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492B1 -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492B1
KR102176492B1 KR1020140015968A KR20140015968A KR102176492B1 KR 102176492 B1 KR102176492 B1 KR 102176492B1 KR 1020140015968 A KR1020140015968 A KR 1020140015968A KR 20140015968 A KR20140015968 A KR 20140015968A KR 102176492 B1 KR102176492 B1 KR 10217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ir
vehicle
rear sea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987A (ko
Inventor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4001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에 형성된 전석송풍구와 연통되어 공기조화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전석시트로 공급되게 하는 전석시트덕트, 전석송풍구에 구비되어 전석송풍구를 개폐하는 전석시트도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형성된 후석송풍구와 연통되어 공기조화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후석시트로 공급되게 하는 후석시트덕트, 차량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시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 및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석시트도어와 도어부와 템프도어부를 제어하여 전석시트와 후석시트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조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석시트뿐만 아니라 후석시트의 공기조화도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이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및 온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석 및 후석시트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Seat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도 전석시트뿐만 아니라 후석시트의 냉난방을 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서,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 송풍유닛을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환기하게 된다.
한편, 최근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실내의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편의장치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으며, 그러한 예로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 난방하기 위한 시트 공조장치가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702호에 운전석의 시트와 조수석의 시트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차량 시트용 공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석 2개소에서만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연결하는 덕트를 설치하고 그 공기를 이용해 시트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후석은 별도의 통풍시트용 장치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겨울철의 경우에는 PTC와 같은 별도의 난방장치를 시트에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석시트과 후석시트의 냉, 난방을 위하여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석시트뿐만 아니라 후석시트까지 냉난방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된 공기가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전석풋벤트, 후석콘솔벤트 및 후석풋벤트를 통하여 차량의 각 소요처로 토출되며,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전석풋벤트 각각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전석풋도어와, 상기 후석콘솔벤트와 상기 후석풋벤트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후석콘솔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와, 상기 히터코어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전석으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석템프도어와, 상기 히터코어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후석으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후석템프도어를 포함하는 템프도어부로 이루어져, 전석 및 후석의 4존(4-Zone)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에 형성된 전석송풍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전석시트로 공급되게 하는 전석시트덕트; 상기 전석송풍구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송풍구를 개폐하는 전석시트도어;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형성된 후석송풍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후석시트로 공급되게 하는 후석시트덕트; 차량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시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 및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석시트도어와 상기 도어부와 상기 템프도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석시트와 상기 후석시트로 상기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조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석송풍구는, 상기 페이스도어와 상기 전석풋도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석송풍구는, 상기 후석풋벤트와 연통되는 후석풋덕트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석풋덕트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후석시트덕트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는, 전석 및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석 및 후석 각각의 시트에 구비되거나, 상기 차량의 공조메인컨트롤러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전석 및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석 및 후석 각각의 시트 및 상기 차량의 공조메인컨트롤러에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전석시트덕트와, 상기 후석시트덕트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시트덕트와, 상기 후석시트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석송풍유닛과 후석송풍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석송풍유닛과 후석송풍유닛은,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는, 상기 전석송풍유닛과 상기 후석송풍유닛 각각의 송풍을 복수의 송풍단수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좌우를 분리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격벽(Blind)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석시트뿐만 아니라 후석시트의 공기조화도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이다.
둘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및 온기를 모두 이용하기 때문에, 전석 및 후석시트의 난방을 위한 별도의 난방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조장치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서 전석시트와 후석시트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서 후석콘솔덕트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서 전석시트로만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서 후석시트로만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800)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를 이용하여 전석시트(10;운전석 및 조수석) 2EA과 후석시트(20) 2EA 각각을 별도로 온도제어가 가능하며, 전석시트덕트(200)와, 전석시트도어(300)와, 후석시트덕트(400)와, 전석송풍유닛(701) 및 후석송풍유닛(702)과, 전석시트조작부(501) 및 후석시트조작부(502)와, 공조장치제어부(6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800)를 설명함에 앞서,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를 살펴보면,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도어부(140)와, 템프도어부(1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석시트(10) 및 후석시트(20)의 4존(4-Zone) 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하나의 공조장치를 통하여 4존을 동시에 각각 다른 온도 대역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디프로스트벤트(101), 페이스벤트(102), 전석풋벤트(103), 후석콘솔벤트(104) 및 후석풋벤트(105)를 구비하여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각 