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055B1 - 자동 이륜차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055B1
KR100828055B1 KR1020060083547A KR20060083547A KR100828055B1 KR 100828055 B1 KR100828055 B1 KR 100828055B1 KR 1020060083547 A KR1020060083547 A KR 1020060083547A KR 20060083547 A KR20060083547 A KR 20060083547A KR 100828055 B1 KR100828055 B1 KR 10082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wing arm
body frame
engine
rear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659A (ko
Inventor
신지 다카야나기
오사무 스즈키
유키노리 구라카와
후토시 미야카와
나오키 이노우에
유키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7/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rotary shaft,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스윙 아암의 부피가 크지 않아서, 차량의 폭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력 전달 기구(42)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후단부에 설치하는 동시에 리어 스윙 아암(31)의 외측에 배치하고, 엔진(14)의 출력축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41)를 연장하며, 이 드라이브 샤프트(41)의 동력을 후륜(39)에 전달하는 것으로, 후륜(39)의 차축(39J) 둘레에 드라이브 샤프트(41)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후륜(39)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를 내장하는 구동 케이스(170)를 구비한다. 동력 전달 기구(42)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샤프트(41)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 또한 피봇축(28)의 아래쪽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AUTOMATIC TWO-WHEELED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의 좌측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 이륜차 11: 차체 프레임
12: 차량 14: 엔진
25: 스텝 플로어 27: 언더 커버
28: 피봇축 31: 리어 스윙 아암
39: 후륜 41: 드라이브 샤프트
42: 동력 전달 기구 65: 다리 통과 공간
82: 유니버셜 커플링 154: 전달 장치
162: 댐퍼 장치 166: 댐퍼 부재
170: 구동 케이스 180: 커버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이다.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79982호 공보(도 3)
특허 문헌 1의 도 3에서, 동력 전달 기구는 파워 유닛(21)의 후측부에 베벨 출력축(106)을 설치하고, 이 베벨 출력축(106)에 유니버셜 조인트(117)를 통해 드라이브 샤프트(118)를 접속하며, 이 드라이브 샤프트(118)의 후단부에 발진 클러치(120)를 접속하고, 이 발진 클러치(120)의 후단부에 베벨 기구(119)를 접속하며, 이 베벨 기구(119)를 후륜(18)에 접속하여 파워 유닛(21)의 구동력을 후륜(18)에 전달한다.
스윙 전동 유닛(19)은 드라이브 샤프트(118)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내장하고, 리어 스윙 아암과 동력 전달 기구의 케이스를 겸하는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2)의 후측부에 피봇축(17)을 통해 부착된다.
스윙 전동 유닛(19)의 내측에 드라이브 샤프트(118)를 통과시키는 경우, 스윙 전동 유닛(19)과 피봇축(17) 사이에 보강 리브를 설치하거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 등에 의해 리어 스윙 아암으로서의 소정의 강성을 확보한다. 이 때문에, 스윙 전동 유닛(19)은 부피가 큰 것으로 되기 쉽다.
스윙 전동 유닛(19)의 부피가 크면 차량의 폭을 억제하는 것이 제한된다.
