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039B1 -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039B1
KR100828039B1 KR1020077012049A KR20077012049A KR100828039B1 KR 100828039 B1 KR100828039 B1 KR 100828039B1 KR 1020077012049 A KR1020077012049 A KR 1020077012049A KR 20077012049 A KR20077012049 A KR 20077012049A KR 100828039 B1 KR100828039 B1 KR 100828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otal amount
unknown
trap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5498A (ko
Inventor
요시야스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8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07C3/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production of the machine either with or without registering working or idle ti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43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model based detection method, e.g. first-principles knowledge model
    • G05B23/0254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model based detection method, e.g. first-principles knowledge model based on a quantitative model, e.g. mathe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inputs and outputs; functions: observer, Kalman filter, residual calculation, Neural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16T1/48Monitoring arrangements for inspecting, e.g. flow of steam and steam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설비 진단 방법,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급 증기 총량 Qi 및 필요 증기 총량 Qo를 파악하는 동시에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파악하고, 이들 파악한 각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 Qi와 필요 증기 총량 Qo와의 차인 불명 증기 총량 Qx 중에서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로서 구하거나, 또는 불명 증기율 Kx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하거나, 또는 불명 증기율 Kx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한다.
설비 진단 방법,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동작 방법,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Description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FACILITY DIAGNOSIS CALCULATION SYSTEM}
도 1은 설비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트랩 진단기 및 그 사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누출 진단기 및 그 사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의 연산 처리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평가용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평가용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평가용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평가용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평가용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평가용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집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집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평가 대상 증기 트랩
(3)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
(4) 증기 사용 장치
(8) 트랩 진단기
(11) 집계 시스템(진단용 컴퓨터 시스템)
(12) 누출 진단기
D 평가용 데이터
Kts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x 불명 증기율
Kxx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Qi 수급 증기 총량
Qo 필요 증기 총량
Qs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t"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합산)
Qt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트랩 불량)
Qts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x 불명 증기 총량
Qxx 기저 불명 증기 총량
S1 입력 수단
S2 연산 수단
S3 데이터 작성 수단
본 발명은 설비 진단 방법,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증기를 사용하는 설비의 진단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고객의 진단 대상 설비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증기 트랩(trap)의 작동 상태를 트랩 진단기에 의해 진단하고, 이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이른바, 증기 트랩에서의 증기 누출량)을 대상 설비의 전체 증기 트랩에 대하여 집계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고, 이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트랩 교환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개선 가능한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고객에게 나타냄으로써, 트랩 교환에 의한 설비 개선의 경제 효과를 고객에게 나타내도록 한 진단 방법이 있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140745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진단 방법에서는, 트랩 교환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은 파악할 수 있지만, 그 트랩 교환에 의해 대상 설비의 증기 배관계(配管系)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고, 이 때문에, 트랩 교환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게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증기 손실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적정하게 평가하는데 적합한 설비 진단 방법,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1〕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설비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점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가 공급을 받는 증기의 총량인 수급 증기 총량, 및 그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사용 장치가 필요로 하는 증기의 총량인 필요 증기 총량을 파악하거나,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를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파악하고, 또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파악하고,
이들 파악한 각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서 구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基底)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구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 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구하는 것에 있다.
즉, 증기 배관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각종 원인에 의한 증기 손실이 존재하지만, 이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있어서,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 각종의 원인에 의해 존재하는 증기 손실의 총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 소정의 설비 개선을 행함으로써 해소되는 증기 손실의 총량(전제한 배경 기술의 예로 말하자면, 트랩 교환에 의해 해소되는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이 해당)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 하면, 이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은,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의 저감율을 나타낸다.
또,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불명 증기율(말하자면, 현상태의 불명 증기율)로 하고,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즉, 개선 후도 남는 증기 손실의 총량)으로 하고, 또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말하자면, 개선 후의 새로운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 하면,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은,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의 저감율을 양쪽 값의 대비 상에 있어서 나타낸 것으로 된다.
그리고, 또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개선 후도 남는 증기 손실의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 하면, 상기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은,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의 저감율을 동일하게 양쪽 값의 대비 상에 있어서 근사적(近似的)으로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따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 점에서, 증기 손실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설비 개선책의 유효성을 적정하게 평가하는데 보다 적합한 설비 진단 방법으로 된다.
그리고,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소정의 설비 개선이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트랩의 교환이나 수리에 한정되지 않고, 그 설비 개선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을 어느 정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내용의 것이라도 된다.
또,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평가 대상 증 기 배관계에 있어서, 고압 증기 드레인으로부터 발생하는 플래시 증기를 저압계로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재이용 플래시 증기의 양을 드레인화 전의 증기량에 중복되어 수급 증기 총량에 포함되는 형태로, 수급 증기 총량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특징점은,
상기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트랩 작동 진단을 실시하고,
이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산출하고,
이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의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의하면, 증기 트랩의 교환(또는 수리)에 의해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의 저감을 도모하는 경우에, 그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있어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산출하는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 그 배관계에 장비된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교환(또는 수리)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의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면, 그 구한 값은,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교환(또는 수리)에 의해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의 저감율을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로부터,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따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3〕본 발명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제1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특징점은,
상기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트랩 작동 진단, 및 상기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하여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증기 누출을 진단하는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하고,
상기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산출하는 동시에, 상기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산출하고,
이들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의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의하면, 증기 트랩의 교환(또는 수리) 및 배관계 각 부에 있어서의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의 저감을 도모하는 경우에, 이들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修復)에 의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있어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산출하는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과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산출하는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 그 배관계에 장비된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교환(또는 수리)과 그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를 가지고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의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면, 그 구한 값은,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교환(또는 수리)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를 가지고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의 저감율을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로부터,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에 따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구하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또는 수리)과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이란, 주로 증기 트랩의 작동 불량에 의해 증기 트랩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증기의 양을 말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현행의 증기 트랩과 교환용으로서 추천하는 증기 트랩과의 형식의 차이에 의한 트랩 정상 작동 하에서의 트랩 통과 증기량의 차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으로서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을 실시하는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의 산출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트랩 작동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산출하는 형태, 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평가 대상 증기 트랩 중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에 대해서만 트랩 작동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 및 작동 진단을 실시한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한 대수비 정보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유추적(類推的)으로 산출하는 형태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을 실시하는데,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산출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산출하는 형태, 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 중 일부의 배관계 부분에 대해서만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 및 누출 진단을 실시한 일부의 배관계 부분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평가량비 정보(예를 들면, 배관량비나 밸브 장비수비의 정보 등)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유추적으로 산출하는 형태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또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을 실시하는데,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증기 누출을 진단하는 증기 누출 진단은, 배관 도중에 있어서의 조인트부나 밸브로부터의 증기 누출, 관재(管材) 그 자체로부터의 증기 누출, 및 배관의 접속선 장치로부터의 증기 누출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중의 일부(예를 들면, 밸브로부터의 증기 누출)에 한정한 증기 누출 진단으로 해도 된다.
