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447B1 -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 - Google Patents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1447B1 KR100821447B1 KR1020067021829A KR20067021829A KR100821447B1 KR 100821447 B1 KR100821447 B1 KR 100821447B1 KR 1020067021829 A KR1020067021829 A KR 1020067021829A KR 20067021829 A KR20067021829 A KR 20067021829A KR 100821447 B1 KR100821447 B1 KR 100821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ing
- main body
- cylinder
- movable body
- co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0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0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 marking p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1 mold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6 elastome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8 hair col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4 polyolefin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5 poly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84 skin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토출구(101c)를 갖는 전방튜브를 충전부재(101)로 하고, 상기 충전부재(101) 내부를 충전영역(101x)으로 하여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한 충전부재(101)를, 이동체(106), 이동체(106)를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결합부(104c, 106b) 및 회전저지부(102d, 106e)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본체측 조립체(140)의 선단측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부재(101)의 토출구(101c)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140)의 이동체(106)와의 사이의 영역(101x)에 충분히 채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첫회의 도포시에 도포용 충전물(L)을 신속히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포용 충전물을 밀어내어 도포하기 위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에 내장된 예컨대 액상충전물을 비롯한 도포용 충전물을 밀어내어 사용하는 데 제공하는 이동체 공급장치로서, 도포용 충전물이 충전되는 충전영역을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의 후단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통을 구비하고, 본체통과 조작통이 상대회전되면, 본체통 및 조작통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이동체가 전진하여, 상기 이동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이 전진함으로써 도포용 충전물이 선단측으로 밀어내어지고, 본체통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토출커버의 개구를 통해 도포용 충전물을 피도포부에 도포할 수 있는 이동체 공급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4-89687호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조작통에 대하여 피스톤을 갖는 이동체를 조립하고, 이어서 상기 이동체를 갖는 조작통에 대하여 본체통을 조립하고, 이어서 이러한 조립체를 세운 상태로 하여, 비교적 길이가 긴 본체통의 그 개방단과 피스톤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충전영역에 대하여 상기 본체통의 개방단측으로부터 도포용 충전물을 도입하여 충전하고, 마지막으로 토출커버를 덮어씌움으로써 상기 장치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덮어씌워진 토출커버의 선단의 내측에 도포용 충전물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 생겨, 구입후의 사용자에 의한 첫회의 도포시에 상기 공간으로 인해 도포용 충전물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첫회의 도포시에 도포용 충전물이 신속히 토출되어,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는, 용기내의 충전영역에 충전된 도포용 충전물을, 용기내에 배치된 이동체가 전진함으로써, 용기 선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로서, 통형상을 이루어 선단에 토출구를 갖는 전방튜브와, 통형상을 이루는 본체측 통체에, 이동체,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나사와 암나사의 나사결합부 및 이동체의 회전저지부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본체측 조립체를 구비하고, 전방튜브는 그 내부가 충전영역으로 되어 도포용 충전물이 충전되는 충전부재가 되고, 상기 도포용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부재가 본체측 조립체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측 조립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 따르면, 토출구를 갖는 전방튜브가 충전부재가 되고, 상기 충전부재 내부를 충전영역으로 하여 도포용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부재가, 이동체,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결합부 및 회전저지부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본체측 조립체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을 충전부재의 토출구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의 이동체와의 사이의 영역에 충분히 채울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 의한 첫회의 도포시에 도포용 충전물이 신속히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본체측 조립체는, 내부면의 축선방향 도중에, 이동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갖는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의 후단측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된 조작통과, 조작통의 바닥부로부터 연장시킨 횡단면이 비(非)원형형상인 축체부(軸體部)를 구비하고, 이동체는, 통형상을 이루어 축체부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축체부의 비원형형상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와 축체부의 걸림결합부분이 회전저지부가 되고, 충전부재는, 그 후반(後半)측의 외부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가, 본체통의 선단측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되어, 조작통과 본체통 또는 충전부재와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충전부재 외부면의 걸림고정부와 본체통 내부면의 걸림고정부가,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지 않고 직접 걸림고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구체적인 다른 구성으로는, 본체측 조립체는,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수용되는 동시에 이동체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내부면에 갖는 나사통과, 본체통의 바닥부로부터 연장시킨 횡단면이 비원형형상인 축체부를 구비하고, 이동체는, 통형상을 이루어 축체부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축체부의 비원형형상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와 축체부의 걸림결합부분이 회전저지부가 되고, 충전부재는, 그 후단측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가, 나사통의 외부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되어, 본체통과 충전부재와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충전부재를 덮는 캡이 상기 충전부재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걸림고정되어 있지 않은 회전이 자유로운 구성이라면, 캡을 충전부재에 덮어씌운 비사용시에 상기 캡과 본체통이 상대회전되더라도, 이동체가 공급되지 않고, 충전부재의 토출구로부터 도포용 충전물이 새어 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본체측 조립체는, 소정의 걸림결합부와, 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에 대하여 축선방향에 대면(對面) 배치되는 요철부를 가지며 탄성부에 의해 소정의 걸림결합부를 향해 가압된 회전량 규제부재를 내장하고, 회전량 규제부재의 요철부 및 소정의 걸림결합부는, 충전부재와 상기 충전부재를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부재와의 정역방향의 일정량의 상대회전에 따라 클릭 걸림결합되는 구성이면, 이동체의 전진상태 및 리턴상태가 클릭 걸림결합에 의한 클릭감에 의해 사용자에게 감지된다. 또한, 도포후에 사용자가 이동체의 리턴상태를 클릭감에 의해 감지하면서 상기 이동체를 다소 되돌림으로써, 충전부재의 토출구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충전영역에 충전된 도포용 충전물 및 상기 도포용 충전물에 혼입되는 공기가, 온도변화나 기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더라도, 상기 토출구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의 공간에 의해, 도포용 충전물이 토출구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요철부 및 걸림결합부는, 한쪽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ratchet)기구를 구성하여, 이동체의 전진만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최대 후퇴위치에 있는 이동체에 그 이상으로 후퇴시키고자 하는 회전력이 부여되면, 상기 이동체에 걸림결합되는 축체부가 조작통 또는 본체통의 바닥면에서 비틀려 끊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동체의 후단면에는, 선단측에 움푹 패이는 오목형상부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상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부분에 형성되고, 조작통 또는 본체통의 바닥면에서 축체부의 가장자리에는, 이동체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의 오목형상부로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볼록형상부 또는 상기 이동체의 볼록형상부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오목형상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이동체의 최대 후퇴시에 축체부에 작용하는 그 이상으로 이동체를 후퇴시키고자 하는 회전력은, 이동체의 후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형상부를 통해 조작통 또는 본체통의 바닥면에서 축체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상부, 또는 이동체의 후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상부를 통해 조작통 또는 본체통의 바닥면에서 축체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형상부에도 부여되어 분산되기 때문에, 축체부의 비틀려 끊어짐이 방지된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첫회의 도포시에 도포용 충전물이 신속히 토출되기 때문에,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캡을 벗긴 종단면도로서, 이동체가 최대로 전진했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본체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체통의 직교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조작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조작통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에 따른 화살선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Ⅷ선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이동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에 따른 화살선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이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이동체의 종단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나사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나사통의 종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에서의 클릭 스프링 부재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클릭 스프링 부재를 측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충전부재를 나타낸 종단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사용에 의한 도포체 및 도포용 충전물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각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축체의 비틀려 끊어짐 방지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후단부의 종단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클릭 스프링 부재 대신에 이용되는 래칫 스프링 부재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래칫 스프링 부재를 측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7에서의 도포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7에서의 도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에 의한 도포체 및 도포용 충전물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각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17에 나타낸 충전부재 및 도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7에 나타낸 충전부재 및 도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이동체가 최대로 전진했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28은 도 26 및 도 27에서의 용기내의 탄성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캡을 벗긴 종단면도로서, 이동체가 최대로 전진했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31은 도 29 및 도 30에서의 본체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본체통의 좌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29 및 도 30에서의 나사통을 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나타낸 나사통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나사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29 및 도 30에서의 래칫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래칫 스프링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29 및 도 30에서의 나사통 누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나타낸 나사통 누름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29 및 도 30에서의 충전부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29 및 도 30에서의 충전부재를 나타낸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0에 나타낸 충전부재의 나사통에 대한 걸림고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43은 도 29에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래칫 스프링 부재 대신에 이용되는 클릭 스프링 부재를 측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6, 18, 101 : 충전부재(전방튜브)