소요처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에 증발기(120) 및 히터코어(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어부(140)는, 전석에 대해서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01), 페이스벤트(102), 및 전석풋벤트(103) 각각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141), 페이스도어(142) 및 전석풋도어(143)를 포함하고 있으며, 후석에 대해서는 상기 히터코어(130)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상기 후석콘솔벤트(104)와 상기 후석풋벤트(105)의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후석콘솔도어(1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템프도어부(150)는, 상기 히터코어(13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전석으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석템프도어(151)와, 상기 히터코어(13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후석으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여 후석의 온도를 제어하는 후석템프도어(152)와, 상기 히터코어(130)의 후방 하측 상기 후석콘솔도어(144)의 상측에 구비되어 후석의 온도를 제어하는 후석서브템프도어(153)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좌우를 분리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격벽(Case-blind; 미도시)을 더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는 4존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로서 공지의 4존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이와 대별되는 구성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전석시트덕트(200)는, 일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형성된 전석송풍구(301)에 연통되게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석시트(10)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전석시트(10)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전석송풍구(30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전면부에서 상기 페이스도어(142)와 상기 전석풋도어(14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는, 상기 전석송풍구(301)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구비되고,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어 상기 전석송풍구(301)를 개폐함으로써 전석시트(10)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후석시트덕트(400)는, 일단부는 후석송풍구(401)와 연통되게 후석풋덕트(16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후석시트(20)와 연결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후석시트(20)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후석송풍구(401)는, 상기 후석풋벤트(105)와 연통되는 후석풋덕트(162)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석풋덕트(162)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후석시트덕트(400)로 유입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전석시트덕트(200)와, 상기 후석시트덕트(40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차량의 전석시트(10)과 후석시트(20)로 공급되는데, 이때 공급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의 바닥부와 등받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홀 등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를 냉방 또는 난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800)는, 상기 후석시트(20)로의 송풍유량 조절을 상기 후석콘솔도어(144)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후석콘솔도어(144)는 후석콘솔 및 후석플로어의 송풍조절 뿐만 아니라 후석시트(20)의 냉난방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석송풍유닛(701)과 상기 후석송풍유닛(702)은, 상기 전석시트덕트(200)와, 상기 후석시트덕트(400) 각각에 별도로 구비되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의 공조 송풍량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전석시트덕트(200)와, 상기 후석시트덕트(400)로 유동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보충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석송풍유닛(701)과 상기 후석송풍유닛(702)은, 탑승자의 선택 또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0)의 각 모드에 따라 후술하는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를 통하여 각각의 송풍이 복수의 송풍단수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때의 구동제어는 모터의 회전수제어를 통한 공지의 제어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는, 차량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전석시트(10)와 상기 후석시트(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는, 전석시트(10) 및 후석시트(20)에 탑승하는 탑승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석시트(10) 및 후석시트(20)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는, 상기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 각각에 구비되어, 전석과 후석의 탑승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의 냉난방여부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의 공조메인컨트롤러(503)에도 구비되어 상기 공조메인컨트롤러(503)를 통하여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의 냉난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On-off) 기능, 온도조절기능 및 상기 전석송풍유닛(701)과 상기 후석송풍유닛(702)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스위치구조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는, 상기 공조메인컨트롤러(503)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부(140)와, 상기 템프도어부(150)와,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전석시트(10)와 상기 후석시트(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과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는 상기 전석시트(10)와 상기 후석시트(20)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100)의 상기 공조메인컨트롤러(503)에 귀속되어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에서 전체 차량용 공기조화제어와 함께 차량의 시트공기조화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800)의 제어흐름을 살펴보면, 탑승자가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와 메인공조컨트롤러(503)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에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부(140)와 상기 템프도어부(150)와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를 구동 제어하여,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의 공기 공급 및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100)의 송풍량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전석송풍유닛(701)과 상기 후석송풍유닛(702)를 별도로 제어하여 송풍량을 늘릴 수 있는데, 이때의 상기 전석송풍유닛(701)과 상기 후석송풍유닛(702)은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를 통하여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800)의 다양한 모드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전석시트(10) 및 후석시트(20)뿐만 아니라 후석콘솔로도 모두 송풍이 되는 모드이다. 이를 살펴보면, 탑승자가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 또는 상기 메인컨트롤러(503)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는 상기 후석콘솔덕트(161)와, 상기 후석풋덕트(162)와, 상기 전석시트덕트(200)가 개방되도록 상기 후석콘솔도어(144)와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를 제어하여, 상기 후석시트(20)와 상기 후석콘솔과 상기 전석시트(10)로 공조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도 4는 후석콘솔을 제외한 전석시트(10)와 후석시트(20)로만 공조공기가 송풍이 되는 모드로서, 이 경우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는 상기 후석콘솔덕트(161)는 폐쇄되고, 상기 후석풋덕트(162)와 상기 전석시트덕트(200)는 개방되도록 상기 후석콘솔도어(144)와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를 제어하여, 상기 후석시트(20)와 상기 전석시트(10)로만 공조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도 5는 후석시트(20)를 제외한 전석시트(10)와 후석콘솔로 공조공기가 송풍이 되도록 하는 모드로서, 이러한 경우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는 상기 후석콘솔덕트(161)와 상기 전석시트덕트(200)는 개방되고, 상기 후석풋덕트(162)는 폐쇄되도록, 상기 후석콘솔도어(144)와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를 제어하여, 상기 전석시트(20)와 상기 후석콘솔로만 공조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6은 후석시트(20)로만 공조공기가 송풍되도록 하는 모드로서, 이러한 경우 상기 공조장치제어부(600)는 상기 후석콘솔덕트(161)와 상기 전석시트덕트(200)는 폐쇄되고, 상기 후석풋덕트(162)는 개방되도록, 상기 후석콘솔도어(144)와 상기 전석시트도어(300)를 제어하여, 상기 후석시트(20)로만 공조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한편, 상기한 각 모드에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501)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502)는 해당하는 전석송풍유닛(701)과 후석송풍유닛(702)를 제어하여, 상기 공조공기의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석 20... 후석