스윙 전동 유닛(19)(이하, 리어 스윙 아암이라고 함)의 부피가 크지 않아서, 차량의 폭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리어 스윙 아암의 부피가 크지 않아서, 차량의 폭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드라이브 샤프트는 리어 스윙 아암의 아래쪽 및 피봇축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 으로부터 후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차체 프레임의 외측을 통과하고, 리어 스윙 아암은 차체 프레임의 내측에 부착되며, 드라이브 샤프트는 측면에서 봤을 때 피봇축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리어 스윙 아암이 위로 볼록한 만곡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는, 엔진이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 다리를 뻗는 다리 통과 공간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 및 댐퍼 장치를 통해 후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리어 스윙 아암의 후단부에 드라이브 샤프트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고 후륜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를 내장하는 구동 케이스를 설치하며, 이 구동 케이스 안에 상기 후륜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하는 상기 댐퍼 장치를 설치하고, 이 댐퍼 장치에 후륜의 차축과 동축으로 댐퍼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드라이브 샤프트 도중에 전후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셜 커플링을 설치하고, 이 유니버셜 커플링을 덮는 커버를 구동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서, 드라이브 샤프트는, 차체 프레임과,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스텝 플로어와, 이 스텝 플로어에 연속하여 이 스텝 플로어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언더 커버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는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의 좌측부 단면도이며,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11)을 구비하고, 이 차체 프레임(11)을 차량(12)의 전단부에 설치한 헤드 파이프(13)와, 이 헤드 파이프(13)로부터 엔진(14)의 위쪽에 구비하면서 후방으로 연장시킨 상부 부재(16, 16)(앞쪽 부호 16만 도시함)와, 이 상부 부재(16, 16)로부터 후방 경사지게 위쪽으로 연장시킨 시트 레일(18, 18)(앞쪽 부호 18만 도시함)과, 이들 시트 레일(18, 18)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19, 19)(앞쪽 부호 19만 도시함)과, 상부 부재(16, 16)로부터 분기시켜 엔진(14)의 실린더 블록(23)의 측방에 구비하면서 아래쪽으로 연장시킨 하부 부재(17, 17)(앞쪽 부호 17만 도시함)와, 동일하게 상부 부재(16, 16)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시켜 스텝 플로어(25, 25)(앞쪽 부호 25만 도시함)를 얹는 플로어 브래킷(26, 26)(앞쪽 부호 26만 도시함)으로 구성한 차량이다.
그리고, 상부 부재(16, 16)에 피봇축(28)을 부착하고, 이 피봇축(28)을 중심으로 상하 스윙 가능하게 리어 스윙 아암(31)을 부착하며, 이 리어 스윙 아암(31)과 차체 프레임(11) 사이에 리어 큐션 유닛(32)을 부착한다.
또한, 자동 이륜차(10)는 헤드 파이프(13)에 조향 가능하게 프론트 포크(35)를 부착하고, 이 프론트 포크(35)의 하단에 전륜(36)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며, 프론트 포크(35)의 상부에 조향용 핸들(37)을 부착하고, 상부 부재(16)와 하부 부재(17) 사이의 공간에 엔진(14)을 배치하며, 리어 스윙 아암(31)의 후단에 후륜(39)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후륜(39)을 구동하기 위해 엔진(14)과 후륜(39) 사이에 드라이브 샤프트(41)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42)를 개재시킨 차량이다.
즉, 자동 이륜차(10)는 차체 프레임(11)과, 이 차체 프레임(11)에 피봇축(28)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31)과, 차체 프레임(11)에 고정되는 엔진(14)과, 이 엔진(14)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41)를 통해 후륜(39)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42)를 구비한다.
엔진(14)의 본체는 크랭크 케이스(43)와, 이 크랭크 케이스(43)에 전방 경사지게 하여 부착하는 실린더 블록(23)으로 이루어진다. 엔진(14)은 수냉식의 직렬 3 기통 엔진이며, 실린더 블록(23)의 아래쪽 및 전륜(36)의 후방에 라디에이터부(44)를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23)은 원통형 내면을 갖는 실린더부(45)를 포함한다. 실린더부(45)의 기통의 수는 3 개이다.
흡기 계통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클리너 유닛(46)에 관해서 설명한다.
에어클리너 유닛(46)은 헤드 파이프(13)의 전방에 설치한 에어 취입 덕트(47)와, 이 에어 취입 덕트(47) 아래쪽에 설치한 제1 실(48)과, 이 제1 실(48)의 후방에 연결 덕트(50)를 통해 설치한 제2 실(49)을 구비한다. 그리고, 최초로 에어 취입 덕트(47)로 취입한 에어를 제1 실(48)에 구비하는 도시 생략하는 엘리멘트로 청정화하고, 다음에 연결 덕트(50)를 통하여 제2 실(49)에 넣으며, 마지막으로 제2 실(49)로부터 청정화한 에어를 엔진(14)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에어클리너 유닛(46)을 헤드 파이프(13)의 전후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엔진(14)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기 계통에 관해서 설명하면, 직렬 3 기통 엔진(14)에 구비되는 실린더 블록(23)에 제1 배기관(51), 제2 배기관(52) 및 제3 배기관(53)을 접속하고, 이들 제1 내지 제3 배기관(51 내지 53)을 후방으로 연장하며, 이들 배기관(51 내지 53)의 후방에 설치한 집합부(54)에서 제1 내지 제3 배기관(51 내지 53)을 집합시키고, 이 집합부(54)의 후방에 소음기(55)를 설치한다.