1g, 1f, 1h : 충전부재 외부면의 걸림고정부
1x, 18x, 101x : 충전영역
2 : 본체통(본체측 통체)
2a, 2b : 본체통 내부면의 걸림고정부
3 : 조작통(본체측 통체; 충전부재를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부재)
3c, 102c : 축체(축체부)
3d, 102d : 회전저지(회전저지부)
3f : 돌출부의 선단부(소정의 걸림결합부; 클릭기구; 래칫기구)
3g : 축체부의 볼록형상부
3h : 축체부의 오목형상부
4, 104 : 나사통
4c, 104c : 암나사(나사결합부)
6, 106 : 이동체
6b, 106b : 수나사(나사결합부)
6e, 106e : 회전저지(회전저지부)
6f : 이동체의 오목형상부
6h : 이동체의 볼록형상부
10c, 15c, 17c, 101c : 토출구
11, 111 : 클릭기구
12, 114 : 클릭 스프링 부재(클릭기구; 회전량 규제부재)
12a, 114a : 클릭톱니(요철부)
12b, 112b, 114b : 압축 스프링부(탄성부)
14, 112 : 래칫 스프링 부재(래칫기구; 회전량 규제부재)
14a, 112a : 래칫톱니(요철부)
40, 140 : 본체측 조립체
100, 200 :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
101h, 101f : 충전부재 내부면의 걸림고정부
102 : 본체통(본체측 통체; 충전부재를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부재)
104d, 104f : 나사통 외부면의 걸림고정부
104g : 래칫톱니(소정의 걸림결합부, 클릭기구; 래칫기구)
L : 도포용 충전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4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29∼도 4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이동체가 최대로 전진했을 때의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체통을 나타낸 각 종단면도, 도 5 ∼ 도 8은 조작통을 나타낸 각 도면, 도 9 ∼ 도 12는 이동체를 나타낸 각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나사통을 나타낸 각 도면, 도 15 및 도 16은 클릭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각 사시도, 도 17은 충전부재를 나타낸 종단 사시도, 도 18은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사용에 의한 도포체 및 도포용 충전물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각 설명도, 도 20은 축체 비틀려 끊어짐 방지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클릭 스프링 부재 대신에 이용되는 래칫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각 사시도, 도 23은 도포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도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상태변화도, 도 25는 충전부재 및 도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6 및 도 27은 충전부재 및 도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도 26 및 도 27에서의 용기내의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본 실시형태의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는, 도포용 충전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적절히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포용 충전물로서, 특히 적절한 것으로서 예컨대, 립글로스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립스틱, 아이컬러, 아이라이너, 미용액, 세정액, 네일 에나멜, 네일케어용액, 네일 리무버, 마스카라, 안티에이징, 헤어컬러, 두발용 화장재료, 오랄케어, 맛사지오일, 각질제거액, 파운데이션, 컨실러, 스킨 크림이나, 마킹펜과 같은 필기용구 등의 잉크, 액상의 의약품, 슬러지형상물 등을 비롯한 액상이나, 젤리형상, 페이스트형상을 포함하는 반죽형상 등의 반고체나, 고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점도가 높은 도포용 충전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는,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되는 충전영역(1x)을 내부에 구비한 전방튜브인 충전부재(1)와, 그 전반부에 충전부재(1)의 후반부를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충전부재(1)를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본체통(2; 본체측 통체)과, 상기 본체통(2)의 후단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된 조작통(3; 본체측 통체)과, 충전부재(1)의 선단부를 구성하여 도포용 충전물(L)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10)를 외형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이하, 용기내에, 선단부에 탄성체(9)를 구비하여 본체통(2) 또는 충전부재(1)와 조작통(3)을 상대회전하면 축선방향으로 전진/후진하는 이동체(6)와, 이러한 상대회전에 의한 이동체 (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결합기구(나사결합부)로서의 나사통(4)과, 정역방향의 상대회전에 동기하여 클릭감을 부여하는 클릭기구(11)를 개략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2)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축선방향 중앙부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요철형상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요철형상이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널링(knurling, 2a)을 가지고 있다. 상기 널링(2a)은, 그 전반부가 충전부재(1)를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그 후반부는 나사통(4)을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체통(2)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충전부재(1)를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통(2)의 후부측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2c)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원호형상 돌출부(2c)보다 앞쪽의 위치에, 둘레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2d)가 형성되어 있다. 원호형상 돌출부(2c)는 조작통(3)을, 원호형상 돌출부(2d)는 나사통(4)을, 각각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이들의 원호형상 돌출부(2c)와 원호형상 돌출부(2d)는, 축선방향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통(3)은, 도 5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선단측에 바깥 지름이 작은 지름이 되는 선단통부(3a)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통부(3a)의 외주면에,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2)의 원호형상 돌출부(2c)에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환형 홈부(3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통(3)에는, 도 5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바닥부 중앙에 선단측을 향하도록 축체(3c; 축체부)가 세워져 있다. 상기 축체(3c)는, 원기둥체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르는 6등배의 위치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d)를 구비한 횡단면이 비원형형상이고, 상기 돌출부(3d)가, 이동체(6)의 회전저지기구(회전저지부)의 한쪽을 구성하는 회전저지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통(3)은, 도 6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바닥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3e)를 둘레방향을 따라 8등배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3e)는, 그 선단부(3f)가 클릭기구(11)를 구성하는 소정의 걸림결합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돌출부(3e)의 선단부(3f)의 선단면은, 모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조작통(3)의 바닥면에서 축체(3c)의 가장자리에는, 선단측에 길이가 짧게 돌출되고, 이동체(6)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6)에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돌출부(3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g)는, 축체(3c)에 과도 한 회전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축체(3c)가 비틀려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축체 비틀려 끊어짐 방지기구의 한쪽을 구성하는 것으로, 축체(3c)의 각 돌출부(3d)의 후단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통(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통부(3a)로부터 본체통(2)의 내측에 삽입되어, 선단통부(3a)와 이보다 뒤쪽에 있는 바닥이 있는 부분과의 사이의 단차면이 본체통(2)의 후단면에 맞부딪쳐, 그 환형 홈부(3b)가 본체통(2)의 원호형상 돌출부(2c)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본체통(2)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나사통(4)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통형상체(4a)의 선단측에, 내측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통형상체(4b)를 연이어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내측의 통형상체(4b)의 내주면에 나사결합기구(나사결합부)의 한쪽을 구성하는 암나사(4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통(4)을 구성하는 외측의 통형상체(4a)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의 복수의 위치에 본체통(2)의 널링(2a)에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한 돌출부(4d)가 선단으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후단면 근처의 위치에 본체통(2)의 원호형상 돌출부(2d)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한 환형 홈부(4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의 통형상체(4a)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요철형상이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요철형상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널링(4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널링(4f)은, 클릭기구(11)를 구성하는 클릭 스프링 부재(12)를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나사통(4)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부로부터 본체통(2)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환형 홈부(4e)가 본체통(2)의 원호형상 돌출부(2d)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그 돌출부(4d)가 본체통(2)의 널링(2a)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본체통(2)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클릭 스프링 부재(12)는, 회전량 규제부재를 구성하고, 수지에 의한 사출성 형품으로 되어 있다. 상기 클릭 스프링 부재(12)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후단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에 걸림결합되는 요철부가 나란히 형성된 클릭톱니(12a)를 갖는 동시에, 상기 클릭톱니(12a)를 갖는 후단부를 접속하는 탄성부로서의 압축 스프링부(12b)를 가지고 일체화되어 있다. 클릭톱니(12a)는, 둘레방향을 따라 오름 경사와 내림 경사를 갖는 산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부(12b)는, 그 둘레벽에 대략 나선형상의 슬릿(12c)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슬릿(12c)에 의해, 눌려지는 클릭톱니(12a)를 그 압압(押壓)력에 대항하도록 가세한다. 또한, 클릭 스프링 부재(1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통(4)의 널링(4f)에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2d)가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릭 스프링 부재(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나사통(4)의 외측의 통형상체(4a)와 내측의 통형상체(4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나사통(4)내에 수용되고, 그 돌출부(12d)가 나사통(4)의 널링(4f)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나사통(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릭 스프링 부재(12)는, 나사통(4)의 외측 및 내측의 통형상체(4a, 4b)를 연결하는 선단부의 뒷면과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와의 사이에 클램프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릭 스프링 부재(12)의 클릭톱니(12a)는, 압축 스프링부(12b)에 의해 후방측으로 가세되어,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에 대하여 클릭 걸림결합되는 상태에 있다.
또, 클릭 스프링 부재(12)의 클릭톱니(12a) 및 이것에 클릭 걸림결합되는 조 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 형상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정역방향의 상대회전에 의해 클릭 걸림결합되는 형상이면 된다.
