)에서는 공용 컴퓨터(2)가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 「Gno.」,「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을 수신한다. 수신한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은 요구정보로서 메모리부 A(10)에 기록되고, 「Gno.」,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도 메모리부 A(10)에 저장된다. 공용 컴퓨터(2)는 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한다. 그리고 단계 C4(SC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서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다음에 단계 C5(SC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분류(질환명)」를 검색하여 요구된「대장암의 이환 가능성」(대장암)과 일치하는 것을 추출한다.
단계 C6(SC6)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하여 메인 DB(14)로부터 「대장암」으로 분류된 「다형번지」, 이 다형번지에 대한 모든「 다형패턴」 및 이 다형패턴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판독한다. 판독한 「다형번지」, 「다형패턴」 및 「이환 가능성」은 메모리부 A(10)에 저장된다.
다음에 단계 C7(SC7)에서는 단계 C3에서 수신한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에 의거하여, 단계 C6에서 메모리부 A(10)에 저장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신한 「다형패턴」과 일치한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이환 가능성을 메모리부 A(10)로부터 추출한다.
단계 C8(SC8)에서는 단계 C7의 결과, 즉 단계 C3에서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는 다형패턴이 메인 DB(14) 중 어느 하나의 다형패턴과 일치하는지에 의거하여 추출한 이환 가능성을 통신회선망(1)을 거쳐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때 공용 컴퓨터(2)는 추출한 이환 가능성을 요구자의 「Gno.」와 함께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C9(SC9)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Gno.」 및「이환 가능성」(의미정보)을 수신한다. 수신한 「Gno.」및「이환 가능성」은 메모리부 (26)에 기록된다. 이때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에 엑세스하여 수신한 「Gno.」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C10(SC1O)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메모리부(26)에 기록된 의미정보로부터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또한 단계 C8 내지 단계 C10 대신에 공용 컴퓨터(2)가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의미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판독하여(작성하여), 통신회선망(1)을 경유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도 공용 컴퓨터(2)로부터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의미정보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요구자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를 사용하여 대장암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를 모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출력하여 공용 컴퓨터(2)에서 요구자에게 제공하는 의미정보를 얻고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3)와 공용 컴퓨터(2)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授受)가 비교적 적은 회수로 요구자가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3)의 정보처리능력이 비교적 낮더라도 충분히 원하는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요구자에게 있어서는 매우 간편하게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에 의하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 및 메인 DB(14)에서 「다형번지」및 그 「다형패턴」만을 규격화하고 있으면 그것 이외의 특별한 데이터의 규격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산업에 이용할 수있다. 즉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사용한 정보제공에 있어서, 다형패턴에 대응하는 의미정보의 규격화나, 데이터수수처리방법등의 통일한 규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여러가지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메인 DB(14)를 체크함으로써 제3자 또는 제3자 기관은 공용 컴퓨터(2)에 대한 감시 및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측에 대한 예를 들면 행정적인 관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측의 건전성 및 윤리관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II에 포함되는 정보를 제외한 것, 즉 데이터 I 및 부가적으로 데이터 III 내지 V만을 가지는 기억매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데이터 II에 포함되는 정보는 통신회선망 (1)을 거쳐 개인용 컴퓨터(3)와 접속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에 기록하여 둔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면 상기한 단계 A10에서 통신회선망(1)을 거쳐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엑세스하여 명령된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을 판독하고, 다형번지와 다형패턴을 관련지어 메모리부(26)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도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및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및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마찬가지로 요구자는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요구자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 및 상기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II에 포함되는 정보를 제외한 기록매체 중 어느 것도 가지지 않고 통신회선망(1)을 거쳐 개인용 컴퓨터(3)와 접속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요구자는 통신회선망(1)을 거쳐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된 「다형번지」및「다형패턴」등의 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는 복수의 개인에 관한 게놈관련정보를 개인별로(「Gno.」별로) 기록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공용 컴퓨터(2)가 메인 DB(14)를 가지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용 컴퓨터(2)와 통신회선망(1)을 거쳐 접속된 메인 DB(14)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시스템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공용 컴퓨터(2)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또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메인 DB(14)에 대하여 통신회선망(1)을 거쳐 엑세스한다. 이 경우에도 본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또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라 요구자가 원하는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공용 컴퓨터(2)는 다른 기관 또는 단체가 가지는 복수의 메인 DB(14)에 대하여 통신회선망(1)을 거쳐 엑세스하고, 이들 복수의 메인 DB(14)에 포함되는 의미정보를 사용하여, 요구자에 대한 정보제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서의 단계 (A5)에서,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서의 단계(B5)에서, 또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서의 단계(C5)에서, 공용 컴퓨터(2)가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의미정보로서 가지는 여러가지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이에 의하여 본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요구자는 여러가지 메인 DB(14)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대장암의 이환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시스템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 또는 도 9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서 공용 컴퓨터(2)가 이른바 관리자(agent)에 대하여 적어도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받은 요구정보를 송신하고 의미정보(본 예 에 서는 「대장암에 관한 이환 가능성」)를 상기 관리자를 거쳐 얻는 것이어도 좋다.
2.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로서, 약품에 대한 응답성, 물질에 대한 면역성 등의 체질에 따른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로서 설명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정보처리시스템과 동일한 구성 및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부호 및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성, 동작 및 용어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요구자의 요구정보에 따라 물품(약제)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단순한 모델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메인 DB(14)에 도 10에 나타내는 의미정보(약품타입) 등이 기록되어 있다.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따라 이용자에 대하여 최적의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 「(공)」이라고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 (2)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먼저, 단계 II-1(SII-1)에서는 요구자가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통신회선망 (1)을 거쳐, 예를 들면 제약회사의 공용 컴퓨터(2)에 엑세스한다. 제약회사의 공용 컴퓨터(2)로서는 예를 들면 전용 컴퓨터이어도 좋고, 약제의 주문, 발주 및 발송정보를 관리하는 컴퓨터이어도 좋으며, 제약플랜트를 제어하여 원하는 약제에 관 한 제조를 관리하는 컴퓨터이어도 좋다. 또한 공용 컴퓨터(2)로서는 제약회사에 속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약회사 등의 약제를 제공하는 측에 대하여 제공해야 할 약제의 약품타입이나 약제의 개수 등의 정보를 제공 하는 업자 또는 단체에 속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본 예에서 요구자로서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이나,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의료기관, 또는 개인이 보유하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이용하는 의료기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2(SI1-2)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요구자의 엑세스에 따라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시켜, 화면 메모리(12)로부터「맞춤용 대중의약품 포털화면」을 판독하고,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맞춤용 대중의약품 포털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3(SII-3)에서는 요구자가 「맞춤용 대중의약품 포털화면」의 지시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판독하여 장치(25)에 장착하고, 개인용 컴퓨터(3)를 사용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요구자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정규 이용자임의 인증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단계 II-4(SII-4)에서 요구자는 「맞춤용 대중의약품 포털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OK」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본 시스템을 이용할 의지를 공용 컴퓨터 (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5(SII-5)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처리프로그램(13)에 따 라화면 메모리(12)로부터 「약종 메뉴」화면을 판독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약종 메뉴」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6(SII-6)에서는 요구자가 개인용 컴퓨터(3)에서 엑세스한 「약종 메뉴」화면에 따라 원하는 약종(약제)을 선택한다.
다음에 단계 II-7(SII-7)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여 데이터 I로부터 「Gno.」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8(SII-8)에서는 단계 II-7에서 판독한 「Gno.」와, 단계 II-6에서 선택한 「약종」(요구정보)을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9(SII-9)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Gno.」 및 「약종」을 수신함과 동시에, 「Gno.」및 「약종」을 메모리부 A(10)에 저장한다. 그런데 본 예에서는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의미정보에「공개레벨」이 관련지어져 있다. 본 예에서의 「공개레벨」은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그것들을 이용하는 측에게 개시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요구자가 인증을 받은 것인 경우에 한하여 공개하여도 좋은 레벨을 나타내는 「공개 레벨 A」와, 요구자가 인증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어떠한 요구자에 대해서도 공개하여도 좋은 레벨을 표시하는 「공개레벨 B」와, 어떠한 요구자에 대해서도 공개해서는 안되는 레벨을 표시하는 「공개금지」가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져 기록되어 있다.
또 공용 컴퓨터(2)는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8) 중에 「인증을 가지는 요구 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요구자 No」)」를 미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 이하, 「요구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요구자는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Gno.」 및 요구정보와 함께 「요구자 No.」를 송신한다. 요구자에 대하여 「공개레벨 A」가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용 컴퓨터(2)는 상기 「요구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엑세스하여 수신한 「요구자 No.」에 의거하여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는 경우에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수신한 「Gno.」에 「공개레벨 A」를 관련지어 메모리(7)에 등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등록한 「공개레벨 A」에 의거하여 메인 DB(14)의 「공개레벨」을 검색함으로써, 요구자에게 「공개레벨 A」가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판정의 결과,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즉시 단계를 중지하거나, 또는 수신한 「Gno.」에 「공개레벨 B」를 관련지어 메모리(7)에 등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등록한 「공개레벨 B」에 의거하여 메인 DB(14)의 「공개레벨」을 검색함으로써, 요구자에게 「공개레벨 B」가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공개레벨」을 사용함으로써,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개시가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대중약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요구자가 미리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기 때문에, 본 시스템에서는 요구자가 인증을 가 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단계(II-9)에서는 요구정보(약종)를 수신함과 동시에, 「공개레벨 B」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Gno.」에 관련지어져 메모리(7)에 등록된다.