〔4〕본 발명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점은,
입력 수단과 연산 수단을 구비한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수단이,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 및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의 입력을 받는 입력 스텝과,
상기 연산 수단이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불명 증기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 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는 연산 스텝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4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과 마찬가지로,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에 의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이 제4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에 의하면,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에서의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의 연산, 및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나타낸 지표값(指標値)으로서의 상기 각 값(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불명 증기율, 개선 후 불명 증기율,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의 연산을 연산 스텝에 있어서 연산 수단이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진단 후에서의 연산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 그 자동화에 의해, 트랩 작동 진단의 실시 후, 연산 결과를 사용한 설비 개선 유효성의 검토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5〕본 발명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점은,
입력 수단과 연산 수단을 구비한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수단이,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각 부에 대하여 누출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 및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의 입력을 받는 입력 스텝과,
상기 연산 수단이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연산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불명 증기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는 연산 스텝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과 마찬가지로,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에 의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이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에 의하면, 제4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에 의한 설비 개선에서의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즉,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과 증기 누출 손실 총량과의 합)의 연산, 및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나타낸 지표값으로서의 상기 각 값(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불명 증기율, 개선 후 불명 증기율,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의 연산을 연산 스텝에 있어서 연산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진단 후에서의 연산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 그 자동화에 의해, 트랩 작동 진단 및 증기 누출 진단의 실시 후, 연산 결과를 사용한 설비 개선 유효성의 검토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6〕본 발명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제4 또는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특징점은,
상기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이 구비하는 데이터 작성 수단이,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따라,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평가용 데이터가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됨으로써, 그 작성된 평가용 데이터에 따라, 상기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의 총량인 불명 증기 총량이 나타내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이 나타내지므로, 양적인 면과 비율적인 면과의 양쪽으로부터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고, 이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로서의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이 나타내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이 나타내지므로, 마찬가지로 양적인 면과 비율적인 면과의 양쪽으로부터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고, 이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 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양쪽 값의 대비 상에 있어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에 즈음하여, 이들 양쪽 값의 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마찬가지로 양쪽 값의 대비 상에 있어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에 즈음하여, 이들 양쪽 값의 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에 의하면, 각 값의 연산을 연산 스텝에 있어서 연산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에 더하여 평가용 데이터의 작성도 데이터 작성 스텝에 있어서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진단 후에서의 연산ㆍ데이터 작성 작업의 부담을 한층 경감할 수 있고, 또 이들 자동화에 의해, 진단의 실시 후, 평가용 데이터를 사용한 설비 개선 유효성의 검토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7〕본 발명의 제7 특징적 구성은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점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을 상기 트랩 진단기로부터 받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의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불명 증기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7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한 제4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에 의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이 제7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에 의하면, 각 값의 연산을 연산 수단이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진단 후에서의 연산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진단 결과의 입력 대해서도, 트랩 진단기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진단 결과를 입력 수단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 작업의 부담도 경감할 수 있고, 또 이들 연산의 자동화나 입력의 효율화에 의해, 트랩 작동 진단의 실시 후, 연산 결과를 사용한 설비 개선 유효성의 검토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8〕본 발명의 제8 특징적 구성은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점은,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 및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각 부에 대하여 누출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을 상기 트랩 진단기 및 상기 누출 진단기의 각각으로부터 받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의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불명 증기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한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또는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에 의해, 증기 사용 설비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이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에 의하면, 제7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각 값의 연산을 연산 수단이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진단 후에서의 연산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각 진단 결과의 입력 대해서도, 트랩 진단기 및 누출 진단기의 각각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각 진단 결과를 입력 수단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 작업의 부담도 경감할 수 있고, 또 이들 연산의 자동화나 입력의 효율화에 의해, 트랩 작동 진단 및 증기 누출 진단의 실시 후, 연산 결과를 사용한 설비 개선 유효성의 검토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9〕본 발명의 제9 특징적 구성은, 제7 또는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특징점은,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따라,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다.
즉, 이 제9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에 의하면,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평가용 데이터가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됨으로써, 그 작성된 평가용 데이터에 따라, 상기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의 총량인 불명 증기 총량이 나타내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비 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이 나타내지므로, 양적인 면과 비율적인 면과의 양쪽으로부터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고, 이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로서의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이 나타내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이 나타내지므로, 마찬가지로 양적인 면과 비율적인 면과의 양쪽으로부터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고, 이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양쪽 값의 대비 상에 있어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에 즈음하여, 이들 양쪽 값의 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평가용 데이터에서는, 마찬가지로 양쪽 값의 대비 상에 있어서 설비 개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에 즈음하여, 이들 양쪽 값의 대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트랩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이나 트랩 교환(또는 수리) 및 누출 개소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의 증기 손실 저감 상에서의 유효성을 한층 적정하고, 또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각 값의 연산을 연산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에 더하여 평가용 데이터의 작성도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진단 후에서의 연산ㆍ데이터 작성 작업의 부담을 한층 경감할 수 있고, 또 이들 자동화에 의해, 진단의 실시 후, 평가용 데이터를 사용한 설비 개선 유효성의 검토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 및 제7,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있어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있어서, 고압 증기 드레인으로부터 발생하는 플래시 증기를 저압계로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재이용 플래시 증기의 양을 드레인화 전의 증기량에 중복되어 수급 증기 총량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4,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 및 제7,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있어서,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이란, 이것도 제1 ~ 제3 특징적 구성에 의한 설비 진단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로 증기 트랩의 작동 불량에 의해 증기 트랩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증기의 양을 말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현행의 증기 트랩과 교환용으로서 추천하는 증기 트랩과의 형식의 차이에 의한 트랩 정상 작동 하에서의 트랩 통과 증기량의 차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으로서 취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 및 제7,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있어서, 연산 수단에 의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의 연산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한 작동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는 형태, 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평가 대상 증기 트랩 중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에 대해서만 트랩 진단기에 의한 작동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 및 트랩 작동 진단을 실시한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한 대수비 정보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유추적으로 연산하는 형태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 및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있어서, 연산 수단에 의한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연산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누출 진단기에 의한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연산하는 형태, 또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 중 일부의 배관계 부분에 대해서만 누출 진단기에 의한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 및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한 일부의 배관계 부분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평가량비 정보(예를 들면, 배관량 비나 밸브 장비수비의 정보 등)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유추적으로 연산하는 형태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또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 및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있어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각 부로부터의 증기 누출을 진단하는 증기 누출 진단은, 배관 도중에 있어서의 조인트부나 밸브로부터의 증기 누출, 관재 그 자체로부터의 증기 누출, 및 배관의 접속선 장치로부터의 증기 누출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중의 일부(예를 들면, 밸브로부터의 증기 누출)에 한정한 증기 누출 진단으로 해도 된다.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한 시스템 동작 방법의 실시, 및 제9 특징적 구성에 의한 집계 시스템의 실시에 있어서,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한 평가용 데이터의 작성이란, 지면에 인쇄한 형태로 내용 표시하는 데이터의 작성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로 내용 표시하는 데이터의 작성이라도 되고, 또 평가용 데이터는, 연산 수단에 의한 연산값이나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데 숫자나 문자 외에, 그래프나 도형을 사용하는 것이라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1)은 다수의 증기 트랩(2)을 사용하는 화학 플랜트 등의 대규모 설비를 나타내고, (3)은 설비 내에 시설된 증기 배관계(실선으로 나타냄), (4)는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배관 접속선의 증기 사용 장치이며, 이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 배관 및 증기 사용 장치(4)에 부대되는 형태로 증기 트랩(2)이 각처에 장비되어 있다. 또, 이 설비(1)에서는 증기 외에 압축 공기 및 질소 가스 를 사용하고, (5)는 압축 공기 배관계(1점 쇄선으로 나타냄), (6)은 질소 가스 배관계(2점 쇄선으로 나타냄), (7)은 압축 공기 배관계(5) 및 질소 가스 배관계(6)의 각각에 있어서의 배관 접속선 장치이며, 각 배관계(3, 5, 6)에는, 배관의 접속이나 분기를 위한 조인트 및 관로의 개폐나 전환을 위한 밸브가 다수 장비되어 있다.