이동체(6)는, 도 9 ∼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에 플랜지부(6a)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플랜지부(6a)보다 뒤쪽으로부터 후단부에 걸치는 외주면에, 나사결합기구(나사결합부)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수나사(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체(6)의 플랜지부(6a)보다 앞쪽의 외주면에는,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체(9)를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의 플랜지부(6a) 근처로부터 후단에 걸치는 내주면에는,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6등배의 위치에, 방사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e)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e)가, 이동체(6)의 회전저지기구(회전저지부)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회전저지로 되어 있다. 더욱이, 이동체(6)의 후단면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6등배의 위치에, 선단측에 이동체(6)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오목형상부로서의 오목홈(6f)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6f)은, 축체 비틀려 끊어짐 방지기구의 다른 쪽을 구성함으로써, 이동체(6)의 최대 후퇴시에 조작통(3)의 돌출부(3g)에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된다.
상기 이동체(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부로부터 조작통(3)의 축체(3c)의 외측에 삽입되는 동시에 나사통(4) 내측의 통형상체(4b)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나사(6b)가 나사통(4)의 암나사(4c)와 나사결합한 상태에 서, 그 돌출부(6e)가 축체(3c)의 돌출부(3d, 3d) 사이에 걸림결합되어 조작통(3)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탄성체(9)는, 탄성변형되기 쉬운 예컨대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 탄성재로 성형되어 있다. 또, 실리콘 고무 이외에, 니트릴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부틸고무(IIR) 등의 압축성형에 의한 열경화성 소재나,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TPU),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 등의 사출성형에 의한 열가소성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9)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해 끝이 좁아진 조종(釣鐘) 형상을 이루고, 후단면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소정으로 연장되는 단붙이의 오목부(9a)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9a)의 후부측에, 이동체(6)의 환형 돌출부(6c)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한 환형 홈부(9b) 및 환형 돌출부(9c)를 축선방향에 가지고 있다. 또한, 탄성체(9)에는, 그 후단부의 외주면에, 충전부재(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수밀성(水密性)을 확보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9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9)는, 그 후부측으로부터 이동체(6)의 외측에 삽입되어, 그 후단면이 이동체(6)의 플랜지부(6a)의 선단면에 맞닿고, 그 환형 홈부(9b) 및 환형 돌출부(9c)가, 이동체(6)의 환형 돌출부(6c)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이동체(6)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체(9)내에는, 오목부(9a)로 진입한 이동체(6)의 선단부에 의해, 그 전반측에, 탄성체(9)의 탄성변형을 촉진하기 위한 공간(9d)이 구획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 (9)는, 이동체(6)가 최대로 전진하면, 충전부재(1) 선단의 도포체(10)의 후단부에 도달하도록, 치수, 배치 등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동체(6)의 수나사(6b) 및 나사통(4)의 암나사(4c)에 의해 나사결합기구가 구성되고, 이동체(6)의 돌출부(6e) 및 축체(3c)의 돌출부(3d)에 의해 회전저지기구가 구성되며, 클릭 스프링 부재(12)의 클릭톱니(12a) 및 압축 스프링부(12b)와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에 의해 클릭기구(11)가 구성되고, 이들에 의해 구성되는 도포용 충전물(L)의 압출기구, 이동체(6) 및 탄성체(9)가, 본체통(2) 및 조작통(3)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측 통체에 내장되어 본체측 조립체(40)가 구성되어 있다(도 18 참조).
충전부재(1)는, 내부의 충전영역(1x)에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을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선단부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전부재(1)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포용 충전물(L)의 색조나 충전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위해 투명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재(1)는, 도 1, 도 2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이루고, 선단부의 외부면(1a)이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재(1)의 선단부에는, 외부면(1a)에 대하여 일정한 두께를 두고 경사면이 되는 내부면(1b)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내부면(1b)과 외부면(1a)을 연통하는 개구(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부재(1)의 외주면에는, 축선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본체통(2)의 선단측의 개방단에 맞부딪치게 하기 위해 바깥 지름이 큰 지름이 된 플랜지부(1d)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1d) 근처의 앞쪽의 위치에, 충전부재(1)의 플랜지부(1d)로부터 앞쪽을 덮는 캡(7; 도 1 참조)을 착탈가능하도록 축선방향으로 걸어고정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부재(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d) 근처의 뒤쪽의 위치에, 본체통(2)의 환형 돌출부(2b)에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환형 홈부(1g) 및 환형 돌출부(1f)가 축선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후단부의 위치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h)가 둘레방향의 4등배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h)는, 본체통(2)의 널링(2a)에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부재(1)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뒤쪽으로 개방되어 선단측을 향하는 공기빼기홈(1i)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재(1)는, 그 후부측으로부터 본체통(2)의 내측에 삽입되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d)의 후단면이 본체통(2)의 선단측의 개방단에 맞닿고, 환형 홈부(1g) 및 환형 돌출부(1f)가, 본체통(2)의 환형 돌출부(2b)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돌출부(1h)가, 본체통(2)의 널링(2a)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본체통(2)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상기 본체통(2)과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재(1)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7)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충전부재(1)는, 도 1, 도 2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도포용 충전물(L)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포체(10)는, 고무재료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이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 부근이 솟아오르도록 만곡하는 만곡된 원판형상의 도포부(10a)와, 상기 도포부(10a)의 가장자리측의 이면에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연이어 형성된 환형의 장착부(10b)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부(10a)에는 그 내부면과 외부면을 연이어 통하여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0c)가 형성되고, 장착부(10b)에는 도포부(10a)측의 근원(根元)위치의 외주면에 축심측으로 움푹 패이는 환형 홈부(10d)가, 충전부재(1)의 개구(1c)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1j)에 걸림결합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체(10)는, 그 장착부(10b)를 축심측으로 휘게 하여 충전부재(1)의 개구(1c)의 내측에 삽입되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0b)의 후단부가 충전부재(1)내에 진입하고, 그 환형 홈부(10d)가, 충전부재(1)의 개구(1c)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1j)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충전부재(1)에 이탈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개구(1c)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포체(10)의 도포부(10a)는, 피(被)도포부에 눌려지면 후방으로 움푹 패이도록 탄성변형되고, 피도포부로부터 떨어지면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를 조립할 경우에는, 조작통(3)에 클릭 스프링 부재(12)를 수용하도록 올려 놓고, 한편, 이동체(6)의 선단부에 나사통(4)을 비틀어 넣고, 상기 이동체(6)의 선단에 탄성체(9)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체(9) 및 나사통(4)을 갖는 이동체(6)를 조작통(3)의 축체(3c)에 연결하고, 상기 조립체에 본체통(2)을 밀어넣어 장착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체측 조립체(40)가 얻어진다.
한편, 충전부재(1)에 있어서는, 도포체(10)의 토출구(10c)를 마개(13)로 막아 거꾸로 한 상태에서, 충전영역(1x)에 소정량의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하여 채워 충전부재(1)의 선단내에 공간이 없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된 충전부재(1)를, 본체측 조립체(40)의 선단측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 때, 충전부재(1)는, 그 내주면이, 탄성체(9)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9g)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초기위치에 세트되어, 그 내주면의 공기빼기홈(1i)이, 환형 돌출부(9g)를 축선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빼기홈(1i)을 통해 도포용 충전물측의 공기가 후방측으로 양호하게 빠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개(13)를 벗겨낸다. 또, 마개(13) 대신에, 충전 후 및 사용자가 사용하기 직전에 벗겨낼 수 있는 점착제가 도포된 시일을,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되기 전에 도포체(10)의 토출구(10c)에 부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에 따르면,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된 충전부재(1)가, 본체측 조립체(40)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부재(1)에 충전한 후의 조립이 용이한 동시에,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부재(1)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도포체(10)의 토출구(10c)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40)의 이동체(6)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체(9)와의 사이의 충전영역(1x)에, 충분히(가득)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본체통 (2) 또는 충전부재(1)와 조작통(3)이 상대회전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기구 및 회전저지기구에 의해 이동체(6)가 전진/후진하고, 이때, 이러한 상대회전에 따라, 전술한 클릭기구(11)를 구성하는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와 상기 선단부(3f)측으로 가세되는 클릭 스프링 부재(12)의 클릭톱니(12a)가 클릭 걸림결합을 반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클릭감이 부여되어, 상기 클릭감에 의해 이동체(6)의 전진상태, 리턴상태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를 구입한 후의 첫회의 도포시에, 사용자가 본체통(2) 또는 충전부재(1)와 조작통(3)을 클릭감을 수반하면서 상대회전하여 이동체(6)를 전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부재(1)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도포체(10)의 토출구(10c)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40)의 이동체(6)의 탄성체(9)와의 사이의 충전영역(1x)에 충분히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대회전을 필요 이상으로 반복하지 않고 신속하게(즉시),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L)이 도포체(10)의 토출구(10c)로부터 토출된다. 따라서,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체(10)의 도포부(10a)를 피도포부(A)에 눌러붙여서 도포용 충전물(L)을 피도포부(A)에 도포 한다. 이 때, 도포체(10)의 도포부(10a)는, 피도포부(A)에 대한 눌러붙임에 의해 후방으로 움푹 패이도록(찌그러지도록) 탄성변형한다. 이와 같이 도포체(10)의 도포부(10a)가 탄성변형하기 때문에, 피부 등의 피도포부(A)에 닿는 감촉이 부드럽고 양호하다. 또한, 도포체(10)의 도포부(10a)가 눌려 찌그러짐으로써, 내압(內壓)이 오르고, 도포용 충전물(L)이 적정량 토출되어 사용량이 확보된다.