다음에 단계 II-10(SII-1O)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II-11(SII-11)에서 처리프로그램(13)은 메인 DB(14)에 포함되는 다형번지 중, 수신한 「약종」과 일치하고, 또한 「공개레벨」에 의해 공개가 허용되어 있는 것, 즉 「공개레벨 B」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선택한다. 이 때 메인 DB(14)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다형번지에 대하여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가 관련지어져 기록되어 있다. 특히 이들 중, 중분류에서는 약종을 분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신한 「약종」에 의거하여 「중분류」를 검색함으로써, 수신한 「약종」과 일치하는 다형번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단계 II-5에서의 「약종 메뉴」 중에 예를 들면 대중약에 덧붙여 「공개레벨 A」의 인증을 받은 사람에게만 제공되는 처방약도 선택지로 하고 있는 경우, 만약 가령, 「공개레벨 A」의 인증을 받고 있지 않은 요구자가 대중약과 처방약의 양측에 대하여 요구한 경우에는 메인 DB(14)의 공개레벨에 의거하여, 처방약의 요구는 거절되고, 단계 II-11에서 대중약에 관한 다형번지만 선택된다.
다음에 단계 II-12(SII-12)에서는 선택한 「다형번지」, 「약종」및「Gno.」를 메모리부 B(11)에 기록한다. 이 때 본 시스템에서는 단계 II-13(SII-13)에서 메모리부 B(11)에 기록된 「다형번지」(위치정보)에 대하여 소정의 규칙 등에 따라「익명 다형번지」(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메모리부 B(11) 중의 「다형번지」 에 링크시켜 「익명 다형번지」를 메모리부 B(11)에 기록한다. 이 「익명 다형번지」란, 「다형번지」가 염기배열에서의 다형패턴의 위치를 직접 표시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단계 II-11에서 선택한 「다형번지」에만 링크되어 있고, 염기배열에서의 다형패턴의 위치를 직접 표시하는 것이 아니다. 바꿔 말하면 「익명 다형번지」는 단계 II-11에서 선택된 「다형번지」에 대하여 예를 들면 통과번호나 알파벳기호, 난수 등을 배당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단계 II-14(SII-1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요구자에 대하여 다형패턴의 제출에 관한 동의의 확인(Informed Consent, 「IC」로 약칭함)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II-14(SII-1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화면 메모리 (12)로부터 「개별 IC 확인입력화면」을 판독하여 수신한 「약종」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개별 IC 확인입력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15(SII-15)에서는 요구자가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 (22)에 표시한 「개별 IC 확인입력화면」에 따라 다형패턴의 제출에 관한 동의를 입력한다. 이에 의하여 요구자는 다형패턴의 제출에 대하여 동의한 것이 된다.
다음에 단계 II-16(SII-16)에서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데이터 I에 엑세스하여 「Gno.」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17(SII-I7)에서는 판독한 「Gno.」및 단계(II-15)에서 입력한 「개별 IC 확인」을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18(SII-18)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Gno.」 및 「개별 IC 확인」을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한 「개별 IC 확인」을 메모리부 A(10)에 보존한다. 「개별 IC 확인」을 보존할 때는 메모리부 A (10)에 보존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한 「Gno.」와 일치하는 「Gno.」에 「개별 IC 확인」을 관련짓는다.
다음에 단계 II-19(SII-19)에서는 단계 II-12 및 II-13에서 보존한 「다형번지」 및 「익명 다형번지」를 메모리부 B(11)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20 (SII-20)에서는 판독한 「다형번지」와 「익명 다형번지」를 관련지어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 및 이 다형패턴에 관련지은 「익명 다형번지」의 제출을 명령하는 명령정보를 개인용 컴퓨터 (3)에 대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II-21(SII-21)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다형번지」및「익명 다형번지」 및 명령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II-22(SII-22)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이 게놈관련정보(28)의 데이터 II 중에서 명령정보에서 요구하고 있는 다형번지 및 이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을 추출하여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 I로부터 「Gno.」를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II-23(SII-23)에서는 판독한 다형패턴과, 이 다형패턴의 다형번지에 대하여 설정된 익명 다형번지를 관련지어 「Gno.」와 함께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즉 단계 II-23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익명 다형번지와 다형패턴과 Gno.를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통신회선망 (1)을 거쳐 송신한다. 이 때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는 다형번지와 다형패턴을 관련지어 송신하고 있지 않다. 또 익명 다형번지는 다형패턴의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직접 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단계 II-23에서 송신한 내용이 예측하지 못한 사태로 외부에 누설되었다 하여도 다형패턴의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판별할 수 없다.
다음에 단계 II-24(SII-24)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익명 다형번지 및 이 익명 다형번지와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Gno.」를 수신하고, 수신한 다형패턴을 메모리부 B(11)에 보존한다. 「다형패턴」을 보존할 때는 메모리부 B (11)에 보존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한 「Gno.」 및 「익명 다형번지」와 일치하는 「Gno.」 및 「익명 다형번지」에 「다형패턴」을 관련짓는다. 단계(II-24)에 의하여 메모리부 B(11)에는 「Gno.」, 「다형번지」, 다형번지별로 설정된 「익명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이 관련지어진 상태로 기록되게 된다.
다음에 단계 II-25(SII-2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II-26(SII-26)에서는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중분류(약종)」,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여 일치한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약품타입」(도 10참조)을 판독한다. 여기서 「약품 타입」이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분류」에서 분류된 약종에서 소정의 다형패턴을 가지는 개인에게 있어서 적합한 성분이나 용량 등의 정보를 의미하는 의미정보이다. 또한 하나의 다형패턴에 대하여 복수의 의미정보가 관련지 어져 있는 경우, 각각의 의미정보를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II-27(SII-27)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얻어진 「약품타입」을 메모리부 B(11)에 보존한다. 다음에 단계 II-28(SII-28)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모리부 B(11)로부터 「약종」 및 「약품타입」을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29(SII-29)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판독한 「약종」 및 「약품 타입」에 대응한 「확인화면」을 화면 메모리(12)로부터 판독하여 개인용 컴퓨터 (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확인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30(SII-30)에서는 요구자가「확인화면」에서의 「약명」 및 「약품타입」 등을 확인한 다음에 개인용 컴퓨터(3)의 「확인화면」에서의 「주문화면」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화면 메모리(12)로부터 「주문화면」(도시 생략)을 판독하여 주문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주문정보로서는 요구자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나, 주문화면에 표시된 약품타입의 약명에 대한 수량, 수취방법 및 지불방법 등이 포함된다.
다음에 단계 II-31(SII-31)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여 게놈관련정보(28)의 데이터 I로부터 「Gno.」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32(SII-32)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판독한 「Gno.」 및 단계 II-30에서 입력한 주문정보를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33(SII-33)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Gno.」 및 「주문정보」를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하고, 이 주문정보를 메모리부 A(10)에 보존한다. 주문정보를 보존할 때는 메모리부 A(10)에 보존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 한 「Gno.」와 일치하는 「Gno.」에 「주문정보」를 관련짓는다.
다음에 단계 II-34(SII-3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화면 메모리(12)로부터 「주문승낙 확인화면」(도시 생략)을 판독하고, 「주문승낙 확인화면」을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그 후 단계 II-35(SII-35)에서는 요구자가「주문승낙 확인화면」의 지시에 따라 주문내용을 확인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요구자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에게 적합한 약제의 주문을 완료한다.
한편, 단계 II-36(SII-36)에서는 메모리부 A(10)에 보존된 주문정보로부터「약명(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 「약품타입(의미정보)」 및 「수량」 등의 필수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제약플랜트나 물류센터 등의 약제를 제공하는 측(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에 송신한다. 필수정보란, 요구자가 요구한 약제를 제조 또는 배송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이다. 또 약제를 제공하는 측이란, 「약명」 및 「약품타입」으로부터 약품성분 및 성분비 등을 조절하여 요구자에게 적합한 약제를 제조하는 것, 또는 여러가지 약품성분 및 성분비 등으로 미리 제조된 복수종류의 약제로부터 「약명」 및「약품타입」에 의거하여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약제를 제공하는 측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에게 적합한 약제의 제조 또는 배송을 행한다.
또한 공용 컴퓨터(2)에서는 최종적으로 단계 II-37(SII-37)로 진행한다. 단 계(II-37)에서는 메모리부 A(10) 및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내용을 각각 보관용 DB-A(15) 및 보관용 DB-B(16)에 보관한 후, 이들 메모리부 A(10) 및 메모리부 B (11)에 보존된 내용을 소거한다. 또한 이 때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내용 중「익명 다형번지」를 삭제하여 두는 바람직하다.
또 단계 II-34 및 단계 II-35는 요구자의 주문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본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공정이 아니다. 즉 본 시스템은 단계 II-33의 다음에 단계 II-36로 진행하는 흐름이어도 좋다. 이 경우 요구자는 단계 II-32에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에게 적합한 약제의 주문을 완료한다.
