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50B1 -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350B1
KR100825350B1 KR1020060078806A KR20060078806A KR100825350B1 KR 100825350 B1 KR100825350 B1 KR 100825350B1 KR 1020060078806 A KR1020060078806 A KR 1020060078806A KR 20060078806 A KR20060078806 A KR 20060078806A KR 100825350 B1 KR100825350 B1 KR 10082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ocess mean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244A (ko
Inventor
츠카사 이나오
아츠유키 기타무라
마사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하는 부품을 선택하여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과, 이러한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착탈(着脫)되는 화상 형성 유닛(48)은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으로 분리된다. 감광체 유닛(62)은 감광체(52), 클리닝 장치(44), 및 대전 장치(54)를 수용하고, 현상 유닛(64)은 잠상 형성 장치(56)와 현상 장치(58)를 수용한다. 감광체(52), 클리닝 장치(44), 및 대전 장치(54)보다도 현상 장치(58) 및 잠상 형성 장치(56)의 장치 수명이 길다.
Figure R1020060078806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감광체 유닛, 현상 유닛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UNIT, REPLACEMENT METHOD FOR IMAGE FORMING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MAGE FORM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화상 형성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화상 형성 유닛이 감광체 유닛과 현상 유닛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화상 형성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된 화상 형성 유닛이 감광체 유닛, 현상 유닛, 및 노광 유닛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 : 중간 전사 벨트 16 : 화상 형성 수단
48 : 화상 형성 유닛 50 : 1차 전사 롤
52 : 감광체 54 : 대전(帶電) 장치
56 : 잠상(潛像) 형성 장치 58 : 현상(現像) 장치
60 : 클리닝 장치 62 : 감광체 유닛
64 : 현상 유닛 66 : 제 1 케이싱(casing)
68 : 제 2 케이싱 90 : 제 1 메모리 칩
92 : 제 1 안테나 94 : 제 2 메모리 칩
96 : 제 2 안테나 100 : 잠상 형성 유닛
102 : 제 3 메모리 칩 104 : 제 3 안테나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着脫)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갖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 형성 유닛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부품 교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평3-21587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2-9126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교환할 경우에는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동시에 교환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교환이 필요한 부품이 있으면, 교환이 불필요한 다른 부품의 교환도 한 번에 모두 교환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을 선택하여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과, 이러한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으로 하는 바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부착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갖고, 이 화상 형성 유닛은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유닛과,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한 제 2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유닛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의 사용 이력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제 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 1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과, 상기 제 2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을 더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송신 수단과 제 1 수신 수단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 및 제 2 송신 수단과 제 2 수신 수단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은,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3 유닛을 갖고, 상기 제 3 유닛은,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 및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3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 3 프로세스 수단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 제 3 기억 수단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 3 프로세스 수단의 사용 이력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3 유닛은 제 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송수신 수단을 더 갖고, 화상 형성 장치는 제 3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3 송신 수단과 제 3 수신 수단 사이의 정보 송수신 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은 적어도 상담지체와,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장치를 