그리고, 도포가 끝나고, 도포체(10)가 피도포부(A)로부터 떨어지면,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체(10)의 도포부(10a)는, 원래의 위치(도 19의 (a) 참조)로 탄성복귀한다. 이때, 도포체(10)의 도포부(10a)의 토출구(10c)를 포함하는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B)이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시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 충전부재(1)의 충전영역(1x)에 충전된 도포용 충전물(L) 및 상기 도포용 충전물(L)에 혼입되는 공기가, 온도변화나 기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더라도, 상기 소정의 공간(B)에 의해, 도포용 충전물(L)이 도포체(10)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품질이 향상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에 따르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본체통(2) 또는 충전부재(1)와 조작통(3)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체(6)가 최대로 전진하면, 탄성체(9)가, 충전부재(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도포부(10)의 그 장착부(10b)의 후단부에 맞닿고, 이러한 원환형을 이루어 경사지는 후단부를 따라 탄성변형한다. 이 때, 탄성체(9)내의 공간(9d)에 의해 상기 탄성체(9)는 한층 적합하게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체(9)의 탄성변형에 의해, 종래의 이동체에서는 밀어낼 수 없는 대략 발굽형(비스듬한 원기둥형상)의 공간(용기선단내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공간)에 남는 도포용 충전물(L)이, 낭비없이 충분히 밀어내어져 소비된다. 이에 따라, 쓰고 남은 것이 저감되는 경제적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로 되어 있다.
또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에 따르면, 충전부재(1)의 외주면의 걸림고정부인 환형 홈부(1g) 및 환형 돌출부(1f)와 본체통(2)의 내주면의 걸림고정부인 환형 돌출부(2b), 충전부재(1)의 외주면의 걸림고정부인 돌출부(1h)와 본체통(2)의 내주면의 걸림고정부인 널링(2a)이,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지 않고 직접 걸림고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관상 보기 좋고 사용감을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로 되어 있다.
또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에 따르면, 클릭기구(11)에 의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클릭감에 의해, 이동체(6)의 전진상태, 리턴상태가 사용자에게 감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6)가 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후퇴위치에 있는 이동체(6)에 그 이상으로 후퇴시키고자 하는 상대회전력이 사용자에 의해 부여되면, 상기 이동체(6)에 걸림결합되는 축체(3c)가 조작통(3)의 바닥면에서 비틀려 끊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동체(6)의 최대 후퇴시에 조작통(3)의 바닥면의 복수의 돌출부(3g)와 이동체(6)의 후단면의 복수의 홈(6f)이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기 때문에, 축체(3c)에 작용하는 그 이상으로 이동체(6)를 후퇴시키고자 하는 회전력은, 이동체(6)의 홈(6f)을 통해 조작통(3)의 돌출부(3g)에도 부여되어 분산되므로, 축체(3c)의 비틀려 끊어짐이 방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품질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로 되어 있다.
또, 축체(3c)의 비틀려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체(6)의 홈(6f) 대신에 오목형상부인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가 조작통(3)의 돌출부(3g)에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축체 비틀려 끊어짐 방지기구의 다른 예로서, 상기의 축체 비틀려 끊어짐 방지기구와는 반대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6)의 후단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상부(6h)를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형성하고, 조작통(3)의 바닥면에서 축체(3c)의 가장자리에, 이동체(6)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6)의 볼록형상부(6h)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오목형상부(3h)를 복수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클릭 스프링 부재(12) 대신에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래칫 스프링 부재(14)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래칫 스프링 부재(14)가 클릭 스프링 부재(12)와 다른 점은, 산형의 클릭톱니(12a)를, 둘레방향을 따라수직면과 내림경사면을 가지며 한쪽 방향만의 회전(이동체(6)가 전진하는 회전)을 허용하도록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도 6 ∼ 도 8 참조)에 맞물리는 소위 래칫톱니(14a)로 바꾼 점이다. 그리고, 조작통(3)의 돌출부(3e)의 선단부(3f), 래칫톱니(14a) 및 상기 래칫톱니(14a)를 선단부(3f)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부(12b)에 의해 래칫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래칫기구를 갖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 따르면, 본체통(2) 또는 충전부재(1)와 조작통(3)과의 한쪽 방향의 상대회전만이 허용되어, 사용자에게는 상대회전에 의해 래칫톱니가 맞물릴 때의 저항감이 부여되면서, 이동체(6)가 전진 만을 수행하고, 도포용 충전물(L)이 토출되어 도포하는 데 제공된다. 또, 다른 작용·효과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말하면, 이와 같이 래칫 스프링 부재(14)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동체(6)가 후진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체(6)의 오목형상부(6f) 및 조작통(3)의 볼록형상부(3g), 또는 이동체(6)의 볼록형상부(6h) 및 조작통(3)의 오목형상부(3h)는 없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도포체(10) 대신에,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5c)를 복수 갖는 도포체(15)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도포체(10) 대신에 도 24에 나타낸 도포체(21)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도포체(21)는,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체를 이루는 동시에 그 선단면의 중앙부 부근이 솟아오르도록 만곡하는 구성으로 되어, 그 중앙에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21c)가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포체(21)의 후단면의 가장자리부에는, 후단면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소정 길이 오목하게 형성된 환형 홈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 홈부(21e)는, 도포체(21)를 충전부재(1)의 개구(1c)에 압입할 때에, 상기 환형 홈부(21e)에서 외측부분을 축심측으로 휘게 하여 압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포체(21)의 외주면에는, 축심측으로 움푹 패이는 환형 홈부(21d)가, 충전부재(1)의 개구(1c)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1j)에 걸림결합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포체(21)는 충전부재(1)의 개구(1c)에 압입되어, 그 환형 홈부(21d)가 충전부재(1)의 개구(1c)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1j)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충전부재(1)에 이탈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충전부재(1)의 개구(1c)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포체(21)는,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시에 피도포부(A)에 눌러붙여지면 후방으로 움푹 패이도록 탄성변형하고, 피도포부(A)로부터 떨어지면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귀하며,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후에 도포체(21)의 내측(후방)에 소정의 공간(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충전부재(1)의 개구(1c)를 갖는 선단면은, 축선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낸 충전부재(16) 및 도포체(17)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충전부재(16)가 충전부재(1)와 다른 점은,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하기 위한 개구(16c)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가, 외측으로 되접어 반대로 꺽이는 환형의 반환부(16d)를 갖는 구성이 되어, 상기 환형의 반환부(16d)에 의해, 도포체(17)를 걸어결합하기 위한 주머니형상의 환형 홈부(16e)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도포체(17)가 도포체(10)와 다른 점은, 토출구(17c)를 가지며 외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된 원판형상의 도포부(17a)의 가장자리부에, 축심측 또한 뒤쪽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장착부(17b)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충전부재와 도포체를 고정부착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재질을 성형하기 위한 2색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코어백 방식이나 코어회전 방식의 금형에 2종류의 재질을 유입하여 성형하는 방법이나, 1재질째를 먼저 성형하고, 이것을 금형에 인서트하여 2재질째를 사출성형하는 인서트 사출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다. 1재질째를 충전부재로 하여 열가소성의 경질소재를 이용하고, 2재질째를 도포체로 하여 열경화성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연질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포체(17)는, 그 장착부(17b)가 충전부재(16)의 환형 홈부(16e)에 진입함으로써 걸림결합되어, 충전부재(16)에 이탈할 수 없도록 장착되고, 그 도포부(17a)가 충전부재(16)의 개구(16c)를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부재(16) 및 도포체(17)를 이용하더라도, 전술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26 ∼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를 구성하는 충전부재(18)내의 탄성체(19)에 의해, 도포체(20)를 탄성복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충전부재(18)는, 본체통(2)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된 충전부재 본체(18a)와, 상기 충전부재 본체(18a)의 선단부에 장착된 충전부재 선단부(18b)와, 상기 충전부재 선단부(18b)에 장착되어 도포체(20)를 유지하는 도포체 유지부(18c)를 구비하고, 전체가 대략 원통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충전부재 본체(18a)는 충전되는 도포용 충전물(L)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것이다. 충전부재 선단부(18b)는,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하기 위한 개구(18d)를 갖는 선단면이, 축선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이 선단 면의 개구(18d)로부터 후단면까지 연이어 통하는 토출통로(18e)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토출통로(18e)는, 축선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직경이 작은 좁은 통로(18f)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좁은 통로(18f)의 앞쪽과 뒤쪽이 직경이 큰 확대직경로(18g, 18h)로 되어 있다.
