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50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50B1
KR102086650B1 KR1020140140574A KR20140140574A KR102086650B1 KR 102086650 B1 KR102086650 B1 KR 102086650B1 KR 1020140140574 A KR1020140140574 A KR 1020140140574A KR 20140140574 A KR20140140574 A KR 20140140574A KR 102086650 B1 KR102086650 B1 KR 10208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console
air
flo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967A (ko
Inventor
강민웅
김진국
이대웅
헌 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별도의 액추에이터, 암 및 도어를 추가하지 않고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로의 풍량을 함께 제어하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을 증대시키고 기타 공조 모드에서 콘솔 측으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게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 측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플로어 벤트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 일부를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콘솔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벤트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플로어 도어의 형상을 변경하여 플로어 측 및 콘솔 측 풍량을 함께 제어 가능하고, 액추에이터, 도어 및 암 등의 구성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풍량을 증대시켜 제상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플로어 도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드에서의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되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한다.
또한, 앞좌석과 뒷좌석의 온도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플로어 벤트(12c,12d)의 후방측에는 차량 후방인 콘솔 측으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여 뒷좌석 공간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콘솔 덕트(12e)가 설치된다. 상기 콘솔 덕트(12e)는 페이스 벤트(12b)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페이스 벤트(12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측으로 가이드하여 차량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1)는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온도조절도어(15)는 냉풍유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냉풍유로를 통해 믹싱챔버 측으로 유동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온도조절도어(15)는 냉풍유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 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디프로스트 도어(16a), 벤트 도어(16b) 및 플로어 도어(16c)로 구성되는 다수의 모드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믹싱챔버에 대하여 냉풍유로 및 온풍유로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 측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 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최대냉방모드, 최대난방모드, 1/2냉방모드시, 페이스 벤트(12b)로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페이스 벤트(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앞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콘솔 덕트(12e)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 측으로 토출되어 차량의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콘솔 도어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콘솔 덕트(12e) 측으로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해 콘솔 도어(16d)를 추가하기도 한다.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는 별도의 콘솔 도어를 구비하지 않아 콘솔 덕트 측으로 항시 공조 공기가 토출된다. 이 경우, 디프로스트 모드 등에서도 필요없는 풍량이 콘솔 측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토출되는 풍량이 약해지며 제상 성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는 별도의 콘솔 도어를 구비함에 따라 플로어 벤트 측 풍량과 콘솔 측 풍량을 각기 다른 도어로 조절하기 때문에,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암 등의 부품이 추가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2506호(2013.01.09)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액추에이터, 암 및 도어를 추가하지 않고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로의 풍량을 함께 제어하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을 증대시키고 기타 공조 모드에서 콘솔 측으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 측에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플로어 벤트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 일부를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콘솔 벤트가 구비되며, 상기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벤트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바이패스 유로는 폭 방향으로 플로어 도어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바이패스 유로는 플로어 도어의 양측면에 형성된 절개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페이스 벤트의 입구와 콘솔 벤트의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벤트 도어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플로어 도어는: 공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로어 벤트의 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평판부와; 상기 회전축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평판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콘솔 벤트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평판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이패스 유로는 제1 평판부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절개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의 입구를 폐쇄시 절개부가 공조케이스에 밀착되어 절개부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되고, 플로어 도어가 플로어 벤트의 입구를 개방시 절개부가 공조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절개부를 통해 공기가 콘솔 벤트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에서, 폭 방향으로 공조케이스의 양 내측면에는 절개부에 맞물리게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플로어 도어의 형상을 변경하여 플로어 측 및 콘솔 측 풍량을 함께 제어 가능하고, 액추에이터, 도어 및 암 등의 구성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풍량을 증대시켜 제상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플로어 도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드에서의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콘솔 도어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와 공조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온도조절도어(130)를 포함한다.
공조케이스(110)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유로 상에는 냉풍유로와 온풍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유로 상에 순차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도어(130)는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공조케이스(110)의 출구 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로 구성된다.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는 각각 디프로스트 도어(117), 벤트 도어(118), 플로어 도어(119)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모드 도어(117)(118)(119)의 개도에 따라 다양한 공조 모드, 즉 벤트 모드(Vent mode), 바이레벨 모드(B/L mode), 플로어 모드(Floor mode), 믹스 모드(Mix mode), 디프로스트 모드(Def mode)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공조케이스(110)의 후방 측에는 콘솔 벤트(116)가 더 구비된다. 콘솔 벤트(116)는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 일부를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콘솔 벤트(116)는 덕트 형태로 이루어져, 플로어 벤트(114,115)를 형성하기 위한 공조케이스(110)의 후면측에 연장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116)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된다. 아울러,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구비한다.
바이패스 유로는 플로어 도어(119)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116)로 유동시킨다. 바이패스 유로의 구성을 통해, 콘솔 벤트(116) 측으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개의 플로어 도어(119)로 플로어 벤트(114,115) 측 풍량과 콘솔 벤트(116) 측 풍량을 함께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액추에이터, 도어 및 암 등의 구성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폭 방향으로 플로어 도어(119)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폭 방향은 플로어 도어(119)의 축 방향을 의미한다. 바이패스 유로가 플로어 도어(119)의 양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플로어 벤트(114,115)를 향하는 공기가 도어의 측면을 따라 콘솔 벤트(116) 측으로 일부 유동되어 플로어 도어의 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콘솔 측으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플로어 벤트로의 공기 유동을 가능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콘솔 벤트로의 풍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와 공조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플로어 도어(119)는 회전축(1191)과, 제1 평판부(1193) 및 제2 평판부(1192)로 구성되어, 센터 피봇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회전축(1191)은 공조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공조케이스(110)에 회전축공(1101)이 형성되고, 회전축(1191)이 회전축공(110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평판부(1193)는 회전축(119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평판부(1192)는 회전축(119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평판부(1193)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평판부(1192)는 콘솔 벤트(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도 3의 상태에서, 플로어 도어(119)의 제1 평판부(1193)는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2 평판부(1192)는 콘솔보조 입구를 폐쇄하고 있다. 이 경우, 콘솔 벤트(116)의 입구는 개방되어 있다.
도 3의 상태에서 플로어 도어(11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로어 벤트(114,115) 측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일 경우, 플로어 도어(119)의 제1 평판부(1193)는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개방함과 아울러 제2 평판부(1192)가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폐쇄한다. 이 경우, 콘솔보조 입구는 일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와 콘솔 벤트(116)의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즉, 디프로스트 모드 시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와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폐쇄한다. 따라서, 디프로스트 모드 시 플로어 도어(119)를 플로어 벤트(114,115)를 폐쇄하도록 조작하게 되면, 토출 공기는 콘솔 벤트(116)로 배출되지 않고 모두 디프로스트 벤트(112)로만 토출되어, 필요없는 풍량이 콘솔 측으로 토출되어 디프로스트 벤트 측 풍량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디프로스트 모드 시 작동 예를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제1 평판부(1193)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절개부(1194)로 구성된다. 또한, 폭 방향으로 공조케이스(110)의 양 내측면에는 절개부(1194)에 맞물리게 돌출된 돌기부(1102)가 형성된다.
즉,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폐쇄시, 절개부(1194)가 공조케이스(110)에 밀착되어 절개부(1194)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된다. 아울러, 플로어 도어(119)가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개방시, 절개부(1194)가 공조케이스(110)로부터 이격되어 절개부(1194)를 통해 공기가 콘솔 벤트(116) 측으로 유동된다.
다시 말해, 도 3과 같이 플로어 도어(119)가 플로어 벤트(114,115)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절개부(1194)는 돌기부(1102)에 맞물려 절개부(1194)를 통한 공기의 유동은 차단된다. 만약, 플로어 도어(119)가 도 7과 같이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입구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플로어 도어(119)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드에서의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프로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폐쇄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를 모두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서만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개방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를 모두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콘솔 벤트(116)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이레벨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개방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를 모두 약간(완전 개방 상태와 비교하여 작은 수준)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콘솔 벤트(116)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아울러, 공조 공기의 일부는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유로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로어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약간(완전 개방 상태와 비교하여 작은 수준)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폐쇄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를 모두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일부 토출되고, 대부분의 공기가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유로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믹스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폐쇄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를 모두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토출되고, 일부의 공기가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유로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01 : 증발기 102 : 히터코어
110 : 공조케이스 130 : 온도조절도어
111 : 공기유입구 112 : 디프로스트 벤트
113 : 페이스 벤트 114,115 : 플로어 벤트
117 : 디프로스트 도어 118 : 벤트 도어
119 : 플로어 도어
1191 : 회전축 1193 : 제1 평판부
1192 : 제2 평판부 1194 : 절개부
1102 : 돌기부

