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303B1 -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303B1
KR100821303B1 KR1020020043184A KR20020043184A KR100821303B1 KR 100821303 B1 KR100821303 B1 KR 100821303B1 KR 1020020043184 A KR1020020043184 A KR 1020020043184A KR 20020043184 A KR20020043184 A KR 20020043184A KR 100821303 B1 KR100821303 B1 KR 10082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blower motor
seat
termi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9281A (ko
Inventor
문동호
오세원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3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석 탑승자가 후석에 위치한 리어 블로어스위치만을 이용하여 후석 공조시스템의 풍향, 풍속을 직접 조절하도록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석의 풍향 조절을 위한 리어모드 액츄에이터와, 리어모드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리어모드 스위치와, 후석의 온도조절을 위한 리어 블로어모터와, 리어 블로어모터의 풍속을 제어하는 저항부와, 후석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전석 및 후석에서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의 후석 풍향/풍속조절장치에 있어서, 리어모드 스위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석의 전면패널 일측에 구비된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와, 리어모드 액츄에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를 제어하도록 후석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20043184
후석, 리어, 뒷좌석, 풍향, 풍속, 블로어 스위치, 블로어모드, 블로어모터,

Description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Apparatus for air condition control of car rear sea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석 공조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석에 위치한 후석용 풍속조절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에 위치한 후석용 풍향/풍속조절장치의 외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제 1, 제 2 리어블로어 선택부
110 : 오프단자
111∼113, 211∼213, 221∼223 : 변속접속단자
114 : 리어단자
120, 231, 232 : 제 1 내지 제 3 리어모드 접속단자
130, 233 : 제 1, 제 2 접지단자
140, 240 : 제 1, 제 2 이동단자
250 : 디스플레이 패널
본 발명은 후석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석(뒷좌석) 탑승자가 전석(앞좌석) 탑승자의 도움없이 뒷좌석에서 직접 풍향 및 풍속을 선택 조정하여 뒷자석의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시스템은 계절에 따라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에어컨 또는 히터를 작동시켜 더운 바람 또는 차가운 바람을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공조시스템은 차량의 전면 일 측에 구비된 공조시스템 제어패널에는 전석의 풍향 및 풍속제어 뿐만 아니라, 후석의 풍향 및 풍속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석의 풍향 및 풍속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전석 탑승자는 전석의 전면 패널 일측에 구비된 리어(rear)모드 스위치(11)를 이용하여 후석의 풍향을 페이스(face) 또는 풋(foot 또는 floor)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즉, 리어모드 스위치(11)의 선택위치에 따라 리어모드 액츄에이터(12)가 구동하게 되어 탑승자가 선택한 후석의 페이스 또는 풋모드로 풍향을 토출하게 된다.
한편, 후석의 풍속조절은 전석의 전면 패널 일측에 구비된 제 1 리어 블로어 스위치(20)와, 후석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제 2 리어 블로어스위치(50)가 구비되는데, 제 1 리어 불로어스위치(20)는 오프(OFF)단, 1, 2, 3, R(Rear) 선택스위치가 있으며, 1 내지 3단 선택시에는 저항(R1, R2)에 의해 블로어모터(31)를 해당 속도로 구동시킨다.
만약, 탑승자가 후석에서의 풍속조절이 필요하다면 전석에 위치한 제 1 리어블로어스위치(20)를 'R'단으로 위치시킨다.
제 1 리어 블로어스위치(20)를 'R'단으로 위치시키면 릴레이(30)를 구동시켜 접점을 온시킨다.
릴레이(30)의 접점이 온됨에 따라 후석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 2 리어 블로어스위치(50)를 사용 가능하게 된다.
후석의 탑승자는 제 2 리어블로어스위치(50)를 이용하여 1, 2, 3단을 선택하여 풍속을 조절하게 된다.