도포체(20)는, 예컨대 발포 우레탄이나 미세한 네트형상재료 등의 다공질재료에 의한 탄성체이며, 외측으로 만곡하는 만곡된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도포체(20)는, 후방측으로 접혀 구부러진 가장자리부가, 충전부재 선단부(18b)의 선단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도포체 유지부(18c)의 선단부에 눌려지도록 걸림결합됨으로써 충전부재(18)에 장착되어, 상기 충전부재(18)의 상기 개구(18d)를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충전부재 선단부(18b)의 앞쪽 확대직경로(18g)에는, 상기 탄성체인 압축 스프링(19)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19)은, 도포체(20)의 뒷면과 충전부재 선단부(18b)의 좁은 통로(18f)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클램프되어 배치되어, 도포체(20)를 상시 외측으로 가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서도,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된 충전부재(18)가, 본체측 조립체(40)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부재(18)에 충전한 후의 조립이 용이한 동시에,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부재(18)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도포체(20)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40)의 이동체(6)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체(9)와의 사이의 충전영역(18x)에, 충분히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서도,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구입한 후의 첫회의 도포시에, 사용자가 본체통(2) 또는 충전부재(18)와 조작통(3)을 클릭감을 수반하면서 상대회전하여 이동체(6)를 전진시키면,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영역(18x)에 충분히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대회전을 필요 이상으로 반복하지 않고 신속하게, 도포용 충전물(L)이 도포체(20)의 토출구로서 기능하는 다공질부분으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한 상태에서, 도 19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포체(20)를 피도포부(A)에 눌러붙여 도포용 충전물(L)을 피도포부(A)에 도포하면, 도포체(20)는 피도포부(A)에 대한 눌러붙임에 의해 압축 스프링(19)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움푹 패이도록 탄성변형하고, 도포가 끝나고 도포체(20)가 피도포부(A)로부터 떨어지면, 도포체(20)는 압축 스프링(19)의 가세력에 의해 도 27에 나타낸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귀한다. 이때, 도포체(2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B)이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시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 충전부재(18)에 충전된 도포용 충전물(L) 및 상기 도포용 충전물(L)에 혼입되는 공기가, 온도변화나 기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더라도, 상기 소정의 공간(B)에 의해, 도포용 충전물(L)이 도포체(20)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본체통(2) 또는 충전부재(18)와 조작통(3)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체(6)가 최대로 전진하면, 탄성체(9)가, 뒤쪽 확대직경로(18h)의 선단측의 경사면에 맞닿아 탄성변형하고, 상기 탄성체(9)의 선단부가 좁은 통로(18f)를 통해 앞쪽 확대직경로(18g)로 진출하도록 팽출( 膨出)되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L)이 양호하게 밀어내져 소비된다. 또, 다른 작용·효과에 관해서는, 전술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100)와 마찬가지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0은 이동체가 최대로 전진했을 때의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1 및 도 32는 본체통을 나타낸 각 도면, 도 33 ∼ 도 35는 나사통을 나타낸 각 도면, 도 36 및 도 37은 래칫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각 도면, 도 38 및 도 39는 나사통 누름부재를 나타낸 각 도면, 도 40 ∼ 도 42는 충전부재를 나타낸 각 도면, 도 43은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4는 래칫 스프링 부재 대신에 이용되는 클릭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는,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되는 충전영역(101x)을 내부에 구비한 전방튜브인 충전부재(101)와, 그 전반부에 충전부재(101)의 후반부를 내측에 삽입하여 상기 충전부재(101)를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본체통(102; 본체측 통체)을 외형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이하, 용기내에, 선단부에 피스톤(108)을 통해 탄성체(109)를 구비하여 본체통(102)과 충전부재(101)와의 상대회전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106)와, 이러한 상대회전에 의한 이동체(10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결합기구(나사결합부)로서의 나사통(104)과, 나사통(104)의 축선방향의 이탈을 저지하는 나사통 누름부재(105)와, 이동체(106)를 전진시키는 한쪽 방향의 상대회전을 허용하여 일정량의 상대회전에 따라 저항감(클릭감)을 부여하는 래칫기구(111)를 개략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102)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축선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반측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요철형상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요철형상이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널링(102a)과, 상기 널링(102a)보다 선단측의 내주면에, 환형 돌출부(102b)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널링(102a)은 나사통 누름부재(105)를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환형 돌출부(102b)는 나사통 누름부재(105)를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체통(102)에는, 그 바닥부 중앙에 선단측을 향하도록 축체(102c; 축체부)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체(102c)는, 횡단면이 십자형상을 이루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02d)를 구비한 횡단면이 비원형형상이고, 상기 돌출부(102d)가, 이동체(6)의 회전저지기구(회전저지부)의 한쪽을 구성하는 회전저지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통(102)은, 그 내주면에 바닥부로부터 널링(102a)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102e)를, 둘레방향을 따라 16등배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02e)는, 래칫기구(111)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래칫 스프링 부재(112)를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나사통 누름부재(105)는,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에 플랜지부(105a)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외주면의 플랜지부(105a) 근처의 뒤쪽의 위치에, 본체통(102)의 환형 돌출부(102b)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 한 환형 홈부(105b) 및 환형 돌출부(105c)를 축선방향에 가지고 있다. 또한, 나사통 누름부재(105)에는, 그 외주면의 환형 돌출부(105c)보다 뒤쪽의 위치에, 본체통(102)의 널링(102a)에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05d)가,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후단부의 위치에 대략 나선형상의 슬릿(105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통 누름부재(105)는, 그 외주면의 플랜지부(105a) 근처의 앞쪽의 위치에, 상기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플랜지부(105a)보다 앞쪽을 덮는 캡(107; 도 29 참조)을 착탈가능하게 축선방향으로 걸어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05f; 소위 맞춤못(dowel))를 둘레방향의 3등배의 위치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사통 누름부재(105)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부로부터 본체통(102)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플랜지부(105a)의 후단면이 본체통(102)의 선단측의 개방단에 맞닿고, 환형 홈부(105b) 및 환형 돌출부(105c)가 본체통(102)의 환형 돌출부(102b)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그 돌출부(105d)가 본체통(102)의 널링(102a)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본체통(102)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나사통(104)은, 도 33 ∼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후단부에 플랜지부(104a)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나사통(104)에는, 전반부의 내주면에, 나사결합기구(나사결합부)의 한쪽을 구성하는 암나사(10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통(104)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4부분에, 충전부재(101)를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04d)가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104d) 위에, 충전부재(101)를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04f)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04d)의 선단부는, 충전부재(101)의 후술하는 돌출부(101f, 101f)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모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통(104)의 플랜지부(104a)는 환형으로 구성되어, 그 후단측의 면에, 래칫기구(111)를 구성하는 래칫톱니(104g; 소정의 걸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칫톱니(104g)는,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면과 내림경사면을 나란히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동체(6)가 전진하는 한쪽 방향만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통(104)은,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플랜지부(104a)가, 본체통(102)의 돌출부(102e)의 선단면과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후단면과의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대략 나선형상인 슬릿(105e)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통(104)은 본체통(102)의 돌출부(102e)의 선단면으로 가세되어, 이에 따라, 보다 양호한 상대회전 저항이 발생한다. 또한, 캡(107)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를 선단방향으로 떨어뜨려도,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슬릿(105e)에 의해, 나사통(104)에 고정된 충전부재(101)(자세하게는 후술하기로 함)에 대한 충격이 완화되어, 부재의 파괴나 도포용 충전물(L)의 토출이 저지된다.
래칫 스프링 부재(112)는, 래칫기구(111)를 구성하는 동시에 회전량 규제부재를 구성하고, 수지에 의한 사출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상기 래칫 스프링 부재 (112)는,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선단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통(104)의 래칫톱니(104g)에 맞물리는(걸림결합되는) 요철부를 구성하는 래칫톱니(112a)를 나란히 형성하여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래칫톱니(112a)를 갖는 선단부를 접속하는 탄성부로서의 압축 스프링부(112b)를 가지고 일체화되어 있다. 래칫톱니(112a)는, 상기 래칫톱니(104g)와 마찬가지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면과 내림경사면을 나라히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압축 스프링부(112b)는, 그 둘레벽에, 대략 나선형상의 슬릿(112c)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슬릿(112c)에 의해, 눌려지는 래칫톱니(112a)를 그 압압(押壓)력에 대항하도록 가세한다. 또한, 래칫 스프링 부재(112)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본체통(102)의 돌출부(102e)에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12d)가,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칫 스프링 부재(112)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통(102)의 바닥면과 나사통(104)의 플랜지부(104a)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통(102)내에 수용되어, 압축 스프링부(112b)의 가압력에 의해 래칫톱니(112a)를 나사통(104)의 플랜지부(104a)의 래칫톱니(104g)에 눌러붙여 상기 플랜지부(104a)를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후단면에 맞부딪치도록 하는 동시에, 그 돌출부(112d)가 본체통(102)의 돌출부(102e, 102e) 사이에 걸림결합됨으로써, 본체통(102)에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래칫톱니(112a)는, 나사통(104)의 래칫톱니(104g)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다.
