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154B1 -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분리기 - Google Patents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154B1
KR100831154B1 KR1020070032669A KR20070032669A KR100831154B1 KR 100831154 B1 KR100831154 B1 KR 100831154B1 KR 1020070032669 A KR1020070032669 A KR 1020070032669A KR 20070032669 A KR20070032669 A KR 20070032669A KR 100831154 B1 KR100831154 B1 KR 10083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net
frame
mother
win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428A (ko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김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완 filed Critical 김상완
Publication of KR2008003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못자리에 볍씨가 담겨진 모판을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네트에 얹혀진 상태에서 자연 건조된 나락을 자동으로 회수하거나, 모판에서 모가 생육된 상태에서 모판을 못자리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앙기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106)에 의해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모판(102)이 얹혀진 네트(103)를 잡아 당겨 감는 권취봉(104)과, 상기 권취봉의 일 측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네트의 감김으로 모판이 이송됨에 따라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절단하는 뿌리제거수단(122)과, 상기 뿌리제거수단의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통공(123a)을 갖으며 권취봉 및 뿌리제거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판유도판(123)과, 상기 모판유도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판의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수단(129)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권취봉에 의해 당겨지는 네트(103)가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아이들 로울러(130)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권취봉(104)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네트(103)를 상향 경사지게 안내하는 모판진입판(163) 및 이물질제거판(164)으로 구성되어 모판을 못자리에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못자리로부터 모판을 자동을 분리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뿌리절단부재(125)의 하부에 나락이 회수되는 반달형상의 받이판(172)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는 받이판(172)을 따라 이송된 나락이 포대에 자동으로 담기도록 하는 공지의 이송기(17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나락을 자동으로 회수하게 되므로 일손이 모자라는 농촌에서 논농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못자리, 모판, 모판 자동 분리, 네트, 뿌리절단, 나락회수

Description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 분리기{omitted}
도 1은 종래 모판 분리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판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모판유도판을 상승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모판을 분리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뿌리제거수단의 직상부에 위치되게 모판누름수단이 설치된 상태도
도 10은 모판유도판의 진입부에 커터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건조된 나락을 회수하는 상태도
도 12는 모판유도판이 조절나사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모판진입판 및 이물질제거판의 연결부위가 고정되고, 핀에 의해 지지된 상태와 사시도
도 14는 권취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을 절첩하여 이동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못자리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7은 모판써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모판 설치 시 네트의 중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20은 접이식 가이드를 모판 진입판의 양측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프레임 102 : 모판
103 : 네트 104 : 권취봉
106 : 동력발생수단 109 : 지지구
110 : 걸이구 111 : 트랙터
118 : 클러칭수단 119 : 턴 버클
122 : 뿌리제거수단 123 : 모판유도판
125 : 뿌리절단부재 129 : 스토퍼수단
130 : 아이들 로울러 132 : 레버
135 : 네트회수체 140 : 와이어
144 : 배토기 145 : 모판써레
155 : 조절나사 156 : 모판누름수단
161 : 누름판 162 : 커터
163 : 모판진입판 164 : 이물질제거판
166 : 스크레퍼 168 : 안착판
171 : 접이식 가이드 172 : 받이판
173 : 이송기 174 : 유도판
175 : 중첩부 176 : 지지대
본 발명은 1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못자리에 볍씨가 담겨진 육묘상자(이하 "모판"이라 함)를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네트에 얹혀진 상태에서 자연 건조된 나락을 자동으로 회수하거나, 모판에서 모가 생육된 상태에서 모판을 못자리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하는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내기를 하기 위해서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모판에 고운 입자의 상토를 채운 다음 볍씨를 뿌려 상기 볍씨가 모내기에 적합한 상태의 모로 생육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모판의 크기는 통상 가로 60cm, 세로 30cm, 깊이 3cm 정도로서, 그 재질은 주로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모판의 바닥면에는 무수히 많은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모가 생육되는 과정에서 잔뿌리가 구멍을 통해 빠져 나와 땅 속에 깊이 박히게 되므로 모내기에 가능한 상태로 모가 생육된 상태에서 못자리로부터 모판을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치 않아 별도의 모판 분리기를 이용하여 못자리로부터 모판을 분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모판 분리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모판 분리기(20)는 손잡이(21)와, 상기 손잡이(21)에서 길게 연결된 연결대(23)와, 상기 연결대(23)의 끝 부분에 "ㄷ"자형 구조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모판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커터 장착대(24)와, 상기 커터 장착대(24)의 하부에 길게 설치되어 모판(10)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커터(2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터 장착대(24)는 연결대(23)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대(25)와, 상기 가로대(25)의 양단부에서 커터(29)의 양단부로 연결되는 측판(27)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모판(10)의 저면에 커터(29)를 밀어 넣은 상태에서 계속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커터(29)에 의해 모판(10)의 하부로 빠져 나온 뿌리가 잘리면서 지면으로부터 모판(10)이 분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판 분리기(10)는 커터(29)가 모판(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지면에 활착된 모의 뿌리를 자르고 흙을 분리시키면서 못자리로부터 모판(10)을 분리해 내야 하나, 실제 작업 중에 커터(29)가 모판(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분리하지 못하고 땅속으로 밀려들어가기 때문에 상당한 숙련자가 아닌 경우에는 모판(10)을 못자리로부터 분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모판 분리기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404963호로 등록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 모판 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모판 분리기(50)는 크게 사용자가 잡고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손잡이(51)와, 상기 손잡이(51)의 하부에 구비되고 대략 'ㄷ'자 구조로 이루어진 커터 장착부(54)와, 상기 커터 장착부(54)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모판(10)과 지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모판(10)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커터(59)와, 상기 커터 장착부(54)에 구비되어 모판(10)의 상면(15)을 눌러주는 커터 밀착기구(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1)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손잡이부(52)와, 