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971B1 -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971B1
KR100824971B1 KR1020060134428A KR20060134428A KR100824971B1 KR 100824971 B1 KR100824971 B1 KR 100824971B1 KR 1020060134428 A KR1020060134428 A KR 1020060134428A KR 20060134428 A KR20060134428 A KR 20060134428A KR 100824971 B1 KR100824971 B1 KR 10082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 resin
rubber
transparent abs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042A (ko
Inventor
진영섭
홍재근
박환석
이병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6/0057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32907A1/en
Priority to CN2006800557502A priority patent/CN101506300B/zh
Priority to KR1020060134428A priority patent/KR1008249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971B1/ko
Priority to US12/370,720 priority patent/US8232342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50 중량부와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50∼9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동화제 0.2∼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투명 ABS 수지,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열가소성수지, 유동화제, 내충격성, 유동성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유동화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용융압출 하여, 고무상과 매트릭스상의 혼화성을 높여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ABS 수지는 스티렌의 가공성, 아크릴로니트릴의 강성 및 내약품성, 부타디엔의 내충격성 등 물성강도와 미려한 외관특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전기 전자, 사무기기, 가전제품, 완구류, 문구류 등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는 장점이 있으나, 불투명한 특성 때문에 투명도가 요구되는 제품에는 주로 SAN(Styrene-Acrylonitrile), PC(Polycarbonate), PS(Polystyren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투명수지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SAN, PS 및 PMMA의 경우, 투명도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내충격성이 좋지 못하여 그 용도에 한계가 있다. 또한 PC의 경우에도 우수한 투명도 및 내충격성의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내화학성이 좋지 못한 단점 때문에 용도전개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ABS 수지를 투명화하여 내충격성과 투명성의 특성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 투명 ABS 수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ABS 수지에 관하여,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0429062호, 제0507336호, 제0519116호,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6-016853호, 미국특허 등록번호 제4767833호, 미국특허 공개번호 제2006/0041062호, 및 일본특허 공개번호 제2006-63127호에서는 분산상과 연속상인 매트릭스 수지의 굴절율 차이를 0.005 이내로 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방법의 고무입자 또는 고무-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의 충격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ABS 수지가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주된 기술로는 사용되는 고무입자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빛의 산란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분산상인 고무의 굴절율과 연속상인 매트릭스 수지의 굴절율을 일치시켜 연속상과 분산상 사이의 계면에서 빛의 산란과 굴절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투명성에 있어서는 실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수준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런데,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투명성 못지않게 중요한 물성으로 충격강도와 유동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물성은 압출 또는 사출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형상의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물성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서는 다양한 기술로 제조된 고무입자를 통하여 투명 ABS 수지의 충격강도를 높이는 방법들을 개시하고 있을 뿐, 매트릭스 수지와의 용융혼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충격강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언급이 없는 실정이다. 상기의 기술들에서는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무상과의 굴절율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혹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불포화니트릴화합물과 혼합하여 공중합하였는데,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혹은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포함된 수지는 고분자 사슬이 뻣뻣하여 고무상과의 혼화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명 ABS 수지의 충격강도와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 및 유동화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용융압출 하여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함으로 써, 고무상과 매트릭스상의 혼화성을 높여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무상과 매트릭스상의 혼화성을 높여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50 중량부와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50∼9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동화제 0.2∼0.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A)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계 고무, SBR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무에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니트릴 화합물의 혼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제조된다.
상기 중합은 에멀젼 중합, 현탁중합, 이온중합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t-부틸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로는 스티렌이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아크릴로니트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의 굴절율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니트릴 화합물 등의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중합은 에멀젼 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연속괴상중합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수지 매트릭스는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굴절률 차이가 바람직하게는 0.005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차이가 0∼0.003인 것을 사용한다. 굴절률 차이가 0.005를 초과할 경우, 투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t-부틸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로는 스티렌이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아크릴로니트릴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C) 유동화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동화제는 스테아레이트 유도체, 스테아르아미드(stearamide) 유도체, 폴리실록산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바륨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스테아레이트 유도체,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프로필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등의 스테아르아미드 유도체 및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 아크릴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폴리실록산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의 사용량은 고무 또는 고무-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의 총 사용량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0.2∼0.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유동화제의 사용량이 0.2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조된 투명 ABS 수지의 충격강도 및 유동성이 저하되며, 0.5 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제조된 투명 ABS 수지의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안정제, 광안정제, 증백제, 염료, 안료, 대전방지제, 가소제,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ABS 수지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구성성분을 압출기나 kneader, mixer 등을 사용한 공지의 혼합방법으로 혼합한 후, 압출하여 펠렛 형태나 여러 가지 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 및 유동화제를 혼합하고 200∼280℃의 실린더 온도에서 압출혼련기를 사 용하여 펠렛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실시예 1
유화중합으로 제조한 폴리부타디엔고무/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부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65 중량부 및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2 중량부를 혼합하고 220℃의 실린더 온도에서 2축 압출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의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1에 정리하였다. 사용한 폴리부타디엔고무/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굴절율은 메트리콘사의 프리즘커플러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513으로 서로 같았다.
