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791B1 - 회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791B1
KR100830791B1 KR1020027009301A KR20027009301A KR100830791B1 KR 100830791 B1 KR100830791 B1 KR 100830791B1 KR 1020027009301 A KR1020027009301 A KR 1020027009301A KR 20027009301 A KR20027009301 A KR 20027009301A KR 100830791 B1 KR100830791 B1 KR 10083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ousing
wheel
rotating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067A (ko
Inventor
오구로유지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55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624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9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56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4420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3157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43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mounted in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3Rotation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2륜차의 전륜 휠의 허브에 설치되고, 상기 2륜차의 차륜의 회전수를 속도계 등의 지시계기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렴한 자기반응소자를 회전검출부로 이용한 경우라도, 내진동성능이 우수한 회전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하우징(1)은 차축(13)이 삽입통과되는 통형상의 삽입통과부(1a)를 구비하고, 회전체(5)는 삽입통과부(1a)가 삽입통과되고, 복수의 자극을 갖는 원통부(5a)를 구비하고, 차축(13)에 장착되는 전륜 휠(차륜)(11)에 동기하여 회전하며, 회전검출부(3)는 원통부(5a)의 회전에 따른 자극의 변화를 검출하며, 자성부재(4)는 하우징(1)의 바닥부(1g)의 삽입통과부(1a) 주변에 설치되어 원통부(5a)를 삽입통과부(1a)에 장착하였을 때에 회전체(5)를 바닥부(1g)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검출장치{ROTATION DETECTOR}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2륜차의 전륜 휠의 허브(hub)에 설치되고, 상기 2륜차의 차륜의 회전수를 속도계 등의 지시계기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식 회전검출장치는 일본 특개평 2-264817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회전검출장치는 2륜차(예를 들면 오토바이)용의 회전검출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면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수지 케이스에 회로기판에 실장한 자기검출소자(홀IC)와 마그넷이 상기 검출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 상기 자기변환소자 및 상기 마그넷을 에폭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회전검출장치를 미션케이스나 스프로켓커버에 설치하고, 피검출체로서 그 내부에서 회전하는 미션기어나 스프로켓의 이끝(addendum) 등을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회전검출장치를 이용하여 미션기어나 스프로켓의 이끝 등을 피검출체로서 검출하는 경우, 상기 피검출체에는 다소의 클리어런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2륜차)의 바디 강성이나 배기량 등으로부터 상기 피검출체에 진동이 생기고, 상기 피검출체와 상기 회전검출장치와의 검출위치 갭이 변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검출장치에 자기의 변화가 생겨 검출노이즈가 되고, 이 회전검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에 따라서 예를 들면 스피드표시하는 지시계기의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일본 특개평 9-229714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2륜차의 전륜의 허브에 장착하는 전기식 회전검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회전검출장치는 수지제 하우징에 2륜차의 차축(전륜 차축)이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통과부에 상기 차축에 장착되는 차륜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회전체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홀IC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검출부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며, 상기 피검출체의 진동에 의한 검출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정확한 회전검출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2륜차에 적용되는 회전검출장치의 원가의 저감이 요구되는 최근에서는 회전검출부를 홀IC 등의 자기검출소자로부터 리드스위치 등의 저렴한 자기반응소자로 변경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상기 자기반응소자를 이용한 자기검출수단은 그 특성 및 구조 상에서 홀IC 등을 이용한 회전검출부에 비해 내진동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저렴한 자기반응소자를 회전검출부에 이용한 경우라도 내진동성능이 우수한 회전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축이 삽입통과되는 통형상의 삽입통과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됨과 동시에 복수의 자극을 갖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축에 장착되는 차륜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원통부의 회전에 따른 자극의 변화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의 상기 삽입통과부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부를 상기 삽입통과부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회전체를 상기 바닥부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자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부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평판부재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자성부재를 삽입통과부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일단이 휠의 허브에 배치되는 베어링의 이너 휠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을 관통하는 차축이 삽입통과되는 통형상의 삽입통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되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휠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기 원통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전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상기 베어링에서의 이너 휠과의 대향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휠에 접촉 가능한 볼록형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볼록형상부는 상기 이너 휠과의 대향 개소에서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되는 구멍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일단이 휠의 허브에 배치되는 베어링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을 관통하는 차축이 삽입통과되는 통형상의 삽입통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되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허브에 설치되는 회전부가부에 접촉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상기 원통부에 전달하는 회전전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 및 상기 회전전달부의 상기 회전부가부와의 접촉 부분에 설치되어 양쪽 부재 사이의 접촉면적을 작게 유지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접촉부는 회전부가부의 평탄면과 접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이다.