상기 손잡이부(52)에서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연결봉(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터 장착부(54)는 손잡이(51)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대(55)와, 상기 가로대(55)의 양단부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결되는 측판부(5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판부(57)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커터밀착기구(6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측판부(57)는 커터(59)를 탈,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커터(59)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약간 라운딩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터밀착기구(60)는 모판(10)의 양쪽 상면(15)에 밀착되어 상기 커터(59)가 모판(10)의 저면(17)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상기 커터 장착부(5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모판(10)의 상면(15)에 밀착되는 누름 레버(61)와, 상기 누름 레버(61)와 커터 장착부(54) 사이에 연결되어 누름 레버(6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 레버(61)는 측판부(57)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 핀(63)으로 연결되어 있고 앞쪽에는 상기 모판(10)의 상면(15)에 밀착되어 구름 운동하도록 로울러(65)가 구비되어 있으며, 뒤쪽에는 탄성부재(7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터 장착부(54)에는 누름 레버(61)의 회동 위치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누름 레버(61)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부 스토퍼(58)가 위치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 스토퍼(72)가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판 분리기(50)를 이용하여 못자리로부터 모판(10)을 분리하기 위해 모판 분리기(50)의 손잡이(51)를 잡고 모판(10)의 양쪽 상면(15)에 로울러(6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커터(59)를 모판(10)의 하부에 밀어 넣은 다음 이동시키면, 커터(59)가 모판(10)의 저면(17)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모판(10)이 지면(G)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 때 누름 레버(61) 및 로울러(65)는 탄성 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모판(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로울러(65)가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울러(65)가 모판(10)을 누르는 힘에 의해 커터(59)가 모판(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 모판(10)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가 커터(59)에 의해 잘리는 과정에서 모판(10)의 저면(17)에 달라붙어 있던 흙 등도 함께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모판 분리기는 커터밀착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커터를 모판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시키면서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 온 뿌리는 물론이고 흙 등을 동시에 제거하는 잇점을 갖으나, 반드시 작업자가 각 모판의 저면으로 커터를 일일이 밀어 넣은 다음 손잡이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야 되었으므로 모판의 분리작업이 번거로웠음은 모판의 분리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못자리로부터 모판을 분리하였더라도 작업자가 분리된 모판을 이앙기 측으로 옮겨야 되었으므로 인력이 현저히 모자란 농촌의 실정에서 모판의 분리에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 못자리에 모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모판에 상토를 채운 다음 볍씨를 파종한 후 이를 일일이 못자리로 날라 가지런히 설치하여야 되었으므로 못자리의 설치에 많은 시간 및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수확된 나락을 자연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네트 또는 멍석에 나락을 펼쳐 놓게 되는데, 건조된 나락을 회수할 때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나락을 퍼 포대에 수 작업으로 담아야 되었으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건조된 나락을 회수하는데 많은 힘이 들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모가 알맞게 자란 모판이 얹혀진 네트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는 물론이고 네트의 저면에 달라붙은 흙을 자동으로 제거한 다음 이앙기 측으로 옮길 수 있도록 모판을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 형태로 감겨진 네트를 권취봉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푸는 과정에서 볍씨가 파종된 모판을 네트의 상면에 차례로 올려놓기만 하 면 못자리 설치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의 상면에 얹혀져 자연 건조된 나락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네트를 권취봉에 감는 조작에 의해 네트의 상면에 있던 나락이 포대에 자동으로 담길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모판이 얹혀진 네트를 잡아 당겨 감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의 일 측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네트의 감김으로 모판이 이송됨에 따라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절단하는 뿌리제거수단과, 상기 뿌리제거수단의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을 갖으며 권취봉 및 뿌리제거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판유도판과, 상기 모판유도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판의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권취봉에 의해 당겨지는 네트가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아이들 로울러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권취봉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네트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모판진입판 및 이물질제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네트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를 소경부에 감는 권취봉과, 다른 일 측에 위치된 회수봉에 감겨져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차례로 풀리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일단에 재봉된 삽입부에 끼워져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네트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를 소경부에 감는 권취봉과, 권취봉에 감기는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면에는 나락이 얹혀지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일단에 재봉된 삽입부에 끼워져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구와, 상기 권취봉의 선단에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형상의 뿌리절단부재와, 상기 뿌리절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나락이 회수되는 반달형상의 받이판과,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이판을 따라 이송된 나락이 포대에 자동으로 담기도록 하는 공지의 이송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자동 회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사용용도에 따라 못자리를 자동으로 설치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 모가 자란 모판을 자동으로 못자리에서 분리하여 이앙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수확된 나락을 네트에 널어 말린 다음 포대에 자동으로 담는 나락 자동 회수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101)에 복수 개의 모판(102)이 얹혀진 네트(103)를 잡아 당겨 감는 권취봉(104)이 회전 가능하게 브라켓(105)으로 지지 설치되어 동력발생 수단(106)의 구동에 의해 상기 권취봉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05)의 양측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편(107)이 프레임(101)과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못자리(108)에 깔려진 네트(103)의 상면에는 복수 열의 모판(102)이 연속적으로 얹혀져 있고 상기 네트(103)의 양단에는 지지구(109)를 끼울 수 있게 네트가 중첩된 상태로 재봉된 삽입부(103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부(103a)에 지지구(109)를 끼운 다음 이를 권취봉(104)의 양단에 구비된 걸이구(110)에 끼워 고정하므로써, 권취봉(104)의 회전에 따라 네트(103)가 권취봉(104)에 감기게 된다.
