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59B1 -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59B1
KR100822159B1 KR1020050099800A KR20050099800A KR100822159B1 KR 100822159 B1 KR100822159 B1 KR 100822159B1 KR 1020050099800 A KR1020050099800 A KR 1020050099800A KR 20050099800 A KR20050099800 A KR 20050099800A KR 100822159 B1 KR100822159 B1 KR 10082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bs
graft copolymer
part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478A (ko
Inventor
김현도
김창묵
김정은
서혜원
오현택
이정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9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08F4/34Per-compounds with one peroxy-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중합을 이용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형분 함량 조절제로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고형분 함량 및 고무 함량이 높으면서도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및 열안정성이 향상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크릴로니트릴-부다티엔-스티렌, 레독스 개시제, 전해질, 고형분 함량, 고무 함량, 열안정성

Description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HAVING GOOD LATEX AND THERMAL STABILITY}
본 발명은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총고형분 함량 및 고무 함량이 높으면서도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이하 'ABS'라 함) 수지는 뛰어난 기계적 물성과 착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을 비롯한 각종 전자 제품의 하우징(Monitor housing), 완구, 사무기기, 자동차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수지이다.
ABS계 수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에 고무성분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고무성분을 단량체인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 및 용매에 녹여 용액중합을 하는 방법과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고무 라텍스에 아크릴로니트릴과 스 티렌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별도의 용액중합으로 제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혼합 가공하는 방법이 있다.
용액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ABS 수지의 경우 대량생산과 비교적 낮은 제조원가를 지니고 우수한 색상을 지니지만, 다양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기 힘들고 특수화된 고부가가치를 이룰 수 없다. 또한 표면광택, 충격강도, 열안정성 등의 물성이 하락하기에 그 사용은 제한되어 있거나,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ABS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ABS 수지는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고무 라텍스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괴상중합 또는 용액중합으로 제조된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배합하여 제조되고 있다.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ABS 수지는 높은 제조 원가에도 불구하고 용액중합으로 제조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와의 혼합을 통해 최종 제품인 ABS 수지를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단량체 조성 및 분자량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제조되고 있고 우수한 표면 광택과 충격강도를 지닌다.
고기능화 및 다양화의 장점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화중합 통한 ABS 수지의 고부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용액중합으로 생산된 SAN 수지를 혼합 시 제조원가가 높은 유화 ABS의 투입량을 줄이고, 제조원가가 비교적 낮은 용액중합 SAN 수지의 투입량을 늘리면서 최종 ABS 수지의 원하는 물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기술이다.
이를 위해서 기존 생산라인에서 라텍스 총고형분 함량을 증가시켜 생산량을 증대하거나, 라텍스 내의 고무 함량 증가시켜 최종 ABS 수지에 유화중합을 통한 ABS 수지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총고형분 함량 및 고무함량을 증가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고형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 상승에 따른 라텍스 안정성 저하 및 그에 따른 중합 중 응고물이 생성되어 효율적인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 및 열안정성, 표면광택이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대량생산 시 안정적인 물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고부가의 ABS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무의 모폴로지와 겔 함량, 고무 라텍스에 그라프트되는 공중합체의 분자량, 그라프트율 및 단량체 조성비 조절 등이 중요하다. 특히 높은 고형분 함량 및 높은 고무 함량의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중합 안정성 및 단량체들의 효과적인 고무 그라프팅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총고형분 함량 및 고무 함량이 높으면서도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화중합을 이용한 ABS계 그라프 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형분 함량 조절제로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평균 입자 직경이 0.26 내지 0.34㎛이고 겔 함량이 65 내지 95 중량%인 고무 라텍스 50 내지 85 중량부를 사용하고 고무 라텍스에 그라프트되는 단량체 조성으로 아크릴로니트릴을 비롯한 비닐시안 화합물과 스티렌을 비롯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중량비가 15:85 내지 40:60이 되도록 하며, 라텍스 점도를 떨어뜨리는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을 