또, 상기 접촉부는 회전부가부에 설치한 돌출부와 접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및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의 회전체와 허브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있어서, 회전검출장치(A)는 하우징(1), 회로기판(2), 회전검출부(3), 자성부재(4), 회전체(5), 시일부재(6) 및 배선코드(7)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나일론 등의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1)의 대략 중앙에는 후술하는 차축이 삽입통과되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삽입통과부(1a)가 인서트 성형되고, 이 삽입통과부(1a)의 바깥쪽에는 후술하는 회전체(5)를 삽입통과부(1a)의 외부둘레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배치하기 위한 수납공간(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공간(1b)에서의 삽입통과부(1a)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회전체(5)가 배치되는 개소의 둘레가장자리에는 회전체(5)를 둘러싸는 벽부(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벽부(1c)와 삽입통과부(1a)에 끼워넣어지는 회전체(5)와의 사이에 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윤활제(8)가 도포된다. 또, 벽부(1c)의 소정 개소에는 회전체(5)의 원통부에 근접하는 회전검출면(1d)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에는 후술하는 회로기판(2) 및 회전검출부인 회전검출부(3)를 수납하고, 회로기판(2)을 안내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안내홈을 갖는 수납부(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1e)의 상기 안내홈에 따라 회로기판(2)을 수납하여 회전검출부(3)가 회전검출면(1d)에 대향 배치된다. 또, 하우징(1)의 개방단부(도 2 중 하우징(1)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시일부재(6)를 압입(壓入) 유지하기 위한 재치부(1f)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2)은 종이페놀이나 유리에폭시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선패턴의 소정 개소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랜드부와 회전검출부(3) 및 배선코드(7)가 땜납에 의해 전기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2)은 회전검출부(3)가 하우징(1)에 형성되는 회전검출면(1d)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수납부(1e)에 설치된 후, 수납부(1e)내에 에폭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9)를 충전하여 수납부(1e) 내에서 고정 배치된다.
회전검출부(3)는 자극의 변화를 검출하는 리드스위치 등의 자기반응소자로 이루어진다.
자성부재(4)는 하우징(1)의 삽입통과부(1a)가 삽입통과되는 구멍부(4a)를 갖고, SK, SUM 및 SS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이다. 자성부재(4)는 고리형상의 판형상 부재이고,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인서트 성형되어, 바닥부(1g)에 있어서 삽입통과부(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회전체(5)는 하우징(1)의 삽입통과부(1a)에 끼워넣어져 삽입통과부(1a)의 외부둘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원통부(5a)와, 후술하는 전륜 휠의 허브의 회전부가부인 걸어맞춤부에 합치하여 상기 전륜 휠의 회전을 원통부(5a)에 전달하는 회전전달부(5b)가 구비되고, 이 원통부(5a) 및 회전전달부(5b)는 이방성재료나 등방성재료의 플라스틱 마그넷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5)에서의 원통부(5a)에는 예를 들면 4극착자(800~600gauss)가 실시되고, 원통부(5a)의 회전에 따른 자극의 변화를 회전검출부(3)에 의해 검출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 회전체(5)는 하우징(1)의 삽입통과부(1a)에 원통부(5a)를 집어넣은 때에 회전전달부(5b)의 배치 위치가 삽입통과부(1a)의 단부로부터 미소 거리(L)를 확보한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1) 내에 배치된다.