실시예 2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3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3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실시예 1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실시예 2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6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4
유화중합으로 제조한 SBR 고무/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부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65 중량부 및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3 중량부를 혼합하고 220℃의 실린더 온도에서 2축 압출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의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2에 정리하였다. 사용한 SBR 고무/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굴절율은 메트리콘사의 프리즘커플러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533으로 서로 같았다.
비교실시예 3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비교실시예 4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0.6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ABS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투명 ABS 수지를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정리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해 1/8″시편을 제조하고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Haze(%): 3㎜ 두께의 시편을 사용하여 Nippon Denshoku Haze meter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3) 유동성(g/10 min, 220℃)/10㎏) : ASTM D-1238에 의해 측정하였다.
유동화제 함량 Haze 충격강도 유동성
실시예 1 0.2 중량부 2.0 16.6 20
2 0.3 중량부 2.0 16.5 20
3 0.5 중량부 2.0 16.2 20
비교예 1 0.1 중량부 2.0 10.6 16
2 0.6 중량부 2.0 14.5 20
유동화제 함량 Haze 충격강도 유동성
실시예 4 0.3 중량부 2.1 14.5 25
비교예 3 0.1 중량부 2.1 8.7 18
4 0.6 중량부 2.1 12.8 25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고무상과 매트릭스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투명 ABS 수지에 있어서 유동화제 함량이 적절한 경우에는 투명 ABS 수지의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유동화제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모두 좋지 못하며, 유동화제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는 유동성은 동등수준이나 충격강도가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 적합하지 않다.
이상의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고무 또는 고무-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 및 유동화제로 구성된 혼합물을 용융압출 하여, 고무상과 매트릭스상의 혼화성을 높여 내충격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10∼50 중량부; 및
    상기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굴절률 차이가 0.005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수지 매트릭스 50∼9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아레이트 유도체, 스테아르아미드 유도체, 폴리실록산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동화제 0.2∼0.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계 고무, SBR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무에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니트릴 화합물의 혼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 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 매트릭스는 고무/(메타)아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 화합물-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굴절률 차이가 0∼0.0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 매트릭스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방향족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니트릴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는 바륨스테아레이트, 칼슘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스테아레이트;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프로필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디메틸폴리실록산, 디에틸폴리실록산, 아크릴레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제, 광안정제, 증백제, 염료, 안료, 대전방지제, 가소제, 난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ABS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의 투명 ABS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펠렛.