도입하고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 및 유화제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총고형분 함량이 50 % 이상의 중합 안정성이 우수한 라텍스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유화중합을 이용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형분 함량 조절제로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을 사용하되, 상기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이 고무 라텍스에 미리 투여되거나 또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 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a) 평균 입자 직경이 0.26 내지 0.34 ㎛이고 겔 함량이 65 내지 95 중량%인 고무 라텍스,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 선택되는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5 내지 30 중량%, 유화제, 탈이온수, 분자량조절제 및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을 중합 반응기에 투여한 후,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일괄투여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반응 개시와 동시에 상기 a)단계의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70 내지 95 중량%, 유화제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량체 유화액과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 및 활성화제를 연속투여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반응물에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일괄 투여하여 더욱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반응 개시 단계
본 단계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평균 입자 직경이 0.26 내지 0.34 ㎛이고 겔 함량이 65 내지 95 중량%인 고무 라텍스 50 내지 85 중량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비율이 85:15 내지 60:4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 선택되는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15 내지 50 중량부 중 5 내지 30 중량%, 유화제 0.1 내지 0.5 중량부, 탈이온수 60 내지 90 중량부, 분자량조절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포스페이트계 전해질 0.1 내지 1.0 중량부를 중합반응기에 일괄투여한 후, 중합반응기의 온도를 40 내지 50 ℃로 승온하고,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투여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한 후, 중합반응기의 온도를 60 내지 70℃로 서서히 승온시키는 단계이다.
b) 반응 단계
본 단계는 상기 a) 반응 개시 단계에서 상기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일괄투여하여 반응을 개시함과 동시에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70 내지 95 중량%, 유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탈이온수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량체 유화액 및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1 내지 3 시간 동안 연속투입하면서 중합 반응기의 온도를 70 내지 80 ℃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하는 단계이다.
c) 추가 반응 단계
상기 b) 반응 단계의 단량체 유화액과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의 투입이 완료된 후, 다시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일괄투여하고 중합반응기의 온도를 70 내지 80 ℃에서 1 내지 2 시간 동안 중합시켜 단량체의 전환율이 99 %이상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무 라텍스는 평균 입자 직경이 0.26 내지 0.34 ㎛이고, 겔 함량이 65 내지 9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이 0.26 ㎛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 제품의 광택과 색상은 개선되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0.34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충격성은 향상되나 광택 및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은 라텍스의 고형분 함량 조절제로, 높은 고형분 함량에서도 효과적으로 점도를 떨어뜨려 중합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르보네이트계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우수한 중합 안정성을 나타내나 최종 제품에 잔류 시 생상 저하를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전해질로는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소디움포스페이트 및 소디움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에틸스티렌 및 파라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과 함께 제3의 단량체를 더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의 단량체로는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그의 혼합물 등의 비닐계 단량체를 소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로는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퍼옥사이드, 다이아이소프로필 퍼옥사이드, 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부틸 퍼옥시 라우레이트 및 부틸 퍼옥시 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는 0.05 내지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는 상기 a)단계에서 전체 사용량의 30 내지 50 중량%로, 상기 b)단계에서 전체 사용량의 30 내지 50 중량%로, 그리고 상기 c)단계에서 전체 사용량의 10 내지 2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로는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소디움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화제1철, 덱스트로오스,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및 아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는 덱스트로오스 0.03 내지 0.3 중량부, 소디움파이로포스페이트 0.03 내지 0.3 중량부 및 황화제1철 0.001 내지 0.