이동체(106)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이동체(6)의 플랜지부(6a)를 포함 하는 선단측을 없애는 동시에, 래칫기구(111)에 의해 이동체(106)가 후진하지 않기 때문에, 오목형상부(6f) 또는 볼록형상부(6h)를 없앤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통(102)의 바닥면에도, 오목형상부(6f)에 걸림결합되기 위한 볼록형상부(3g) 또는 볼록형상부(6h)에 걸림결합되기 위한 오목형상부(3h)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동체(106)의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이동체(6)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이동체(106)는, 그 후단부로부터 본체통(102)의 축체(102c)의 외측에 삽입되는 동시에 나사통(104)의 내측에 삽입되어,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106b)가 나사통(104)의 암나사(104c)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그 후단부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06e)가 축체(102c)의 돌출부(102d, 102d) 사이에 걸림결합되고, 본체통(102)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108)은, 상기 이동체(6)의 플랜지부(6a)를 포함하는 선단측의 부분과 거의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이동체(106)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08)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제 1 실시형태에서 탄성체(9)에 형성되어 있는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108a)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109)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탄성체(9)와 거의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피스톤(108)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피스톤(108)의 선단부에 탄성체(109)가 장착됨으로써, 탄성체(109)내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변형을 촉진하기 위한 공간(10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106)의 수나사(106b) 및 나사통(104)의 암나사(104c)에 의해 나사결합기구가 구성되고, 이동체(106)의 돌출부(106e) 및 축체(102c)의 돌출부(102d)에 의해 회전저지기구가 구성되며, 래칫 스프링 부재(112)의 래칫톱니(112a) 및 압축 스프링부(112b)와 나사통(104)의 래칫톱니(104g)에 의해 래칫기구(111)가 구성되고, 이들에 의해 구성되는 도포용 충전물(L)의 압출기구, 이동체(106) 및 탄성체(109)가, 본체측 통체인 본체통(102)에 내장되어 본체측 조립체(140)가 구성되어 있다(도 43 참조).
충전부재(101)는, 도포용 충전물(L)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을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선단부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선단부가 피도포부에 얹어져 도포하는 데 제공된다. 이를 위해, 충전부재(101)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포용 충전물(L)의 색조나 충전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위해 투명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재(101)는,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끝이 좁아지는 동시에, 축선방향이 대략 중앙부로부터 후단면까지가 외주 단차면(101d)을 통해 직경이 작아지는 단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재(101)는, 선단부의 도포면이 되는 외부면(101a)이, 예컨대 피부 등의 피도포부에 대한 도포에 적절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재(101)의 선단부에는, 외부면(101a)에 대하여 일정한 두께를 두고 경사면이 되는 내부면(10lb)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내부면(10lb)과 외부면(101a)을 연이어 통하여, 충전부 재(1)내에 충전되어 있는 도포용 충전물(L)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01c)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부재(101)의 후부측에는, 도 40 ∼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환형의 슬릿(101e)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후부측의 내주면에는, 충전부재(101)의 후단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슬릿(101)을 가로지르는 돌출부(101f)가,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떨어져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101e)은, 돌출부(101f)가 가로지르는 부분이 홈(101g)이 되고, 돌출부(101f, 101f) 사이의 부분이 개구(101h)가 된다. 상기 개구(101h)는 나사통(104)의 돌출부(104f)를 축선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돌출부(101f)는 나사통(104)의 돌출부(104d)를 회전방향으로 걸어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01f)의 후단부는, 나사통(104)의 돌출부(104d)가 돌출부(101f, 101f)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모두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부재(101)의 내주면에서 돌출부(101f)로부터 다소 선단측에는, 뒤쪽으로 개방되어 선단측을 향하는 공기빼기홈(101i)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재(101)는, 그 후부측으로부터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내측에 삽입되는 동시에 나사통(104)의 외측에 삽입되어,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 단차면(101d)이 나사통 누름부재(105)의 선단측의 개방단에 위치하고, 그 돌출부(101f, 101f) 사이에, 나사통(104)의 돌출부(104d)가 진입하여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그 개구(101h)에 나사통(104)의 돌출부(104f)가 진입하여 걸림결합됨 으로써, 나사통(104)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상기 나사통(104)과 일체화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통(10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부재(101)를 덮도록 나사통 누름부재(10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107)은, 충전부재(10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를 조립할 경우에는, 본체통(102)에 래칫 스프링 부재(112)를 수용하는 한편, 이동체(106)의 선단부에 나사통(104)을 비틀어 넣고, 상기 이동체(106)의 선단에 피스톤(108)을 통해 탄성체(109)를 장착하여, 상기 탄성체(109) 및 나사통(104)을 갖는 이동체(106)를 본체통(102)의 축체(102c)에 연결하여 나사통(104)을 래칫 스프링 부재(112) 위에 올려놓고, 나사통 누름부재(105)를 본체통(102)에 장착함으로써, 도 43에 나타낸 본체측 조립체(140)가 얻어진다.
한편, 충전부재(101)에 있어서는, 토출구(101c)를 마개(도시생략)로 막아 거꾸로 한 상태에서, 충전영역(101x)에 소정량의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하여 채워 충전부재(101)의 선단내에 공간이 없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된 충전부재(101)를 본체측 조립체(140)의 선단측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 때, 충전부재(101)는, 그 내주면이, 피스톤(108)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형 돌출부(108a)에 슬라이딩 접합하면서 초기위치에 세트되어, 그 내주면의 공기빼기홈(101i)이, 환형 돌출부(108a)를 축선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빼기홈(101i)을 통해 도포용 충전물측의 공기가 후방측으로 양호하게 빠 진다. 그리고, 마직막으로, 마개를 벗겨낸다. 또, 마개 대신에, 충전 후 및 사용자가 사용하기 직전에 벗겨낼 수 있는 점착제가 도포 된 시일을,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되기 전에 토출구(101c)에 부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29에 나타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에 따르면,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된 충전부재(101)가, 본체측 조립체(140)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포용 충전물(L)을 충전부재(101)에 충전한 후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상기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부재(101)의 토출구(101c)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140)의 이동체(106)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체(109)와의 사이의 충전영역(101x)에, 충분히(가득)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충전부재(101)와 본체통(102)이 상대회전되면, 전술한 나사결합기구 및 회전저지기구 및 래칫기구(111)에 의해 이동체(106)가 전진하고, 이 때, 이러한 상대회전에 따라, 전술한 래칫기구(111)를 구성하는 래칫톱니(104g, 112a)들이 걸림/이탈을 반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저항감(클릭감)이 부여되어, 상기 저항감에 의해 이동체(106)의 전진상태가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를 구입한 후의 첫회의 도포시에, 사용자가 충전부재(101)와 본체통(102)을 저항감을 수반하면서 상대회전하여 이동체(106)를 전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용 충전물(L)이 충전부재(101)의 토출구(101c)의 내측과 본체측 조립체(140)의 이동체(106)의 탄성체(109)와의 사이의 충전영역(101x)에 충분히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대회전을 필요 이상으로 반복하지 않고 신속히(즉시) 도포용 충전물(L)이 토출구(101c)로부터 토출되어 도포하는 데 제공된다. 따라서,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에 따르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충전부재(101)와 본체통(102)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체(106)가 최대로 전진하면, 탄성체(109)가, 충전부재(101)의 선단부의 경사지는 내부면(10lb)에 맞닿아 상기 내부면(10lb)에 따라 탄성변형한다. 이때, 탄성체(109)내의 공간(109d)에 의해 상기 탄성체(109)는 한층 적합하게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체(109)의 탄성변형에 의해, 종래의 이동체에서는 밀어낼 수 없는 대략 발굽형(비스듬한 원기둥형상)의 공간(용기선단내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공간)에 남는 도포용 충전물(L)이, 거의 남김없이 충분히 밀어내어져 소비된다. 이에 따라, 도포용 충전물(L)을 쓰고 남은 것이 거의 없는 경제적인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로 되어 있다.
또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에 따르면, 본체통(102)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나사통(104)이 수용되어, 충전부재(101)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인 개구(101h)와 나사통(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인 돌출부(104f), 충전부재(101)의 후단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인 돌출부(101f)와 나사통(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인 돌출부(104d)가 각각 걸림고정됨으로써, 충전부재(101)가 나사통(104)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 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되어, 충전부재(101)와 본체통(102)과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체(106)가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캡(107)이 충전부재(101)에 대하여 직접 걸림고정되어 있지 않고 회전이 자유롭기 때문에, 캡(107)을 충전부재(101)에 덮어씌운 비사용시에 상기 캡(107)과 본체통(102)이 상대회전되어도, 이동체(106)가 공급되지 않고, 충전부재(101)의 토출구(101c)로부터 도포용 충전물(L)이 누출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품질이 향상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로 되어 있다.