시일부재(6)는 니트릴이나 실리콘계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박형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시일부재(6)는 단면형상이 대략 V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홈부(6a)가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6a)로부터 바깥쪽의 두께부분에는 단면형상이 대략 L자형상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지부재(6b)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시일부재(6)는 외부직경이 하우징(1)의 재치부(1f)에서의 둘레벽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약간 대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의 재치부(1f)에 압입됨으로써 유지된다.
배선코드(7)는 회전검출부(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회로기판(2)을 통하여 외부에 전달하는 것이며, 배선코드(7)의 말단에는 다른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7a)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각 부에 의해 회전검출장치(A)가 구성된다. 다음에 도 4를 더하여 회전검출장치(A)의 2륜차로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나 있지 않은 부호 개소에 대해서는 도 1에서 도 3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있어서 "10"은 오토바이 등의 전륜 휠(차륜)(11)의 허브, "10a"은 회전체(5)의 회전전달부(5b)에 전륜 휠(11)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부가부인 걸어맞춤부, "12"는 허브(10)에 설치되는 오목부(10b)에 압입 배치됨과 동시에 이너 휠(12a)과 아우터 휠(12b)을 구비하고, 아우터 휠(12b)이 이너 휠(12a)에 대하여 볼(12c)을 통하여 회전하는 베어링이다. 상기 각 부의 구성에 의해 전륜 휠(11)은 베어링(12)의 이너 휠(12a)에 의해 차축(13)에 설치됨과 동시에 아우터 휠(12b)에 의해 차축(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성의 전륜 휠(11)에 설치되는 회전검출장치(A)는 차축(13)을 하우징(1)의 삽입통과부(1a)에 삽입통과시킴과 동시에 회전체(5)에 설치되는 회전전달부(5b)를 허브(10)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0a)에 걸어맞추고, 하우징(1)의 삽입통과부(1a)를 베어링(12)의 이너 휠(12a)에 접촉하도록 하여 허브(10)에 집어넣음으로써 프론트 포크(14)와 전륜 휠(11)과의 사이에 장착되고, 전륜 휠(11)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체(5)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검출장치(A)는 자성부재인 자성부재(4)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배치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며, 회전체(5)의 착자(着磁)가 실시된 원통부(5a)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4)의 존재에 의해 바닥부(1g)에 밀착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검출부(3)는 특히 차량이 정지상태인 때에 배기량이나 아이들링상태의 엔진 등의 외부요인 등으로부터 받는 진동이 회전체(5)에 전달(회전전달부(5b)를 통하여 전달)한 경우라도 회전체(5)는 자성부재(4)에 밀착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회전체(5)의 진동이 억제되게 되고, 자기검출에서의 오검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밀착상태로 유지되는 회전체(5)는 회전전달부(5b)가 허브(1)에 배치되는 베어링(12)의 아우터 휠(12b)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베어링(12)의 이너 휠(12a)과 아우터 휠(12b)로 회전체(5)에 전달되는 진동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회전검출부(5)에 의한 오검출을 방지하는 데에 중요한 것이 된다.
즉, 베어링(12)의 아우터 휠(12b)은 전륜 휠(11)에 장착되는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형태를 갖는 것으로 차축(13)에 삽입통과부(1a)를 통하여 설치되는 회전검출장치(A)의 진동형태와는 다른 것으로서 2종류의 다른 진동형태를 회전체(5)에 전달시키지 않은 것에서도 자기검출에서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자기검출에서의 오검출은 회전검출부(3)를 리드스위치로 구성하고, 또한 원통부(5a)에 실시된 착자영역이 하우징(1)의 회전검출면(1d)에 있어서 전환 포인트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현저하에 나타나는 것이지만,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4)를 개재시킴으로써 회전체(5)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저렴한 회전검출부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회전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검출장치(A)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회전검출장치(A)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4)를 배치하는 일 없이 회전체(5)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밀착상태로 유지하는 점에 있다.