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는 상기 a)단계에서 전체 사용량의 60 내지 80 중량%로 사용되고, 상기 c)단계에서 20 내지 4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알칼리메틸 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의 비누 및 로진산의 알칼리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조절제로는 메르캅탄류가 흔히 사용되며 그중 3급 도데실 메르캅 탄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조절제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이 2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율이 25 내지 50인 경우에는 우수한 내충격성, 내화학성을 유지하면서, 광택도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그라프트율이 25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 제품의 광택도 및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는 널리 알려진 응집제인 황산, MgSO4, CaCl2 또는 Al2(SO4)3 등으로 응집한 후, 세척, 탈수, 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80 중량부 및 b)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200,000인 스티렌계 공중합체 2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b)스티렌계 공중합체는 괴상중합 또는 용액중합으로 제조된 것으로, 단량체 조성 중 비닐시안 화합물이 20 내지 3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0 내지 35 중량%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5 내지 35 중량%, 알 파메틸스티렌의 함량이 60 내지 70 중량% 및 스티렌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알파메틸스티렌 삼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광안정제, 윤활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착색제, 난연제, 증강제, 상용화제, 발포제, 목분, 충전재, 금속분, 항균제, 항곰팡이제, 실리콘 오일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a) 반응 개시 단계
가열장치가 설치된 중합반응기 내에 평균 입자 직경이 0.31 ㎛이고 겔 함량이 75 %인 고무 라텍스 65 중량부, 탈이온수 75 중량부,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0.5 중량부, 로진산칼륨 유화제 0.4 중량부를투여하고 반응기내 온도를 50℃로 유지한 다음 스티렌 5.4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1 중량부, 3급 도데실머캅탄 0.3 중량부와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0.087 중량부, 덱스토로즈 0.11 중량부, 황화제1철 0.002 중량부, 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0.1 중량부를 일괄투여 하였 다.
b) 반응 단계
상기 a)의 개시 반응과 동시에 이온교환수 10 중량부, 스티렌 19.8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7.7 중량부, 로진산칼륨 0.8 중량부,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0.019 중량부, 덱스트로즈 0.025 중량부, 황화제1철 0.001 중량부, 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0.1 중량부의 혼합 유화 용액을 140 분 동안 연속투여 하였다. 이때 반응온도를 70 ℃로 50 분 동안 상승시킨 후 70 ℃에서 90 분 동안 유지하였다.
c) 추가 반응 단계
상기 b)의 연속투여가 끝난 후,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0.019 중량부, 덱스트로즈 0.025 중량부, 황화제1철 0.001 중량부, 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0.05 중량부를 일괄투여하고, 다시 80 ℃로 승온한 후 1 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때 중합전환율은 98.9 %였고, 총고형분 함량은 53.0 %였다.
상기 제조된 중합 라텍스에 산화방지제 유화액 IR-1076(힌더드페놀계 산화방지제:Ciba) 0.7 중량부를 투입한 후, 황산수용액 2 중량부로 응고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하여 분말상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제조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그라프트율은 35 %였다.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5.4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정도이고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8 % 정도인 SAN 공중합체 74.6 중량부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활제 등을 첨가한 후 압출, 사출 성형하여 최종 고무함량이 16.5 %가 되게 시편을 제작하고 그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라프트율의 측정은 분말상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 g을 아세톤 100 ㎖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무성분에 그라프트되지 않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용해한 후, 초원심분리로 겔과 졸을 분리하여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구하였다.
[수학식]
그라프트율 = [(겔무게-고무무게)/(고무무게)] ×100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함량을 0.5 중량부 대신 0.1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함량을 0.5 중량부 대신 1.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탈이온수의 함량을 75 중량부 대신 6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탈이온수의 함량을 75 중량부 대신 8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탈이온수의 함량을 75 중량부 대신 8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대신 소디움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대신 포타슘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에서 전해질인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대신 소디움바이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라텍스 안정성 : 중합 후 응고물의 중량%를 측정하였다.
ㄴ) 아이조드 충격강도 : ASTM D256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시편의 두께는 1/4 인치이다.