이상,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개인의 다형패턴을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를 사용함으로써, 메인 DB (14)에 기록된 의미정보, 즉 「약품타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시스템에 의하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에 있어서의 약품에 대한 응답성이나 물질에 대한 면역성 등의 체질에 따라 상기 개인에 있어서 적합한 약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의미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종류가 증가하는 동시에 정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메인 DB(14)를 갱신함으로써 더욱 정밀도가 높고, 또한, 폭넓은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시스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의미정보의 증가 및 정정에 따라 메인 DB(14)를 갱신함으로써, 개인이 최신의 의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메인 DB(14)에 미리 기록된 공개레벨을 사용하여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 중에서 개시할 수 있는 범위를 요구자에 따라 한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시스템에 의하면 기밀성이 높은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그것들의 이용이 허용되어 있지 않은 요구자의 요구에 대하여 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개레벨을 사용함으로써 법률, 규칙 또는 자기의 행동기준 등을 준수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로우차트에서는 단계 II-23에서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익명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을 송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시스템에서는 단계 II-23에서 송신한 정보가 예측하지 못한 사태로 외부에 누설된 경우에도 이 정보에 포함되는 다형패턴의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판별할 수 없다. 환언하면, 익명 다형번지를 사용함으로써, 고도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개인정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는 단계 II-23에서 송신한 정보를 타인이 이용할 수 없어 개인정보의 은닉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단계 II-23에서 정보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통상 행하여지고 있는 방식으로 암호화한 경우에는, 더욱 은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메모리부 A (10)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no.」, 「요구정보」, 「IC 확인」 및 「주문정보」가 보존되고, 메모리부 B(11)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no.」, 「요구약종」, 「다형번지」, 「익명 다형번지」, 「다형패턴」및「약품타입」 이 보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요구자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 「주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A(10)와, 요구자 개인의 유전정보인 「다형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B(11)를 분할함으로써, 요구자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와 요구자 개인의 유전정보를 링크시키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하여 특정한 「다형패턴」과 「주문정보」에 기록된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와의 관계를 은닉화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특정한 「다형패턴」과 「주문정보」란, 「Gno.」를 거쳐 링크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관련지을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다시 이들 메모리부 A(10)에 보존된 정보와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정보를 각각 보관용 DB-A(15) 및 보관용 DB-B(16)로 나누어 보관한다. 이 때문에 본 시스템에 의하면 요구자의「주문정보」와 「다형번지」및「다형 패턴」을 장기에 걸쳐 보관하는 경우에도 「주문정보」에 기재된 개인을 특정하는 정보와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관계를 은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정보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는 단계 II-36에서 제약 플랜트나 물류센터 등의 약제를 제공하는 측에게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이 정보에 「Gno.」를 포함시키지 않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문 No.」, 「약명」, 「약품타입」, 「알수」 및 「박스수」 등의 정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약제를 제공하는 측에게 송신 한 정보에 「Gno.」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정보로부터 「Gno.」를 특정할 수 없어, 이 「Gno.」에 대응하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을 특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개인의「다형패턴」과 「주문정보」를 확 실하게 은닉화할 수 있어 정보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게놈관련정보(28)에 포함되는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을 사용하여 개인에게 적합한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본 시스템은 약제에 한정되지 않고, 식품이나 화장품, 또는 생체관련물질 등의 물품의 제공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형패턴을 의미하게 하는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로서, 물질에 대한 면역성이나 약품 응답성 등을 지표로 하여 식품이나 화장품, 또는 생체관련물질 등의 물품에 포함되는 물질의 타입 등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물질의 타입 등에 따라 물품을 제조 또는 선택함으로써 개인에게 적합한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 및 메인 DB(14)에서, 「다형번지」및 그 「다형패턴」만을 규격화하여 두면, 그 이외의 특별한 데이터의 규격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사용한 정보제공에 있어서, 다형패턴에 대응하는 의미정보의 규격화나, 데이터수수처리방법 등의 통일된 규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여러가지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메인 DB(14)를 체크함으로써 제 3자 또는 제 3자 기관이 공용 컴퓨터(2)에 대한 감시 및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측에 대한 예를 들면 행정적인 관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측의 건전성 및 윤리관리를 행할 수 있다.
3.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 3 실시형태로서,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로서 설명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정보처리시스템과 동일한 구성 및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부호 및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성, 동작 및 용어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요구자의 요구정보에 따라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단순한 모델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메인 DB(14)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의미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메인 DB(14)에는 다형패턴을 의미하게 하는 의미정보가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로서 소정의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져 있다. 이「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에는 「소분류」로 분류된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이 높은 「5」로부터 이 이환 가능성이 낮은 「1」까지의 5단계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 또 소정의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을 다른 다형번지의 다형패턴과 조합시킴으로써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우,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에는 이 소정의 다형번지에 「Z」값이 설정되고, 이 다른 다형번지에 「Y」값이 설정된다.
또 본 예에서는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에 「Z」값이 설정된 다형번지와, 이 다형번지와 조합되는 「Y」값이 설정된 다형번지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링크용 DB(30)를 이용한다. 링크용 DB(30)에서는 「Z」값이 설정된 다형번지(도 21에서, 「Z다형번지」라 기재함)가 취할 수 있는 다형 패턴(도 21에서, 「Z패턴」이라 기재함)과 그「Z 다형번지」와 조합되는 「Y」값이 설정된 다형번지(도 21에서, 「Y 다형번지」라 기재함)가 취할 수 있는 다형패턴(도 21에서, 「Y패턴」이라 기재함)이 관련지어져 있다. 또 링크용 DB(30)에서는 「Z패턴」과 「Y패턴」의 조합에 대하여 이환 가능성을 관련짓고 있다. 또한 링크용 DB (30)는 공용 컴퓨터(2)의 데이터베이스(8)내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공용 컴퓨터(2)의 외부에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 나타낸 메인 DB(14)는 예를 들면 공적인 기관 또는 단체가 관리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대분류에서「약제 응답성」이나「약제 부작용」으로 분류된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선정할 때에 직접 필요하지 않은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이 기록되어 있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22에서는 도 20의 메인 DB(14)에서 예시하고 있는 다형번지에 대응한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이 예시되어 있다.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은, 예를 들면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로우차트에 따라 이용자에 대하여 최적의 건강진단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 「(공)」이라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2)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먼저 단계 III-1(SIII-1)에서는 요구자가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통신회선 망 (1)을 거쳐 예를 들면 건강진단센터(이하「진단센터」)의 공용 컴퓨터(2)에 엑세스한다. 이 때 요구자로서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이나,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의료기관, 또는 개인이 보유하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이용하는 의료기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경우,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로서는 예를 들면 카드식의 것을 예시할 수 있어, 상기 개인 또는 상기 개인의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이용하는 의료기관 등이 요구자가 되어 본 시스템을 이용한다. 한편 의료기관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경우,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개인에 관한 복수의 게놈관련정보(28)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식의 것을 예시할 수 있어, 상기 의료기관이 요구자가 되어 본 시스템을 이용한다.
본 예는 개인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여 상기 개인이 건강진단의 수진자가 되고, 이 수진자에 대하여 건강진단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이 요구자가 되는 예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개인용 컴퓨터(3)는 의료기관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공용 컴퓨터(2)는 건강진단센터가 가지는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진단검사항목정보를 요구하는 측에 대하여, 원하는 건강진단검사항목정보 및 그것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업자 또는 단체가 가지는 컴퓨터이어도 좋다.
다음에 단계 III-2(SIII-2)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요구자의 엑세스에 따라 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시켜, 화면 메모리(12)로부터「건강진단포털화면」을 판독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건강진단포털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I-3(SIII-3)에서는 요구자가 「건강진단포털화면」의 지시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판독장치(25)에 장착하고, 개인용 컴퓨터(3)를 사용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요구자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정규 이용자라는 인증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단계 III-4(SIII-4)에서 요구자는 「건강진단포털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OK」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의지를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I-5(SIII-5)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화면 메모리(12)로부터 「건강진단코스메뉴」화면을 판독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건강진단코스메뉴」화면에서는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I-6(SIII-6)에서는 요구자가 수진자의 의향에 의거하여 개인용 컴퓨터(3)에서 엑세스한 「건강진단코스메뉴」화면에 따라 수진자의 원하는 건강진단코스를 선택한다. 본 예에서는 건강진단코스 중에서 「위탁 건강진단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탁 건강진단코스」란, 각 코스에 공통된 검사항목과, 수진자의 체질 등에 따라 선택한 고유의 검사항목, 즉 수진자의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선택되는 검사항목을 조합하여 건강진단을 행하는 코스이다.
또한 공용 컴퓨터(2)에서는 미리 건강진단에서 사용되는 모든 검사항목을 데이터베이스로서 축적한 「건강진단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이 「건강진단 테이블」은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와, 검사방법 및 검사를 받는 사람의 사전준비 등에 관한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다. 「대분류」에서는 이환 가능성의 고저에 관계없이 모든 건강진단코스에 공통된 검사항목을 「기본」으로서 분류하고, 이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선택되는 검사항목을 「이환 가능성」으로서 분류하고 있다. 단,「기본」의 검사항목이더라도 건강진단 전에 미리 이환 가능성을 판정하여 두는 것이 건강진단 후의 생활개선지도상에서 바람직한 경우에는 「이환 가능성」의 분류에도 기재되어 있다. 또한 진단테이블의 「대분류」에서의 「이환 가능성」은 메인 DB(14)의 「대분류」에서의 「이환 가능성」에 대응하고 있다. 또 건강진단테이블의 「중분류」 및 「소분류」는 메인 DB(14)의 「중분류」 및 「소분류」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단계 III-7(SIII-7)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여 데이터 I로부터 「Gno.」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I-8(SIII-8)에서는 단계(III-7)에서 판독한 「Gno.」와, 단계(III-6)에서 선택한 「건강진단코스(위탁 건강진단코스)」(요구정보)를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I-9(SIII-9)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Gno.」 및 「건강진단코스」를 수신함과 동시에, 「Gno.」 및 「건강진단코스」를 메모리부 A(10)에 보존한다. 그런데 본 예에서는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의미정보에 「공개레 벨」이 관련지어져 있다. 본 예에서의 「공개레벨」은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그것들을 이용하는 측에게 개시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요구자가 인증을 받은 것인 경우에 한하여 공개하여도 좋은 레벨을 표시하는 「공개레벨 A」와, 요구자가 인증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어떠한 요구자에 대해서도 공개하여 좋은 레벨을 표시하는 「공개레벨 B」와, 어떠한 요구자에 대해서도 공개하여서는 안되는 레벨을 나타내는 「공개금지」(도 20에는 표시하지 않음)가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져 기록되어 있다.