커버 부재(61)는 차량(12)의 일부를 덮는 부재이며 카울 부재를 겸한다. 커버 부재(61)는 헤드 파이프(13) 등 차체 프레임(11)의 전측부를 덮는 전측부 커버 부재(62)와, 이 전측부 커버 부재(62)의 후방에 구비되는 중간부 커버 부재(63)와, 이 중간부 커버 부재(63)의 후방에 구비되어 차량(12)의 후방을 덮는 후측부 커버 부재(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간부 커버 부재(63)는 위쪽에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 다리를 뻗는 다리 통과 공간(65)을 포함하는 동시에 아래쪽에 엔진(14)을 구비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엔진(14)은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 다리를 뻗는 다리 통과 공간(65)의 아래 쪽에 구비된다.
스텝 플로어(25, 25)(앞쪽 부호 25만 도시함)는 차체 프레임(11)의 일부인 플로어 브래킷(26, 26)에 부착한 부재이며, 주행시에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발판부이다.
즉, 복수의 배기관(51 내지 53)은 하나로 통괄되는 동시에 스텝 플로어(25)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76은 리어 쿠션 유닛(32)과 리어 스윙(31) 사이에 개재시키는 링크 기구, 77은 연료 탱크, 78은 연료 펌프, 79는 리어 쿠션 유닛(32)의 리저버 탱크, 81은 프론트 브레이크 유닛, 82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유니버셜 커플링, 83은 탑승자 시트, 86은 메인 스탠드, 87은 수납 공간에 수납한 헬멧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동력 전달 기구(42)는 리어 스윙 아암(3)의 아래쪽에 설치하는 동시에 리어 스윙 아암(31)의 외측에 배치하며, 엔진(14)의 출력축(도시 생략)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41)를 연장하고, 이 드라이브 샤프트(41)의 동력을 후륜(39)에 전달하는 것이며, 후륜(39)의 차축(39J) 둘레에 드라이브 샤프트(41)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후륜(39)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를 내장한 구동 케이스(170)를 구비한다.
동력 전달 기구(42)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샤프트(41)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 및 피봇축(28)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드라이브 샤프트(41)와 이 드라이브 샤프트(41)에 개재시킨 유니버셜 커플 링(82)을 커버하기 위해 구동 케이스(170)의 전방 또한 유니버셜 커플링(82)의 외측에 드라이브 샤프트 커버(184)를 배치한다.
즉, 드라이브 샤프트(41) 도중에, 전후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셜 커플링(82)을 설치하고, 이 유니버셜 커플링(82)을 덮는 커버[180(도 1 참조)]인 드라이브 샤프트 커버(184)를 구동 케이스(17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킨다.
드라이브 샤프트 커버(184)는 원형 단면을 갖는 통형 부재의 차체 내측부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 C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커버(184)를 단면 C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 커버(l84)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 커버(184)의 착탈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드라이브 샤프트(41) 둘레의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리어 스윙 아암(31)은 위로 볼록한 만곡 프레임이다.
리어 스윙 아암(31)은 위로 볼록한 만곡 프레임이기 때문에, 리어 스윙 아암(31)의 굽힘 강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추가로, 리어 스윙 아암(31)을 만곡시켰기 때문에, 리어 스윙 아암(31)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드라이브 샤프트(41)의 위쪽에는 피봇축(28)을 배치하고, 이 피봇축(28)으로부터 위로 볼록 형상인 리어 스윙 아암(31)을 후방으로 연장하며, 리어 스윙 아암(31)에 링크 기구(76)를 통해 리어 쿠션 유닛(32)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리어 쿠션 유닛(32)의 상단부를 리어 스윙 아암(31)측에 고정시켰다.