갖고,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은 적어도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갖고,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프로세스 수단은 노광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은 적어도 상담지체와,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장치를 갖고,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은 노광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은 적어도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갖고,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은 노광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유닛과,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한 제 2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유닛을 갖는 화상 형성 유닛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제 1 유닛 및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 1 화상 형성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유닛과 함께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제 2 유닛 중 적어도 한쪽을 교환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제 1 유닛 및 제 2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회수(回收)되어 재생된 제 1 유닛 및 회수되어 재생된 제 2 유닛의 적어도 한쪽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고, 상기 제 1 유닛은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제 1 화상 형성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한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 중간 전사 벨트(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14)에 대하여 예를 들어 4개의 화상 형성 수단(16)이 병렬 배치되어 있고, 화상 형성 장치(10)는 소위 탠덤 방식(tandem type)으로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수단(16)은 각각 황색, 자홍색, 청록색, 흑색의 각색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4) 위에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시트 공급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공급 장치(18)는 시트가 적재(積載)되는 시트 공급 카세트(20)와, 이 시트 공급 카세트(20)에 적재된 시트를 픽업하는 픽업 롤(pickup roll)(22)과, 시트를 분류하면서 송출하는 공급 롤(feed roll)(24) 및 지연 롤(retard roll)(26)을 갖는다. 시트 공급 카세트(20)는 도면 중의 앞쪽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보통지, OHP 시트 등의 피(被)전사체로서의 시트가 적재 수납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일단(一端) 부근(도면 중의 좌단(左端) 부근)에는 시트 공급로(28)가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 공급로(28)에는 반송 롤(29), 레지스트 롤(30), 2차 전사 롤(32), 정착 장치(34) 및 배출 롤(36)이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 롤(30)은 시트 공급로(28)에 송출된 시트를 1차 정지시키고, 적절한 타이밍으로 2차 전사 롤(32)에 보낸다. 정착 장치(34)는 가열 롤(34a)과 가압 롤(34b)로 이루어지고, 가열 롤(34a)과 가압 롤(34b)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시트에 토너상을 정착시키게 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는 배출 트레이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배출 롤(36)에 의해 배출 트레이부(38)에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가 배출되고, 이 배출 트레이부(38)에 적층된다. 따라서, 시트 공급 카세트(20)의 시트는 C자 형상의 패스(path)를 통과하여 배출 트레이부(38)에 차례로 배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타단(他端) 측(도면 중의 우단(右端) 측)에는 예를 들어 4개의 토너 보틀(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너 보틀(40)은 황색, 자홍색, 청록색, 흑색의 각 토너가 수용되고, 토너 공급로(도시 생략)를 통하여 화상 형성 수단(16)에 토너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4)는 복수의 반송 롤(42)에 의해 지지되고, 상술한 화상 형성 수단(16)이 설치되어 있는 벨트 면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반송 롤(42) 중의 하나가 2차 전사 롤(32)의 백업 롤(backup roll)을 구성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4)의 상단(上端) 근방에는 중간 전사 벨트용 클리닝 장치(44)가 배치되고, 반송 롤(42) 중의 다른 하나가 상기 클리닝 장치(44)의 백업 롤을 구성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4)의 상부에는 텐션 롤(tension roll)(46)이 배치되고, 이 텐션 롤(4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4)에 대하여 적당한 텐션을 부여한다.