100...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101... 디프로스트벤트
102... 페이스벤트 103... 전석풋벤트
104... 후석콘솔벤트 105... 후석풋벤트
110... 공조케이스 120... 증발기
130... 히터코어 140... 도어부
141... 디프로스트도어 142... 페이스도어
143... 전석풋도어 144... 후석콘솔도어
150... 템프도어부 151... 전석템프도어
152... 후석템프도어 153... 후석서브템프도어
161... 후석콘솔덕트 162.. 후석풋덕트
200... 전석시트덕트 300... 전석시트도어
301... 전석송풍구 400... 후석시트덕트
401... 후석송풍구 501... 전석시트조작부
502... 후석시트조작부 503... 공조메인컨트롤러
600... 공조장치제어부 701... 전석송풍유닛
702... 후석송풍유닛 800...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Claims (10)

  1. 유입된 공기가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전석풋벤트, 후석콘솔벤트 및 후석풋벤트를 통하여 차량의 각 소요처로 토출되며,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전석풋벤트 각각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전석풋도어와, 상기 후석콘솔벤트와 상기 후석풋벤트의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후석콘솔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와, 상기 히터코어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전석으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석템프도어와, 상기 히터코어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어 선회운동에 따라 후석으로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후석템프도어를 포함하는 템프도어부로 이루어져, 전석 및 후석의 4존(4-Zone)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에 형성된 전석송풍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전석시트로 공급되게 하는 전석시트덕트;
    상기 전석송풍구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송풍구를 개폐하는 전석시트도어;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형성된 후석송풍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냉기 또는 온기가 후석시트로 공급되게 하는 후석시트덕트;
    차량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전석시트와 상기 후석시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 및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석시트도어와 상기 도어부와 상기 템프도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석시트와 상기 후석시트로 상기 냉기 또는 온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조장치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석송풍구는, 상기 페이스도어와 상기 전석풋도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후석송풍구는, 상기 후석풋벤트와 연통되는 후석풋덕트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석풋덕트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후석시트덕트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좌우를 분리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 온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격벽(Blind)을 더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는,
    전석 및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석 및 후석 각각의 시트에 구비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는,
    상기 차량의 공조메인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후석시트조작부는,
    전석 및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 각각이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석시트와 상기 후석시트 및
    상기 차량의 공조메인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석시트덕트와, 상기 후석시트덕트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전석시트덕트와, 상기 후석시트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석송풍유닛과 후석송풍유닛을 더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석송풍유닛과 후석송풍유닛은,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석시트조작부와 상기 후석시트조작부는,
    상기 전석송풍유닛과 상기 후석송풍유닛 각각의 송풍을 복수의 송풍단수별로 제어하는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KR1020140015968A 2014-02-12 2014-02-12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KR10217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968A KR102176492B1 (ko) 2014-02-12 2014-02-12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968A KR102176492B1 (ko) 2014-02-12 2014-02-12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87A KR20150094987A (ko) 2015-08-20
KR102176492B1 true KR102176492B1 (ko) 2020-11-09

Family

ID=5405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968A KR102176492B1 (ko) 2014-02-12 2014-02-12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9017A (ja) * 1991-05-27 1992-12-03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KR101200755B1 (ko) * 2006-10-27 2012-1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87A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692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9040304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1642934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826549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2967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29229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80067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EP2500192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220371401A1 (en) Automatic air outlet system having various ventilation situations
JP200521260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09747373B (zh) 车辆用空调装置
JP379413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29801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14987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4103610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176492B1 (ko)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JP3575119B2 (ja)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KR20140089092A (ko) 차량의 후석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426877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566547B2 (ja) 車両用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装置
JP3680443B2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KR1016796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KR20050112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475366B1 (ko) 차량의 독립 공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