설비 기기의 생산ㆍ판매나 설비의 시공ㆍ관리를 업무로 하는 메이커 측의 담당자는, 상기 설비(1)의 종합적 개선의 제안을 목적으로 하여, 진단일을 1일로 한정한 예비 진단적인 설비 진단을 설비 측의 고객에게 제안하고, 그 진단의 내용, 진단의 실시일, 및 대상 설비(1) 중의 어느 일부 구역(1a)~(1d)을 진단의 대표 구역으로 할 것인지 등에 대하여 고객과 협의를 행한다. 그리고, 메이커 측의 담당자는, 협의로 결정한 진단일에 소요 인원수의 진단원을 대상 설비(1)에 파견하고, 협의로 결정한 복수 종류의 진단을 그 진단일에 일괄적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고객과의 협의 결과로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트랩 작동 진단과,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배관계에 대하여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유체 누출을 진단하는 유체 누출 진단과, 대상 설비(1)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시스템 개선 여지의 유무를 진단하는 시스템 개선 진단과, 대상 설비(1)가 채용하는 현행의 유지보수 방식에 대하여 방식 개선 여지의 유무를 진단하는 유지보수 개선 진단의 4종류의 진단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트랩 작동 진단에 대하여는 대상 설비(1)의 증기 배관계(3)에 장비된 모든 증기 트랩(2)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으로 하고, 유체 누출 진단에 대하여는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 압축 공기 배 관계(5), 질소 가스 배관계(6)의 각각을 평가 대상 배관계로 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예에서는 유체 누출 진단을 행하는데, 배관량이 특히 많은 증기 배관계(3)에 대하여는, 증기 트랩(2)에 대한 하이패스 회로에 장비된 바이패스용 밸브로부터의 증기 누출만을 진단하는 간이(簡易) 진단(간단한 누출 진단)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압축 공기 배관계(5)와 질소 가스 배관계(6)에 대하여는, 조인트부나 밸브로부터의 누출, 관재 그 자체로부터의 누출, 배관 접속선 장치(7)로부터의 누출의 각각을 진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는 트랩 작동 진단에 사용하는 휴대식의 트랩 진단기(8)를 나타내고, (8A)는 진단기 본체, (8B)는 진단기 본체(8A)에 케이블 접속하는 검출기이며, 진단기 본체(8A)에는, 입력 내용이나 진단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9) 및 각종 키(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랩 진단기(8)를 사용하여 증기 트랩(2)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데는, 진단원은 증기 트랩(2)마다, 그 형식, 구경, 용도 등을 확인하여, 그들 확인 사항을 트랩 설치 부분, 트랩 번호, 진단일 등과 함께 키(10)의 조작에 의해 트랩 진단기(8)에 입력한다. 그리고, 검출기(8B)의 검출단(8a)을 증기 트랩(2)의 소정 개소에 할당함으로써, 증기 트랩(2)의 표면 온도와 진동(초음파 영역의 진동 강도)을 검출한다.
이 검출 조작에 의해, 진단기 본체(8A)에 내장된 연산부는, 표면 온도의 검출값에 따라 증기 트랩(2)의 사용 증기압을 연산하여, 미리 입력되어 있는 증기압을 파라미터로 한 진동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이른바, 증기 트랩의 증기 누출량)과의 관계로, 연산한 사용 증기압 및 진동의 검출값을 대조하는 형태로, 증기 트랩(2)의 작동 불량에 의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 qt(본 예에서는, 단위 시간당의 중량 유량)를 연산하는 동시에 이 연산에 있어서 증기 트랩(2)의 작동의 양호함의 비율을 판정하고, 이 연산ㆍ판정 결과를, 표면 온도 및 진동의 각 검출값, 및 트랩 설치 부분, 트랩 번호, 형식, 구경, 용도 등의 각 입력 사항과 함께 진단기 본체(8A)의 기억부에 저장한다.
단, 확인 사항이나 진단일 등의 입력 사항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고객 측의 관리용 컴퓨터 시스템이나 메이커 측의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진단기(8)에 다운로드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의 재입력은 불필요하고, 각 증기 트랩(2)의 작동 진단시에는 이들의 이미 입력된 사항의 확인을 행하는 것만으로 된다.
진단기 본체(8A)의 기억부에 저장한 각 증기 트랩(2)에 대한 연산ㆍ판정 결과, 검출값, 및 형식ㆍ용도 등의 확인 사항을 포함하는 입력 사항은,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복수개의 증기 트랩(2)에 대한 일련의 작동 진단 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기(8)를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접속(유선 접속 내지 무선 접속)함으로써,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도 3에는 유체 누출 진단에 사용하는 휴대식의 누출 진단기(12)를 나타내고, 건(gun)형상의 진단기(12)의 선단부에는, 유체 누출점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13) 및 광빔 광원(14)을 배치하여, 진단기(12)의 후단부에는, 입력 내용이나 진단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 및 각종 키(16)가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진단기(12)에는 마이크로폰(13)의 검출 초음파를 가청화(可聽化)한 탐지음을 출력하는 이어폰(17)이 장비되어 있다.
이 누출 진단기(12)를 사용하여 배관계 각 부(관재, 조인트부, 밸브, 배관 접속선 장치 등)로부터의 유체 누출을 진단하는 데는, 진단원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기(12)의 선단을 탐지 대상 부분을 향한 상태에서, 광빔 광원(14)으로부터의 광빔의 조사 포인트 p를 육안관찰 확인하면서 진단기(12)의 선단 방향을 서서히 변화시켜, 표시부(15)에 표시되는 각 방향에서의 초음파 검출값(음압) 및 이어폰(17)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방향에서의 탐지음에 따라 누출점을 탐지한다.
그리고, 이 탐지 조작에 의해 누출점이 발견되면 그 누출점에 대한 정보 저장을 키(16)의 조작에 의해 진단기(12)의 연산부에 지시하는 동시에 거리ㆍ타입ㆍ방향ㆍ유체의 각 항목에 대하여, 그 누출점에 대한 유체 누출량의 연산 조건을 키(16)의 조작에 의해 입력한다.
연산 조건의 상기 항목에 있어서, 거리는 누출점과 진단기(12)의 이간 거리, 타입은 관재, 밸브, 조인트부라는 누출점 부분의 종류, 방향은 누출점에 대한 초음파 검출 방향, 유체는 누출 유체의 종류를 의미한다.
연산 조건이 입력되면, 진단기(12)의 연산부는, 그 연산 조건과 초음파 검출값에 따라, 누출점에서의 누출에 의한 유체 손실량 q(본 예에서는, 증기의 손실량 qs에 대하여는 단위 시간당의 중량 유량, 압축 공기 및 질소 가스의 손실량 qp, qn에 대하여는 단위 시간당의 용적 유량)를 연산하고, 이 연산 결과를, 그 누출점에 대한 초음파 검출값, 연산 조건, 관리 번호, 및 별도 진단기(12)에 입력된 누출점 의 위치 정보나 진단일 등과 함께 진단기(12)의 기억부에 저장한다.
진단기(12)의 기억부에 저장한 각 누출점에 대한 연산 결과, 검출값, 연산 조건 등은, 트랩 작동 진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체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배관계 각 부에 대한 일련의 누출 진단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기(12)를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접속(유선 접속 내지 무선 접속)함으로써,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전체 증기 트랩(2)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으로 하는데 대하여, 트랩 작동 진단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트랩 중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구체적으로는 고객과의 협의로 결정한 대표 구역(1a)에 있는 증기 트랩(2a)에 대해서만 트랩 진단기(8)에 의한 작동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본 예에서는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전체 증기 트랩(2)의 작동 상태를 유추적으로 평가하는 형태를 채용한다.
또,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 압축 공기 배관계(5), 질소 가스 배관계(6)의 각각을 평가 대상 배관계로 하는데 대하여, 유체 누출 진단에서는 각 평가 대상 배관계(3, 5, 6) 중 일부의 배관계 부분(구체적으로는 고객과의 협의로 결정한 대표 구역(1a)에 있는 배관계 부분(3a, 4a, 5a)에 대한 보고 누출 진단기(12)에 의한 누출 진단을 실시하고, 그 진단 결과에 따라 각 평가 대상 배관계(3, 4, 5)의 전체(본 예에서는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 압축 공기 배관계(4), 질소 가스 배관계(6) 각각의 전체)의 유체 누출 상태를 유추적으로 평가하는 형태를 채용한다.