또 공용 컴퓨터(2)는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8) 중에 「인증을 가지는 요구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요구자 No.」)」를 미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 이하, 「요구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요구자는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Gno.」 및 요구정보와 함께 「요구자 No.」를 송신한다. 요구자에 대하여 「공개레벨 A」이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용 컴퓨터(2)는 상기 「요구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엑세스하여, 수신한 「요구자 No.」에 의거하여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결과,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는 경우에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 수신한 「Gno.」에 「공개레벨 A」을 관련지어 메모리(7)에 등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등록한 「공개레벨 A」에 의거하여 메인 DB(14)의 「공개레벨」을 검색함으로써, 요구자에게「공개레벨 A」가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판정의 결과,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즉시 단계를 중지하거나 또는 수신한 「Gno.」에 「공개레벨 B」를 관련지어 메모리(7)에 등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등록한 「공개레벨 B」에 의거하여 메인 DB(14)의 「공개레벨」을 검색함으로써, 요구자에게 「공개레벨 B」가 관련지어진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공개레벨」을 사용함으로써, 의미정보 및 이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개시가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예는 수진자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인 건강진단검사항목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요구자가 미리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시스템에서는 요구자가 인증을 가지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단계 III-9에서는 요구정보(건강진단코스)를 수신함과 동시에, 「공개레벨 B」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Gno.」에 관련지어져 메모리(7)에 등록된다.
또한 「공개레벨 A」가 선택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요구자가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 등으로,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필요한 모든 정보(이환 가능성, 약제응답성 등)를 얻고 싶은 경우를 들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I-10(SIII-10)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III-11(SIII-11)에서 처리프로그램(13)은 메인 DB(14)로부터 「대분류」에서 「이환 가능성」으로서 분류되고, 또 「공개레벨 B」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여 그 「다형번지」, 「중분류」및「소분류」를 판독한다. 즉 단계 III-9에서 요구정보로서 「위탁 건강진단코스」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수진자의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의 고저(高低)를 미리 판정한 다음에 건강진 단검사항목을 선정할 필요가 있고, 그 요구정보에 응답하기 위하여 메인 DB(14)의 대분류에서 「이환 가능성」으로 분류된 것(의미정보에「이환 가능성」을 가지는 것)을 선택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다형번지」를 판독하고 있다. 즉 요구정보에 따른 「다형번지」를 판독하고 있다.
다음에 단계 III-12(SIII-12)에서는 요구정보에 따라 판독한 「다형번지」, 「중분류」, 「소분류」 및 「Gno.」를 메모리부 B(11)에 기록한다. 이 때 본 시스템에서는 단계 III-13(SIII-13)에서 메모리부 B(11)에 기록된 「다형번지」에 대하여 「익명 다형번지」를 설정하고, 메모리부 B(11) 중의 「다형번지」에 링크시켜 「익명 다형번지」를 메모리부 B(11)에 기록한다. 이「익명 다형번지」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익명 다형번지」와 동일한 개념이다.
다음에 단계 III-14(SIII-1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요구자에 대하여 게놈관련정보(28)의 제출과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관한 동의의 확인(Informed Consent, 이하 「IC」라 약칭함)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III-1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화면 메모리(12)로부터 「개별 IC 확인입력화면」을 판독하여 수신한 「건강진단코스」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22)에 표시한다. 「개별 IC 확인 입력화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 이미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I-15(SIII-15)에서는 요구자가 개인용 컴퓨터(3)의 표시수단 (22)에 표시된 「개별 IC 확인 입력화면」에 따라 수진자에 대하여 다형패턴의 제출과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관한 동의를 얻어 수진자가 동의한 취지를 입력한다. 이에 의하여 수진자는 다형패턴의 제출과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동의한 것이 된다.
또한 단계 III-15에서 행한 수진자에 대한 다형패턴의 제출과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관한 동의는 단계 III-2에서의「건강진단포털」화면 또는 단계 III-5에서의 「건강진단코스메뉴」화면을 사용하여 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III-16(SIII-16)에서는 요구자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데이터 I에 엑세스하여 「Gno.」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I-17(SIII-17)에서는 판독한 「Gno.」 및 단계(II1-15)에서 입력한 「개별 IC 확인」을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III-18(SIII-18)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Gno.」및 「개별 IC 확인」을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한 「개별 IC 확인」을 메모리부 A(10)에 보존한다. 「개별 IC 확인」을 보존할 때에는 메모리부 A(10)에 보존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한 「Gno.」와 일치하는 「Gno.」에 「개별 IC 확인」을 관련짓는다.
다음에 단계 III-19(SIII-19)에서는 단계 III-12 및 III-13에서 보존한 「다형번지」및「익명 다형번지」를 메모리부 B(11)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III-20(SIII-20)에서는 판독한 「다형번지」와 「익명 다형번지」를 관련지어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 및 이 다형패턴에 관련지은 「익명 다형번지」의 제출을 명령하는 명령정보를 개인 용 컴퓨터(3)에 대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III-21(SIII-21)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다형번지」 및「익명 다형번지」및 명령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 명령정보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한다. 이 때 수신한 「다형번지」및「익명 다형번지」를 메모리부(26)에 보존한다. 그리고 단계 III-22(SIII-22)에서는 명령정보에 따라처리프로그램(27)이 게놈관련정보(28)의 데이터 II중에서 요구된 다형번지 및 이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을 추출하여 판독함과 동시에, 데이터 I로부터 「Gno.」를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III-23(SIII-23)에서는 단계 III-22에서 판독한 다형패턴과 이 다형패턴에 대응하는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익명 다형번지를 관련지어 「Gno.」와 함께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때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는 다형패턴 및 이 다형패턴에 관련지은 익명 다형번지를 송신하고 있고, 다형패턴에 관련지은 다형번지를 송신하고 있지 않다. 익명 다형번지가 다형패턴의 염기배열에서의 위치를 직접 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 III-23에서 송신한 내용이 예측하지 못한 사태로 외부에 누설되었다 하여도 다형패턴의 염기배열에 서의 위치를 판별할 수 없다.
다음에 단계 III-24(SIII-24)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익명 다형번지 및 이 익명 다형번지와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Gno.」를 수신하고, 수신한 다형패턴을 메모리부 B(11)에 보존한다. 「다형패턴」을 보존할 때는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데이터 중에서 수신한 「Gno.」및 「익명 다형번지」와 일치하는 「Gno.」 및「익명 다형번지」에 「다형패턴」을 관련짓는다.
다음에 단계 III-25(SIII-2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III-26(SIII-26)에서는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중분류」, 「소분류」, 「다형번지」 및 그「다형패턴」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여 일치한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도 20참조)를 판독한다. 여기서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중분류」 및 「소분류」에서 분류된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의미하는 의미정보이다. 또한 하나의 다형패턴에 대하여 복수의 의미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 각각의 의미정보를 판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에는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5단계의 값과, 소정의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을 다른 다형번지의 다형패턴과 조합시킴으로써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을 나타내는 「Z」값과, 상기 다른 다형번지를 의미하는 「Y」값이 포함된다.
그리고 단계(III-26)에서 판독한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가 「Z」값인 경우에는 처리프로그램(13)은 도 21에 나타낸 링크용 DB(30)에 엑세스한다. 처리프로그램(13)은 먼저 「Z」값과 관련지어진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에 의거하여 링크용 DB(30)를 검색하여 상기 「다형번지」와 조합되는 다른 다형번지(Y 다형번지)를 선택한다. 다음에 선택한 Y 다형번지에 의거하여 메모리부 B(11)로부터 상기 Y 다형번지의 다형패턴(Y패턴)을 판독한다. 다음에 판독한 Y 다형번지의 Y 패턴에 의거하여 링크용 DB(30)를 검색하여 상기 Z 다형번지의 Z패턴과 상기 Y 다형번지의 Y패턴이 조합을 선택한다. 그리고 링크용 DB(30)로부터 선택한 조합에 관련지어진 이환 가능성을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III-27(SIII-27)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얻어진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 즉 이환 가능성을 「다형패턴」에 관련지어 메모리부 B (11)에 보존한다. 이에 의하여 메모리부 B(11)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분류」 및 「소분류」에 대하여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가 관련지어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중분류」 및 「소분류」에서 나타내는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이 관련지어지게 된다. 또한 메모리부 A(10)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Gno.」, 「건강진단코스명」 및 「IC 확인」이 관련지어져 보존되어 있다.
다음 단계 III-28(SIII-28)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중분류」, 「소분류」 및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 중 이환 가능성이 있는 일정수준을 초과하는 것을 판독한다. 예를 들면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의 이환 가능성이 5단계의「4」이상인 「중분류」, 「소분류」를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III-29(SIII-29)에서는 판독한 「중분류」 및 「소분류」에 의거하여 건강진단 테이블(도 27)을 검색하고, 판독한 「중분류」 및 「소분류」와 일치하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III-30(SIII-30)에서는 건강진단 테이블로부터 필요사항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III-29에서 선택한 「중분류」 및 「소분류」의 검사방법, 검사항목, 수진자 사전준비 및 문진항목 등을 판독한다. 또 건강진단 테이블 에 서의 「대분류」가 「기본」으로 분류되는 항목의 검사방법, 검사항목, 수진자 사전준비 및 문진항목 등도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III-31(S11l-31)에서는 단계 III-30에서 추출한 검사방법, 검사항목, 수진자 사전준비 및 문진항목 등에 따라 예를 들면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출력포맷을 작성하여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출력포맷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출력포맷에는 모든 건강진단코스에 공통된 검사항목(건강진단 테이블에 있어서 대분류에서 「기본」으로 분류)와, 이환 가능성이 일정수준을 초과한 질환에 관한 고유의 검사항목(건강진단 테이블에 있어서 대분류에서 「이환 가능성」으로 분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환 가능성이 일정수준을 초과한 질환에 관한 검사항목은 의미정보(이환 가능성)로부터 도출된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이다.