화상 형성 수단(16)은 중간 전사 벨트(14)의 일면(一面)에 설치된 화상 형성 유닛(48)과, 중간 전사 벨트(14)의 이면(裏面)에 설치된 1차 전사 롤(50)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48)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우선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도면 중의 앞쪽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시트 공급 장치(18)의 시트 공급 카세트(20)에 적층된 시트는 픽업 롤(22), 공급 롤(24), 지연 롤(26) 등에 의해 1매씩 시트 공급로(28)에 송출된다. 이 시트 공급로(28)에 송출된 시트는 레지스트 롤(30)에 맞닿아 일시 정지되고, 적절한 타이밍으로 2차 전사 롤(32)에 보낸다. 그리고, 이 2차 전사 롤(3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4)의 토너상이 시트에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는 다시 정착 장치(34)에 보내지고, 열과 압력에 의해 시트에 토너상이 정착된다. 이 정착 장치(34)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는 배출 롤(36)에 의해 배출 트레이부(38)에 배출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48)을 교환할 경우에, 화상 형성 유닛(48)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동시에 교환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48)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48)을 구성하는 부품을 선택하여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48)의 상세(詳細)가 도시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48)은 중간 전사 벨트(14)에 대치(對峙)하는 감광체(52)와, 이 감광체(52)를 대전시키는, 예를 들어 롤로 구성된 대전 장치(54)와,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노광에 의해 감광체(52)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56)와, 이 잠상 형성 장치(56)에 의해 형성된 감광체(52) 위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58)와, 전사 후에 감광체(52) 위에 남은 토너를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6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48)은 제 1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감광체 유닛(62)과, 제 2 유닛으로서 사용되는 현상 유닛(64)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62)은 제 1 케이싱(66)에 감광체(52), 대전 장치(54), 및 클리닝 장치(60)가 수납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62)에 수납되는 대전 장치(54) 또는 클리닝 장치(60)가 제 1 프로세스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현상 유닛(64)은 제 2 케이싱(68)에 현상 장치(58) 및 잠상 형성 장치(56)가 수용되어 있다. 현상 유닛에 수납되는 현상 장치(58) 또는 잠상 형성 장치(56)가 제 2 프로세스 수 단으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제 1 케이싱(66)과 제 2 케이싱(68)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현상 장치(58)는 예를 들어 2성분 방식으로서,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오거(auger)(70, 72)와, 배출측 오거(72)의 경사 상부에 배치된 현상 롤(74)을 가지며, 현상제를 오거(70, 72)에 의해 교반(攪拌)하여 현상 롤(74)에 공급한다. 현상 롤(74)에서는 캐리어에 의한 자기(磁氣) 브러시가 형성되고, 이 자기 브러시에 의해 캐리어에 부착된 토너를 반송하여 감광체(52) 위의 잠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2성분 방식의 현상 장치(58)에 있어서, 오거(70, 72)보다 상방에 현상 롤(7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제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현상제를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어 현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60)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blade)로 이루어지는 토너 스크레이핑부(scraping part)(76)와, 이 토너 스크레이핑부(76)에 의해 긁어내진 토너를 회수하는 회수부(78)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 장치(54) 및 클리닝 장치(60)는 회전하는 감광체(52)에 접촉하여 마모되는 부분을 갖는 마모형 프로세스 수단인 반면, 현상 장치(58) 및 잠상 형성 장치(56)는 감광체(52)에 접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비(非)마모형 프로세스 수단이다. 따라서, 현상 장치(58)와 잠상 형성 장치(56)의 수명은 클리닝 장치(60) 및 대전 장치(54)의 수명보다도 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명이 비교적 짧은 클리닝 장치(60)와 대전 장치(54)를 제 1 케이싱(66)에 수납하여 감광체 유닛 (62)으로서 일체화하고, 또한 수명이 비교적 긴 현상 장치(58)와 잠상 형성 장치(56)를 제 2 케이싱(68)에 수납하여 현상 유닛(64)으로서 일체화하는 동시에,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을 분리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유닛(48)을 교환할 때에 반드시 화상 형성 유닛(48) 전체를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 중 어느 한쪽만을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전 장치(54)의 수명이 다하였지만, 현상 장치(58) 및 잠상 형성 장치(56)의 수명이 다하지 않았을 경우, 대전 장치(54)를 수납하는 감광체 유닛(62)만 교환할 수 있다.
감광체 유닛(62)에는 제 1 기억 수단 및 제 1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1 메모리 칩(90)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제 1 메모리 칩(90)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 1 메모리 칩(90)에 기억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1 안테나(9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메모리 칩(90)에는 감광체(52)에 대한 사용 횟수나 사용 시간 등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클리닝 장치(6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대전 장치(54)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어 이들 정보를 제 1 안테나(92)에 송신한다. 제 1 안테나(92)는 제 1 메모리 칩(9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 조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로 수신한 정보를 송신한다.