다른 한편, 시스템 개선 진단에 대하여는, 고객 측으로부터 제공된 현행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자료를 참고로 하면서, 진단일에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각 시스템을 진단원이 시찰하고, 현행 시스템 구성의 구식화나 현상태의 설비 가동 내용으로부터 본 경우의 현행 시스템 구성의 부적절함을 진단한다. 또, 유지보수 개선 진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고객 측으로부터 제공된 현행의 유지보수 방식에 대한 자료를 참고로 하면서, 진단일에 대상 설비(1)를 진단원이 유지보수면에서 시찰하고, 현행 유지보수 방식의 구식화나 현상태의 설비 가동 내용으로부터 본 경우의 현행 유지보수 방식의 부적절함을 진단한다.
그리고, 설비에 의해 시스템에는 각종의 상위가 있지만, 시스템 개선 진단의 대상으로 되는 시스템의 예로서는, 고압 증기를 저압 증기로 감압하는 증기 감압 시스템, 증기 드레인이나 폐증기의 처리 시스템, 오일탱크의 배수(排水) 처리 시스템 등이 있다. 또, 설비에 의해 필요한 유지보수도 여러 가지 상이하지만, 유지보수 개선 진단의 대상으로 되는 유지보수의 예로서는, 배관이나 탱크다리에 대한 부식 검사, 증기 터빈 등의 회전 기기의 축심(軸芯) 조정 등이 있다.
대상 설비(1)의 대표 구역(1a)에 있는 증기 트랩(2a)(이하, 대표 증기 트랩이라고 함)에 대한 트랩 진단기(8)를 사용한 작동 진단이 종료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트랩 진단기(8)의 기억부에 있어서의 각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저장 정보(연산ㆍ판정 결과, 검출값, 및 형식ㆍ용도 등의 확인 사항을 포함하는 입력 사항)를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하고, 또,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 압축 공기 배관계(5), 질소 가스 배관 계(6)의 각각에 대하여 대표 구역(1a)에 있는 배관계 부분(3a, 5a, 6a)(이하, 대표 배관계 부분이라고 함)에 대한 누출 진단기(12)를 사용한 누출 진단이 종료하면, 유체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누출 진단기(12)의 기억부에 있어서의 각 누출점에 대한 저장 정보(연산 결과, 검출값, 연산 조건 등)를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하지만, 이들 진단기(8, 12)로부터의 입력에 더하여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는, 고객 측으로부터의 제공 자료에 따라,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수 T(즉, 본 예에 있어서의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수),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와 그 중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a, 및 압축 공기 배관계(5)와 질소 가스 배관계(6)의 각각에 대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전체 배관량 X, Y와 대표 배관계 부분(5a, 6a)의 배관량 Xa, Ya를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입력한다.
또, 동일하게 고객 측으로부터의 제공 자료에 따라, 대상 설비(1)의 전체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Qi 및 필요 증기 총량 Qo를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수급 증기 총량 Qi란(도 7 참조),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보일러 생성 증기나 폐열 이용에 의한 생성 증기 또는 타처로부터 관로를 통해 대상 설비(1)에 공급되는 증기의 양 qi1와,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의 시스템 주에서 고압 증기 드레인으로부터 발생하는 플래시 증기 중 저압계에 의해 재이용하는 증기의 양 qi2, qi3와의 합계량이며, 필요 증기 총량 Qo란, 증기 사용 장치(4)에서의 이론상의 증기 사용량 qo1~qo4의 합계량이다. 즉, 수급 증기 총량 Qi로부터 필 요 증기 총량 Qo를 줄인 값Qx(= Qi-Qo)는 대상 설비(1)에 있어서 어떠한 형태로 없어진 증기량 qx1~qx4(불명 증기량)의 총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qm1~qm3는 각각, 저압계로의 공급 증기량을 나타낸다.
한편, 시스템 개선 진단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이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즉 진단용 대상 설비(1)의 각 시스템 구성을 진단원이 시찰한 후, 그 시찰 결과 및 고객 측으로부터의 제공 자료에 따라, 시스템 개선 여지가 있는 현행의 시스템 구성을 추출하는 동시에, 이들 개선 여지가 있는 현행 시스템 구성의 각각에 대한 시스템 개선안, 이들 시스템 개선안의 채용 실시에 의해 얻어지는 경제 효과, 및 시스템 개선안의 실시 비용을 모으고, 이들 시스템 개선안, 경제 효과, 실시 비용을, 시스템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소정의 서식 형태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또, 유지보수 개선 진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즉, 진단원이 유지보수면에서 대상 설비(1)을 시찰한 후, 그 시찰 결과 및 고객 측으로부터의 제공 자료에 따라, 방식 개선 여지가 있는 현행 유지보수 방식을 추출하는 동시에, 이들 개선 여지가 있는 현행의 유지보수 방식의 각각에 대한 방식 개선안, 그들 방식 개선안의 채용 실시에 의해 얻어지는 경제 효과, 및 방식 개선안의 실시 비용을 모으고, 이들 방식 개선안, 경제 효과, 실시 비용을, 유지보수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소정의 서식 형태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한다.
진단 후에 있어서의 상기한 각 입력(입력 스텝)에 대하여, 진단용 컴퓨터 시 스템(11)은, 집계 프로그램 PS에 따라, 메이커측 담당자의 지시에 따라 다음의(a)~(j)의 연산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한다(연산 스텝, 도 4, 도 5 참조)
(a) 트랩 진단기(8)로부터 입력한 진단 결과에 있어서의 각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연산ㆍ판정 결과에 따라, 작동 진단을 실시한 모든 대표 증기 트랩수 Ta, 및 대표 증기 트랩(2a) 중 불량 트랩수 Tx를 구하고, 이에 따라, 대표 증기 트랩(2a) 중 불량 트랩이 차지하는 대수 비율을 트랩 불량율 Kt로서 연산한다.
(b) 트랩 진단기(8)로부터 입력한 진단 결과에 있어서의 각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연산ㆍ판정 결과에 따라, 트랩 불량에 의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 qt를 모든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하여 집계한 소계값 Σqt(즉, 모든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를 연산하고, 또, 이 소계값 Σqt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증기 단가를 곱하는 형태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 Σqt의 금액 환산값 MΣqt를 연산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각 금액 환산값에 대하여 1년당의 금액 환산값을 연산한다.
(c) 트랩 진단기(8)로부터 입력한 진단 결과에 있어서의 각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연산ㆍ판정 결과, 및 각 대표 증기 트랩(2a)의 형식ㆍ용도에 따라, 대표 증기 트랩(2a)의 용도별 및 형식 다른 대수 Ta1, Ta2…를 연산하는 동시에, 용도별 및 형식 다른 트랩 불량율 Kt1, Kt2…를 연산하고, 또, 상기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 Σqt의 금액 환산값 MΣqt에 대하여, 대표 증기 트랩(2a)의 용도별 및 형식 다른 내역값 MΣqt1, MΣqt2…를 연산한다.
(d)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별도 입력된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수 T 에 따라,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 중 대표 증기 트랩(2a)이 차지하는 대수 비율을 시뮬레이션 대수 비율 α로서 연산하고, 이 시뮬레이션 대수 비율 α의 역수를 상기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 Σqt를 곱하는 형태로,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에 대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즉, 트랩 불량에 의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 qt를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에 대하여 집계한 값)의 유추값을 연산하고, 또, 그 금액 환산값 MQt를 연산한다.
즉, 트랩 진단기(8)로부터 입력한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진단 결과와 트랩 대수비 정보 RT로서 별도 입력된 전체 증기 트랩수 T에 따라,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즉, 본 예에 있어서의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 및 그 금액 환산값 MQt를 유추적으로 연산한다.