ㄷ) 열안정성 : 250 ℃로 설정된 사출기 스크류 내부에서 수지를 15 분간 체류한 후에 사출하였을 때의 표면 색깔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표면 색깔 변화율이 적을수록 열안정성이 우수한 제품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고무함량 (%) 16.5
라텍스 안정성 (응고물 중량%) 0.02 0.05 0.01 0.04 0.01 0.2 0.07 0.03 0.02 0.03
아이조드 충격강도(1/4") (kg·cm/cm) 29 27 29 27 29 25 28 27 27 28
열안정성 (△E) 3.9 3.9 4.2 3.9 3.8 4.3 4.0 6.9 8.3 7.2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고형분 함량 조절제로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의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5와 비교하여 중합 라텍스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잔류하는 전해질이 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총고형분 함량 및 고무 함량이 높으면서도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및 열안정성이 향상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유화중합을 이용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무 라텍스 및 단량체 혼합물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a) 평균 입자 직경이 0.26 내지 0.34 ㎛이고 겔 함량이 65 내지 95 중량%인 고무 라텍스 50 내지 85 중량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비율이 85:15 내지 60:4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 선택되는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15 내지 50 중량부 중 5 내지 30 중량%, 유화제 0.1 내지 0.5 중량부, 탈이온수 60 내지 90 중량부, 분자량조절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포스페이트계 전해질 0.1 내지 1.0 중량부를 중합반응기에 일괄투여한 후,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투여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반응 개시와 동시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70 내지 95 중량%, 유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탈이온수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량체 유화액 및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연속투여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 반응 단계의 단량체 유화액과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의 투입이 완료된 후, 다시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와 활성화제를 일괄투여하여 더욱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고형분 함량 조절제인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이 고무 라텍스에 미리 투여되거나 또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 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페이트계 전해질은 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 소디움포스페이트 및 소디움하이드로젠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에틸스티렌 및 파라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은 제3의 단량체로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프로필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무수 말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비닐계 단량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레독스 개시제는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퍼옥사이드, 다이아이소프로필 퍼옥사이드, 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부틸 퍼옥시 라우레이트 및 부틸 퍼옥시 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알칼리메틸 알킬 설페이트, 설포네이트화된 알킬에스테르, 지방산의 비누 및 로진산의 알칼리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99800A 2005-10-21 2005-10-21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82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00A KR100822159B1 (ko) 2005-10-21 2005-10-21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00A KR100822159B1 (ko) 2005-10-21 2005-10-21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478A KR20070043478A (ko) 2007-04-25
KR100822159B1 true KR100822159B1 (ko) 2008-04-17

Family

ID=3817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800A KR100822159B1 (ko) 2005-10-21 2005-10-21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206B1 (ko) * 2007-12-13 2009-10-13 제일모직주식회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제조방법
KR101154413B1 (ko) * 2008-11-26 2012-06-1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KR101492032B1 (ko) * 2011-12-16 2015-02-11 제일모직주식회사 고온에서의 가공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2117B1 (ko) 2014-12-11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구경의 디엔계 고무 라텍스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EP4357380A1 (en) * 2021-08-06 2024-04-24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ft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383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2875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투명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383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2875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투명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478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8737B1 (en) Method for preparing rub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and rubber-reinforced the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US4393172A (en) High-notched-impact core-shell polymers having improved weather resistance
KR100835498B1 (ko) 기계적 강도와 착색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822159B1 (ko)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00011701A (ko) 대구경 고무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115798B1 (ko) 착색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425309B1 (ko)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021631A (ko) 내스크래치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내광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01098B1 (ko)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161486B1 (ko)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abs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72037B1 (ko)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57089B1 (ko) 광택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0785609B1 (ko) 라텍스 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441799B1 (ko)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708988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465200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94181B1 (ko) 생산효율이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 방법
KR100544907B1 (ko)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제조방법
KR100568410B1 (ko) 높은 전환율을 가지며 고형분 함량이 높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0791206B1 (ko)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568411B1 (ko) 열융착 특성이 우수한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60530B1 (ko) 표면광택 및 체류광택이 우수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68166B1 (ko)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0561339B1 (ko) Ab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98672B1 (ko)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