KR1020060134428A 2006-09-12 2006-12-27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KR10082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5736 WO2008032907A1 (en) 2006-09-12 2006-12-27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CN2006800557502A CN101506300B (zh) 2006-09-12 2006-12-27 具有优异的冲击强度和流动性的透明abs树脂组合物
KR1020060134428A KR100824971B1 (ko) 2006-09-12 2006-12-27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US12/370,720 US8232342B2 (en) 2006-09-12 2009-02-13 Transparen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7885 2006-09-12
KR1020060087885 2006-09-12
KR1020060134428A KR100824971B1 (ko) 2006-09-12 2006-12-27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042A KR20080024042A (ko) 2008-03-17
KR100824971B1 true KR100824971B1 (ko) 2008-04-28

Family

ID=3918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428A KR100824971B1 (ko) 2006-09-12 2006-12-27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2342B2 (ko)
KR (1) KR100824971B1 (ko)
CN (1) CN101506300B (ko)
WO (1) WO2008032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423B1 (ko) * 2006-11-10 2008-06-09 제일모직주식회사 조성이 균일하고 분자량 분포가 좁은 열가소성 수지 및 그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US20090269531A1 (en) * 2007-10-26 2009-10-29 Dominique Arnould Resinous composition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process
CN101805488B (zh) * 2010-04-16 2012-12-19 深圳市科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透明abs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12016A (ko) * 2010-07-30 2012-02-09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 내장재용 인서트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6007789B2 (ja) * 2011-05-10 2016-10-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アクリル樹脂シート、アクリル樹脂積層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30074427A (ko) * 2011-12-26 2013-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동성,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20665B1 (ko) 2013-04-26 2016-05-23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644752B1 (ko) * 2014-09-16 2016-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20160067675A (ko) *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성형품
CN104864317A (zh) * 2015-06-12 2015-08-26 固态照明张家口有限公司 一种led筒灯
KR101949371B1 (ko) 2015-10-07 2019-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09810457B (zh) * 2017-11-22 2021-07-23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聚甲基丙烯酸甲酯树脂/丁二烯接枝聚合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632938B1 (en) * 2018-10-05 2023-05-03 Trinseo Europe GmbH Vinylidene substituted aromatic monomer and cyclic (meth)acrylate ester polymers
KR102474481B1 (ko) * 2019-06-13 2022-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5975333A (zh) * 2022-09-20 2023-04-18 广东拓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耐腐蚀环保塑料外壳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134A (ja) 2000-01-19 2001-07-24 Toray Ind Inc 透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020003484A (ko) * 2000-07-06 2002-01-12 성재갑 열가소성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20060088269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109A (ja) * 1985-10-09 1987-04-17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5210132A (en) * 1988-12-28 1993-05-11 Mitsui Toatsu Chemicals, Inc. Continuous process for preparing rubber modified high impact resin
US5466722A (en) * 1992-08-21 1995-11-14 Stoffer; James O. Ultrasonic polymerization process
US5973079A (en) * 1998-02-06 1999-10-26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 S.A. Large particle generation
CA2305928A1 (en) * 1999-04-15 2000-10-15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Process for preparation of elastomer modified polymer compositions with enhanced rubber phase volume fraction
US6448342B2 (en) * 2000-04-21 2002-09-10 Techno Polymer Co., Ltd. Transparent butadiene-based rubber-reinforced resin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WO2001096469A1 (en) * 2000-06-14 2001-12-20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rubber modified styrenics compositions
MY124925A (en) * 2000-07-26 2006-07-31 Toray Industries Rubber-reinforced styrene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49258C (zh) * 2000-08-04 2004-05-12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透明橡胶变性苯乙烯系树脂组成物
KR100429062B1 (ko) 2001-08-13 2004-04-29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0519116B1 (ko) 2002-06-12 2005-10-05 제일모직주식회사 내백화성과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507336B1 (ko) 2002-12-16 2005-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04087B1 (ko) 2003-09-25 2006-07-25 제일모직주식회사 고유동, 고광택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연속 제조방법
US20060142487A1 (en) * 2004-03-08 2006-06-29 Ray-Hsi Hsu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transparent rubber-modified monovinylidene aromatic resin
WO2005097905A1 (ja) 2004-03-31 2005-10-20 Techno Polym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KR100626954B1 (ko) * 2004-08-19 2006-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투명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063127A (ja) 2004-08-25 2006-03-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熱可塑性透明樹脂
KR100834423B1 (ko) * 2006-11-10 2008-06-09 제일모직주식회사 조성이 균일하고 분자량 분포가 좁은 열가소성 수지 및 그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134A (ja) 2000-01-19 2001-07-24 Toray Ind Inc 透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020003484A (ko) * 2000-07-06 2002-01-12 성재갑 열가소성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100360987B1 (ko) * 2000-07-06 2002-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KR20060088269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2907A1 (en) 2008-03-20
US20090156719A1 (en) 2009-06-18
CN101506300A (zh) 2009-08-12
CN101506300B (zh) 2011-05-04
KR20080024042A (ko) 2008-03-17
US8232342B2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971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KR101320326B1 (ko) 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792122B1 (ko) 고경도 열가소성 투명 abs 수지 조성물
KR101332432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74160B1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EP2599832A1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fi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KR2019008208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003346B1 (ko)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KR20140087879A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664844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0983872B1 (ko) 고광택, 고경도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5000199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3826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96938B1 (ko) 저선팽창계수를 가지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848176B1 (ko) 내열도가 우수한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07084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69249B1 (ko) 투명성,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474817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258148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322028B1 (ko) 스티렌계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0714887B1 (ko) 투명성 및 작업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6645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984536B1 (ko) 대전방지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11448B1 (ko) 폴리카보네이트/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