즉, 동력 전달 기구(42)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드라이브 샤프트(41)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후륜(39)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154)를 내장하는 구동 케이스(170)를 구비한다. 드라이브 샤프트(41)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 및 피봇축(28)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또는, 드라이브 샤프트(41)는 차체 프레임(11)의 외측을 통과하고, 리어 스윙 아암(31)은 차체 프레임(11)의 내측에 부착되며, 드라이브 샤프트(41)는 측면에서 봤을 때, 피봇축(28)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샤프트(41)에 개재시키는 유니버셜 커플링(82)은 드라이브 샤프트(41)의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트리포드형의 등속 조인트이다. 이 밖에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유니버셜 조인트이더라도 좋고, 부등속 타입, 등속 타입을 불문하고 유니버셜 커플링에 적용하는 것은 지장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 유니버셜 커플링(82)의 배치는 피봇축(28)보다 아래쪽이면서 그 후방이지만, 피봇축(28)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드라이브 샤프트(41)는 차체 프레임(11)을 구성하는 상부 부재(16)의 하단부에 설치한 오목부(20)와, 플로어 브래킷(26)의 위쪽에 설치한 스텝 플로어(25)와, 이 스텝 플로어(25)의 바깥쪽에 설치한 언더 커버(27)로 둘러싸이는 공간(30)을 통과하여 관통하는 것이다.
즉, 드라이브 샤프트(41)는 차체 프레임(11)과,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스텝 플로어(25)와, 이 스텝 플로어(25)에 연속하여 이 스텝 플로어(25)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언더 커버(27)로 둘러싸이는 공간(30)을 통과한다.
공간(30)에 드라이브 샤프트(41)가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발판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그 아래쪽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텝 플로어와 언더 커버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지만, 별개의 부재이더라도 좋은 것으로 한다.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41)의 위쪽에 스텝 플로어(도 1의 부호 25)가 배치된다. 피봇축(28)의 아래쪽에 드라이브 샤프트(41)가 통과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샤프트(41)는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와 함께, 스텝 플로어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전달 장치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리어 스윙 아암(31)의 단면을 도시한다.
리어 스윙 아암(31)의 단면 형상을 통상 많이 이용하는 직사각형 단면이 아니라, 日형 단면으로 하였기 때문에, 단면 계수를 높일 수 있다. 단면 계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리어 스윙 아암(31)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은 日형 단면이 아니더라도 좋다. 예컨대, 目형 단면 등이라도 지장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후륜(39)의 차축(39J) 및 이 차축(39J) 주변에 구동 케이스(170)를 구비하며, 이 구동 케이스(170)에 리어 스윙 아암(31)의 후단부(31b)를 연결하고, 축 방향으로 리어 브레이크 유닛(157)을 고정하며, 이 리어 브레이크 유닛(157)의 일부에 예컨대, ABS(Antilock Braking System)용 차륜속 센서(158)를 부 착한다. 159는 브레이크 파이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상식 자동 이륜차에 구비되는 동력 전달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a)는 실시예로서, 동력 전달 기구(42)는 드라이브 샤프트(41)와 드라이브 샤프트(41)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후륜(39)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154)를 내장하는 구동 케이스(1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달 장치(154)는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한 쌍의 파이널 기어 세트(161)를 구비하고, 댐퍼 장치(162)는 파이널 기어 세트(161)와 후륜(39)의 차축(39J) 사이에 개재시켜 토크 변동에 의한 쇼크를 완화하는 댐퍼 부재(166)를 구비한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파이널 기어 세트(161)는 제1 파이널 기어(163)와 제2 파이널 기어(164)로 이루어지고, 드라이브 샤프트(41)의 후단부(41b)에 제1 파이널 기어(163)를 부착하며, 이 제1 파이널 기어(163)에 제2 파이널 기어(164)를 맞물리게 하는 동시에 후륜의 차축(39J) 중심과 동축에 제2 파이널 기어(164)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댐퍼 장치(162)는 댐퍼 부재(166)와 댐퍼 홀더(167)로 이루어지고, 제2 파이널 기어(164)의 후면(164b)에 댐퍼 부재(166)를 배치하고, 이 댐퍼 부재(166)에 후륜(39)의 차축(39J)에 고정한 원반형의 댐퍼 홀더(167)를 배치하며, 제2 파이널 기어(164)의 후면(164b)과 댐퍼 홀더(167)의 표면(167a)으로 댐퍼 부재(166)를 사이에 유지함으로써, 드라이브 샤프트(41)의 토크 변동에 의한 쇼크를 완화시키면서 드라이브 샤프트(41)의 구동력을 후륜(39)의 차축(39J)에 전달한다.