(e) 트랩 진단기(8)로부터 입력한 진단 결과에 있어서의 각 대표 증기 트랩(2a)의 형식, 및 미리 입력되어 있는 트랩 형식 정보에 따라, 현행의 대표 증기 트랩(2a)과 추천하는 교환용 증기 트랩과의 트랩 정상 작동 상태에서의 트랩 형식에 의한 트랩 통과 증기량의 차이 Δqt'를 연산하는 동시에 그 차이 Δqt'를 모든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하여 집계한 소계값 MΣqt'(즉,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를 연산하고, 이 소계값ΣΔqt'에 시뮬레이션 대수 비율 α의 역수(逆數)를 곱하는 형태로,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에 대한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즉, 트랩 형식에 의한 상기 차이 Δqt'를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에 대하여 집계한 값)의 유추값을 연산하고, 또, 그 금액 환산값 Mqt'을 연산한다.
즉, 트랩 진단기(8)로부터 입력한 대표 증기 트랩(2a)에 대한 진단 결과와 트랩 대수비 정보 RT로서 별도 입력된 전체 증기 트랩수 T에 따라, 대상 설비(1)의 전체 증기 트랩(2)(본 예에 있어서의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한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 및 그 금액 환산값 MQt'를 유추적으로 연산한다.
(f) 상기한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와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를 합계한 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를 연산하는 동시에 그 금액 환산값 MQt"를 연산한다.
(g) 누출 진단기(12)로부터 입력한 진단 결과에 있어서의 각 누출점에 대한 연산 조건(특히 유체의 항목)에 따라, 각 배관계(3, 5, 6)에 있어서의 대표 배관계 부분(3a, 5a, 6a)의 각각에 대한 누출 개소수 Ns, Np, Nn(즉, 증기와 압축 공기와 질소 가스와의 유체 종류별의 누출 개소수)를 구하고, 또, 증기에 대한 누출 개소수 Ns(본 예에서는 대표 구역(1a)에서 증기 누출이 있었던 바이패스용 밸브의 대수에 상당함)와, 키보드 조작에 의해 별도 입력된 증기 배관계(3)의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있어서의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a 따라, 증기 배관계(3)의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있어서의 바이패스용 밸브 중 증기 누락 밸브가 차지하는 대수 비율을 밸브 불량율 Kv로서 연산한다.
(h) 누출 진단기(12)로부터 입력한 진단 결과에 있어서의 각 누출점에 대한 연산 결과 및 연산 조건(특히 유체의 항목)에 따라, 각 누출점에서의 누출에 의한 유체 손실량 q(qs, qp, qn)를 각 배관계(3, 5, 6)에 있어서의 대표 배관계 부분(3a, 5a, 6a)의 각각에 대하여 집계한 소계값 Σqs, Σqp, Σqn(즉, 증기와 압축 공기와 질소 가스와의 유체 종류별의 유체 누출 손실 소계)를 연산하고, 또, 이들 유체 종류별의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s, Σqp, Σqn의 각각에 미리 입력된 각 유체의 단가를 곱하는 형태로, 이들 유체 종류별의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s, Σqp, Σqn 각각의 금액 환산값 MΣqs, MΣqp, MΣqn을 연산한다.
(i)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별도 입력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와 그 중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a에 따라, 이들 밸브 장비수의 비율의 값(V/Va)를 증기에 대한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s를 곱하는 형태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한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즉, 바이패스용 밸브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 qs를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값)의 유추값을 연산하고, 또 그 금액 환산값 MQs를 연산한다.
그리고, 또 밸브에 한정되지 않고, 조인트부, 관재, 배관 접속선 장치(7)로부터의 누출도 진단하는 압축 공기 배관계(5) 및 질소 가스 배관계(6)에 대하여는, 동일하게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별도 입력된 각 배관계(5, 6)에 대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전체 배관량 X, Y와 대표 배관계 부분(5a, 6a)의 배관량 Xa, Ya에 따라, 그들 배관량의 비치(X/Xa, Y/Ya)를 압축 공기 및 질소 가스에 대한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p, Σqn에 곱하는 형태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압축 공기 배관계(5)의 전체에 대한 압축 공기 누출 손실 총량 Qp(즉, 압축 공기 배관계(5)의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압축 공기 손실량 qp를 압축 공기 배관계(5)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값)의 유추값, 및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질소 가스 배관계(6)의 전체에 대한 질소 가스 누출 손실 총량 Qn(즉, 질소 가스 배관계(6)의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질소 가스 손실량 qn을 질소 가스 배관계(6)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값)의 유추값을 연산하고, 또, 이들 금액 환산값 MQp, MQn를 연산한다.
즉, 누출 진단기(12)로부터 입력한 각 대표 배관계 부분(3a, 5a, 6a)에 대한 진단 결과와,
배관계마다의 평가량비 정보 RV, RX, RY로서 별도 입력된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와 그 중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a,
및 압축 공기 배관계(5) 및 질소 가스 배관계(6) 각각에 대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전체 배관량 X, Y와 대표 배관계 부분(5a, 6a)의 배관량 Xa, Ya에 따라, 대상 설비(1)의 전체에 대한 유체 종류별의 유체 누출 손실 총량 Qs, Qp, Qn의 유추값을 연산하는 동시에 이들 금액 환산값 MQs, MQp, MQn를 연산한다.
(j) 키보드 조작 등에 의해 별도 입력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전체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Qi와 필요 증기 총량 Qo에 따라, 이들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Qx, 및 그 금액 환산값 MQx를 연산하는 동시에 수급 증기 총량 Qi 중 불명 증기 총량 Qx가 차지하는 비율을 불명 증기율 Kx로서 연산한다.
*또, 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 Qt+Qt'와 유체 종류별의 유체 누출 손실 총량 Qs, Qp, Qn 중 증기의 누출 손실 총량 Qs를 합산한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 Qt"+Qs), 및 그 금액 환산값 MQts를 연산하는 동시에 불명 증기 총량 Qx 중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가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로서 연산한다.
그리고, 또 불명 증기 총량 Qx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를 줄인 기저(基底) 불명 증기 총량 Qxx를 연산하여, 수급 증기 총량 Qi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량 Qts를 줄인 양(즉, 개선 후의 수급 증기 총량) 중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가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로서 연산한다.
즉,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가 트랩 교환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인데 대하여,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는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 배관이나 장치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증기 응축 등에 의해 생기는 증기 손실의 총량이다. 즉, 트랩 교환이나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서도 해소할 수 없는 증기 손실량이며, 따라서, 상기한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는, 트랩 교환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에 의해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 Qx의 저감율(즉,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하여 증기 손실을 트랩 교환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을 나타낸다.
또, 불명 증기율 Kx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는, 트랩 교환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에 의해 실현되는 불명 증기 총량 Qx의 저감율을, 이들 양쪽 값 Kx, Kxx의 대비 상에 있어서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들 연산 처리와 동시에,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은 메이커측 담당자의 지시에 의해, 집계 프로그램 PS에 따라, 상기(a)~(j)의 연산 처리의 연산 결과와 앞서의 입력 정보에 따른 데이터 작성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고, 이 데이터 작성 처리에서는, 프린트 아웃 한 지면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도 6~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는 종합 평가용의 전자 데이터 D를 작성한다(데이터 작성 스텝).
즉, 이 전자 데이터 D는, 프린트 아웃 지면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 진단일을 기재한 「보고서 표지」, 「증기 수지」의 항, 「불명 증기의 상세」의 항, 「트랩 작동 진단 및 유체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의 항, 「시스템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의 항, 「유지보수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의 항, 「진단의 결론」의 항을 가지고, 이들 항은 다음의 (k)~(p)와 같은 내용의 것이다.
(k) 증기 수지의 항(도 7)에는, 수급 증기 총량 Qi, 필요 증기 총량 Qo, 불명 증기 총량 Qx의 각 상세와 상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증기 수지도표를 표기한다.
(l) 불명 증기의 상세의 항(도 8)에는, 불명 증기율 Kx, 불명 증기 총량 Qx 및 그 금액 환산값 MQx를 표기하는 난과,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 및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를 표기하는 동시에 개선에 의한 효과 금액으로서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의 금액 환산값 MQts를 표기하는 난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표기하 는 난을, 그 순서로 표시한다.