즉, 회전검출장치(A)는 하우징(1)에 설치되는 삽입통과부(1a)를 예를 들면 자성부재(4)와 동일 재료(SK, SUM 및 SS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삽입통과부(1a)에, 하우징(1)의 바닥부(1g)부분에 있어서 회전체(5)의 원통부(5a)와 접촉하는 접촉부(자성부재)(1h)를 설치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회전체(5)의 원통부(5a)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측에 밀착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검출장치(A)는 삽입통과부(1a)와 일체로 설치되고, 하우징(1)의 바닥부(1g)로부터 노출되는 접촉부(1h)에 의해 상술한 자성부재(4)를 배치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된다. 또, 삽입통과부(1a)와 일체로 자성체인 접촉부(1h)를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가 삭감되고, 회전검출장치(A)의 제조 원가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자성부재(4)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배치하는 것이지만,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자성부재(4)를 접착제 등에 의해 배치 고정하는 것으로서 좋다.
다음에 도 6, 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회전체(5)는 베어링(12)에서의 이너 휠(12a)과의 대향 개소에 이너 휠(12a)에 접촉 가능한 볼록형상부(5d)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볼록형상부(5d)는 이너 휠(12a)과의 대향 개소에서 삽입통과부(1a)가 삽입통과되는 구멍부(5c)의 둘레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4개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체(5)는 하우징(1)의 삽입통과부(1a)에 원통부(5a)를 집어넣었을 때에 볼록형상부(5d)의 배치위치가 삽입통과부(1a)의 단부로부터 미소 거리(L)를 확보한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1) 내에 배치된다.
도 7에 있어서 베어링(12)의 이너 휠(12a)은 차축(13)을 통하여 도면 중 우측에서 하우징(1)(삽입통과부(1a)), 이너 휠(12a), 전륜 휠(11)의 허브(10) 내의 통체(11a), 중간 통체(15)를 프론트포크(14)로 끼운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고, 회전검출부(3)를 구비한 하우징(1)과 이너 휠(12a)은 진동한 경우라도 동일 진동이 된다. 이에 대하여, 베어링(12)의 아우터 휠(12b)은 전륜 휠(11)의 허브(10)에 고정되어 있고, 전륜 휠(11)과 아우터 휠(12b)은 진동한 경우라도 동일 진동이 된다. 이 이너 휠(12a)과 아우터 휠(12b)은 볼(12c)을 사이에 두고 있기 때문에 진동이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축(13)에 삽입통과부(1a)를 통하여 설치되는 회전검출장치(A)의 진동형태와, 베어링(12)의 아우터 휠(12b)은 전륜 휠(11)에 장착되는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형태와는 다른 것으로서, 회전검출부인 회전검출부(3)와 다른 진동형태인 아우터 휠(12b)에 회전체(5)를 접촉시키면, 진동형태가 다르고 오검출을 일으키게 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회전검출부(3)와 동일한 진동형태인 이너 휠(12a)에 회전체(5)를 접촉시키면, 진동형태가 동일하게 되어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가령 과도한 진동에 의해 회전체(5)의 하우징(1)의 바닥부(1g)으로의 밀착상태가 없어지고, 회전체(5)가 베어링(1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회전체(5)에 형성한 볼록형상부(5d)에 의해 회전체(5)는 베어링(12)의 이너 휠(12a)에 접촉하고, 아우터 휠(12b)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베어링(12)의 이너 휠(12a)과 아우터 휠(12b)에서 회전체(5)에 전달되는 진동형태가 다른 것으로부터의 회전검출부(5)에 의한 오검출을 방지하는 데에 중요한 것이 된다.
자기검출에서의 오검출은 회전검출부(3)를 리드스위치로 구성하고, 또한 원통부(5a)에 실시된 착자영역이 하우징(1)의 회전검출면(1d)에 있어서 전환 포인트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4)를 개재시킴으로써 회전체(5)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회전전달부(5b)에 볼록형상부(5d)를 설치함으로써 과도한 진동에 의해 회전체(5)가 바닥부(1g)로부터 이간한 경우라도 회전체(5)(회전전달부(5b))가 아우터 휠(12b)에 접촉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저렴한 회전검출부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회전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검출장치(A)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체(5)는 하우징(1)의 바닥부(1g)측으로 끌어당겨지는 형태가 되고, 이너 휠(12a)에 접촉하는 것은 드물지만, 제 2 실시형태의 자성부재(4)를 파형 좌금으로 하고, 회전체(5)를 베어링(12)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한 것으로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회전체(5)는 볼록형상부(5d)에 의해 이너 휠(12a)에 접속하고, 회전체(5)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저렴한 회전검출부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회전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검출장치(A)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변형형태가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다른 점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와 동일하게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4)를 배치하는 일 없이, 회전체(5)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밀착상태로 유지하는 점에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9, 도 10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회전체(5)는 회전전달부(5b)의 허브(10)의 회전부가부인 걸어맞춤부(10a)(회전전달부(5b)에 접촉하여 전륜 휠(11)의 회전을 회전전달부(5b)로 전달하는 것)와의 대향 개소인 측면(10c)에 접촉하는 돌출부(5e)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5e)는 걸어맞춤부(10a)와 점접촉하는 반구형상이다.