동력 전달 기구(42)를 커버하는 구동 케이스(170)는 댐퍼 장치(162)와 전달 장치(154)를 커버하는 것이고, 댐퍼 케이스(174)와 기어 케이스(17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케이스(173, 174) 내측에 댐퍼 장치(162)와 전달 장치(154)를 내장하는 구동실(171)을 형성한다. 구동실(171)에는 오일을 충전한다.
172는 샤프트 케이스이며, 기어 케이스(173)의 전방에 구비되어 드라이브 샤프트(41)를 커버하는 부재이다.
176a 내지 176d는 베어링, 177은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 판, 178은 후륜(39)의 호일이다.
즉, 리어 스윙 아암(31)의 후단부(31b)에 드라이브 샤프트(41)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여 후륜(39)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154)를 내장하는 구동 케이스(170)를 설치하고, 이 구동 케이스(170) 안에 후륜(39)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 장치(162)를 설치하며, 이 댐퍼 장치(162)에 후륜(39)의 차축(39J)과 동축으로 댐퍼 부재(166)를 설치한다.
(b)는 비교예이며, (a)와 크게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달 장치(154B)를 커버하는 구동 케이스(170B)는 후륜(39B)의 차축(39Jb)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댐퍼 장치(162B)를 커버하는 댐퍼 케이스(174B)와, 이 댐퍼 케이스(174B)의 후륜(39B)의 축 방향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41B)측에 구비되어 댐퍼 케이스(174B)를 덮는 덮개 부재(181)와, 이 덮개 부재(181)의 바깥쪽으로부터 전달 장치(154B)를 커버하는 기어 케이스(173B)로 이루어진다.
구동 케이스(170B)는 댐퍼 케이스(174B)와 덮개 부재(181)와 기어 케이 스(173B)로 이루어지고, 댐퍼 케이스(174B)의 내측에는 댐퍼 장치(162B)를 내장하는 댐퍼실(182)이 형성되며, 기어 케이스(173B)의 내측에는 전달 장치(154B)를 내장하는 기어실(183)이 형성된다. 댐퍼실(182)과 기어실(183)에는 각각 오일을 충전한다.
이와 같이, 후륜(39B)의 호일(178B)측에 댐퍼실(182)을 설치하고, 이 댐퍼실(182)과는 별도로 기어실(183)을 설치하였다.
후륜(39)의 차축(39J)의 길이를 (a), (b) 간에 비교한다.
(a)에서, 구동 케이스(170)의 내측에 전달 장치(154) 및 댐퍼 장치(162)를 내장한 구동실(171)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b)의 축 길이와 비교하면 길이(W)만큼 단축할 수 있다.