(m) 트랩 작동 진단 및 유체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의 항(도 9)은, 트랩 작동 진단의 항과 증기 배관계 누출 진단의 항과 타배관계 누출 진단의 항으로 나눈다. 트랩 작동 진단의 항에는, 트랩 불량율 Kt,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 Σqs 및 그 금액 환산값 MΣqs, 모든 대표 증기 트랩수 Ta, 대표 증기 트랩(2a)의 용도별 및 형식 다른 대수 Ta1, Ta2…, 대표 증기 트랩(2a)의 용도별 및 형식 다른 트랩 불량율 Kt1, Kt2…,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소계 Σqs의 금액 환산값 MΣqs에 대한 대표 증기 트랩(2a)의 용도별 및 형식 다른 내역값 MΣqs1, MΣqs2…, 및 시뮬레이션 대수 비율 α를 표기하는 난과, 대상 설비(1)의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전체 증기 트랩수 T,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 및 그 금액 환산값 MQt,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 및 그 금액 환산값 MQt', 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 및 그 금액 환산값 MQt"를 표기하는 난을 표시한다.
또, 증기 배관계 누출 진단의 항에는, 증기 배관계(3)의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a, 밸브 불량율 Kv, 증기 배관계(3)의 대표 배관계 부분(3a)에 대한 누출 개소수 Ns(즉, 증기 누락이 있던 바이패스용 밸브의 대수), 증기에 대한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s 및 그 금액 환산값 MΣqs를 표기하는 난과,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한 바이패스용 밸브의 장비수 V,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 및 그 금액 환산값 MQs를 표기하는 난을 표시한다.
그리고, 또 타배관계 누출 진단의 항에는, 압축 공기 배관계(5)의 대표 배관계 부분(5a)에 대한 누출 개소수 Np, 압축 공기에 대한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p 및 그 금액 환산값 MΣqp, 질소 가스 배관계(6)의 대표 배관 부분(6a)에 대한 누출 개소수 Nn, 질소 가스에 대한 유체 누출 손실 소계 Σqn 및 그 금액 환산값 MΣqn를 표기하는 난과, 압축 공기 누출 손실 총량 Qp 및 그 금액 환산값 MQp, 및 질소 가스 누출 손실 총량 Qn 및 그 금액 환산값 MQn를 표기하는 난을 표시한다.
(n) 시스템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의 항(도 10)에는, 시스템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된 시스템 개선 여지가 있는 현행의 시스템 구성의 각각에 대한 시스템 개선안을 조목별로 나누어 쓴 글 형태로 표기하고, 또 이들 개선안의 각 표기 항에는, 시스템 개선안과 함께 경제 효과로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된 효과 금액 Ma1, Ma2…(즉, 시스템 개선안의 채용 실시에 의해 전망되는 에너지 절약면이나 생산성면에서의 경비 절감 금액), 및 시스템 개선안의 실시 비용 Ha1, Ha2…를 표기한다.
(o) 유지보수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의 항(도 10)에는, 유지보수 개선 진단의 진단 결과로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된 방식 개선 여지가 있는 현행의 유지보수 방식의 각각에 대한 방식 개선안을 조목별로 나누어 쓴 글 형태로 표기하고, 또 이들 개선안의 각 표기 항에는, 방식 개선안과 함께 경제 효과로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입력된 효과 금액 Mb1, Mb2…(즉, 방식 개선안의 채용 실시에 의해 전망되는 유지보수면에서의 경비 절감 금액), 및 방식 개선의 실시 비용 Hb1, Hb2…를 표기한다.
(p) 진단의 결론의 항(도 11)은, 증기의 항과 다른 유체의 항과 시스템의 항과 유지보수의 항으로 나눈다. 증기의 항에는, 트랩 교환과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 얻어지는 경제 효과로서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의 금액 환산값 MQts를 표기하는 동시에 그 트랩 교환과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필요한 비용 Hts를 표기한다.
또, 다른 유체의 항에는, 압축 공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 얻어지는 경제 효과로서 압축 공기 누출 손실 총량 Qp의 금액 환산값 MQp를 표기하는 동시에 그 수복에 필요한 비용 Hp를 표기하고, 또한 질소 가스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해 얻어지는 경제 효과로서 질소 가스 누출 손실 총량 Qn의 금액 환산값 MQn를 표기하는 동시에 그 수복에 필요한 비용 Hn를 표기한다.
그리고, 또 시스템의 항에는, 시스템 개선에 의한 효과 금액 Ma1, Ma2…의 합계 ΣMa, 및 시스템 개선에 필요한 비용 Ha1, Ha2…의 합계 ΣHa를 표기하고, 마찬가지로, 유지보수의 항에는, 유지보수 방식의 개선에 의한 효과 금액 Mb1, Mb2…의 합계 ΣMb, 및 유지보수 방식의 개선에 필요한 비용 Hb1, Hb2…의 합계 ΣHb를 표기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종합 평가용의 상기 전자 데이터 D는, 「진단의 결론」의 항에 계속되어, 상기 각 항에서 표기하는 각 값에 대한 「계산」의 항을 가지고,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은 상기 각 항과 마찬가지로, 집계 프로그램 PS에 따라, 상기 (a)~(j)의 연산 처리의 연산 결과와 앞서의 입력 정보에 따라, 이 「계산」의 항을 작성한다.
메이커 측의 담당자는, 전술한 각 진단 후, 기본적으로는, 그 진단일 중에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의한 상기 연산 처리 및 데이터 작성 처리를 행하고, 작성한 종합 평가용의 전자 데이터 D를 지면에 프린트 아웃 한 보고서, 또는 작성한 종합 평가용의 전자 데이터 D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 보고서를 가지고 동일자 중에 트랩 작동 진단, 유체 누출 진단, 시스템 개선 진단, 유지보수 개선 진단 각각의 진단 결과를 고객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보고한다.
그리고, 이 종합 평가용의 전자 데이터 D를 사용한 일괄 보고에 의해, 설비의 종합적이고 또한 효과적인 경비 절감이 가능한 것을 고객에게 나타내고 설비의 종합적인 개선(즉, 트랩 교환, 누출 개소의 수복, 시스템 구성의 개선, 유지보수 방식의 개선)을 고객에게 진언하고, 또 그 종합적인 개선을 위한 설비 전체에 대하는 것보다 상세한 진단을 고객에게 진언한다.
그리고,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은 종합 평가용 전자 데이터 D의 작성과는 별도로, 메이커측 담당자의 지시에 따라, 자료 작성 프로그램에 따라, 앞서의 입력 정보나 연산 처리의 연산 결과에 따라 트랩 관리 자료, 배관계 관리 자료, 시스템 관리 자료, 유지보수 관리 자료 등을 작성한다.
이상 요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비 진단 방법으로서,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가 공급을 받는 증기의 총량인 수급 증기 총량 Qi, 및 그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증기 사용 장치(4)가 필요로 하는 증기의 총량인 필요 증기 총량 Qo를 파악하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 소정의 설비 개선(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교환 및 증기 누출 개소의 수 복)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증기 손실의 총량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 Qts로서 파악한다.
이들 파악한 각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 Qi와 필요 증기 총량 Qo와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Qx 중에서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 Qts가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로서 구하는 동시에,
수급 증기 총량 Qi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 Qx가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 Qx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 Qts를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로서 수급 증기 총량 Qi로부터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 Qts를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가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Kx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로서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에 대하여 작동 상태를 진단하는 트랩 작동 진단, 및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대하여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증기 누출을 진단하는 증기 누출 진단을 실시한다. 그리고,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qt+Δqt)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를 산출하는 동시에,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 qs를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들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와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와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를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의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불명 증기율 Kx,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한다.