이렇게 회전체(5)의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 부분에 돌출부(5e)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차량이 정지상태인 때에 아이들링상태의 엔진이나 외부요인 등으로부터 받는 진동이 회전체(5)에 전달(회전전달부(5b)를 통하여 전달)한 경우라도 회전체(5)는 자성부재(4)에 밀착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회전체(5)에서의 회전전달부(5b)가 걸어맞춤부(10a)에 접촉하는 경우라도 돌출부(5e)의 존재에 따라 양부재 사이의 접촉면적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의 전달이 억제되게 되기 때문에 자기검출에서의 오검출을 방지하는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하우징(1) 내에 설치한 윤활제(8)는 회전체(5)가 회전하여 하우징(1)과 시일부재(6)로 밀폐된 공간 내로 비산하고,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 부분에도 윤활제(8)가 들어간다. 이 경우에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 부분이 면접촉하고 있는 경우, 윤활제(8)가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를 붙인 상태가 되고, 진동 등에 의해 걸어맞춤부(10a)가 회전전달부(5b)로부터 떨어지려 하여도 용이하게 떨어질 수 없는 상태가 되며, 더 나아가서는 회전체(5)를 움직이게 하여 회전검출장치(A)의 검출 노이즈로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이 제 3 실시형태를 채용함으로써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 부분에도 윤활제(8)가 들어간다고 해도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 부분이 점접촉하기 때문에 윤활제(8)가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붙은 상태는 되지 않아 진동 등에 의해 걸어맞춤부(10a)가 회전전달부(5b)로부터 떨어질 때 용이하게 떨어지고, 회전체(5)를 움직이는 일 없이, 회전검출장치(A)의 검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e)의 형상은 반구형상이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전달부(5b)와 걸어맞춤부(10a)와의 접촉 부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선접촉하도록 벽과 같은 형상이라도 좋다. 또, 그 단면이 구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이 2직선이 교차한 각도를 구비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 허브(10)의 걸어맞춤부(10a)에 돌출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회전전달부(5b)의 접촉 개소는 평탄면이라도 좋다.
또, 돌출부(5e)를 플라스틱 마그넷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5)에 설치함으로서 돌출부(5e)를 저렴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원가를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걸어맞춤부(10a)의 형상도 이 제 3 실시형태의 걸어맞춤부(10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전달부(5b)를 위치시키도록 한 것으로 좋다.