상기 네트(103)가 감기는 권취봉(104)의 중간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106)의 구동에 의해 네트(103)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네트(103)의 일단에 고정된 와이어(140)가 감기는 소경부(10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경부의 일 측에 위치하는 권취봉(104)에는 와이어(140)의 매듭(140a)을 걸어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하는 열쇠구멍형상의 걸이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이홈(141)이 형성된 권취봉(104)의 반대편에는 와이어(140)의 일단(와이어와 네트의 연결지점)에 고정된 후크(143)가 수납되는 공간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못자리(108)에 깔려져 있던 네트(103)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네트(103)와 연결된 와이어(140)의 매듭(140a)을 권취봉(104)에 형성된 열쇠구멍형상의 걸이홈(141)에 끼워 별도의 와이어 연결작업을 하지 않고도 권취봉(104)과 와이어(140)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동력발생수단(106)의 구동으로 와이어 (140)가 권취봉(104)에 감기고 나면 권취봉(104)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와이어(140)와 네트(103)를 연결하고 있던 후크(143)가 공간부(121)에 수납되도록 하므로써 네트(103)로부터 와이어(140)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계속해서 네트(103)를 권취봉(104)에 감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권취봉(104)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수단(106)으로는 별도의 구동원(모터 및 감속기)을 이용하여 권취봉(104)을 서서히 회전시키면 되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가에 널리 보급된 트랙터(111)의 PTO축(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되는 종동축(113)에 구동풀리(114a)를 고정하고 프레임(101)에 설치된 감속기(115)의 축에는 종동풀리(도시는 생략함)를 설치하여 이들 풀리에 타이밍벨트(117)를 감아 트랙터(111)의 구동에 따라 PTO축을 통해 동력이 발생하면 그 회전수가 종동풀리 및 감속기(115)에 의해 감속되어 권취봉(104)의 축에 전달되므로 권취봉이 서서히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6)에 사용하는 트랙터(111) 대신 경운기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한편, 권취봉(104)으로 전달되는 동력발생수단(106)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감속기(115)의 축과 권취봉(104)의 축 사이에 커플링(116a)(116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이 설치된 프레임(101)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131)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는 커플링(116a)(116b)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레버(132)가 축(133)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봉(104)과 일정 거리 떨어진 프레임(101)의 양측에 지지바 (134)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에는 권취봉(104)에 감겨졌던 네트(103)를 감아 회수하는 네트회수체(1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회수체의 일단에는 네트회수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1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프레임(101)에 브라켓(105)으로 지지 설치되는 권취봉(104)이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된 경우, 권취봉(104)에 네트(103)가 감겨진 상태에서 프레임(101)으로부터 권취봉(104)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권취봉(104)을 공 회전시키면서 감겨진 네트(103)를 풀어야 되므로 커플링(116a)(116b)에 의해 감속기(115)의 축으로부터 권취봉(104)의 축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네트(103)의 일단을 네트회수체(135)에 감을 다음 손잡이(136)를 이용하여 네트회수체(135)를 회전시켜 권취봉(104)에 감겨져 있던 네트(103)를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권취봉(104)에 감겨진 네트(103)를 회수할 수 있도록 프레임(101)에 설치된 지지바(1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네트회수체(135)를 고정식으로 설치하여도 되지만,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네트회수체(135)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단의 지지바(134)에 네트회수체(135)의 일단이 끼워지는 고리(137a)가 형성되어 있고 네트회수체(135)의 다른 일단이 끼워지는 고리(137b)는 핀(138)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네트회수체(135)의 타단을 클램프(139)로 클램핑하여 장착하거나,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간에는 네트회수체(135)의 일단을 지지하고 있던 고리(137b)에서 클램프(139)를 해제시킨 다음 핀(138)을 중심으로 고리(137b)를 푼 후 프레임(101) 으로부터 네트회수체(135)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6)을 트랙터(111)로 할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트랙터(111)와 프레임(101)의 사이에 2개의 턴 버클(119)을 설치하여 프레임(10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논두렁의 공간이 좁아 트랙터(111)가 정지된 상태에서 못자리(108)와 직각상태를 이루지 못할 때 턴 버클(119)을 이용하여 프레임(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 때, 트랙터(111)로부터 프레임(101)의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PTO축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유니버셜 죠인트(120)를 거치게 되므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권취봉(104)의 일 측에 위치하는 프레임(101)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103)에 얹혀진 모판(102)이 권취봉(104)의 회전으로 이송됨에 따라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절단하는 뿌리제거수단(1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권취봉 및 뿌리제거수단의 상부에는 모판유도판(12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판유도판(123)에는 뿌리제거수단의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통공(123a)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뿌리제거수단(122)으로는 모판(102)이 상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모판(102)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절단할 수 있는 구조이면 커터 또는 기구적인 구조이던 무관하나, 모판(102)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회전하면서 뿌리가 절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1)의 양측에 지지대(124)에 고정되게 브라켓(14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에는 스크류 형상의 뿌리절단부재(125)를 갖는 회전체(12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PTO축(112)에 설치된 풀리(114b)와 감속기(147)의 풀리(148)에 타이밍벨트(149)가 감겨져 있고 감속기(147)와 연결된 풀리(150a)와 회전체(126)에 고정된 풀리(150b)에도 타이밍벨트(151)가 감겨져 있어 회전체(126)가 도 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고정된 스크류 형상의 뿌리절단부재(125)에 의해 모판(102)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연속적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권취봉(104)은 뿌리제거수단(122)의 회전체(126)와 반대방향으로 회진하면서 네트(103)를 연속적으로 감아주게 된다.