또, 이 설비 진단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트랩 작동 진단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트랩(2) 중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2a)(대표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8)에 의해 작동 상태를 진단하고, 이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2a)에 대한 진단 결과, 및 이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2a)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에 대한 대수비 정보 RT에 따라,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전체 수에 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를 유추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마찬가지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대한 유체 누출 진단(증기 누출 진단)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 중 일부의 배관계 부분(3a)(대표 배관계 부분)에 대하여 누출 진단기(12)에 의해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증기 누출을 진단하고, 이 일부의 배관계 부분(3a)의 진단 결과, 및 이 일부의 배관계 부분(3a)과 모든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대한 평가량비 정보 RV에 따라,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한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를 유추적으로 산출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은 상기 진단의 진단 결과를 집계 처리하는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며(도 4, 도 5 참조), 이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있어서의 각 진단기(8, 12)와의 접속부(11a) 및 키보드(11b)는,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8)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 및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의 각 부에 대하여 누출 진단기(12)에 의해 실시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을 트랩 진단기(8) 및 누출 진단기(12)의 각각으로부터 받는 동시에,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Qi 및 필요 증기 총량 Qo의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 S1를 구성한다.
즉, 입력 수단 S1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구체적으로는, 그 진단 결과 및 대수비 정보 RT)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qt+Δqt)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를 연산하고, 또한 입력 수단 S1에 입력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구체적으로는, 그 진단 결과 및 평가량비 정보 RV)에 따라,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 qs를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를 연산하는 동시에,
입력 수단 S1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Qi 및 필요 증기 총량 Qo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 Qi와 필요 증기 총량 Qo와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Qx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와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와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가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로서 연산하고, 또한 수급 증기 총량 Qi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 Qx가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 Qx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를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로서 수급 증기 총량 Qi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를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가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Kx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로서 연산하는 연산 수단 S2를 구성한다.
그리고, 또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있어서의 컴퓨터부(11c)는, 연산 수단 S2의 연산 결과에 따라, 불명 증기율 Kx, 불명 증기 총량 Qx,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등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D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수단 S3를 구성하고, 또한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11)에 있어서의 프린터(11d)나 디스플레이(11e)는, 데이터 작성 수단 S3가 작성한 평가용 데이터 D를 인위적인 판독이 가능한 상태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 S4를 구성한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열기한다.
집계 시스템(11)(진단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각 진단기(8, 12)로부터의 진단 결과의 입력에 대하여는, 각 진단기(8, 12)를 유선식이나 무선식으로 집계 시스템(11)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접속하여 입력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착탈식의 기억 매체를 통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나, 인터넷 또는 전화 회선망 등을 통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진단기(8, 12)의 측에서 연산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 qt나 유체 누출 손실량 qs, qp, qn를 진단 결과로서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진단기(8, 12)로부터는 진단 결과로서 각종의 검출값만 을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고, 그 입력 검출값에 따라 집계 시스템(11)의 측에서 개개의 증기 트랩(2)(2a)의 트랩 통과 증기 손실량 qt나 개개의 증기 누출점의 증기 누출 손실량 qs를 연산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는, 반드시 진단 대상 설비(1)에 있어서의 모든 증기 배관계일 필요는 없고, 진단 대상 설비(1) 중에서의 특정 용도 등의 일부의 증기 배관계라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전체 증기 트랩(2)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특정 용도나 특정 형식의 증기 트랩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와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를 합계한 합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를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산출하는 산출 대상의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대신하여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는 산출 대상에서 제하고,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만을 산출 대상의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와 트랩 불량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와의 합이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가 된다.
또, 트랩 형식에 관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를 산출 대상에 포함하는 경우, 각 증기 트랩(2)(2a)의 트랩 형식에 의한 트랩 통과 증기량의 Δpt'를 구 하는데 필요한 각 트랩의 형식은, 트랩 진단기(8)로부터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입력 형태로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급 증기 총량 Qi와 필요 증기 총량 Qo와의 2값을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여 집계 시스템(11)의 측에서 불명 증기 총량 Qx를 연산시키도록 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불명 증기 총량 Qx를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여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불명 증기율 Kx,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등의 값을 집계 시스템(11)에 연산시키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불명 증기 총량 Qx)을 소정의 설비 개선에 의해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값으로서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불명 증기율 Kx,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등을 구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표값으로서 적어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를 구하는 형태, 상기 지표값으로서 적어도 불명 증기율 Kx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하는 형태, 또는 상기 지표값으로서 적어도 불명 증기율 Kx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수급 증기 총량 Q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 Qxx가 차지하는 비율)를 구하는 형태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동 도 12 참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또는 Qt)와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와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를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 지표값(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불명 증기율 Kx, 개 선 후 불명 증기율 Kxx,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하고, 이로써,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교환(또는 수리)과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의 양자에 의한 설비 개선으로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도록 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은 평가 대상에서 제외하는 형태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또는 Qt)만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 지표값(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불명 증기율 Kx,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하고, 이로써,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교환(또는 수리)에 의한 설비 개선으로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고 인지를 파악하도록 해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은 평가 대상에서 제외하는 형태로,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만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으로서 상기 지표값(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불명 증기율 Kx,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구하고, 이로써,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에 있어서의 증기 손실을 증기 누출 개소의 수복에 의한 설비 개선으로 비율적으로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고 인지를 파악하도록 해도 된다.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또는 Qt)를 구하는 방식으로서는(동 도 12, 도 13 참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평가 대상 증기 트랩(2) 중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2a)(대표 증기 트랩)에 대하여 실제로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 및 대수비 정보 RT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 실 총량 Qt"(또는 Qt)의 유추값을 구하는 방식, 또는 대수비 정보 RT의 입력을 생략하는 형태로, 평가 대상 증기 트랩(2)의 전체 수에 대하여 실제로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또는 Qt)를 비유추적으로 구하는 방식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를 구하는 방식으로서는(동 도 12, 도 13 참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 중 일부의 배관계 부분(3a)(대표 배관계 부분)에 대하여 실제로 실시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 및 평가량비 정보 RV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의 유추값을 구하는 방식, 또는 평가량비 정보 RV의 입력을 생략하는 형태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의 전체에 대하여 실제로 실시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증기 누출 손실 총량 Qs를 비유추적으로 구하는 방식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트랩 진단기(8)로부터의 진단 결과 입력과는 별도로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는 대수비 정보 RT는, 트랩 진단기(8)로부터의 입력 진단 결과 등도 참고로 하면서 집계 시스템(11)이 모든 평가 대상 증기 트랩(2)과 트랩 진단기(8)에 의한 진단을 실시한 일부의 복수개 증기 트랩(2a)(대표 증기 트랩)와의 대수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내용의 정보라도 되고, 또 누출 진단기(12)로부터의 진단 결과 입력과는 별도로 집계 시스템(11)에 입력하는 평가량비 정보 RV도, 누출 진단기(12)로부터의 입력 진단 결과 등도 참고로 하면서 집계 시스템(11)이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3)의 전체와 누출 진단기(12)에 의한 진단을 실시한 일부의 배관계 부 분(3a)라는 평가량(밸브수나 배관량 등)의 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내용의 정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산 수단 S2의 연산 결과에 따라, 평가용 