또한 이 출력포맷은 수진자에 대하여 건강진단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건강진단을 받는 수진자에 대하여 검사구분 및 수진자 사전준비가 표시된 수진자용 출력포맷을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진자에 대해서는 자기자신의 이환 가능성을 알 수 있는 검사방법·목적 등의 정보가 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진자에 대하여 불안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건강진단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측에서, 예를 들면 검사대상의 질환을 수진자에게 깨닫지 못하도록 배려하여 상기 질환에 대한 검사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또 단계 III-31에서는 건강진단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에 대하여 출력포맷을 송신하지 않고, 수진자에 대하여 출력포맷을 직접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신자에 대하여 송신하는 출력포맷에는 소정의 질환에 대한 이환 가능성 등의 수신자에 대하여 불안감을 주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C에 의거하면 수신자에 대하여 불안감을 주는 정보이어도 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III-32(SIII-32)에서는 공용 컴퓨터(2)에서 출력된 출력포맷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3)에서 수신하여 메모리부(26)에 보존한다. 그리고 단계 III-33(SIII-33)에서 출력포맷을 출력함으로써 요구자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의 체질에 따른 고유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진단항목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용 컴퓨터(2)에서는 단계 III-31에 계속해서 단계 III-34(SIII-34)에서 메모리부 A(10) 및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내용을 각각 보관용 DB-A(15) 및 보관용 DB-B(16)로 나누어 보관한 후, 이들 메모리부 A(10) 및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내용을 소거하여도 좋다. 또한 이 때 메모리부 B(11)에 보존된 내용 중 「익명 다형번지」를 삭제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시스템에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름으로써, 요구자는 개인(수진자)의 체질 등에 따른 건강진단항목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출력포맷에서의 「구분」란에는 소정의 건강진단코스에 공통되는 검사항목을 의미하는 「기본」과, 단계 III-29에서 얻어진 이환 가능성이 높은 질환에 관한 검사항목을 의미하는 「고유」가 기입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개인에 따른 「고유」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진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의 조합에 대하여 의미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에도 링크용 DB(30)를 사용함으로써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보유하는 개인에게 특유한 의미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는 과거의 건강진단결과 등의 수진자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이력으로 하여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진자의 과거의 건강진단결과이력을 판독하여 「다형패턴에 대한 주석정보」나 그것에 관련되는 정보에 상기 이력을 관련지어 출력포맷을 작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 데이터베이스는 공용 컴퓨터(2)가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고, 개인용 컴퓨터(3)나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가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본 시스템에 의하면 출력포맷에 수진자의 건강진단결과이력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 건강진단의 결과에 대조시킴으로써 보다 충실한 건강진단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건강진단의 결과로서는 통상의 건강진단결과에 더하여, 예를 들면 유전자검사에 의한 유전자 산화손상이나 유전자발현의 유무 등이 포함된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단계 III-9에 서, 원하는 「건강진단코스」 외에 요구정보로서 예를 들면 「수진자의 이환 가능성이 높은 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성 식품」의 요구를 수신하고, 수진자의 체질에 따른 건강진단검사항목정보와 함께 요구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예는 요구자가 메인 DB(14)를 가지는 건강진단센터를 이용하여 수진자에 따른 「고유」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진단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본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시스템은 게놈관련정보(28)를 취급하는 수진자에게 귀속하는 개인용 컴퓨터(3)와, 요구정보에 대응 가능한 방식으로 다형번지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건강진단센터와, 메인 DB(14)를 가지는 건강진단센터 이외의 다른 기관 또는 단체를 구비하여 수진자가 요구자가 되는 정보처리시스템이어도 좋다. 이 경우 수진자는 건강진단센터에 엑세스하여 건강진단서비스를 요구하고, 건강진단센터는,다른 기관 등의 메인 DB(14)에 엑세스하여 수진자(요구자)에 따른 「고유」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진단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는 특히, 메인 DB(14)를 가지는 다른 기관은 게놈관련정보(28)를 취급하지 않고 의미정보 및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진단센터는 메인 DB(14)를 가지지 않고 게놈관련정보(28)를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관의 메인 DB(14)를 복수의 건강진단센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다른 기관이 메인 DB(14)의 관리 및 갱신 등을 행하고, 건강진단센터가 요구자의 게놈관련정보(28)를 취급함으로써, 요구자는 건강진단센터를 거쳐 건강진단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수진자에 따른 「고유」의 검사항목을 포함하는 건강진단검사항목은 건강진단센터를 경유하여 수진자에 송신되나,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다른 기관으로부터 수진자에 대하여 직접 송신되어도 좋고, 또한 상기 다른 기관으로부터 실제로 건강진단을 행하는 제 3 기관에 송신되어도 좋다.
또 본 시스템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 및 메인 DB(14)에서 「다형번지」및 그 「다형패턴」만을 규격화하여 두면, 그것 이외의 특별한 데이터의 규격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사용한 정보제공에 있어서, 다형패턴에 대응하는 의미정보의 규격화나, 데이터수수처리방법 등의 통일된 규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여러가지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메인 DB(14)를 체크함으로써 제 3자 또는 제 3자 기관이 공용 컴퓨터(2)에 대한 감시 및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의미를 제공하는 측에 대한 예를 들면 행정적인 관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정보를 제공하는 측의 건전성 및 윤리관리를 행할 수 있다.
4.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 4 실시형태로서, 소정의 목적을 위한 모집에 따라 자기의 다형패턴을 등록하는 도너등록시스템 및 소정의 목적에 관하여 요구자의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단순한 모델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로서 설명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정보처리시스템과 동일한 구성 및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부호 및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그 구성, 동작 및 용어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메인 DB(14)에 도 32에 나타내는 의미정보(자기성질타입, 적합타입) 등이 기록되어 있다. 메인 DB(14)에는 소정의 성질을 분류하는 「분류」에 대하여, 「다형번지」 및 그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이 관련지어져 기록되어 있다. 또 메인 DB(14)에는 소정의「다형패턴」에 의미를 부여하는 「 자기성질타입」(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와, 그「자기성질타입」에 적합한 타입을 나타내는 「적합타입」(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이 의미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메인 DB(14)에는 소정의 다형번지에 대한 「자기성질타입」 및 「적합타입」에 관한 정보의 공개여부를 나타내는 「공개레벨」이 관련지어 기록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성질」에 대하여 다형번지「1000」및「2000」이 관련지어져 있고, 이들 다형번지에서의 다형패턴이 취할 수 있는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자기성질타입이 「a」 및 「b」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 이들 자기성질타입 「a」 및 「b」의 적합타입은 각각 「b」 및 「a」로서 기록되어 있다. 즉 도 32에서는 예를 들면 다형번지「10O0」및「2000」에서의 다형패턴이 각각 「A」및「C」인 경우, 「소정의 성질」에 관하여 자기성질타입이 「a」이고, 자기성질타입「a」에 적합한 적합타입이 「b」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이 기록되어 있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33에서는 도 32의 메인 DB(14)에서 예시하고 있는 다형번지(「1000」및「2000」)에 대응한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을 포함한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예시하고 있다.
먼저, 소정의 목적을 위한 모집에 따라 자기의 다형패턴을 등록하는 도너등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도너등록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4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라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의 목적을 위한 도너 데이터베이스(이하 도너 DB)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 「(공)」이라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2)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 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먼저 단계 D-1(SD-1)에서는 도너모집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3)의 메모리(23)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27)을 기동한다. 단계 D-1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를 구동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서 데이터 I로서 기록되어 있는 「Gno.」를 판독한다. 판독한 「Gno.」는 메모리부(26)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 D-2(SD-2)에서는 판독한 「Gno.」를 등록요구정보인 「소정의 설질」과 함께 도너모집측의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통신회선망(1)을 거쳐 송신한다. 이에 의하여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정의 성질」에 대한 도너등록을 행하는 취지의 의사표시(환언하면 서비스의 요구)를 행할 수다. 또한 이 때 도너등록목적과 그 내용 및 그 이용방법과 이용범위에 관한 동의의 확인(이하, 「IC」라 약칭함)을 엄격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단계 D-3(SD-3)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Gno.」「소정의 성질」을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한다. 공용 컴퓨터(2)에서는 「Gno.」 「소정의 성질」을 수신함으로써 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한다. 수신한 「Gno.」 「소정의 성질」은 메모리부 A(10)에 보존된다.
다음에 단계 D-4(SD-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D-5(SD-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요구정보인 「소정의 성질」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여 이 「소정의 성질」과 일치하는 분류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 D-6(SD-6)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추출한 「소정의 성질」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를 메인 DB(14)로부터 판독한다. 또 판독한 「다형번지」는 메모리부 A(10)에 보존한다.
다음에 단계 D-7(SD-7)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모리부 A(10)에 저장한 「Gno.」및「다형번지」를 판독하고,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Gno.」및 「다형번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송신하는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의 제출을 명령하는 명령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 송신한다. 또 이 때 IC에서 규정된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기왕증이나 특징 등의 부가적인 정보의 제출을 명령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D-8(SD-8)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Gno.」및「다형번지」를 수신한다. 수신한 「Gno.」및「다형번지」는 메모리부(26)에 기록된다. 그리고 단계 D-9(SD-9)에서는 수신한 명령정보(「Gno.」및「다형번지」)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I에 엑세스한다.