모판(102)이 얹혀져 이송되는 모판유도판(123)의 일단, 즉 끝단에는 뿌리가 절단된 모판(102)의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수단(129)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스토퍼수단(129)은 프레임(101)에 끝단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52)으로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52)의 전면에는 스토퍼(153)를 고정하여 상기 스토퍼(153)에 모판유도판(123)의 일단이 얹혀지도록 하며, 상기 모판유도판(123)은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52)에 경첩(154)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모판유도판(123)의 중간부위가 위치하는 프레임(101)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나사(155)가 설치되어 있어 조절나사의 회전에 따라 모판유도판(123)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봉(104)에 네트(103)를 연속적으로 감아줌에 따라 모판(102)이 모 판유도판(123)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저면으로 노출된 뿌리가 뿌리제거수단(122)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여도 되지만, 모판유도판(123)에 형성된 통공(123a)의 상부로 도 9와 같은 기능을 갖는 모판누름수단(156)을 더 구비하는 것이 모판(102)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더욱 확실히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모판누름수단(156)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판유도판(123)에 형성된 통공(123a)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대(157)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고정된 지지바(158)와, 상기 지지바에 스프링(159)으로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승강바(160)와, 상기 각 승강바의 하단에 설치되어 모판(102)을 뿌리제거수단(122) 측으로 눌러주는 누름판(1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판유도판(123)의 선단에 네트(102)의 저면으로 노출된 뿌리를 절단하는 커터(162)를 더 고정하면 네트(103)로부터 모판(102)을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1)의 선단 측(네트의 진입 측)에는 권취봉(104)의 상부에 위치되게 아이들 로울러(130)가 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봉(104)의 회전에 의해 당겨지는 네트(103)가 하향 경사지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아이들 로울러(130)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관하지만, 네트(103)의 저면에 어느 정도의 흙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어 도 7과 같이 아이들 로울러(130)의 둘레면에 삼각형상의 돌기(130a)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네트(102)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아이들 로울러(130)에 흙이 달라붙더라도 외경이 커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돌기(130a)의 높이는 네트(103)의 길이 및 못자리(108)의 흙 종류 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이들 로울러(130)를 네트회수체(135)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각각 설치하여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어 그 설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프레임(101)의 일단에 분할 형성된 모판진입판(163) 및 이물질제거판(164)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봉(104)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모판(102)을 경사지게 안내하면서 모판의 저면에 달라붙은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이물질제거판(164)은 도 15와 같이 프레임(101)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물질제거판(164)과 모판진입판(163)에는 중첩되게 각각 통공(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공을 통해 핀(165)을 끼워 이들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이물질제거판(164)의 상면에 복수 개의 장공(16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장공의 인접된 부위에는 네트(103)의 저면에 묻은 흙을 제거하는 스크레퍼(166)가 고정되어 있어 네트(103)의 이송간에 스크레퍼(166)가 네트의 저면을 긁어주게 된다.
상기 네트(103)의 이송간에 네트의 저면을 긁어주는 스크레퍼(166)가 고정된 이물질제거판(164)의 양측에 도 13과 같이 지지바(16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에는 안착판(168)을 갖는 스크류(169)가 나사 결합함과 동시에 스크류(169)의 선단에는 핸들(170)이 고정되어 있다.
이는,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물질제거판(164)과 모판진입판(163)을 도 4와 같이 펼친 상태에서 안착판(168)이 지면에 닿도록 핸들(170)의 회전으로 스크류(169)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물질제거판(164)과 모판진입판(163)을 견고히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네트(103)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 및 일정강도를 갖도록 직조되어 있으며 큰 장력이 걸리더라도 찢어지지 않도록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및 양측에 웨빙(103b)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모판 자동 분리기의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모판 자동 설치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모판 자동 설치기의 구성은 전술한 모판 자동 분리기의 구성에서 모판의 저면으로 노출된 뿌리제거수단(122) 및 모판유도판(123) 그리고 네트회수체(135)의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포함하여 못자리(108)의 반대편에 위치된 네트(103)를 잡아당기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못자리(108)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회수봉(142)에 감겨져 있던 네트(103)의 삽입부(103a)에 지지구(109)가 끼워져 있고 상기 지지구에는 도 17과 같은 중량체의 모판써레(145)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판써레의 전면에 고정된 걸고리(145a)에는 와이어(14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모판써레(145)의 양 측 상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145b)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못자리(108)의 건너편에서 권취봉(104)의 회전으로 와이어(140)를 잡아당김에 따라 모판써레(145)에 의해 써레질을 하면서 못자리를 자동으로 만들어도 되지 만, 못자리의 양측으로 도랑이 형성되도록 모판써레(145)의 양단에 도 16과 같은 형태의 배토기(144)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권취봉(104)의 회전으로 못자리(108)의 건너편에서 모판써레(145)에 연결된 와이어(140)를 당김에 따라 중량체의 모판써레(145)에 의해 못자리(108)가 평탄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배토기(144)에 의해 못자리의 양측으로 도랑이 자동으로 형성된다.
이 때, 모판(102)이 얹혀지는 네트(103)를 평탄한 형태로 못자리에 깔아도 되지만, 못자리의 모가 자란 상태에서 권취봉(104)의 회전으로 네트(103)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못자리에 활착된 뿌리로 인해 동력발생수단(106)이나 네트(103)에 무리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네트의 중간에 중첩부(175)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약 25m 정도로 못자리에 깔리는 네트(103)의 2-3개소에 일정 폭(약 30cm 정도)의 중첩부(175)를 형성한 다음 상, 하부에 지지대(176)를 맞대고 보울트(177) 및 너트(178)로 체결한 다음 못자리에 설치하여 못자리에서 모가 생육된 모판(102)을 잡아당기는 과정에서는 중첩부(175)에 위치된 보울트(177) 및 너트(178)를 풀어 지지대(176)를 분리함으로써, 네트(103)의 전체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중첩부(175)로 인해 네트(103)에 순차적으로 부하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판(102)을 자동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네트(103)의 중앙 및 양단에도 큰 장력이 걸리더라도 찢어지지 않도록 웨빙(103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건조된 나락을 회수하는 상태도이고 도 20은 접 이식 가이드를 모판 진입판의 양측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종단면도로서, 모판 자동 설치기로 사용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의 구성에 회수된 나락을 자동으로 포대에 담는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즉, 동력발생수단(106)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뿌리절단부재(125)의 하부에 단면이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이판(17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이판(172)의 일 측(풀리가 설치된 반대편)에는 회전체(126)의 회전으로 받이판(172)을 따라 이동하는 나락(127)을 포대에 자동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이송기(17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 모판 진입판(163)의 양측에 접이식 가이드(171)가 설치되어 모판 설치 및 회수 시에는 접이식 가이드(171)를 모판 진입판(163)으로부터 분리하였다가 나락 회수 시에만 도 20 및 도 21과 같이 설치하여 네트(103)의 양단이 접이식 가이드(171)에 의해 상측으로 만곡되어 네트(103)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나락이 밖으로 떨어지지 않고 네트(103)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이송기(173)는 곡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때, 회전체(126)의 회전에 따라 나락(127)이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받이판(172)의 선단(나락이 유입되는 쪽)에 유도판(174)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면 네트(103)에 얹혀져 이송되는 나락이 네트(103)와 받이판(172)사이로 떨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받이판(172)의 일 측(풀리가 설치된 반대편)은 개구부(도시는 생략함)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 측으로 이송기(173)를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기(173)의 연결부위에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나락(127)이 이송기(173) 측으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이판(172)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지의 이송기(173)는 별도의 지지다리(도시는 생략함)가 구비되어 있어 지면에 견고한 상태로 설치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모판 자동 분리기를 응용한 모판 자동 설치기를 이용하여 못자리를 만드는 과정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물질제거판(164) 및 모판진입판(163)을 펼쳐 핀(165)로 고정한 다음 핸들(170)을 이용하여 스크류(169)를 회전시켜 안착판(168)이 지면에 닿도록 하면 본 발명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데, 이 때 트랙터(111)에 매달린 본 발명은 못자리(108)를 만들고자 하는 논두렁의 바깥에 위치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회수봉(142)에 감겨진 네트(103) 및 상토가 채워진 모판(102) 그리고 파종할 볍씨가 위치되어 있다.