즉, 제 2 리어 블로어스위치(50)의 1 내지 3 단을 선택하면 저항부(40)의 해당 제 1 또는 제 2 저항(R1,R2)을 통해 리어 블로어모터(31)가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탑승자는 전석에서 후석의 토출풍향 또는 풍속을 조절할 수 있으며, 후석에서도 후석의 토출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후석의 풍향 및 풍속 제어장치는 후석의 탑승자가 후석의 공조시스템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석의 탑승자의 도움이 없이는 조절이 불가능하다. 특히, 후석의 토출풍향 조절은 전석에서만 가능하므로 운전자에게 후석의 토출풍향 조절을 요청할 경우에는 운전에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 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후석 탑승자가 후석에 위치한 리어 블로어스위치만을 이용하여 후석 공조시스템의 풍향, 풍속을 직접 조절하도록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는 차량의 후석의 풍향 조절을 위한 리어모드 액츄에이터와, 상기 리어모드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리어모드 스위치와, 후석의 온도조절을 위한 리어 블로어모터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풍속을 제어하는 저항부와, 후석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전석 및 후석에서 각각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의 후석 풍향/풍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석의 전면패널 일측에 구비된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와, 상기 리어모드 액츄에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를 제어하도록 후석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장치는 차량의 후석의 풍향 조절을 위한 리어모드 액츄에이터와, 상기 리어모드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리어모드 스위치와, 후석의 온도조절을 위한 리어 블로어모터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풍 속을 제어하는 저항부와, 후석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전석 및 후석에서 각각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의 후석 풍향/풍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각각 풋모드 또는 벤트모드로 구동하는 이동단자와, 상기 이동단자의 조작에 따라 풍향 및 풍속 선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차량의 후석의 풍향 조절을 위한 리어모드 액츄에이터(12)와, 상기 리어모드 엑츄에이터(12)의 구동을 선택하는 리어모드 스위치(11)와, 후석의 온도조절을 위한 리어 블로어모터(31)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31)의 풍속을 제어하는 저항부(40)와, 후석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30)와,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11)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석의 전면패널 일측에 구비된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100)와, 상기 리어모드 액츄에이터(12)를 제어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31)를 제어하도록 후석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20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100)는 상기 릴레이(3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리어(R)단자(114)와, 리어 블로어모터(31)의 속도를 가변하는 저항부(40)의 제 1 , 제 2 저항(R1, R2)에 접속된 제 1 내지 제 3 변속접속단자(111∼113)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31)를 정지시키는 오프단자(OFF)(110)과, 상기 리어단자(R)(114)및 각 변속접속단자(111∼113)를 각각 통전시키도록 이동 선택하는 제 1 이동단자(140)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31)가 동작시 상기 리어 모드스위치 (11)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11)에 접속하는 제 1 리어모드 접속단자(120)와, 상기 제 1 이동단자(140)의 이동선택에 따라 각 변속접속단자(111∼113) 및 제 1 리어모드 접속단자(120)를 통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리어단자(114)를 통전시키는 제 1 접지단자(130)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200)는 상기 리어모드 액츄에이터(12)의 각 모드단(face, foot)에 접속한 제 2, 제 3 리어모드 접속단자(231)(232)와, 상기 제 2 리어모드 접속단자(231)에 해당하는 리어모드(face)에서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31)의 속도(1 내지 3 단)를 선택하는 각 변속접속단자(211∼213)를 포함한 제 2 접속단자군과, 상기 제 3 리어모드 접속단자(232)에 해당하는 리어모드(foot)에서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31)의 속도(1단 내지 3단)을 선택 제어하는 변속접속단자(221∼223)를 포함한 제 3 접속단자군과, 상기 제 2 리어모드 접속단자(231)와 상기 제 2 접속단자군의 해당 변속접속단자(211∼213) 또는 상기 제 3 리어모드 접속단자(232)와 상기 제 3 접속단자군의 해당 변속접속단자(221∼223)를 통전시키도록 이동 선택하는 제 2 이동단자(240)와, 상기 릴레이(30)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이동단자(240)의 이동 선택에 따라 상기 각 리어모드 접속단자(231)(232)를 통전시키는 제 2 접지단자(233)로 구성된다.