단계 D-10(SD-10)에서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데이터 II를 검색하여 명령된 다형번지를 추출한다. 단계 D-11(SD-11)에서는 추출한 다형번지에 의거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데이터 II를 검색하여 대응하여 다형패턴을 판독한다. 판독한 다형패턴은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메모리부(26)에 기록한다. 이 때 데이터 I에 대하여 엑세스하여 명령정보에 포함되는 「Gno.」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계 D-10에서는 다형패턴 이외에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적인 정보도 동시에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26)에 기록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D-12(SD-12)에서는 메모리부(26)에 일시적으로 기록한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필요에 따라 기록된 부가적인 정보를 「Gno.」와 함께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계 D-13(SD-13)에서는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Gno. 및 필요에 따라 기록된 부가적인 정보를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다형패턴을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메모리부 A (10)에 기록한다.
다음에 단계 D-14(SD-14)에서는 메모리부 A(10)에 기록한 다형패턴 및 Gno 및 부가적인 정보를 「소정의 성질」에 관련짓고, 그 후 도 35에 나타내는 도너 DB에 등록한다. 이 도너 DB에는 소정의 성질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 및 그 다형번지의 다형패턴이 「Gno.」별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너 DB는 예를 들면 공용 컴퓨터 (2)의 데이터베이스(8)(기억수단)에 구비되나,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용 컴퓨터 (2)의 외부에 있는 기억수단에 구비되는 경우 등도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시스템에 의하면 소정의 목적을 위한 모집에 있어서 어떠한 검사, 조사 및 테스트를 행할 필요가 없어, 도너등록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에서 도 34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도너등록을 행할 때에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의 모두를 통신회선망 (1)을 거쳐 출력할 필요가 없어 제출명령을 받은 일부의 게놈관련정보(28)만을 출력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기밀성이 높은 개인 특유의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도너등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도 「익명 다형번지」를 사용함으로써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누설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에서 도너 DB에는 「소정의 성질」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 이외에 그 다형패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를 기록하여도 좋다. 즉 도너 DB에는 메인 DB(14)에 기록되어 있는 「자기성질타입」 및 「적합타입」을 「Gno.」나 다형패턴에 관련지어 기록하여도 좋다.
계속하여 소정의 목적에 관하여 요구자(본예에서 「레시피언트」라 칭함)의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정보처리시스템에서는 도 32에 나타낸 메인 DB(14)와 도 35에 나타낸 도너 DB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라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 「(공)」이라 기재한 단계는 공용 컴퓨터(2)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개)」라고 기재한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의 처리를 의미하고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먼저 단계 R-1(SR-1)에서는 레시피언트의 「소정의 성질」에 있어서 적합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레시피언트가 개인용 컴퓨터(3)의 메모리(23)에 기록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27)을 기동한다. 단계 R-1에서는 처리프로그램(27)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3)의 판독장치(25)를 구동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엑세스하고,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서 데이터 I로서 기록되어 있는 「Gno.」를 판독한다. 판독한 「Gno.」는 메모리부(26)에 저장한 다.
다음에 단계 R-2(SR-2)에서는 판독한 「Gno.」및 요구정보인 「소정의 성질」을 정보제공측의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통신회선망(1)을 거쳐 송신한다. 이에 의하여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소정의 성질」에서 적합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제공을 구하는 취지의 의사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다형패턴 및 적합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이용규정에 관한 IC를 엄격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단계 R-3(SR-3)에서는 개인용 컴퓨터(3)로부터 송신된 「Gno.」및「소정의 성질」을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한다. 공용 컴퓨터(2)에서는 「Gno.」및 「소정의 성질」을 수신함으로써 처리프로그램(13)을 기동한다. 수신한 「Gno.」및 「소정의 성질」은 메모리부 A(10)에 보존된다.
다음에 단계 R-4(SR-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R-5(SR-5)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소정의 성질」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고, 이 「소정의 성질」과 일치하는 분류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 R-6(SR-6)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추출한 분류「소정의 성질」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를 메인 DB(14)로부터 판독한다. 또 판독한 「다형번지」는 메모리부 A(1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도 32에 나타낸 메인 DB(14)의 경우, 「소정의 성질」에 관련지어진 다형번지로서 「1O00」및「2000」을 추출하여 보존한다.
다음에 단계 R-7(SR-7)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모리부 A(10)에 보 존한 「Gno.」 및 「다형번지」를 판독하고,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Gno.」및「다형번지」를 송신함과 동시에, 송신하는 「다형번지」에 대응하는 「다형패턴」의 제출을 명령하는 명령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 송신한다. 또 이 때 IC에서 규정된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기왕증이나 특징 등의 부가적인 정보의 제출을 명령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 R-8(SR-8)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Gno.」및「다형번지」를 개인용 컴퓨터(3)에서 수신한다. 수신한 「Gno.」및「다형번지」는 메모리부(26)에 기록된다. 그리고 단계 R-9(SR-9)에서는 수신한 명령정보(「Gno.」및「다형번지」에 따라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II에 엑세스한다.
단계 R-10(SR-10)에서는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데이터 II를 검색하여 명령된 다형번지를 추출한다. 단계 R-11(SR-11)에서는 추출한 다형번지에 의거하여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의 데이터 II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다형패턴을 판독한다. 판독한 다형패턴은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메모리부(26)에 기록한다. 이 때 데이터 I에 대하여 엑세스하여 명령정보에 포함되는 「Gno.」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계(R-10)에서는 다형패턴 이외에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적인 정보도 동시에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26)에 기록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33에 나타낸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 (24)의 경우, 명령된 다형번지에 대응하여 다형패턴「A(다형번지 1000)」 및 「C(다형번지2000)」를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R-12(SR-12)에서는 메모리부(26)에 일시적으로 기록한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필요에 따라 기록된 부가적인 정보를 「Gno.」와 함께 통신회선망(1)을 거쳐 공용 컴퓨터(2)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계 R-13(SR-13)에서는 다형번지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Gno. 및 필요에 따라 기록된 부가적인 정보를 공용 컴퓨터(2)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다형패턴을 다형번지와 관련지어 메모리부 A(10)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다형번지「1000」에 대하여 다형패턴「A」를, 다형번지「2000」에 대하여 다형패턴「C」를 메모리부 A(10)에 기록한다.
다음에 단계 R-14(SR-14)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메인 DB(14)에 엑세스한다. 그리고 단계 R-15(SR-15)에서는 수신한 다형번지와 그 다형패턴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여 일치한 다형패턴에 관련지어진 「자기성질타입」(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32의 경우, 다형번지 「1000」및 「2000」의 다형패턴이 각각 「A」및「C」인 조합에 대하여 자기성질타입 「a」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 R-16(SR-16)에서는 단계 R-15에서 추출한 「자기성질타입」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고, 이 「자기성질타입」에 적합한 「적합타입」(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32의 경우, 자기성질타입이「a」이기 때문에 자기성질타입 「a」에 적합한 적합타입로서「b」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 R-17(SR-17)에서는 추출한 적합타입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여 그 적합타입이 자기성질타입으로 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 한 자기성질타입에 관련지어진 다형패턴 및 그 다형번지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 도 32의 경우, 추출한 적합타입이 「b」이기 때문에 자기성질타입이 「b」인 다형패턴 및 그 다형번지를 판독한다. 즉 도 32의 경우, 다형번지「1OOO」의 다형패턴이「G」이고, 또한 다형번지「2000」의 다형패턴이「C」인 조합, 및 다형번지「1000」의 다형패턴이 「A」이고, 또한 다형번지「2000」의 다형패턴이 「T」인 조합을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 R-18(SR-18)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도너 DB에 엑세스한다. 여기서 도너 DB(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축된 것으로, 복수의 개체에 관하여 「소정의 성질」에 관한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다음에 단계 R-19(SR-19)에서는 처리프로그램(13)에 따라 단계 R-17에서 판독한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에 의거하여 도너 DB를 검색하고, 단계 R-17에서 판독한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의 조합과 일치하는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조합을 가지는「Gno.」(개체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35의 경우, 「1000」이 「G」이고, 또한「2000」이「C」인 것 및 「1000」이「A」이고 또한 「2000」이 「T」인 것을 검색하면 「Gno.」0003과 「Gno.」0004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한 「Gno.」는 의미정보로부터 도출된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이다.