이 때, 물론 트랙터(111)는 만들고자 하는 못자리(108)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만약 논두렁의 공간이 협소하여 트랙터(111)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턴 버클(119)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경사지게 위치되어 있던 모판유도판(123)을 도 7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상승시키면 모판유도판(123)이 지지프레임(152)과 경첩(154)에 의해 연결되 어 있어 수직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걸고리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도시는 생략함)으로 모판유도판(123)을 지지프레임(152)에 걸어두면 못자리(108)를 만드는 과정에서 세워져 있던 모판유도판(123)이 진동 등에 의해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못자리(108)의 반대편에 위치된 회수봉(142)에 감겨져 있던 네트(103)의 삽입부(103a)에 지지구(109)를 끼운 다음 상기 지지구를 모판써레(145)에 장착한 후 모판써레의 선단에 위치된 걸고리(145a)에 와이어(140)의 일단을 걸고, 와이어의 다른 일단에 위치된 매듭(140a)을 프레임(101)에 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봉(104)의 열쇠구멍형상의 걸이홈(141)에 끼우면 와이어(140)의 다른 일단이 권취봉(104)에 지지되는데, 이 때, 모판써레(145)의 양측으로 노출된 지지구(109)에는 배토기(144)를 각각 고정한다.
상기 와이어(140)의 일단을 권취봉(104)에 지지되도록 한 다음 클러칭수단(118)을 이용하여 동력발생수단(106)의 동력이 권취봉(104)으로 전달되도록 하면 감속기(115)에 의해 권취봉이 서서히 회전하게 되므로 와이어(140)가 권취봉(104)의 소경부(104a)에 점진적으로 감기게 되고, 이에 따라 회수봉(142)에 감겨져 있던 네트(103)가 점진적으로 풀리게 된다.
상기 회수봉(142)으로부터 일정량(볍씨가 파종된 모판을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범위)의 네트(103)가 풀리고 나면 다시 클러칭수단(118)을 조작하여 동력발생수단(106)의 동력이 권취봉(104)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네트(103)의 풀림을 중단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회수봉(142)으로부터 일정량의 네트(103)가 풀리고 나면 작업자가 상토가 채워진 모판(102)에 볍씨를 파종한 다음 모판을 풀린 네트(103)의 상면에 가지런히 정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은 모판(102)이 얹혀지는 네트(103)가 못자리(108)를 완전히 덮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시되는데, 이 때 상기 네트(103)의 삽입부(103a)에 끼워짐과 동시에 모판쎄레(145)의 양측으로 노출된 지지구(109)의 양단에는 도 16과 같은 배토기(144)가 고정되어 있어 네트(103)가 당겨지는 과정에서 배토기(144)에 의해 못자리의 도랑이 자동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못자리(108)를 만드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중량체의 모판(102)을 일일이 들고 다니면서 날라야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못자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모판(102)을 자동으로 네트(103)의 상면에 얹어 못자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회수봉(142)에 감겨진 네트(103)가 일정 길이(약 10m 내외) 풀리고 나면 네트(103)를 도 19와 같이 일정 폭으로 접어 중첩부(175)를 형성한 다음 상, 하면에 지지대(176)를 댄 후 보울트(177) 및 너트(178)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네트(103)에 중첩부(175)를 형성한 다음 지지대(176) 및 보울트(177) 그리고 너트(178)로 체결하는 이유는 모판을 자동으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모판 자동 분리기를 응용하여 못자리(108)를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후에는 모가 자란 모판(102)을 못자리에서 자동으로 분리하여 이앙기(도시는 생략함) 측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판(102)을 못자리(108)에서 자동으로 분리하기 전에 못자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미 여유 분의 네트(103)를 반대편에 위치된 논두렁까지 이송시킨 상태이므로 네트(103)의 삽입부(103a)에 지지구(109)를 끼운 다음 이를 아이들 로울러(130)의 상부를 통과시킨 후 뿌리제거수단(122)의 하부를 거쳐 권취봉(104)의 양단에 위치된 걸이구(110)에 지지구(109)를 끼운다.