구동 케이스(170)에 전달 장치(154) 및 댐퍼 장치(162)를 내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달 장치(154)와 댐퍼 장치(162)를 하나의 챔버에 통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전달 장치(154)와 댐퍼 장치(162)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 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댐퍼 장치(162)에 후륜(39)의 차축(39J)과 동축으로 댐퍼 부재(166)를 설치하는 경우에, 전달 장치(154)와 댐퍼 장치(162)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 벽이 요구되지 않으면, 후륜(39)의 차축(39J)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후륜(39)의 차축(39J)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면 차량(12)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외에, 드라이브 샤프트(41)를 덮는 샤프트 케이스(172)에 댐퍼 부재(166)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샤프트 케이스(172)를 작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상식 자동 이륜차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드라이브 샤프트(41)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 또한 피봇축(28)의 아래쪽에 배치하기 때문에, 피봇축(28)의 측방에 드라이브 샤프트(41)를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피봇축(28)의 측방에 드라이브 샤프트(41)를 배치하는 경우, 피봇축(28)의 길이에 적어도 드라이브 샤프트(41)의 외경을 추가한 폭이 요구되고, 차량의 폭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발명에서 드라이브 샤프트(41)는 피봇축(28) 아래쪽에 배치하기 때문에, 상면에서 봤을 때 드라이브 샤프트(41)와 피봇축(28)을 겹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면에서 봤을 때 드라이브 샤프트(41)와 피봇축(28)을 겹쳐 배치하면 리어 스윙 아암(31)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리어 스윙 아암(31)의 폭을 억제할 수 있으면, 차량의 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드라이브 샤프트(41)는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동력 취출부를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력 취출부를 리어 스윙 아암(31)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엔진(도 1의 부호 14)을 차량(도 1의 부호 12)의 아래쪽에 낮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함으로써, 고속 주행시의 조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엔진(도 1의 부호 14)은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 다리를 뻗는 다리 통과 공간(도 1의 부호 65)의 아래쪽에 구비하기 때문에, 엔진을 차량의 아래쪽에 낮게 배치할 수 있다. 엔진은 차량 아래쪽에 낮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다리 통과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드라이브 샤프트(41)는 차체 프레임(1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리어 스윙 아암(31)은 차체 프레임(11)의 내측에 부착되며, 드라이브 샤프트(41)는 측면에서 봤을 때 피봇축(28)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연장시켰기 때문에 차량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차체 프레임(11)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41)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엔진(도 1의 부호 14)의 위치를 최적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적합하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 드라이브 샤프트는, 리어 스윙 아암의 아래쪽 및 피봇축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피봇축의 측방에 드라이브 샤프트를 배치하는 경우, 피봇축의 길이에 적어도 드라이브 샤프트의 외경을 추가한 폭이 요구되어, 차량의 폭이 넓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점, 본 발명에서, 드라이브 샤프트가 피봇축의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드라이브 샤프트와 피봇축을 겹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드라이브 샤프트와 피봇축을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면, 리어 스윙 아암의 폭 을 억제할 수 있다. 리어 스윙 아암의 폭을 억제할 수 있으면, 차량의 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드라이브 샤프트는 리어 스윙 아암의 아래쪽에 배치됨으로써, 동력 취출부를 리어 스윙 아암의 아래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력 취출부를 리어 스윙 아암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엔진을 차량의 아래쪽에 낮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함으로써, 고속 주행시의 조종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서, 드라이브 샤프트는 차체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리어 스윙 아암은 차체 프레임의 내측에 부착되며, 드라이브 샤프트는 측면에서 봤을 때, 피봇축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로 연장시켰기 때문에 차량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차체 프레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엔진의 위치를 최적의 위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 리어 스윙 아암은, 위로 볼록한 만곡 프레임이기 때문에, 리어 스윙 아암의 굽힘 강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추가로, 리어 스윙 아암을 만곡시켰기 때문에, 리어 스윙 아암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서, 엔진이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 다리를 뻗는 다리 통과 공간의 아래쪽에 구비되기 때문에 엔진을 차량 아래쪽으로 낮게 배치할 수 있다. 