Claims (8)

  1. 입구 측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10)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 일부를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콘솔 벤트(116)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116)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119)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116)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어 도어(119)는: 공조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191); 회전축(119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 평판부(1193); 상기 회전축(119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평판부(1193)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콘솔 벤트(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2 평판부(1192)로 구성되며,
    상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폐쇄시 절개부(1194)가 공조케이스(110)에 밀착되어 절개부(1194)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되고, 플로어 도어(119)가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개방시 절개부(1194)가 공조케이스(110)로부터 이격되어 절개부(1194)를 통해 공기가 콘솔 벤트(116)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폭 방향으로 플로어 도어(119)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플로어 도어(119)의 양측면에 형성된 절개부(119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와 콘솔 벤트(116)의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벤트 도어(1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제1 평판부(1193)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절개부(119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공조케이스(110)의 양 내측면에는 절개부(1194)에 맞물리게 돌출된 돌기부(11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140574A 2014-10-17 2014-10-17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8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74A KR102086650B1 (ko) 2014-10-17 2014-10-1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574A KR102086650B1 (ko) 2014-10-17 2014-10-17 차량용 공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057A Division KR102192849B1 (ko) 2020-02-24 2020-02-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967A KR20160045967A (ko) 2016-04-28
KR102086650B1 true KR102086650B1 (ko) 2020-03-11

Family

ID=5591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574A KR102086650B1 (ko) 2014-10-17 2014-10-1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06B1 (ko) 2006-09-15 2013-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1484707B1 (ko) * 2008-07-07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9B1 (ko) * 2009-03-19 2015-08-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967A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719B2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678338B (zh) 车用空调
US10266030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KR201201389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38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178866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0562004A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1000658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0871662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20866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928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13221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67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81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862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182146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WO2023182147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1700408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477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05538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15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