여기서, 변속접속단자(211∼213)는 풍량을 선택 제어하는 단자이고, 리어모 드 접속단자(120, 231, 232)는 풍향을 선택하는 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2,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후석에 별도의 냉/온풍 토출구, 리어 블로어모터 및 이를 조절하는 리어 블로어스위치를 구비하여, 후석 탑승자가 직접 후석의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의 회로도로서, 전석 탑승자는 전면 일측에 구비된 리어모드 스위치(11)를 이용하여 후석의 토출풍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 후석에 각각 구비된 제 1, 제 2 리어블로어 선택부(100)(200)를 이용하여 토출모드 및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전석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리어모드 스위치(11)를 이용하여 후석의 토출풍향을 페이스 또는 풋모드를 선택한다. 선택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리어모드 엑츄에이터(12)를 구동하게되는데, 이를 위해 공급된 전원은 리어모드 엑츄에이터(12)와, 리어모드 스위치(11)와, 제 1 리어블로어 선택부(100)의 제 1 이동단자(140)에 의해 연결된 제 1 리어모드 접속단자(120) 및 제 1 접지단자(130)를 통해 접지단으로 통전하게 된다.
한편, 탑승자가 만약 제 1 이동단자(140)를 이용하여 2단 풍속을 선택하면, 2단에 해당하는 변속접속단자(112)와 상기 제 1 리어모드 접속단자(120)와 제 1 접지단자(130)가 도통되어, 저항부(40)의 제 1 저항(R1)에 의해 전압 강하된 2단 풍속으로 리어블로어 모터(31)를 구동하게 된다.
만약, 탑승자가 제 1 블로어선택부(100)의 제 1 이동단자(140)을 R단의 리어단자(114)로 이동시키면, 전석에 위치한 리어모드 스위치(11)는 동작되지 않으며, 리어단자(114)와 제 1 접지단자(130)가 통전되어 릴레이(30)를 구동시키므로 접점이 오픈 상태에서 도통상태로 절환된다.
릴레이(30)의 접점이 온 됨에 따라 후석의 일측에 위치한 제 2 리어블로어 선택부(200)가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후석 탑승자가 제 2 리어블로어선택부(200)의 제 2 이동단자(240)를 이동시켜 풍향모드 및 풍속을 선택 제어하게 된다.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석에 위치한 리어 블로어스위치의 외관도로서, 이동단자(51)를 시계방향으로 조작하여 오직 풍속만 선택 조작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블로어스위치의 외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탑승자가 이동단자를 이용하여 풍향모드 및 풍속을 동시에 선택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2 이동단자(240)를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우측(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풋모드의 풍속을 선택 조작하게 된다.
또한 제 2 이동단자(240)를 좌측(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벤트모드의 풍속을 선택 조작하게 된다.
만약 후석의 탑승자가 제 2 이동단자(240)를 이용하여 풋(foot)모드와 2단 풍속모드를 이동선택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동단자(240)를 오프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2단에 일치시킨다.
이때, 제 2 이동단자(240)에 의하여 제 2 접지단자(233), 제 2 리어모드 접속단자(231) 및 2단 변속접속단자(212)를 도통시키므로, 공급전원이 리어블로어모터(31), 제 1 저항(R1), 2단 변속접속단자(212), 제 2 리어모드 접속단자(231), 제 2 접지단자(233) 및 릴레이(30)의 접점을 통해 접지시키므로 통전된다.