데이터 D(도 8 참조)로서 불명 증기율 Kx, 불명 증기 총량 Qx,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로서의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 등을 나타내는 내용의 데이터를 데이터 작성 수단 S3에 작성시키도록 했지만, 이 데이터 작성에 대하여는(동 도 12, 도 13 참조),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 Qx와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를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D, 또는 적어도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로서의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 내지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또는 Qt)와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 Kts를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D,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 Kx와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D,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 Kx와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 Kxx'를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D를 데이터 작성 수단 S3에 작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가용 데이터 D의 내용 표시 형태(인위적 판독이 가능한 상태에서의 내용 표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고, 또한 수급 증기 총량 Qi, 필요 증기 총량 Qo, 불명 증기 총량 Qx, 개선 가능 증기 손실 총량,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Qt(또는 Qt"), 합계 증기 손실 총량 Qts 등의 양의 값은, 그 연산이나 데이터 표기에 있어서 물질량(중량이나 용적)을 사용한 표현에 한정되지 않고, 금액 환산값을 사용한 표현을 채용하 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트랩 진단기(8) 및 누출 진단기(12)로서 서로 상이한 진단기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트랩 작동 진단용과 증기 누출 진단용을 겸하는 겸용 진단기를 사용하여 트랩 작동 진단 및 증기 누출 진단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화학 플랜트 등 증기 배관계를 가지는 각종의 분야의 설비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을 상기 트랩 진단기로부터 받고, 또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의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고,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불명 증기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는 연산 수단
    을 구비한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2.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장비된 복수개의 평가 대상 증기 트랩에 대하여 트랩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 및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각 부에 대하여 누출 진단기에 의해 실시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의 입력을 상기 트랩 진단기 및 상기 누출 진단기의 각각으로부터 받고, 또한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에 대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이들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의 입력을 받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트랩 작동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트랩 통과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트랩의 전체 수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을 연산하고,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증기 누출 진단의 진단 결과에 따라
    배관계 각 부로부터의 누출에 의한 증기 손실량을 평가 대상 증기 배관계의 전체에 대하여 집계한 양인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수급 증기 총량 및 필요 증기 총량, 또는 불명 증기 총량에 따라 수급 증기 총량과 필요 증기 총량의 차이인 불명 증기 총량 중에서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과 증기 누출 손실 총량의 합인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이 차지는 비율을 개선 가 능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거나,
    또는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 및 불명 증기 총량으로부터 합계 증기 손실 총량을 줄인 값을 기저 불명 증기 총량으로서 수급 증기 총량 중에서 기저 불명 증기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의 각각을 불명 증기율 및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로서 연산하는 연산 수단
    을 구비한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의 연산 결과에 따라, 적어도 불명 증기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트랩 통과 증기 손실 총량 내지 합계 증기 손실 총량과 개선 가능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 또는 적어도 불명 증기율과 외관상의 개선 후 불명 증기율을 나타내는 내용의 평가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KR1020077012049A 2003-10-03 2004-09-30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KR100828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5772A JP3790527B2 (ja) 2003-10-03 2003-10-03 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並びに、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JPJP-P-2003-00345772 2003-10-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911A Division KR100837782B1 (ko) 2003-10-03 2004-09-30 설비 진단 방법 및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498A KR20070085498A (ko) 2007-08-27
KR100828039B1 true KR100828039B1 (ko) 2008-05-08

Family

ID=344194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911A KR100837782B1 (ko) 2003-10-03 2004-09-30 설비 진단 방법 및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077012049A KR100828039B1 (ko) 2003-10-03 2004-09-30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911A KR100837782B1 (ko) 2003-10-03 2004-09-30 설비 진단 방법 및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49744A1 (ko)
EP (1) EP1669938B1 (ko)
JP (1) JP3790527B2 (ko)
KR (2) KR100837782B1 (ko)
CN (1) CN100504931C (ko)
AU (1) AU2004278943B2 (ko)
CA (1) CA2536678C (ko)
TW (1) TWI396807B (ko)
WO (1) WO2005034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265B2 (ja) * 2000-05-09 2008-01-30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管理装置
JP3672303B2 (ja) * 2003-10-02 2005-07-2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設備診断方法、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並びに、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US7246036B2 (en) * 2004-12-08 2007-07-17 Armstrong International, Inc. Remote monitor for steam traps
JP5065809B2 (ja) * 2007-08-23 2012-11-07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蒸気使用設備シミュレート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蒸気使用設備の改善手法探索方法
EP2690517B1 (en) * 2012-07-26 2016-04-13 ABB Research Ltd. Method and ear protection system for monitoring an industrial process
MY181620A (en) 2014-06-06 2020-12-29 Tlv Co Ltd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JP5680784B1 (ja) * 2014-08-04 2015-03-0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蒸気利用設備の管理方法、及び、蒸気利用設備
JP2016056922A (ja) * 2014-09-11 2016-04-21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配管経路判断装置
US10928004B2 (en) * 2015-04-07 2021-02-23 Tlv Co., Ltd. Threshold value calculation system, and threshold value calculation method
ES2943494T3 (es) * 2019-01-31 2023-06-13 Tlv Co Ltd Sistema de monitorización, método de monitorización y programa de monitorización para una instalación que utiliza vap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283A (en) * 1973-03-05 1974-08-06 Sun Oil Co Fluid leakage measuring apparatus
US4039846A (en) * 1975-08-18 1977-08-02 Allied Chemical Corporation Control of a steam-heating power plant
US4258668A (en) * 1978-12-26 1981-03-31 Martin Bekedam Closed pressurized feed water system supplying flash steam to a lower pressure process
JPS62212542A (ja) * 1986-03-14 1987-09-18 Tlv Co Ltd 蒸気漏洩量測定装置
JPH0614381B2 (ja) * 1986-04-15 1994-02-23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複数のスチームトラップの蒸気漏れデータの自動集計分析装置
ATE88000T1 (de) * 1987-02-09 1993-04-15 Tlv Co Ltd Ueberwachungseinrichtung fuer kondensatableiter.
JP3013067B2 (ja) * 1993-04-12 2000-02-28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トラップ選定装置
US5535136A (en) * 1994-05-17 1996-07-09 Standifer; Larry 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fluid leaks
JPH1139030A (ja) * 1997-07-15 1999-02-12 Tlv Co Ltd 設備管理装置及び設備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954183B1 (ja) * 1998-07-17 1999-09-27 株式会社ミヤワキ スチームトラップの検査方法、同検査装置及び同管理システム
JP3889626B2 (ja) * 2000-02-04 2007-03-07 隆啓 阿賀田 熱利用システム
JP3443618B2 (ja) * 2000-11-01 2003-09-08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蒸気トラップ販売・保守用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蒸気トラップ販売・保守用集計システム
TW522226B (en) * 2001-02-20 2003-03-01 Tlv Co Ltd Portable leak detector
JP4187432B2 (ja) * 2001-10-29 2008-11-26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機器監視システム
JP3987707B2 (ja) * 2001-10-29 2007-10-1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蒸気トラップ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3612A (en) 2005-04-16
AU2004278943A1 (en) 2005-04-14
EP1669938B1 (en) 2020-09-09
CN100504931C (zh) 2009-06-24
CA2536678A1 (en) 2005-05-14
CN1860507A (zh) 2006-11-08
KR20060058130A (ko) 2006-05-29
EP1669938A4 (en) 2006-11-22
WO2005034045A1 (ja) 2005-04-14
KR100837782B1 (ko) 2008-06-13
JP3790527B2 (ja) 2006-06-28
KR20070085498A (ko) 2007-08-27
CA2536678C (en) 2009-11-10
AU2004278943B2 (en) 2008-11-06
EP1669938A1 (en) 2006-06-14
US20080249744A1 (en) 2008-10-09
JP2005115456A (ja) 2005-04-28
TWI396807B (zh)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5829B2 (en) Method of diagnosing system, method of operating aggregating system for system diagnosis, and aggregating system for system diagnosis
US4833622A (en) Intelligent chemistry management system
KR100828039B1 (ko) 설비 진단용 집계 시스템
CA2616455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analysis system used for the device management method, analysis data structure, and maintenance inspection support apparatus used for the device management method
US10101022B2 (en)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20100045991A (ko) 증기 사용 설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증기 사용 설비의 개선 수법 탐색 방법
JP3721184B2 (ja) 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Fortes et al. Software support for the evaluation of energy losses from leaks
Rezinskikh et al.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rmal power stations in Russia at the present stage: problems and future objectives
Comanescu et al. Pipeline Integrity Management Experiences Using PiMSlider Software in Statoil
Walker et al. Development of a virtual environment for fault diagnosis in rotary machinery
Klein et al. Computed Radiography: An Innovative Inspection Technique
JPS6332611A (ja) 巡回保守点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