현상 유닛(64)에는 제 2 기억 수단 및 제 2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2 메모리 칩(94)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제 2 메모리 칩(9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 2 메모리 칩(94)에 기억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2 안테나(9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메모리 칩(90) 에는 현상 장치(58)에 대한 사용 횟수나 사용 시간 등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잠상 형성 장치(56)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잠상 형성 장치(56)의 광량(光量) 불균일에 관한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어 이들 정보를 제 2 안테나(96)에 송신한다. 제 2 안테나(96)는 제 2 메모리 칩(94)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 조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로 수신한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메모리 칩(90)과 제 1 안테나(92)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에 의해 실행되지만, 제 1 메모리 칩(90)과 제 1 안테나(92)를 신호선에 의해 접속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14)와 감광체(52)가 동기(同期)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대전 장치(54)에 의해 감광체(52)의 표면이 대전되어 잠상 형성 장치(56)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다. 이 잠상 형성 장치(56)에 의해 형성된 감광체(52) 위의 잠상은 현상 장치(58)에 의해 현상된다. 이 현상 장치(58)에 의해 현상된 토너상은 1차 전사 롤(5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4)에 전사된다. 각 화상 형성 수단(16)에 의해 형성된 각색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14)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중첩된다. 대전 장치(54)에 의한 대전 조건은, 제 1 메모리 칩(90)으로부터 송신되고, 제 1 안테나(92)에 의해 수신된 대전 장치(54)의 사용 이력에 의거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된다. 잠상 형성 장치(56)에 의한 노광량은, 제 2 메모리 칩(94)으로부터 송신되고, 제 2 안테나(96)에 의해 수신된 노광 불균일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보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메모리 칩(94)과 제 2 안테나(96)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에 의해 실행되지만, 제 2 메모 리 칩(94)과 제 2 안테나(96)를 신호선에 의해 접속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48) 전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서 화상 형성 유닛(48)을 우선 하방으로 이동시켜, 감광체(52)와 중간 전사 벨트(14)를 이간(離間)시킨 후에, 화상 형성 유닛(48)을 도면 중의 앞쪽으로 인출한다. 한편, 화상 형성 유닛(48)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화상 형성 유닛(48)을 도면 중의 앞쪽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한 후, 화상 형성 유닛(48)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감광체(52)를 중간 전사 벨트(14)에 접촉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감광체 유닛(62)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상 형성 유닛(48)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화상 형성 유닛(48)을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으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교환용의 새로운 감광체 유닛(62)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된 현상 유닛(64)을 접속시켜 감광체 유닛(62)이 교환된 상태의 화상 형성 유닛(48)을 조립한다. 그 후, 이 화상 형성 유닛(48)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현상 유닛(64)을 남긴 채, 감광체 유닛(62)만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하고, 새로운 감광체 유닛(62)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된 현상 유닛(64)을 교환할 경우도, 화상 형 성 유닛(48)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하고, 교환용 현상 유닛(64)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된 감광체 유닛(62)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48)을 조립한 후, 이 화상 형성 유닛(48)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감광체 유닛(62)을 남긴 채, 현상 유닛(64)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인출하고, 새로운 현상 유닛(64)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취출(取出)된 화상 형성 유닛(48), 감광체 유닛(62), 및 현상 유닛(64)은 회수되어 재생된다. 감광체 유닛(62)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마모된 대전 장치(54)의 교환이 실행된다. 감광체 유닛(62)을 재생할 때에는, 제 1 메모리 칩(90)에 기억된 감광체(52)의 사용 이력, 클리닝 장치(60)의 사용 이력, 및 대전 장치(54)의 사용 이력에 의거하여 교환할 부품이 결정된다. 또한, 현상 유닛(64)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수명이 다한 현상 장치(58)의 교환이 실행된다. 현상 유닛(64)을 재생할 때에는, 제 2 메모리 칩(94)에 기억된 잠상 형성 장치(56)의 사용 이력과 현상 장치(58)의 사용 이력에 의거하여 교환할 부품이 결정된다.
재생된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은 각각 단체(單體)로 교환용 유닛으로서 출하된다. 또한, 재생된 감광체 유닛(62)과 재생된 현상 유닛(64)을 조합시켜 새로운 화상 형성 유닛(48)이 제조된다. 감광체 유닛(62) 또는 현상 유닛(64) 중 한쪽에 재생된 것을 사용하고, 다른쪽은 새롭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유닛(48)을 제조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48)의 상세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48)은 감광체 유닛(62)과 현상 유닛(64)의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64)은 감광체 유닛(62), 현상 유닛(64), 및 잠상 형성 유닛(100)의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감광체 유닛(62), 현상 유닛(64), 및 잠상 형성 유닛(1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분리 가능하다.
