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453B1 -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453B1
KR100820453B1 KR1020060107586A KR20060107586A KR100820453B1 KR 100820453 B1 KR100820453 B1 KR 100820453B1 KR 1020060107586 A KR1020060107586 A KR 1020060107586A KR 20060107586 A KR20060107586 A KR 20060107586A KR 100820453 B1 KR100820453 B1 KR 10082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air conditioner
duc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터코어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조 유니트와, 공조 유니트에 연통되어 차량 실내의 하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우 덕트와, 공조 유니트에 연통되어 차량 실내의 상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루프 덕트 및, 플로우 덕트와 루프 덕트가 분기되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에는 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관통공을 개폐하는 보조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페이스 모드 작동 중 루프 벤트의 벤트 그릴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더라도, 벤트 그릴의 리킹으로 인한 루프 벤트의 소음을 방지하여 차량내 괘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히터코어, 증발기, 모드도어, 루프 덕트, 플로우 덕트

Description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공조 유니트 110 : 히터코어
120 : 증발기 130 : 송풍기
200 : 플로우 덕트 300 : 루프 덕트
400 : 모드도어 410 : 보조도어
420 : 관통공
본 발명은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로우 덕트와 루프 덕트 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모드도어에 보조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페이스 모드 작동 중 비정상적인 루프 그릴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 내부 환기나 냉, 난방등의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여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나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냉,난방 공기가 차량 실내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데, 긴 실내를 갖는 RV차량이나, 고급 승용차의 경우, 냉,난방이 차량의 뒷부분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렇게 부족한 냉,난방 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RV 차량이나 고급 승용차의 후석에는 별도의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를 후석 공기조화장치라고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사시도 및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는 공기의 흐름통로인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에 장착되어 외부공기 또는 자동차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13)와, 열교환을 통해 자동차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12)와, 필요시 발열되어 자동차의 내부에 온기를 공급하는 히터코어(11)와, 하우징(10)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모드도어(40)와, 하우징(10)에서 분기되어 차량 실내의 하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우 덕트(20)와, 하우징(10)에서 분기되어 차량 실내의 상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루프 덕트(30)로 구성된다.
차량의 냉,난방을 위해, 대쉬보드상의 도시되지 않은 조절스위치를 조작하면, 외부 공기가 하우징(10)내로 유입되고 하우징(10)내에 설치된 증발기(12)와 히터코어(11)가 작동되어 차량의 내부에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모드도어(40)는 차량의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흐름을 변화시키는데, 특히,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가 페이스(face) 모드로 작동되면, 모드도어(40)는 플로우 덕트(20)의 유로를 폐쇄하여 하우징(10)내 공기가 루프 덕트(30)를 통해 루프 벤트(31)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루프 벤트(31)의 벤트 그릴(vent grille)(32)은 개방되어 차량 내부로의 원할한 공기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서는 페이스 모드 작동중 루프 벤트(31)의 벤트 그릴(32)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면, 루프 벤트(31)에서는 차량 내부와 루프 덕트(30) 간의 공기압 차이로 인한 공기의 리킹(leaking)이 발생되고 이러한 리킹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차량의 뒷자리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 운전자는 2열 또는 3열 좌석의 벤트 그릴(32)을 조작하기 어려움에 따라, 루프 벤트의 소음으로 인한 불만이 더욱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정상적인 루프 벤트(31)의 벤트 그릴(32) 닫힘에 의해 증발기(12)에 공급되는 공기량이 비정상적으로 적어지게 되면, 증발기(12)에는 과냉으로 인한 결빙(icing)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페이스 모드의 작동 중 비정상적인 루프 벤트의 벤트 그릴 닫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히터코어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조 유니트와, 공조 유니트에 연통되어 차량 실내의 하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우 덕트와, 공조 유니트에 연통되어 차량 실내의 상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루프 덕트 및, 플로우 덕트와 루프 덕트가 분기되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에는 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관통공을 개폐하는 보조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도어에는 일정압 이상으로 가압시 보조도어가 회동되도록 하는 스프링부재가 탄성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플로우 덕트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조도어가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모드도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조도어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는 공기의 흐름통로인 하우징(500)과, 차량의 냉,난방을 위해 상기 하우징(500) 내측에 설치되는 공조 유니트(100)와, 차량 실내의 하반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플로우 덕트(200)와, 차량 실내의 상반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루프 덕트(300) 및, 상기 하우징(500)에서 상기 플로우 덕트(200)와 루프 덕트(300)로 선택적으로 분기시키는 모드도어(400)를 포함하고, 이때, 모드도어(400)에는 일정 공기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보조도어(410)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예컨대, 상기 공조 유니트(100)는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실내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송풍기(130)와, 상기 송풍기(13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20) 및 히터코어(110)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은 상기 하우징(500)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 유니트(100)는 종래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적용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500)에는 차량 실내의 하반부 및 상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우 덕트(200)와 루프 덕트(300)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플로우 덕트(200)와 루프 덕트(300)가 분기되는 출구에는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모드도어(4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드도어(400)는 상기 플로우 덕트(200) 출구 및 루프 덕트(300)의 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드도어(400)의 