자기검출에서의 오검출은 회전검출부(3)를 리드스위치로 구성하고, 또한 원통부(5a)에 실시된 착자영역이 하우징(1)의 회전검출면(1d)에 있어서 전환 포인트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허브(10)에 의한 회전체(5)의 끌려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저렴한 회전검출부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회전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검출장치(A)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자성부재(4)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배치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자성부재(4)를 접착제 등에 의해 배치 설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체(5)는 하우징(1)의 바닥부(1)측으로 끌어당기는 형태가 되고, 이너 휠(12a)에 접촉하는 것은 드물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자성부재(4)를 파형 좌금으로 하여, 회전체(5)를 베어링(12)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회전체(5)는 볼록형상부(5d)에 의해 이너 휠(12a)에 접촉하고, 회전체(5)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저렴한 회전검출부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회전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검출장치(A)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변형형태와 동일하게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성부재(4)를 배치하지 않고, 회전체(5)를 하우징(1)의 바닥부(1g)에 밀착상태로 유지하여도 좋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 및 상기 각 변형형태에서는 원통부(5a)와 회전전달부(5b)를 플라스틱 마그넷을 이용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회전체(5)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회전체는 복수의 자극을 갖는 원통부(5a)와, 이 원통부(5a)에 차륜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전달부(5b)를 별체로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 및 상기 각 변형형태에서는 회전체(5)로서 복수의 자극을 갖는 원통부(5a)와 전륜 휠(10)의 회전을 원통부(5a)에 전달하는 회전전달부(5b)를 플라스틱 마그넷에 의해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의 것이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삽입통과부에 장착되는 회전체의 원통부의 외부둘레(외면)에 요철부를 구비하고(기어구조), 이 요철부에 회전전달부를 통하여 전륜 휠의 회전을 전달하고, 회전하는 상기 요철부를 자석과 홀IC로 주로 구성되는 회전검출부에 의해 검출하는 본원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원평 11-54850호에 기초한 회전검출장치의 구조에 있어서도 유효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2륜차의 차륜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검출장치에 적합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단이 휠의 허브에 배치되는 베어링의 이너 휠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을 관통하는 차축이 삽입통과되는 통형상의 삽입통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되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휠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기 원통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전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상기 베어링에서의 이너 휠과의 대향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휠에 접촉 가능한 볼록형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상부는 상기 이너 휠과의 대향 개소에서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되는 구멍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검출장치.
  6. 일단이 휠의 허브에 배치되는 베어링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을 관통하는 차축이 삽입통과되는 통형상의 삽입통과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통과부가 삽입통과되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허브에 설치되는 회전부가부에 접촉하여 상기 휠의 회전을 상기 원통부에 전달하는 회전전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 및
    상기 회전전달부의 상기 회전부가부와의 접촉 부분에 설치되어 양쪽 부재 사이의 접촉면적을 작게 유지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검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회전부가부의 평탄면과 접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검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회전부가부에 설치된 돌출부와 접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검출장치.
KR1020027009301A 2000-11-22 2001-11-19 회전검출장치 KR100830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5245A JP2002162406A (ja) 2000-11-22 2000-11-22 回転検出装置
JPJP-P-2000-00355245 2000-11-22
JP2000369596A JP3365627B2 (ja) 2000-11-30 2000-11-30 回転検出装置
JP2000364420A JP3693157B2 (ja) 2000-11-30 2000-11-30 回転検出装置
JPJP-P-2000-00369596 2000-11-30
JPJP-P-2000-00364420 200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067A KR20020088067A (ko) 2002-11-25
KR100830791B1 true KR100830791B1 (ko) 2008-05-20

Family

ID=2734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01A KR100830791B1 (ko) 2000-11-22 2001-11-19 회전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3826B2 (ko)
EP (2) EP1353184B1 (ko)
KR (1) KR100830791B1 (ko)
CN (1) CN1242271C (ko)