이는, 모판(102)의 자동 분리를 위해 못자리(108)를 만드는 과정에서 네트(103)에 형성된 삽입부(103a)를 논두렁 상에 위치되도록 충분히 잡아 당겨 놓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못자리(108)를 만드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물질 제거판(164) 및 모판진입판(163)을 펼친 다음 핸들(170)을 이용하여 스크류(169)를 회전시켜 안착판(168)이 지면에 닿도록 설치하는데, 못자리(108)를 만드는 과정과 다른 점은 모판유도판(123)이 도 5와 같이 하강하여 저면이 조절나사(155)에 접속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후, 네트(103)의 중간에 형성된 중첩부(175)를 고정시키고 있던 보울트(177) 및 너트(178)를 푼 다음 지지대(176)를 분리한 다음 못자리(108)를 만들 때와 마찬가지로 클러칭수단(118)을 이용하여 동력발생수단(106)의 동력이 권취봉(104)으로 전달되도록 하면 권취봉이 서서히 회전하게 되므로 네트(103)가 권취봉 (104)에 점진적으로 감기게 되고, 이에 따라 네트(103)에 얹혀져 있던 모판(102)이 네트(103)와 함께 당겨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106)의 동력으로 권취봉(104)이 회전하여 네트(103)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네트(103)의 중간부위에 중첩부(175)가 형성되어 있어 동력발생수단(106) 및 네트(103)에 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네트(103)의 길이가 20m라고 가정하고 중간부위에 5m 간격으로 중첩부(175)가 형성되어 있다면 동력발생수단(106)의 구동으로 권취봉(104)이 회전하여 네트(103)를 잡아당길 때 중첩부(175)에 의해 20m를 잡아당기는 부하가 걸리지 않고 5m만 잡아당기는 부하가 걸리기 때문이다.
근래에 사용되는 모판(102)은 바닥면에 물이 통과되도록 최소한의 구멍만이 형성되어 있어 네트(103)의 저면으로 뻗어나는 뿌리의 양이 최소화되므로 네트(103)가 권취봉(104)에 감겨짐에 따라 손쉽게 당겨지게 된다.
한편, 바닥면에 무수한 구멍이 형성된 종래의 모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토를 담기 전에 바닥면에 신문지 등을 깔아 물기는 통과되도록 하고, 뿌리는 통과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네트(103)의 당김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네트(103)가 당겨지게 되면 아이들 로울러(130)가 권취봉(104)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어 도 5와 같이 네트(103)가 모판유도판(123) 및 이물질제거판(164)을 따라 상향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네트(103)의 저면에 묻어 있던 흙이 이물질제거판(164)에 형성된 장공(164a)에 근접되게 설치된 스크레퍼(166)에 의해 제거된 다음 아이들 로울러(1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네트(103)가 경사진 상태로 아이들 로울러(130)를 통과하면 네트(103)가 감기는 권취봉(104)은 아이들 로울러(1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아이들 로울러(130)와 근접된 지점에는 모판유도판(123)이 위치되어 있어 모판(102)이 네트(103)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어 모판유도판(123)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모판유도판(123)에 형성된 통공(123a)의 상부에 위치되게 모판누름수단(156)이 구비되어 있으면, 도 9의 화살표방향으로 모판(102)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뿌리제거수단(122)의 뿌리절단부재(125)가 회전하면서 모판(102)의 저면으로 노출된 뿌리를 절단할 때 스프링(159)으로 탄력 설치된 누름판(161)이 모판(102)의 양측 상면을 눌러주게 되므로 뿌리의 절단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103)의 계속되는 이송으로 모판(102)이 모판유도판(123)의 통공(123a)을 통과하면서 뿌리절단부재(125)에 의해 저면으로 노출된 뿌리가 절단된 상태로 이송되면 모판(102)은 모판유도판(123)의 끝단에 위치된 스토퍼수단(129)인 지지프레임(152)에 닿아 이송이 중단되므로 작업자가 일정한 장소(스토퍼수단에 의해 모판의 이송이 제어된 지점)에서 모판(102)을 이앙기(도시는 생략함)에 편리하게 로딩(loading)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권취봉(104)의 회전은 네트(103)를 이송시켜 네트로부터 모판(102)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모판의 저면으로 빠져 나온 뿌리를 절단하여 스토퍼수단(129)에 의해 모판(102)의 이송이 중단될 때까지이고, 스토퍼수단(129)에 의해 모판(102)의 이송이 중단되고 나면 클러칭수단(118)을 절환하여 권취봉(104)의 회전을 일시 중 단시킨다.
그 후, 스토퍼수단(129)에 의해 이송이 중단되어 있던 모판(102)을 이앙기에 로딩하고 나면 권취봉(104)을 다시 회전시켜 네트(103)로부터 모판(102)을 분리시키는 동작을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실시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계속되는 동작으로 네트(103)에 얹혀져 있던 모판(102)의 분리작업을 완료하고 나면 권취봉(104)에 감겨진 네트(103)를 풀어야 되는데, 이 때에는 커플링(116a)(116b)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레버(132)를 젖혀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던 커플링(116a)(116b)을 상호 분리시키면 권취봉(104)의 공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권취봉(104)을 역 회전시켜 감겨져 있던 네트(103)의 일부를 푼 다음 끝단을 아이들 로울러(1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던 네트회수체(135)에 감은 다음 손잡이(136)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권취봉(104)에 감겨져 있던 네트(103)가 네트회수체(135)에 감겨지게 되므로 권취봉으로부터 네트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만약, 지지바(134)에 형성된 고리(137a)(137b)에 네트회수체(135)가 분리된 상태이면 네트회수체(135)의 일 측을 고리(137a)에 끼운 다음 다른 일 측에 위치된 고리(137b)를 젖혀 네트회수체(135)의 일단을 얹고 클램프(139)를 채우면 네트회수체(135)가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네트(103)를 권취봉(104)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추수철에 수확한 나락(127)을 네트(103)에 가지런히 펼쳐 태양 열 및 바람에 의해 자연 건조시킨 다음 수확하고자 할 경우에는 모판 자동 분리 시와 마찬가지로 네트(103)의 일단에 지지구(109)를 끼운 다음 이를 권취봉(104)에 형성된 걸이구(110)에 끼운 후, 동력발생수단(106)에 의해 권취봉(104)을 회전시켜 네트(103)를 권취봉(104)에 감아주는데, 네트(103)를 권취봉(104)에 감아주기 전에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판 진입판(163)의 양측에 접이식 가이드(171)를 펼친 다음 상기 접이식 가이드의 상면에 네트(103)가 얹혀지도록 하여야 된다.