회동에 따라 플로우 덕트(200) 및 루프 덕트(300)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모드도어(400)에는 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420)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0)에는 보조도어(41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도어(410)는 상기 관통공(42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420)의 상부에 회동 설치되는 구조로, 상기 보조도어(410)의 회동시, 관통공(4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410)에는 일정압 이상으로 가압시 압축되는 스프링부재(미도시)가 탄성 설치되는 바, 이는 페이스 모드 작동 중 벤트 그릴(320)이 비정상적으로 닫힌 상태에서 루프 덕트(300) 내 공기압이 일정압 이상인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보조도어(410)를 상기 관통공(420)에서 소정 각도 회동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420)에는 보조도어(410)가 지지되는 걸림턱(430)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도어(410)가 플로우 덕트(200)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430)은 관통공(4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도어(410)가 플로우 덕트(200)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상기 보조도어(410)를 구속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가 페이스 모드로 작동되면, 공조 유니트(100)를 통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루프 덕트(300)를 통해 루프 벤트(310)의 벤트 그릴(320)로 토출되는 바, 이때 상기 벤트 그릴(320)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면, 상기 모드도어(400)의 보조도어(410)가 개방되어 루프 덕트(300) 내 공기 중 일부가 플로우 덕트(200)를 통해 플로우 벤트(미도시)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경우 페이스 모드 작동중에 루프 벤트(310)의 벤트 그릴(320)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면, 루프 덕트(300) 내의 공기압에 의해 모드도어(400)의 보조도어(410)가 개방되고 플로우 덕트(20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유도됨에 따라, 리킹으로 인한 루프 벤트(310)에서의 소음과 증발기(120)의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경우 페이스 모드 작동중에 루프 벤트의 벤트 그릴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면, 루프 벤트에서 발생되는 리킹(leaking)으로 인한 소음과, 적은 토출 공기량으로 인한 증발기(120)에서의 결빙(icing)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냉,난방을 위한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외부 공기가 하우징(500)내로 유입되고 하우징(500)내에 설치된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10)를 통해 차량 내부에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특히,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가 페이스모드로 작동되면, 모드도어(400)는 플로우 덕트(200)의 유로를 폐쇄하여 하우징(500)내 공기가 루프 덕트(300)를 통해 루프 벤트(310)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루프 벤트(310)의 벤트 그릴(320)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면, 상기 루프 덕트(300) 내의 공기압에 의해 모드도어(400)의 보조도어(410)가 개방되며, 개방된 보조도어(410)에 의해 루프 덕트(300) 내 일부 공기가 플로우 덕트(2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루프 벤트에서의 리킹으로 인한 소음 발생과 증발기(120)가 결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스 모드 작동중에 루프 벤트의 그릴이 비정상적으로 닫히게 되는 경우, 루프 덕트 내 일부 공기가 플로우 덕트 방향으로 유도됨에 따라, 리킹으로 인한 루프 벤트에서의 소음을 방지하여 차량내 괘적한 환경을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인 공기량이 증발기에 이동되도록 하여 적은 량의 공기에 의한 증발기의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히터코어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조 유니트와, 공조 유니트에 연통되어 차량 실내의 하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우 덕트와, 공조 유니트에 연통되어 차량 실내의 상반부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루프 덕트 및, 플로우 덕트와 루프 덕트가 분기되는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모드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의 중앙에는 내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보조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에는
    일정압 이상으로 가압시 보조도어가 회동되도록 하는 스프링부재가 탄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플로우 덕트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조도어가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4. 삭제
KR1020060107586A 2006-11-02 2006-11-02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082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586A KR100820453B1 (ko) 2006-11-02 2006-11-02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586A KR100820453B1 (ko) 2006-11-02 2006-11-02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453B1 true KR100820453B1 (ko) 2008-04-08

Family

ID=3953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586A KR100820453B1 (ko) 2006-11-02 2006-11-02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59B1 (ko)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US11305617B2 (en) 2018-11-20 2022-04-19 Hyundai Motor Company Vent unit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145A (ja) * 1999-07-28 2001-02-1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145A (ja) * 1999-07-28 2001-02-1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59B1 (ko)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US11305617B2 (en) 2018-11-20 2022-04-19 Hyundai Motor Company Vent uni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7218989B2 (ja) 車両用電池冷却システム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8439732B2 (en) HVAC air valve
JP2007137127A (ja) 車両用電池冷却・空調装置
US20130288586A1 (en) Air controlling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820453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US20120090814A1 (en) Vehicle hvac system
JP2021017066A (ja) 車両用エアコン装置
KR1021928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182147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17144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0059264A (ko) 자동차용 보조 공기조화장치
JP201910803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28729B1 (ko) 자동차용 쿨박스 시스템
KR101578103B1 (ko) 차량용 전후석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442465Y1 (ko) 차량용 공조 유니트의 벤트 도어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827322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790383B1 (ko) 차량용 후석 공기조화장치
JP2008528348A (ja) 自動車空調装置
JPH035226A (ja) オートエアコン装置
KR2006001017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0866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89830A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