다음에 단계 R-20(SR-20)에서는 추출한 「Gno.」를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때 도너 등록자측의 IC에서 규정된 범위내에서 「Gno.」와 함께 그 밖의 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송신하여도 좋다. 그 밖의 정보로서는 도 35에 나타낸 도너 DB를 구축할 때에 기록한 정보, 예를 들면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에서의 데이터 III, 데이터 IV 및 데이터 V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적인 정보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5의 경우, 개인용 컴퓨터(3)에 대하여 「Gno.」 0003과 「Gno.」0004를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R-21(SR-21)에서는 공용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Gno.」 및 그 밖의 정보를 개인용 컴퓨터(3)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R-22(SR-22)에서 수신한 「Gno.」및 그 밖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레시피언트는 「소정의 성질」에서 적합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35의 경우, 레시피언트는 「소정의 성질」에서 적합한 다른 개체가 「Gno.」0003과 「Gno.」0004라고 하는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계 R-20에서는 동시에 추출결과를 이용하여 요구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기관에 대하여 추출결과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시스템에 의하면,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르면 소정의 목적에 관하여 레시피언트의 「소정의 성질」에 적합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게놈관련기록매체(24)에 기록한 게놈관련정보(28) 모두를 통신회선망(1)을 거쳐 출력할 필요가 없고, 제출명령을 받은 일부의 게놈관련정보(28)만을 출력하면 좋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 의하면 기밀성이 높은 개인 특유의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도 「익명 다형번지」를 사용함으로써, 다형번지 및 다형패턴의 누설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소정의 성질」등의 분류나 자기성질타입에 적합한 「적합타입」이 그 종류가 증가하는 동시에 정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메인 DB(14)를 갱신함으로써 더욱 정밀도가 높고, 또한 폭 넓은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아울러 도 3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많은 개체가 도너 등록를 행하면 도너 DB에 많은 도너정보가 축적되게 된다. 본 시스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정보의 증가 및 정정 등에 추정한 메인 DB(14)의 갱신 및 도너 DB에서의 정보량의 증대에 의해 레시피언트가 최신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하면 메인 DB(14) 및 도너 DB를 체크함으로써, 제 3자 또는 제 3자 기관이 공용 컴퓨터(2)에 대한 감시 및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에 대한 예를 들면 행정적인 관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의 건전성 및 윤리관리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에서 도너 DB에 다형패턴을 의미하게 하는 의미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용 컴퓨터(2)는 단계 R-13(SR-13)에서 수신한 다형패턴 및 Gno. 등에 의거하여 메인 DB(14)를 검색하고, 레시피언트의 「자기성질타입」 및「적합타입」을 추출한다(단계 R-15). 그리고 공용 컴퓨터(2)는 단계 R-16 내지 단계 R-19를 행하지 않고, 레시피언트의 「자기성질타입」및「적합타입」에 의거하여 도너 DB에 기록된 다른 개체의 「자기성질타입」을 검색하고, 레시피언트의 「적합 타입」과 일치한 「자기성질타입」을 가지는 다른 개체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 R-20 내지 단계 R-22를 행함으로써 레시피언트는 「소정의 성질」에 대하여 자기에게 적합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단계 R-20에서는 동시에 추출결과를 이용하여 요구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기관에 대하여 추출결과를 송신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는 상기한 도너등록시스템을 이용하는 도너등록자가 레시피언트가 되어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34에 나타낸 단계 D-1 내지 단계 D-14에 따라 도너등록을 행한 후, 단계 R-14로 진행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소정의 성질」에 대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는 「소정의 성질」에 대하여 도너등록을 행함과 동시에 「소정의 성질」에 대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단 도너등록을 행한 개체가 나중에 레시피언트가 되는 경우, 단계 R-1, R-2의 다음에 공용 컴퓨터(2)가 도너 DB에 엑세스하여 상기 레시피언트 자신의 「Gno.」와 일치하는 「다형번지」 및 그 「다형패턴」을 판독한 다음에 단계 R-14로 진행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소정의 성질」에 대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용자는 「소정의 성질」에 대하여 도너등록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 성질」에 대한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시스템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 및 메인 DB(14)에서 「다형번지」및 그「다형패턴」만을 규격화하여 두면, 그것 이외의 특별한 데이터의 규격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물품 또는 서비스 를 제공하는 측은 게놈관련정보기록매체(24)를 사용한 정보제공에 있어서, 다형패턴에 대응하는 의미정보의 규격화나, 데이터수수처리방법 등의 통일된 규격을 필요로 하지 않아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자기성질타입」에 적합한 「적합타입」을 「자기성질타입」으로서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정보처리시스템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자기성질타입」에 부적합한 「적합타입」을 「자기성질타입」으로서 가지는 다른 개체에 관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메인 DB(14)에는 소정의「다형패턴」에 의미를 부여하는 「자기성질타입」(소정의 개체에 관한 정보)과, 그「자기성질타입」에 부적합한 타입을 나타내는 「부적합타입」(다른 개체에 관한 정보)가 의미정보로서 기록되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체간에서의 염기배열정보의 상위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개체에서 유익한 의미정보 및/또는 의미정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처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의미정보의 갱신이나 정정 등에 따라 최신의 의미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요구정보에 관한 물품 및/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고품질로 얻을 수 있다.

Claims (15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키로 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2.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3.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4.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d)에서 판독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단계(a)에서 요구정보를 낸 요구정보송신용 정보처리수단, 또는, 상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정보를 이용하는 측의 정보이용측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5.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신하고,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거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6.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에는, 상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공개레벨정보가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단계(b)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에 있어서의 공개레벨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공개레벨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송신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7.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요구정보에 따르거나 또는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복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8.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보다 전에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의 요구정보송신용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의 요구정보 송신용 정보처리수단으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한 동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09.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정보가 건강진단검사 항목에 관한 정보, 질병에 관한 이환(罹患) 가능성에 관한 정보, 물품의 제조에 관한 정보, 물품의 종별선정에 관한 정보 및 다른 개체에 관한 적합성에 관계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10. 제 101항 내지 제 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고, 상기 단계(d)에서 판독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기 부가적인 정보를 관련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11.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12.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13.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방법.
  114.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으로서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요구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판독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키로 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의미정보판독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15.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으로서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요구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판독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의미정보판독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16.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으로서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요구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판독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의미정보판독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17.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의미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요구정보를 낸 정보처리수단, 또는, 상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의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의미정보송신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18.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고,
    상기 의미정보판독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거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19.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에는, 상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공개레벨정보가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에 있어서의 공개레벨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공개레벨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송신 여부를 판정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0.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요구정보에 따르거나 또는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복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고, 상기 의미정보판독수단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1.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이 위치정보를 송신하기보다 전에,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의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동의정보수신수단, 또는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의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한 동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동의정보수신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2.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정보가 건강진단검사 항목에 관한 정보, 질병에 관한 이환 가능성에 관한 정보, 물품의 제조에 관한 정보, 물품의 종별선정에 관한 정보 및 다른 개체에 관한 적합성에 관계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3. 제 114항 내지 제 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정보판독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고, 상기 의미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기 부가적인 정보를 관련짓도록 기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4.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으로서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요구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판독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송신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5.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으로서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요구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판독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송신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6.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으로서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요구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판독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위치정보송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위치정보송신수단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기능하게 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송신수단을 구비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장치.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키로 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1.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2.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3.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d)에서 판독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단계(a)에서 요구정보를 낸 요구정보송신용 정보처리수단, 또는, 상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측의 정보 이용측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4.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에 대응시킨 2차 위치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위치정보에 관련지어 송신하고,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를 2차 위치정보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수신한 후,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2차 위치정보를 거쳐 위치정보에 관련지어진 염기배열관련정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5.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에는, 상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송출이 허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공개레벨정보가 의미정보에 관련지어져 있고, 상기 단계(b)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2 기억영역에 있어서의 공개레벨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공개레벨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송신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6.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요구정보에 따르거나 또는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복수의 위치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복수의 위치정보의 각각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조합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7.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보다 전에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의 요구정보송신용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염기배열관련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의 요구정보송신용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한 동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8.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정보가 건강진단검사 항목에 관한 정보, 질병에 관한 이환 가능성에 관한 정보, 물품의 제조에 관한 정보, 물품의 종별선정에 관한 정보 및 다른 개체에 관한 적합성에 관계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9. 제 140항 내지 제 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요구정보를 내는 측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고, 상기 단계(d)에서 판독한 의미정보 또는 상기 의미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에 대하여 상기 부가적인 정보를 관련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50.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를 키로 하여,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51.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52. 송수신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염기배열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하는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1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1 정보처리수단에,