이 때, 모판 자동 회수 시와 다른 점은 뿌리절단부재(125)를 갖는 회전체(126)의 일단에 공지의 이송기(17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권취봉(104)의 회전으로 나락(127)이 널려진 네트(103)가 당겨지면 네트(103)에 얹혀져 있던 나락이 접이식 가이드(171)에 의해 네트(103)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나락이 네트로부터 추락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받이판(172)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고, 이렇게 받이판(172)으로 떨어진 나락(127)은 회전체(126)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형상으로 이루어진 뿌리절단부재(125)를 따라 개구부 측으로 이송되어 이송기(173)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므로 이송기(173)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어 토출 측에 위치된 포대(도시는 생략함)에 자동으로 담겨지게 된다.
이 때, 받이판(172)의 선단에 유도판(174)을 장착하면 네트(103)의 이송으로 네트에 얹혀져 있던 나락(127)이 받이판(172) 측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네트(103)와 받이판(172)의 사이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작업(모판 설치, 모판 회수, 나락 회수 등)을 마치고 복귀 시에는 지 지바(134)로부터 네트회수체(135)를 분리함과 동시에 핸들(170)을 회전시켜 스크류(169)를 상승시킨 다음 이물질제거판(164)과 모판진입판(163)을 연결하고 있던 핀(165)을 제거하고 프레임(101)으로부터 이물질제거판(164) 및 모판진입판(163)을 도 15와 같이 접으면 전체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운반이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모판이 얹혀진 네트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못자리로부터 모판이 자동으로 분리되므로 작업자가 못자리로부터 모판을 일일이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서 모내기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모판의 이송간에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가 자동으로 절단되어 모판유도판에 모판이 정렬된 상태로 대기하게 되므로 못자리로부터 분리된 모판을 이앙기 측으로 신속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셋째, 권취봉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를 감아 못자리 건너편에 위치된 네트를 잡아당기면서 못자리에 모판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적은 인원으로 못자리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모판써레의 양단에 배토기 및 보조배토기를 설치하여 모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써레질을 실시함과 동시에 고랑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네트의 상면에서 자연 건조된 나락을 네트의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회수하여 포대에 담을 수 있게 되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가에서 나락을 자연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여섯째, 본 발명이 프레임, 모판진입판, 이물질제거판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상호 접혀지도록 되어 있어 이동간에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일곱째, 권취봉에 열쇠구멍형상의 걸이홈 및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권취봉으로부터 와이어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네트를 연속적으로 감을 수 있게 된다.
여덟째, 네트에 일정 간격으로 중첩부가 구비되어 있어 모판의 분리를 위해 네트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중첩부에 의해 동력발생수단 및 네트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게 된다.
아홉째, 모판 진입판의 양측에 접이식 가이드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건조된 나락을 회수하기 위해 네트를 당기는 과정에서 네트로부터 나락이 추락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25)

  1.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106)에 의해 회전하면서 복수 개의 모판(102)이 얹혀진 네트(103)를 잡아 당겨 감는 권취봉(104)과, 상기 권취봉의 일 측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네트의 감김으로 모판이 이송됨에 따라 모판의 저면으로 뻗어 나온 뿌리를 절단하는 뿌리제거수단(122)과, 상기 뿌리제거수단의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통공(123a)을 갖으며 권취봉 및 뿌리제거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판유도판(123)과, 상기 모판유도판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판의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수단(129)과, 상기 프레임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권취봉에 의해 당겨지는 네트(103)가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아이들 로울러(130)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권취봉(104)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네트(103)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모판진입판(163) 및 이물질제거판(16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1)의 일단에 지지프레임(152)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지지프레임에 모판유도판(123)을 지지하는 스토퍼(153)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모판유도판의 일단이 스토퍼에 얹혀지도록 경첩(154)에 의해 힌지 결합하고, 상기 모판유도판(123)의 중간부위가 위치하는 프레임(101)에는 모판유도판(123)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조절나사(15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뿌리제거수단(122)은 프레임(101)의 양측에 브라켓(146)을 지지대(124)에 의해 지지되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스크류 형상의 뿌리절단부재(125)를 갖는 회전체(126)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로울러(130)의 둘레면에 삼각형상의 돌기(130a)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104)의 양단에 네트(103)에 끼워진 지지구(109)를 지지하는 걸이구(110)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104)의 중간부위에 와이어(140)가 감기는 소경부(104a)를 형성하고 상기 소경부의 일 측에 위치하는 권취봉(104)에는 와이어(140)의 매듭(140a)을 거는 열쇠구멍형상의 걸이홈(1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141)이 형성된 권취봉(104)의 반대편에는 와이어(140)의 일단에 고정된 후크(143)가 수납되는 공간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104)으로 전달되는 동력발생수단(106)의 동력을 절환하도록 권취봉의 일단에 클러칭수단(11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104)을 동력발생수단(106)과 커플링(116a)(116b)으로 연결하되, 상기 커플링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이 프레임(101)에 설치된 레버(132)에 의해 단속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101)의 선단에는 네트회수체(135)를 지지바(134)에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네트회수체(135)의 일단에는 손잡이(136)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일 측의 지지바(134)에 네트회수체(135)의 일단이 끼워지는 고리(137a)를 형성하고 네트회수체(135)의 타단이 끼워지는 다른 고리(137b)의 일단은 핀 (13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고리(137b)의 타단은 클램프(139)로 클램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6)을 트랙터(111)로 하고 상기 트랙터와 프레임(101)의 사이에 2개의 턴 버클(119)을 설치하여 프레임(10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판진입판(163) 및 이물질제거판(164)을 분할 형성함과 함께 상기 이물질제거판(164)을 프레임(101)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모판진입판(163)과 이물질제거판(164)은 핀(165)으로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판(164)의 상면에 복수 개의 장공(164a)을 형성하고 상기 각 장공의 인접된 부위에는 네트(103)의 저면에 묻은 흙을 제거하는 스크레퍼(166)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판(164)의 양측에 지지바(167)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바에는 안착판(168)을 갖는 스크류(169)를 나사 결합함과 동시에 스크류(169)의 선단에는 핸들(170)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판유도판(123)에 형성된 통공(123a)의 상부에 모판누름수단(156)을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판누름수단(156)은 통공(123a)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대(157)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고정된 지지바(158)와, 상기 지지바에 스프링(159)으로 탄력 설치된 복수 개의 승강바(160)와, 상기 각 승강바의 하단에 설치되어 모판(102)을 뿌리제거수단(122) 측으로 눌러주는 누름판(16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판유도판(123)의 선단인 모판 진입 측에 네트(103)의 저면으로 노출된 뿌리를 절단하는 커터(162)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분리기.