잠상 형성 유닛(100)이 수납되는 잠상 형성 장치(56)의 장치 수명은 현상 유닛(64)에 수용되는 현상 장치(58)보다도 장치 수명이 길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48)은 가장 장치 수명이 긴 잠상 형성 장치(56)를 수납하는 잠상 형성 유닛(100), 다음으로 장치 수명이 긴 현상 장치(58)를 수납하는 현상 유닛(64), 비교적 장치 수명이 짧은 클리닝 장치(60) 및 대전 장치(54)를 수납하는 감광체 유닛(62)과, 장치 수명의 장단(長短)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분리 가능한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유닛(48)을 교환할 때에 반드시 화상 형성 유닛(48) 전체를 교환할 필요는 없으며, 감광체 유닛(62), 현상 유닛(64), 또는 잠상 형성 유닛(100) 중 수명이 다한 장치를 수납하는 유닛만을 선택하여 교환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잠상 형성 유닛(100)은 제 3 기억 수단 및 제 3 송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3 메모리 칩(102)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제 3 메모리 칩(10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제 3 메모리 칩(94)에 기억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수신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3 안테나(10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메모리 칩(90)에는, 제 1 실시예서는 제 2 메모리 칩(94)에 기억되어 있던 잠상 형성 장치(56)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잠상 형성 장치(56)의 광량 불균일에 관한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어 이들 정보를 제 3 안테나(104)로 송신한다. 제 3 안테나(104)는 제 3 메모리 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 조건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로 수신한 정보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내에 착탈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되는 화상 형성 유닛, 이러한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 및 이러한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을 선택하여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과, 이러한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8)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부착되는 화상 형성 유닛을 갖고,
    이 화상 형성 유닛은,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유닛과,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유닛과,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유닛을 갖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제 3 유닛은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 및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긴 제 3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며,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은,
    상담지체(像擔持體)와,
    상기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갖고,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갖고,
    상기 제 3 프로세스 수단은 노광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상기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의 사 용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제 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 1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과,
    상기 제 2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송신 수단과 제 1 수신 수단 사이의 정보 송수신 및 제 2 송신 수단과 제 2 수신 수단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 3 프로세스 수단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 제 3 기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 3 프로세스 수단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3 유닛은 제 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수단을 더 갖고,
    화상 형성 장치는 제 3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수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3 송신 수단과 제 3 수신 수단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 선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갖는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착탈되는 제 1 유닛,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길고, 또한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갖는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유닛, 및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 및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길고, 또한 노광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상기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는 제 3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3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고,
    상기 제 1 유닛, 상기 제 2 유닛, 상기 제 3 유닛은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 방법.
  18.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장치를 갖는 제 1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1 유닛,
    상기 제 1 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길고, 또한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를 갖는 제 2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2 유닛, 및
    상기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유닛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 3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로세스 수단 및 상기 제 2 프로세스 수단보다도 수명이 길고, 또한 노광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상기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장치를 갖는 제 3 프로세스 수단을 수용하는 제 3 유닛
    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회수(回收)되어 재생된 제 1 유닛, 회수되어 재생된 제 2 유닛 및 회수된 제 3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유닛을 제조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060078806A 2005-12-26 2006-08-21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 KR10082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2369 2005-12-26
JP2005372369A JP2007171799A (ja) 2005-12-26 2005-12-26 画像形成装置、像形成ユニット、像形成ユニットの交換方向、及び像形成ユニッ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44A KR20070068244A (ko) 2007-06-29
KR100825350B1 true KR100825350B1 (ko) 2008-04-28

Family

ID=3819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06A KR100825350B1 (ko) 2005-12-26 2006-08-21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46826A1 (ko)
JP (1) JP2007171799A (ko)
KR (1) KR100825350B1 (ko)