또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에 따르면, 래칫기구(111)에 의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저항감에 의해, 이동체(106)의 전진상태가 사용자에게 감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낸 래칫 스프링 부재(112) 대신에 도 44에 나타낸 클릭 스프링 부재(114)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클릭 스프링 부재(114)가 래칫 스프링 부재(112)와 다른 점은, 래칫톱니(112a)를, 둘레방향을 따라 산(山)형을 이루어 정역방향의 회전(이동체(106)가 전진/후진하는 회전)을 허용하도록 나사통(104)의 래칫톱니(104g; 소정의 걸림결합부)에 클릭 걸림결합되는 클릭톱니(114a)로 바꾼 점이다. 그리고, 나사통(104)의 소정의 걸림결합부(104g), 클릭톱니(114a) 및 상기 클릭톱니(114a)를 소정의 걸림결합부(104g) 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부(114b)에 의해 클릭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릭기구를 갖는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에 따르면, 본체통(102)과 충전부재(101)와의 정역방향의 상대회전이 허용되어, 사용자에게는, 상대회전에 의 해 클릭 걸림결합될 때의 클릭감이 부여되면서, 이동체(106)가 전진/후진을 행하여 이동체(106)의 전진상태, 리턴상태가 감지된다. 또, 다른 작용·효과에 관해서는, 전술한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200)와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말하자면, 클릭 스프링 부재(114)의 클릭톱니(114a) 및 이것에 클릭 걸림결합되는 나사통(104)의 소정의 걸림결합부(104g)의 형상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정역방향의 상대회전에 의해 클릭 걸림결합되는 형상이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동체(106)가 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 후에 사용자가 이동체(106)의 리턴상태를 클릭감에 의해 감지하면서 상기 이동체(106)를 다소 되돌림으로써, 충전부재(101)의 토출구(101c)의 내측에,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소정의 공간(B)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영역(101x)에 충전된 도포용 충전물(L) 및 상기 도포용 충전물(L)에 혼입되는 공기가, 온도변화나 기압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더라도, 상기 토출구(101c)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의 공간(B)에 의해, 도포용 충전물(L)이 토출구(101c)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또한, 이와 같이 이동체(106)가 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동체(106)의 후단면에, 오목형상부 또는 볼록형상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오목형상부로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볼록형상부 또는 볼록형상부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오목형상부를 본체통(102)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축체(102c)의 비틀려 끊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포체(10, 15, 17, 20, 21)의 외부면이나 충전부재(101)의 도포면이 되는 외부면(101a)에, 세모(細毛) 등이 심어져 있어도 되고, 또한 끝이 가는 테이퍼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묶어서 이루어진 브러시를 부착해도 된다.
또, 상기 수나사(6b, 106b)에는,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 군 또는 나선형상이며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 군으로서, 나사산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암나사(4c, 104c)에는,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 군 또는 나선형상이며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 군으로서, 나사산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포, 도장(塗裝)기술의 산업분야에서 널리 응용되는 것이다.
Claims (11)
- 용기내의 충전영역에 충전된 액상 충전물을, 상기 용기내에 배치된 이동체가 전진함으로써, 용기선단에 설치된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로서,선단측 도포면에 의해 닫혀있는 통형상을 이루며, 그 도포면에 상기 충전영역보다 작은 지름의 상기 토출구를 갖는 전방튜브와,통형상을 이루는 본체측 통체에, 상기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나사와 암나사의 나사결합부 및 상기 이동체의 회전저지부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본체측 조립체를 구비하고,상기 전방튜브(先筒)의 내부가 상기 충전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액상 충전물이 충전되는 충전부재로서 형성되며,상기 액상 충전물이 충전된 충전부재가, 상기 본체측 조립체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측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측 조립체는, 내부면의 축선방향 도중에, 상기 이동체의 외부면에 설치된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상기 암나사를 구비하는 본체통과,상기 본체통의 후단측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된 조작통과,상기 조작통의 바닥부로부터 연장시킨 횡단면이 비(非)원형 형상인 축체부를 구비하고,상기 이동체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축체부에 외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체부의 비원형 형상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와 상기 축체부의 걸림결합 부분이 상기 회전저지부를 형성하며,상기 충전부재의 후반측의 외부면에 설치된 걸림고정부가, 상기 본체통의 선단측의 내부면에 설치된 걸림고정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되고,상기 이동체는, 상기 조작통과 상기 본체통 또는 상기 충전부재와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측 조립체는, 본체통과,상기 본체통에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체의 외부면에 설치된 상기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상기 암나사를 내부면에 갖는 나사통과,상기 본체통의 바닥부로부터 연장시킨 횡단면이 비원형 형상인 축체부를 구비하고,상기 이동체는, 통형상을 이루며 상기 축체부에 외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체부의 비원형 형상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와 상기 축체부의 걸림결합 부분이 상기 회전저지부를 형성하며,상기 충전부재의 후단측의 내부면에 설치된 걸림고정부는, 상기 나사통의 외부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되고,상기 이동체는, 상기 본체통과 상기 충전부재와의 상대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측 조립체는, 소정의 걸림결합부와,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대면 배치되는 요철부를 가지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를 향해 가세된 회전량 규제부재를 내장하고,상기 회전량 규제부재의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는, 상기 충전부재와 상기 충전부재를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부재와의 사이에서 정역방향의 일정량의 상대회전에 따라 클릭 걸림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측 조립체는, 소정의 내장(內藏) 걸림결합부와,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대면 배치되는 요철부를 가지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를 향해 가세된 회전량 규제부재를 내장하고,상기 회전량 규제부재의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소정의 걸림결합부는, 상기 충전부재와 상기 충전부재를 회전이 가능하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부재와의 사이에서 정역방향의 일정량의 상대회전에 따라 클릭 걸림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요철부 및 상기 걸림결합부는, 한쪽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요철부 및 상기 걸림결합부는, 한쪽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2항에 있어서,선단측으로 움푹 패이는 오목형상부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가, 상기 이동체의 후단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설치되고,상기 이동체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의 상기 오목형상부로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볼록형상부, 또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볼록형상부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오목형상부가, 상기 축체부를 갖는 통의 바닥면에서 상기 축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3항에 있어서,선단측으로 움푹 패이는 오목형상부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가, 상기 이동체의 후단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설치되고,상기 이동체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의 상기 오목형상부로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볼록형상부, 또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볼록형상부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오목형상부가, 상기 축체부를 갖는 통의 바닥면에서 상기 축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4항에 있어서,선단측으로 움푹 패이는 오목형상부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가, 상기 이동체의 후단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설치되고,상기 이동체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의 상기 오목형상부로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볼록형상부, 또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볼록형상부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오목형상부가, 상기 축체부를 갖는 통의 바닥면에서 상기 축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 제 5항에 있어서,선단측으로 움푹 패이는 오목형상부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부가, 상기 이동체의 후단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부분에 설치되고,상기 이동체의 최대 후퇴시에 상기 이동체의 상기 오목형상부로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볼록형상부, 또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볼록형상부가 진입하여 회전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복수의 오목형상부가, 상기 축체부를 갖는 통의 바닥면에서 상기 축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충전물 압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26946 | 2004-11-10 | ||
JP2004326946A JP3796258B2 (ja) | 2004-11-10 | 2004-11-10 | 液状充填物押出容器 |
PCT/JP2005/013519 WO2006051633A1 (ja) | 2004-11-10 | 2005-07-15 |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2635A KR20070032635A (ko) | 2007-03-22 |
KR100821447B1 true KR100821447B1 (ko) | 2008-04-11 |