DE (2) DE60137457D1 (ko)
WO (1) WO2002042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9312A1 (en) * 2003-05-27 2004-12-02 Kuo-Hsin Su Front wheel-induced motorcycle mileage counter inductor
JP4435585B2 (ja) * 2004-01-23 2010-03-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
FR2879748A1 (fr) * 2004-12-17 2006-06-23 Peugeot Motocycles Sa Capteur de vitesse, notamment pour vehicule a deux roues de type scooter
KR100624331B1 (ko) * 2005-03-11 2006-09-19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회전속도 센서
EP1950570B1 (en) * 2005-09-30 2017-06-14 Nippon Seiki Co., Ltd. Rotation detector
KR100681694B1 (ko) * 2006-02-08 2007-02-09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센서
US20080084202A1 (en) * 2006-10-06 2008-04-10 Acewell International Co., Ltd. Vehicular rotation speed sensing apparatus
JP2015199477A (ja) * 2014-04-10 2015-11-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FR3047801B1 (fr) * 2016-02-12 2018-02-16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formation d'une entretoise imperdable logee dans une embase de capteur accelerometre et capteur muni d'une telle embase
CN107165928B (zh) * 2017-07-24 2023-08-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转轴结构
KR101963376B1 (ko) * 2017-11-23 2019-07-31 에스앤씨 주식회사 속도 센서 및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4817A (ja) * 1989-04-05 1990-10-29 Tdk Corp 移動物体検出装置
JPH09229714A (ja) * 1996-02-28 1997-09-05 Nippon Seiki Co Ltd 回転検出器
JPH1154850A (ja) 1997-07-31 1999-02-26 Shimadzu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266A (en) * 1975-01-27 1975-10-28 Goodrich Co B F In axle wheel speed sensor for anti-skid brake control
JPS6084386A (ja) 1983-10-14 1985-05-13 Teikoku Chem Ind Corp Ltd 液晶化学物質
JPS6084386U (ja) * 1983-11-02 1985-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補機駆動装置
GB8515017D0 (en) * 1985-06-13 1985-07-17 Lucas Elect Electron Syst Road speed sensor
JPS6237772A (ja) 1985-08-13 1987-02-18 Sanei Kogyo Kk サ−ビス分野における精算システム
JPS6237772U (ko) * 1985-08-26 1987-03-06
US5127747A (en) * 1989-10-16 1992-07-07 The Torrington Company Bearing assembly speed sensor
US5543672A (en) * 1989-10-18 1996-08-06 Yazaki Corporation Rotation detecting device with magnet brake
US5157329A (en) * 1990-10-31 1992-10-20 The Torrington Company Apparatus for sensing rotation having an encoder biased towards a stationary sensor and a member transmitting rotation to the encoder
FR2759777B1 (fr) * 1997-02-14 1999-03-19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pour mesurer la rotation d'un element rotatif
JP2000241195A (ja) * 1999-02-23 2000-09-08 Nippon Seiki Co Ltd 回転検出装置
JP3026265B1 (ja) 1999-03-03 2000-03-27 日本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4817A (ja) * 1989-04-05 1990-10-29 Tdk Corp 移動物体検出装置
JPH09229714A (ja) * 1996-02-28 1997-09-05 Nippon Seiki Co Ltd 回転検出器
KR100227232B1 (ko) * 1996-02-28 1999-11-01 나가이 아츠오 회전검출기
JPH1154850A (ja) 1997-07-31 1999-02-26 Shimadzu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7457D1 (de) 2009-03-05
EP1353184A4 (en) 2005-03-30
US20020190711A1 (en) 2002-12-19
EP1353184A1 (en) 2003-10-15
WO2002042781A1 (fr) 2002-05-30
EP1980859A2 (en) 2008-10-15
EP1980859A3 (en) 2009-01-14
DE60142417D1 (de) 2010-07-29
US6703826B2 (en) 2004-03-09
EP1980859B1 (en) 2010-06-16
KR20020088067A (ko) 2002-11-25
CN1242271C (zh) 2006-02-15
EP1353184B1 (en) 2009-01-14
CN1395686A (zh)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0160B2 (en) Rotation sensor
EP0793101B1 (en) Rotation detector
KR100830791B1 (ko) 회전검출장치
US20060016274A1 (en) Rotation sensor
EP1950570B1 (en) Rotation detector
CN113276943A (zh) 扭矩指数传感器和包括该扭矩指数传感器的转向装置
JP2000074611A (ja) 回転型センサ
EP1333290B1 (en) Rotation detector
JP3693157B2 (ja) 回転検出装置
JP3365627B2 (ja) 回転検出装置
CN100371715C (zh) 旋转检测装置
JP3906834B2 (ja) 回転検出装置
JP2002139507A (ja) 回転検出装置
JP5057155B2 (ja) 回転検出装置
JP4151076B2 (ja) 回転伝達装置
KR20160043228A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JPS606758Y2 (ja) 速度検出装置
JP2007155439A (ja) 回転検出装置
KR20140130296A (ko) 비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
JPH09145733A (ja) 回転速度検出装置
JP2527079Y2 (ja) 回転検出装置
JP2000356645A (ja) 回転検出装置
JP2003227842A (ja) 回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