CN (1) CN1004952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0428B2 (en) 2006-05-16 2010-12-28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holding portion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94977B2 (ja) * 2007-07-06 2012-08-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96282B2 (ja) * 2012-08-01 2014-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ニット集合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9342043B2 (en) 2012-08-01 2016-05-17 Sharp Kabushiki Kaisha Unit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96281B2 (ja) * 2012-08-01 2014-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ニット集合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128424B2 (ja) * 2012-10-25 2017-05-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996052B2 (en) 2016-02-10 2018-06-1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 an apparatus main bod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921538B2 (ja) * 2016-02-10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98929B2 (ja) 2017-12-27 2022-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51106B2 (ja) * 2018-03-12 2022-10-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14202B2 (ja) 2019-03-29 2022-02-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34807B2 (ja) * 2019-03-29 2023-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71309B2 (ja) 2019-04-26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209978B1 (ko) 2019-06-13 2021-01-29 이세창 판재용 쇼트 블라스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488A (ko) * 1997-10-22 1999-05-25 미네오 스스묵 접촉대전부재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유닛 및 전자사진식화상형성장치
KR20010039690A (ko) * 1999-10-20 2001-05-15 아끼구사 나오유끼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JP2003098823A (ja) 2001-09-26 2003-04-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151092A (ja) * 2003-11-14 2005-06-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からicメモリへ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KR20050073878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현상유닛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현상유닛 교체시기 판단방법
JP2005338214A (ja) 2004-05-25 2005-12-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1550A (ja) * 1990-11-30 1992-09-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367363A (en) * 1990-11-30 1994-11-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able electrophotographic process unit
JPH0572832A (ja) * 1991-09-18 1993-03-26 Minolta Camera Co Ltd 電子写真装置
JP3083027B2 (ja) * 1992-10-02 2000-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339981A (ja) * 1997-06-06 1998-12-22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139492B2 (en) * 2001-12-11 2006-11-2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ing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ismountable units necessary for image forming
JP3955769B2 (ja) * 2002-03-01 2007-08-0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CN100412704C (zh) * 2002-05-21 2008-08-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和计算机系统
JP4366045B2 (ja) * 2002-06-19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8434B2 (ja) * 2002-08-30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318923C (zh) * 2002-09-20 2007-05-30 株式会社理光 显影剂限制部件,显影装置,处理卡盒及图像形成装置
US6947655B2 (en) * 2003-02-05 2005-09-20 Schott Corporation Ruggedized optical fiber rearrangement device
JP2005189343A (ja) * 2003-12-24 2005-07-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488A (ko) * 1997-10-22 1999-05-25 미네오 스스묵 접촉대전부재와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유닛 및 전자사진식화상형성장치
KR20010039690A (ko) * 1999-10-20 2001-05-15 아끼구사 나오유끼 화상 형성 유닛, 잠상 담지체 유닛, 현상 유닛 및 화상형성 장치
JP2003098823A (ja) 2001-09-26 2003-04-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151092A (ja) * 2003-11-14 2005-06-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からicメモリへ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KR20050073878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재활용이 가능한 현상유닛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현상유닛 교체시기 판단방법
JP2005338214A (ja) 2004-05-25 2005-12-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5251C (zh) 2009-06-03
JP2007171799A (ja) 2007-07-05
US20070146826A1 (en) 2007-06-28
KR20070068244A (ko) 2007-06-29
CN1991632A (zh)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350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의 교환방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제조 방법
CN101211154B (zh) 电摄影成像设备和处理盒
US82044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a charging unit
US90314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guiding a latent image forming device
US7715765B2 (en) Detachable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345203B (zh) 显影装置、处理盒和成像设备
US2007005899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56827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像担持体ユニット
US100252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7463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9865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ユニット、画像形成ユニットの引き出し方法、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の装着方法
KR100643646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6184043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086269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089336A (ja) 画像形成装置
KR100816347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36537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37675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95382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3183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9885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
JP201026675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6634754B2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38280B2 (ja) 画像形成装置
CN102650838A (zh) 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