Family
ID=3621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1829A KR100821447B1 (ko) | 2004-11-10 | 2005-07-15 |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3) | US7677828B2 (ko) |
JP (1) | JP3796258B2 (ko) |
KR (1) | KR100821447B1 (ko) |
CN (1) | CN1946615B (ko) |
DE (1) | DE112005001239B4 (ko) |
FR (2) | FR2877648B1 (ko) |
GB (1) | GB2434144B (ko) |
WO (1) | WO20060516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96258B2 (ja) * | 2004-11-10 | 2006-07-12 | 株式会社トキワ | 液状充填物押出容器 |
DE602005024712D1 (de) * | 2004-11-10 | 2010-12-23 | Shiseido Co Ltd | Applikator mit einem Kolben zur Abgabe des Inhalts |
JP4387365B2 (ja) * | 2006-03-07 | 2009-12-16 | 三菱鉛筆株式会社 | 液体塗布具 |
JP2008246079A (ja) | 2007-03-30 | 2008-10-16 | Tokiwa Corp | 塗布材押出容器及び塗布材押出容器の成形方法 |
CN101069671A (zh) * | 2007-06-22 | 2007-11-14 | 林振源 | 脸部多功能活氧按摩棒 |
JP5088948B2 (ja) * | 2007-10-09 | 2012-12-05 | 株式会社 資生堂 |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
WO2009111914A1 (zh) * | 2008-03-11 | 2009-09-17 | 珠海安帝包装制品有限公司 | 按压笔 |
JP4499811B2 (ja) * | 2008-05-28 | 2010-07-07 | 株式会社トキワ | 塗布材押出容器 |
JP5305815B2 (ja) * | 2008-09-30 | 2013-10-02 | 株式会社 資生堂 | 粘性化粧料用容器 |
JP5047150B2 (ja) * | 2008-12-25 | 2012-10-10 | 株式会社トキワ | 塗布材押出容器 |
JP5373419B2 (ja) * | 2009-02-04 | 2013-12-18 | 株式会社ヒダン | 液状化粧料充填容器 |
GB201007064D0 (en) | 2010-04-28 | 2010-06-09 | Reckitt Benckiser Inc | Applicator for an adhesive lavatory treatment composition |
GB201007066D0 (en) * | 2010-04-28 | 2010-06-09 | Reckitt Benckiser Inc | Improved applicator for an adhesive lavatory treatment composition |
GB2493979A (en) * | 2011-08-26 | 2013-02-27 | Peter John Moar | Dispenser tube comprising piston on threaded shaft |
KR200465291Y1 (ko) * | 2012-02-02 | 2013-02-12 | (주)아모레퍼시픽 | 발열 마사지 기능을 갖는 피부미용 용기 |
JP5597223B2 (ja) * | 2012-04-23 | 2014-10-01 | 株式会社トキワ | 塗布材押出容器 |
US9161605B2 (en) * | 2013-10-22 | 2015-10-20 | Yonwoo Co., Ltd. | Rotary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
US9283801B2 (en) * | 2014-02-14 | 2016-03-15 | Tokiwa Corporatio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ating instrument |
KR101473191B1 (ko) * | 2014-10-16 | 2014-12-24 | (주)연우 | 금속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
KR101524475B1 (ko) * | 2014-12-12 | 2015-06-01 | (주)연우 |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 |
KR101535202B1 (ko) * | 2015-01-02 | 2015-07-09 | 주식회사 정훈 | 액상립스틱 용기 |
US20180125199A1 (en) * | 2016-11-09 | 2018-05-10 | Lombardi Design & Mfg. | Liquid make-up sti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
CN107411313A (zh) * | 2017-04-21 | 2017-12-01 |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 一种中束芯 |
KR102332271B1 (ko) * | 2017-07-17 | 2021-11-3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품 용기 |
JP7279915B2 (ja) * | 2017-08-23 | 2023-05-23 | 株式会社トキワ | 塗布材繰出容器 |
US11382400B2 (en) | 2018-08-10 | 2022-07-12 | Go Products Co. | Material applicator |
CN109770522A (zh) * | 2019-03-20 | 2019-05-21 | 亦臻包装科技(苏州)有限公司 | 一种口红管 |
EP3949800A4 (en) * | 2019-03-29 | 2022-12-28 | Shiseido Company, Ltd. | TWIST CONTAINER |
JP7471646B2 (ja) * | 2020-10-19 | 2024-04-22 | 株式会社トキワ | 化粧料繰出容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51609U (ko) | 1985-03-13 | 1986-09-19 | ||
JP2000262324A (ja) * | 1999-03-16 | 2000-09-26 | Tokiwa:Kk | ネジ棒繰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式押出容器 |
US20040007599A1 (en) * | 2002-07-09 | 2004-01-15 | Yoshikazu Tani | Movable body dispens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09861A (en) * | 1939-08-14 | 1943-02-02 | Charles A Mureau | Cosmetic applicator |
JPS6199370A (ja) * | 1984-10-22 | 1986-05-17 | Fuji Photo Film Co Ltd |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
JPH059338Y2 (ko) * | 1986-10-03 | 1993-03-08 | ||
JPH0621515A (ja) | 1992-07-03 | 1994-01-28 | Nippon Sheet Glass Co Ltd | 光集積デバイス |
JPH06199370A (ja) * | 1993-01-11 | 1994-07-19 | Daisen Sangyo Kk | 棒状固形物用容器 |
ES2220921T3 (es) * | 1994-12-06 | 2004-12-16 | L'oreal | Distribuidor para un producto de consistencia liquida a pastosa equipado con un elemento tubular de aplicacion. |
EP1202649B1 (en) * | 1999-08-05 | 2004-06-30 | Coty S.A. | Slider for securing a stick of paste, mechanism for retracting of this stick integrated with said slider, and corresponding cosmetic application device |
FR2812277B1 (fr) * | 2000-07-27 | 2003-01-10 | Oreal |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
US6474891B1 (en) * | 2001-11-29 | 2002-11-05 | Ming Hsiung Liu | Structure of a make-up pen |
JP2004000441A (ja) * | 2002-04-03 | 2004-01-08 | Suzuno Kasei Kk | 棒状化粧材繰出容器 |
GB2404362B (en) * | 2003-07-29 | 2005-11-02 | Yi Li Tsai | Squeezing device for a cosmetic container |
JP3796258B2 (ja) * | 2004-11-10 | 2006-07-12 | 株式会社トキワ | 液状充填物押出容器 |
-
2004
- 2004-11-10 JP JP2004326946A patent/JP3796258B2/ja active Active
-
2005
- 2005-07-15 GB GB0619094A patent/GB2434144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7-15 US US10/551,444 patent/US7677828B2/en active Active
- 2005-07-15 DE DE112005001239T patent/DE112005001239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7-15 CN CN200580012302XA patent/CN194661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7-15 WO PCT/JP2005/013519 patent/WO20060516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7-15 KR KR1020067021829A patent/KR100821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09-28 FR FR0509893A patent/FR2877648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6-19 US US11/454,946 patent/US7201526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02-27 FR FR0951276A patent/FR2930530B1/fr active Active
- 2009-09-04 US US12/585,127 patent/US801184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51609U (ko) | 1985-03-13 | 1986-09-19 | ||
JP2000262324A (ja) * | 1999-03-16 | 2000-09-26 | Tokiwa:Kk | ネジ棒繰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式押出容器 |
US20040007599A1 (en) * | 2002-07-09 | 2004-01-15 | Yoshikazu Tani | Movable body dispen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2635A (ko) | 2007-03-22 |
JP2006136421A (ja) | 2006-06-01 |
DE112005001239B4 (de) | 2010-09-02 |
US20060263140A1 (en) | 2006-11-23 |
US8011847B2 (en) | 2011-09-06 |
DE112005001239T5 (de) | 2007-10-11 |
FR2930530A1 (fr) | 2009-10-30 |
US20090324322A1 (en) | 2009-12-31 |
GB2434144A (en) | 2007-07-18 |
WO2006051633A1 (ja) | 2006-05-18 |
FR2877648B1 (fr) | 2011-07-29 |
FR2930530B1 (fr) | 2018-01-19 |
FR2877648A1 (fr) | 2006-05-12 |
US7677828B2 (en) | 2010-03-16 |
US20070003359A1 (en) | 2007-01-04 |
US7201526B2 (en) | 2007-04-10 |
GB0619094D0 (en) | 2006-11-08 |
CN1946615B (zh) | 2011-06-08 |
CN1946615A (zh) | 2007-04-11 |
GB2434144B (en) | 2008-11-26 |
JP3796258B2 (ja) | 2006-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1447B1 (ko) | 도포용 충전물 압출용기 | |
EP1829460B1 (en) | Applicator with a piston to dispense content | |
JP5108919B2 (ja) | 充填物押出容器 | |
US7147396B2 (en) | Applying filler extruding container | |
US20050178800A1 (en) | Movable body feeding apparatus | |
JP4847791B2 (ja) | 充填物押出容器 | |
JP4607746B2 (ja) | 内容物押出容器 | |
JP3991059B2 (ja) |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 |
JP4921277B2 (ja) | 塗布材押出容器 | |
US7192212B2 (en) | Application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gel-like or pasty cosmetic to the skin | |
JP2006136739A (ja) |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 |
JP4740173B2 (ja) | 塗布材押出容器 | |
JP3769585B1 (ja) |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 |
JP4627433B2 (ja) | 移動体繰出容器 | |
JP4579653B2 (ja) |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 |
JP4939334B2 (ja) | 塗布材押出容器 | |
KR200350245Y1 (ko) | 누름버튼식 겔상 화장품 용기 | |
CN112638201A (zh) | 送出筒、送出容器、及送出筒与被送出构件的组装方法 | |
JPH10179243A (ja) | 液状化粧料注出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