엔진을 차량 아래쪽으로 낮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다리 통과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구동 케이스에 전달 장치 및 댐퍼 장치를 내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달 장치와 댐퍼 장치를 하나의 챔버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전달 장치와 댐퍼 장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 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댐퍼 장치에 후륜의 차축과 동축으로 댐퍼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전달 장치와 댐퍼 장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 벽이 요구되지 않으면, 후륜의 차축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후륜의 차축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면 차량의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샤프트를 덮는 샤프트 케이스에 댐퍼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샤프트 케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드라이브 샤프트 도중에 전후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셜 커플링을 설치하고, 유니버셜 커플링을 덮는 커버를 구동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켰기 때문에, 유니버셜 커플링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서, 드라이브 샤프트는, 차체 프레임과, 스텝 플로어와, 이 스텝 플로어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언더 커버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발판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그 아래쪽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상기 리어 스윙 아암의 아래쪽이며 아울러 상기 피봇축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리어 스윙 아암은 위로 볼록한 만곡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2.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외측을 통과하고, 상기 리어 스윙 아암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내측에 부착되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피봇축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탑승자가 승강할 때에 다리를 뻗는 다리 통과 공간의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5.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피봇축을 통해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리어 스윙 아암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 및 댐퍼 장치를 통해 후륜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윙 아암의 후단부에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고 상기 후륜에 전달하는 전달 장치를 내장하는 구동 케이스를 설치하며,
    이 구동 케이스 안에 상기 후륜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하는 상기 댐퍼 장치를 설치하고,
    이 댐퍼 장치에 상기 후륜의 차축과 동축으로 댐퍼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의 도중에, 전후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셜 커플링을 설치하고, 이 유니버셜 커플링을 덮는 드라이브 샤프트 커버를 상기 구동 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는, 상기 차체 프 레임과,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는 스텝 플로어와, 이 스텝 플로어에 연속하여 이 스텝 플로어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언더 커버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
KR1020060083547A 2005-09-29 2006-08-31 자동 이륜차 KR100828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5313 2005-09-29
JP2005285313A JP4532380B2 (ja) 2005-09-29 2005-09-29 自動二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659A KR20070036659A (ko) 2007-04-03
KR100828055B1 true KR100828055B1 (ko) 2008-05-09

Family

ID=3788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47A KR100828055B1 (ko) 2005-09-29 2006-08-31 자동 이륜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0040B2 (ko)
JP (1) JP4532380B2 (ko)
KR (1) KR100828055B1 (ko)
CN (2) CN101712358B (ko)
CA (1) CA2560412C (ko)
DE (1) DE102006045641A1 (ko)
TW (1) TW200722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3-05-02 대호 (주) 트랙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2380B2 (ja) * 2005-09-29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733538B2 (ja) * 2006-02-28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814739B2 (ja) * 2006-09-20 2011-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001092B2 (ja) * 2007-08-27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013196B2 (ja) * 2007-10-24 2012-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422127B2 (ja) * 2008-01-23 201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174578B2 (ja) * 2008-08-11 2013-04-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EP2325076B1 (en) 2008-08-11 2017-01-18 Honda Motor Co., Ltd. Two-wheeled motor vehicle
IT1395896B1 (it) * 2008-09-30 2012-10-26 Honda Motor Co Ltd Motociclo del tipo a trasmissione ad albero.
JP5123806B2 (ja) 2008-09-30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ャフトドライブ式自動二輪車
JP5306874B2 (ja) * 2009-03-26 2013-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アーム装置
JP2012096613A (ja) * 2010-10-29 2012-05-24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ITPD20130309A1 (it) 2013-11-14 2015-05-15 Piaggio & C Spa Trasmissione motociclistica di tipo omocinetico, e motociclo comprendente detta trasmissione
ITUB20153985A1 (it) * 2015-09-29 2017-03-29 Piaggio & C Spa Retrotreno di motociclo a trasmissione cardanica e relativo motocicl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374A (ja) * 2003-10-14 2005-05-12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09852A (fr) 1919-05-15 1920-11-22 Emboutissage Et De Const Mecan Perfectionnements apportés à l'établissement des organes transmetteurs de mouvement dans les motocycles
DE805119C (de) 1949-08-25 1951-05-07 Nsu Werke A G Fahrgestell fuer Kraftraeder u. dgl.