이와 같이 공급전원이 통전됨에 따라 공급전원이 리어모드 액츄에이터(12)를 풋모드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리어블로어모터(31)를 저항부(40)의 제 1 저항(R1)의 전압강하에 의해 2단 변속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후석의 탑승자는 자신이 직접 풍향 모드 및 풍속을 제 2 이동단자(240)를 이용하여 직접 선택조절하므로, 편리하게 원하는 실내공기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동단자(240)을 시계방향으로 조작하면 풋모드로 구동하고,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하면 벤트모드로 구동하는데, 풋모드는 주로 온풍모드에서 주로 사용하고, 벤트모드는 주로 냉풍모드에서 사용하므로, 각 모드를 사용할 때마다 템프도어를 연동시켜 냉풍, 온풍이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리어풍향 모드 또는 변속 풍량토출모드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는 전석의 운전자에게 후석의 모드선택을 요청할 필요없이 후석 탑승자가 후석에 위치한 리어 블로어스위치를 이용하여 후석 공조시스템의 풍향, 풍속을 직접 조절할 수있도록 하므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차량의 후석의 풍향 조절을 위한 리어모드 액츄에이터와, 상기 리어모드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리어모드 스위치와, 후석의 온도조절을 위한 리어 블로어모터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풍속을 제어하는 저항부와, 후석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전석 및 후석에서 각각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의 후석 풍향/풍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석의 전면패널 일측에 구비된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 및
    상기 리어모드 액츄에이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리어 블로어모터를 제어하도록 후석의 일측에 구비된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는
    상기 릴레이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리어(R)단자;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를 가변하는 저항부의 각 저항에 접속된 다수개의 변속접속단자를 포함한 접속단자군;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를 정지시키는 오프단자(OFF);
    상기 리어단자 및 각 변속접속단자를 각각 통전시키도록 이동선택하는 제 1 이동단자;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가 동작시 상기 리어 모드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에 접속하는 제 1 리어모드 접속단자; 및
    상기 제 1 이동단자의 이동에 따라 각 변속접속단자 및 제 1 리어모드 접속단자를 통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리어단자를 통전시키는 접지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는
    상기 리어모드 액츄에이터의 각 모드단에 접속한 제 2, 제 3 모드접속단자;
    상기 제 2, 제 3 리어모드 접속단자에 해당하는 리어모드에서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가변을 제어하는 제 2, 제 3 접속단자군;
    상기 제 2 리어모드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접속단자군의 해당 접속단자 또는 상기 제 3 리어모드 접속단자와 상기 제 3 접속단자군의 해당 변속접속단자를 통전시키도록 이동 선택하는 제 2 이동단자; 및
    상기 릴레이이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이동단자의 이동 선택에 따라 상기 각 모드 접속단자를 통전시키는 제 2 접지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 3 접속단자군은
    상기 제 1 접속단자군의 각 변속접속단자와 각각 대칭되도록 병렬연결 되어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가변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 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 3 모드 접속단자는
    상기 리어모드 엑츄에이터의 페이스모드단과 풋모드단에 각각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어 블로어선택부는
    상기 제 1 리어 블로어선택부의 위치가 리어단에 있을 때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7. 차량의 후석의 풍향 조절을 위한 리어모드 액츄에이터와, 상기 리어모드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선택하는 리어모드 스위치와, 후석의 온도조절을 위한 리어 블로어모터와,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풍속을 제어하는 저항부와, 후석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전석 및 후석에서 각각 상기 리어 블로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차량의 후석 풍향/풍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모드 스위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각각 풋모드 또는 벤트모드로 구동하는 이동단자와, 상기 이동단자의 조작에 따라 풍향 및 풍속 선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KR1020020043184A 2002-07-23 2002-07-23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KR10082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184A KR100821303B1 (ko) 2002-07-23 2002-07-23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184A KR100821303B1 (ko) 2002-07-23 2002-07-23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81A KR20040009281A (ko) 2004-01-31
KR100821303B1 true KR100821303B1 (ko) 2008-04-10

Family

ID=3731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84A KR100821303B1 (ko) 2002-07-23 2002-07-23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147B1 (ko) 2015-10-06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독립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134A (ko) * 2004-05-18 200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134A (ko) * 2004-05-18 200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81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696B2 (en) Vehicle seat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323735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200419611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924025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2032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JP431148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581065B2 (ja) 車載用デュアル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1526227A (ja) 自動暖房空調制御機能を備えた車両用暖房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KR100821303B1 (ko) 차량의 후석용 공조제어장치
JP5125937B2 (ja) 車両の空調装置
JP2998091B2 (ja) 車両にある空調装置又は自動空調装置の操作用回路装置
JP200314605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311152B2 (ja) スイングルーバ制御装置
KR101000363B1 (ko) 통풍시트 유닛의 제어를 통한 차량 뒷좌석의 냉난방 효율 증대방법 및 공기토출장치
JP40032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18080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1173311B1 (ko) 차량 공조장치용 풍량조절스위치
JP3469352B2 (ja) デュアル式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89374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12626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5062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풍향과 풍속 제어 장치
KR200389065Y1 (ko) 차량의 댐퍼 조절용 자동 온도 조절장치
KR100391327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제어 장치
KR102176492B1 (ko)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JP2554115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