  18.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106)에 의해 회전하면서 네트(103)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140)를 소경부(104a)에 감는 권취봉(104)과,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권취봉(104)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네트(103)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모판진입판(163) 및 이물질제거판(164)과, 다른 일 측에 위치된 회수봉(142)에 감겨져 와이어(140)가 당겨짐에 따라 차례로 풀리는 네트(103)와, 상기 네트의 일단에 재봉된 삽입부(103a)에 끼워져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구(1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40)의 일단을 모판써레(145)의 선단에 고정된 걸고리(145a)에 결합하고, 상기 모판써레에는 네트(103)의 일단에 끼워진 지지구(109)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모판써레(145)의 양단에 배토기(144)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 설치기.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네트(103)의 이송방향을 따라 네트(103)에 복수 개의 웨빙(10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네트(103) 상에 중첩부(175)를 형성하고 상기 중첩부의 상, 하부에 지지대(176)를 보울트(177) 및 너트(178)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 자동 설치기.
  23.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106)에 의해 회전하면서 네트(103)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140)를 소경부(104a)에 감는 권취봉(104)과, 권취봉(104)에 감기는 와이어(14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면에는 나락이 얹혀지는 네트(103)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권취봉(104)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네트(103)를 경사지게 안내하는 모판진입판(163) 및 이물질제거판(164)과, 상기 네트의 일단에 재봉된 삽입부(103a)에 끼워져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구(109)와, 상기 권취봉(104)의 선단에 설치되어 동력발생수단(106)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형상의 뿌리절단부재(122)와, 상기 뿌리절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나락이 회수되는 반달형상의 받이판(172)과,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받이판(172)을 따라 이송된 나락이 포대에 자동으로 담기도록 하는 공지의 이송기(1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자동 회수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받이판(172)의 선단에 유도판(174)을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자동 회수기.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모판 진입판(163)의 양측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식 가이드(17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락 자동 회수기.
KR1020070032669A 2006-10-18 2007-04-03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분리기 KR100831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1311 2006-10-18
KR1020060101311 2006-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428A KR20080035428A (ko) 2008-04-23
KR100831154B1 true KR100831154B1 (ko) 2008-05-20

Family

ID=3957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69A KR100831154B1 (ko) 2006-10-18 2007-04-03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691B1 (ko) * 2019-02-19 2020-10-08 이창석 건조곡물 수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657A (ja) * 1998-07-06 2000-01-21 Jisedai Digital Television Hoso System Kenkyusho:Kk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受信装置
JP2001108004A (ja) * 1999-10-12 2001-04-20 Fuji Seiki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2080143A (ja) * 2000-09-05 2002-03-19 Ricoh Co Ltd 転写位置への転写材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028811A (ja) * 2001-07-18 2003-01-29 Hitachi Ltd 欠陥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657A (ja) * 1998-07-06 2000-01-21 Jisedai Digital Television Hoso System Kenkyusho:Kk 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受信装置
JP2001108004A (ja) * 1999-10-12 2001-04-20 Fuji Seiki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02080143A (ja) * 2000-09-05 2002-03-19 Ricoh Co Ltd 転写位置への転写材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028811A (ja) * 2001-07-18 2003-01-29 Hitachi Ltd 欠陥検出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2000-22657호
공개특허공보 제2001-108004호
공개특허공보 제2002-80143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28811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428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239B1 (ko) 비닐 회수 및 구근작물 수확기
KR20200079615A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JP2009261348A (ja) 野菜収穫機
KR100831154B1 (ko) 모판 자동 설치 및 나락 자동 회수기능이 구비된 모판 자동분리기
WO2016043475A1 (ko) 개량된 씨앗필름 포설장치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JP5842412B2 (ja) 根菜類収穫機
JP5476698B2 (ja) 作物分離収穫機
JP5912587B2 (ja) 根菜類収穫機
KR20200024389A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JP2009171902A (ja) 作物分離収穫機
JP4866055B2 (ja) 収穫機
JP4805470B2 (ja) 播種装置
US2776633A (en) Plant setter
JP6260946B2 (ja) 農作業機
JP3868088B2 (ja) 農作物処理用移動機の茎葉部挟持搬送装置
KR102578125B1 (ko) 벨트형 농작물 수집기
KR100897576B1 (ko) 패각에서의 코팅사 탈리장치
JP3564729B2 (ja) 苗箱取上げ機
JPH11235106A (ja) 苗の移植機
JP3630637B2 (ja) 乗用型根菜類収穫機
CN111169671B (zh) 育苗袋装袋组合装置和装袋方法
JP3938816B2 (ja) 野菜移植機
KR102492355B1 (ko) 구형 농산물의 수집 선별 포장 시스템
JP5407481B2 (ja) 根菜類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