DE2546804A1 (de) 1975-10-18 1977-04-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daempfen von im radantrieb fuer ein einspuriges motorfahrzeug, insbesondere motorrad, auftretenden schwingungen
DE2616101A1 (de) 1976-04-13 1977-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interradaufhaengung fuer ein einspuriges motorfahrzeug, insbesondere motorrad, mit einem kardanantrieb
US4436173A (en) * 1981-05-15 1984-03-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haft drive apparatus for motorized two-wheeled vehicle
DE3529816A1 (de) * 1984-08-21 1986-03-06 Aisin Seiki K.K., Kariya, Aichi Vorrichtung zur absorption einer drehmomentaenderung
JPS6218382A (ja) * 1985-07-16 1987-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シヤフトドライブ装置
JPS6485888A (en) 1987-09-12 1989-03-30 Yamaha Motor Co Ltd Rear arm device for motorcycle
US5067580A (en) * 1988-05-20 1991-11-26 James Parker Anti-shaft effect motorcycle suspension
JPH02105086U (ko) * 1989-02-07 1990-08-21
US5263549A (en) * 1992-12-07 1993-11-23 Dick David R Motorcycle shaft drive mechanism
JPH08216967A (ja) * 1995-02-10 1996-08-27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スイングアーム
US6439592B1 (en) * 1996-04-26 2002-08-27 Christini Technologies, Inc. Two-wheel drive two-wheeled vehicle
JP3795199B2 (ja) * 1997-09-30 2006-07-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自動二輪車
JP3816210B2 (ja) * 1997-09-30 2006-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2001241507A (ja) 2000-02-25 2001-09-07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動力伝達機構
JP4075296B2 (ja) * 2000-08-30 2008-04-16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3867486B2 (ja) 2000-09-06 2007-01-10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ITPI20010069A1 (it) 2001-10-19 2003-04-19 Marco Doveri Sospensione posteriore per motocicli con trasmissione ad albero loongitudinale
US6793030B2 (en) * 2002-07-25 2004-09-21 Bombardier - Nordtrac Oy Swing arm
ITMI20031400A1 (it) * 2003-07-09 2005-01-10 Piaggio & C Spa Sistema di accoppiamento tra telaio e gruppo motore di un motoveicolo.
US6923293B1 (en) * 2003-12-09 2005-08-02 Honda Motor Co., Ltd. Motorcycle rear disc brake
JP4771403B2 (ja) * 2004-09-29 2011-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Gps内蔵メータ
JP4459002B2 (ja) * 2004-09-30 2010-04-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580205B2 (ja) * 2004-09-30 2010-1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ES2543339T3 (es) * 2005-09-21 2015-08-18 Honda Motor Co., Ltd. Motocicleta del tipo de suelo bajo
JP4532380B2 (ja) * 2005-09-29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594205B2 (ja) * 2005-10-05 2010-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方向指示灯
JP4733538B2 (ja) * 2006-02-28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374A (ja) * 2003-10-14 2005-05-12 Honda Motor Co Ltd 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558B1 (ko) 2011-02-17 2013-05-02 대호 (주) 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9802A (zh) 2007-04-04
TW200722338A (en) 2007-06-16
CN1939802B (zh) 2010-06-16
JP2007091123A (ja) 2007-04-12
CA2560412C (en) 2009-09-15
TWI323711B (ko) 2010-04-21
JP4532380B2 (ja) 2010-08-25
US7510040B2 (en) 2009-03-31
DE102006045641A1 (de) 2007-04-12
US20070095591A1 (en) 2007-05-03
CN101712358B (zh) 2012-09-05
KR20070036659A (ko) 2007-04-03
CN101712358A (zh) 2010-05-26
CA2560412A1 (en)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055B1 (ko) 자동 이륜차
EP1826110B1 (en) Motorcycle with drive shaft
US7913793B2 (en) Shaft-driven motorcycle with pivotally mounted swing arm and related support structure
TWI326646B (ko)
CN100528682C (zh) 摩托车
CA2607662C (en) Saddle ride type vehicle
JP2007230537A (ja) フレーム構造
GB2428997A (en) Power steering system for buggy-type all terrain vehicle
CA2532488C (en) Power steering system for buggy type all terrain vehicle
CN101172504B (zh) 机动二轮车
CN101172503A (zh) 机动二轮车
US8051739B2 (en) Vehicle-use transmission manipulating device
JP2007083849A (ja) 低床式の自動二輪車
CN100551769C (zh) 摇动式自动三轮车
CN100465050C (zh) 二轮机动车
JP2007099099A (ja) 自動二輪車
JP5350973B2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構造
WO2012057159A1 (ja) 自動二輪車
JP5174578B2 (ja) 自動二輪車
US7740095B2 (en) Vehicle including frame, swing arm and side-supported damper
JP2010120640A (ja) 自動二輪車
JP4499640B2 (ja) 低床式の自動二輪車
JP2008179323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構造
JP2007091106A (ja) 低床式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