    상기 송수신수단이 물품 또는 서비스의 요구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하는 단계(a)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계(a)에서 수신한 요구정보에 따라 위치정보와 물품 또는 서비스의 분류정보와, 또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분류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억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요구정보에 따른 위치정보를 판독하는 단계(b)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b)에서 판독한 위치정보를 개체에 관한 위치정보와 염기배열관련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3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2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c)와,
    상기 송수신수단이 상기 단계(c)에서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염기배열관련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의미하는 위치에 있어서 취할 수 있는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와 상기 복수의 염기배열관련정보에 각각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정보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제 2 기억영역에 엑세스 가능한 제 3 정보처리수단에 대하여 송신하는 단계(d)를 실행시키는 염기배열에 관한 정보처리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20028907A 2001-05-25 2002-05-24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KR100832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6943 2001-05-25
JP2001156943 2001-05-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51A Division KR100862674B1 (ko) 2001-05-25 2008-01-30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339A KR20020090339A (ko) 2002-12-02
KR100832077B1 true KR100832077B1 (ko) 2008-05-27

Family

ID=190008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907A KR100832077B1 (ko) 2001-05-25 2002-05-24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KR1020080009751A KR100862674B1 (ko) 2001-05-25 2008-01-30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751A KR100862674B1 (ko) 2001-05-25 2008-01-30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7912650B2 (ko)
EP (1) EP1260927A3 (ko)
JP (5) JP3862608B2 (ko)
KR (2) KR100832077B1 (ko)
CN (4) CN102637245B (ko)
CA (2) CA2387277C (ko)
TW (1) TWI2699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87277C (en) * 2001-05-25 2015-03-03 Hitachi,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nucleotide sequence-related information
JP4163622B2 (ja) 2001-11-22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塩基配列に関する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EP1569154A4 (en) * 2002-11-20 2006-09-06 Hitachi Ltd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DATA RELATING TO BASIC SEQUENCES
US20060149502A1 (en) * 2003-02-27 2006-07-06 Takamasa Kato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base sequence relevant information
US7264874B2 (en) 2004-12-22 2007-09-04 Aps Laboratory Preparation of metal chalcogenide nanoparticles and nanocomposites therefrom
JP5038671B2 (ja) * 2006-09-25 2012-10-03 株式会社東芝 検査項目選定装置、検査項目選定方法、及び検査項目選定プログラム
JP4791408B2 (ja) * 2007-05-01 2011-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EP2342353A1 (en) * 2008-10-03 2011-07-13 Mars, Incorporated Genetic test for liver copper accumulation in dogs and low copper pet diet
AU2011258875B2 (en) 2010-05-25 2016-05-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ambam: parallel comparative analysis of high-throughput sequencing data
US9646134B2 (en) 2010-05-25 2017-05-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ambam: parallel comparative analysis of high-throughput sequencing data
JP5117550B2 (ja) * 2010-07-26 2013-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US8898149B2 (en) 2011-05-06 2014-11-25 The Translational Genomics Research Institute Biological data structure having multi-lateral, multi-scalar, and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between molecular features and other data
US9276911B2 (en) * 2011-05-13 2016-03-01 Indiana University Research & Technology Corporation Secure and scalable mapping of human sequencing reads on hybrid clouds
GB201120989D0 (en) 2011-12-06 2012-01-18 Mars Inc Genetic test
KR101419753B1 (ko) * 2012-10-16 2014-07-17 안형준 개인 단일 염기 다형성에 기반한 개인별 부작용 최소화 약물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A2941739C (en) * 2014-03-10 2020-09-08 Cool Club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a cantilevered member
US10395759B2 (en) 2015-05-18 2019-08-27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py number variant detection
FR3045874B1 (fr) * 2015-12-18 2019-06-14 Axlr, Satt Du Languedoc Roussillon Architecture pour l'analyse de donnees genomiques
CN110312825A (zh) * 2016-10-24 2019-10-08 吉内恩福赛克公司 隐藏核酸内存在的信息
CN107103207B (zh) * 2017-04-05 2020-07-03 浙江大学 基于病例多组学变异特征的精准医学知识搜索系统及实现方法
KR20200121225A (ko) * 2018-02-16 2020-10-23 일루미나, 인코포레이티드 변이체 검출을 위한 상관 오류 이벤트 완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2009342A1 (ja) 2020-07-08 2022-01-1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218A2 (en) * 1999-06-25 2001-01-04 Genaissance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obtaining and using haplotype data
WO2001016857A2 (en) * 1999-08-27 2001-03-08 Pluvit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omic and proteomic agricultural disease assessment via expression profile comparison
WO2001026029A2 (en) * 1999-10-01 2001-04-12 Orchid Bio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otype clinical inform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WO2001028415A1 (en) * 1999-10-15 2001-04-26 Dodds W Jean Animal health diagnosis
WO2001069430A1 (en) * 2000-03-16 2001-09-20 Dna Sciences, Inc. Database system and method
US20020010552A1 (en) * 2000-05-26 2002-01-24 Hugh Rienhoff System for genetically characterizing an individual for evaluation using genetic and phenotypic variation over a wide are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5569A (ja) * 1991-02-19 1992-09-21 Canon Inc 音声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5834189A (en) 1994-07-08 1998-11-10 Visible Genetics Inc. Method for evaluation of polymorphic genetic sequences, and the use thereof in identification of HLA types
US5523208A (en) 1994-11-30 1996-06-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Kentucky Method to discover genetic coding regions for complementary interacting proteins by scanning DNA sequence data banks
US5867402A (en) * 1995-06-23 1999-02-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mputational analysis of nucleic acid information defines binding sites
EP0897567A2 (en) * 1996-04-19 1999-02-24 Spectra Biomedical, Inc. Correlating polymorphic forms with multiple phenotypes
JPH10151125A (ja) 1996-11-21 1998-06-09 Corp Miyuki:Kk Dnaによる人物識別システム
US5970500A (en) 1996-12-12 1999-10-19 Incyte Pharmaceuticals, Inc. Database and system for determining, storing and displaying gene locus information
JPH11353404A (ja) * 1998-06-11 1999-12-24 Hitachi Ltd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2000067139A (ja) * 1998-08-25 2000-03-03 Hitachi Ltd 電子カルテシステム
CA2315147C (en) * 1998-10-30 2004-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quence homology detection
US6931396B1 (en) * 1999-06-29 2005-08-16 Gene Logic Inc. Biological data processing
US6424969B1 (en) * 1999-07-20 2002-07-23 Inmentia, Inc.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data
US6470277B1 (en) * 1999-07-30 2002-10-22 Agy Therapeutics, Inc. Techniques for facilitating identification of candidate genes
JP2001112486A (ja) * 1999-08-05 2001-04-24 Takeda Chem Ind Ltd 遺伝子解析結果の記録方法
US6287254B1 (en) * 1999-11-02 2001-09-11 W. Jean Dodds Animal health diagnosis
US6640211B1 (en) 1999-10-22 2003-10-28 First Genetic Trust Inc. Genetic profiling and banking system and method
GB2363874B (en) * 1999-11-06 2004-08-04 Dennis Sunga Fernandez Bioinformatic transaction scheme
GB0004232D0 (en) 2000-02-24 2000-04-12 Zeneca Ltd Diagnostic method
US6847995B1 (en) * 2000-03-30 2005-01-25 United Devices, Inc. Security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
DE60126448T2 (de) * 2000-04-17 2007-06-14 Nec Corp. Verfahren und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heimbasierten Gesundheitsdienstes
JP2002024416A (ja) 2000-07-04 2002-01-25 Sony Corp Dna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dna情報管理方法
JP3440270B2 (ja) 2000-12-18 2003-08-25 エヌシーアンドエス株式会社 生理現象関連遺伝子情報の提供装置、その提供方法及びその提供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20030211501A1 (en) * 2001-04-18 2003-11-13 Stephens J. Claiborne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aplotypes from a collection of polymorphisms
JP2002318858A (ja) 2001-04-19 2002-10-31 Toshitada Kameda 医療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2387277C (en) * 2001-05-25 2015-03-03 Hitachi,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nucleotide sequence-related information
US20030113756A1 (en) * 2001-07-18 2003-06-19 Lawrence Mertz Methods of providing customized gene annotation reports
US20030087244A1 (en) * 2001-10-09 2003-05-08 Vitivity, Inc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
JP4163622B2 (ja) * 2001-11-22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塩基配列に関する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3677258B2 (ja) * 2002-07-15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WO2004046996A1 (ja) * 2002-11-18 2004-06-03 Hitachi, Ltd.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1218A2 (en) * 1999-06-25 2001-01-04 Genaissance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obtaining and using haplotype data
WO2001016857A2 (en) * 1999-08-27 2001-03-08 Pluvit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omic and proteomic agricultural disease assessment via expression profile comparison
WO2001026029A2 (en) * 1999-10-01 2001-04-12 Orchid Bio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otype clinical inform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WO2001028415A1 (en) * 1999-10-15 2001-04-26 Dodds W Jean Animal health diagnosis
WO2001069430A1 (en) * 2000-03-16 2001-09-20 Dna Sciences, Inc. Database system and method
US20020010552A1 (en) * 2000-05-26 2002-01-24 Hugh Rienhoff System for genetically characterizing an individual for evaluation using genetic and phenotypic variation over a wide area network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W COLLABORATIONS MAKE PHARMACOGENOMICS A SNP" MOLECULAR MEDICINE TODAY(LSEVIER, CAMBRIDGE, GB, vol. 5, no. 7, July 1999 (1999-07), page 280) *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의 의료현장에서 중요성(일본간행물 "현대의료" 2000.01.10. p204-210) *
차세대 유니버설 ID를 지향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passport 전략 (nternet Magazine. 2000.06. p290-29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0927A3 (en) 2006-06-21
US8103368B2 (en) 2012-01-24
CN1390954A (zh) 2003-01-15
EP1260927A2 (en) 2002-11-27
CN102737167A (zh) 2012-10-17
US7912650B2 (en) 2011-03-22
CA2872499A1 (en) 2002-11-25
TWI269988B (en) 2007-01-01
US20120101601A1 (en) 2012-04-26
JP2003099440A (ja) 2003-04-04
JP5066173B2 (ja) 2012-11-07
JP2004152316A (ja) 2004-05-27
CA2387277C (en) 2015-03-03
CA2872499C (en) 2016-07-05
JP3946693B2 (ja) 2007-07-18
JP4486080B2 (ja) 2010-06-23
CN1390954B (zh) 2012-06-06
US20050114040A1 (en) 2005-05-26
JP5548736B2 (ja) 2014-07-16
KR20080014139A (ko) 2008-02-13
CN102637245B (zh) 2016-06-29
CA2387277A1 (en) 2002-11-25
US20050086011A1 (en) 2005-04-21
KR100862674B1 (ko) 2008-10-10
CN102637245A (zh) 2012-08-15
US8571810B2 (en) 2013-10-29
KR20020090339A (ko) 2002-12-02
US20020197635A1 (en) 2002-12-26
US7945389B2 (en) 2011-05-17
JP2012234558A (ja) 2012-11-29
US20030125883A1 (en) 2003-07-03
US20140100790A1 (en) 2014-04-10
JP2010123132A (ja) 2010-06-03
CN1645401A (zh) 2005-07-27
JP2007157168A (ja) 2007-06-21
JP3862608B2 (ja)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674B1 (ko) 염기배열관련정보를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JP6951585B2 (ja) 個人、オミックス、およびフェノタイプデータのコミュニティ集約プラットフォーム
Weymann et al. Matching methods in precision oncology: an introduction and illustrative example
Dranove et al. Determinants of HMO formulary adoption decisions
Demuro et al. Managing privacy and data sharing through the use of health care information fiduciaries
JP3888999B2 (ja)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5117550B2 (ja)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4041430B2 (ja)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4791408B2 (ja)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Al-Gahmi Don't Swab Me!: Limitations of the Genetic Information Privacy Act in the Modern Genetic Testing Landscape
JP3677275B2 (ja)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4266008B2 (ja) 塩基配列関連情報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