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707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707B1
KR101484707B1 KR20080065573A KR20080065573A KR101484707B1 KR 101484707 B1 KR101484707 B1 KR 101484707B1 KR 20080065573 A KR20080065573 A KR 20080065573A KR 20080065573 A KR20080065573 A KR 20080065573A KR 101484707 B1 KR101484707 B1 KR 10148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air
mode
consol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09A (ko
Inventor
한규익
김영근
서정훈
윤길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7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페이스 벤트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도하도록 콘솔 벤트의 입구측에 분기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모드도어에는 관통부를 형성하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공조모드에서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뒷좌석 냉난방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으므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장치, 공조케이스, 콘솔 벤트, 모드도어, 관통부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페이스 벤트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도하도록 콘솔 벤트의 입구측에 분기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모드도어에는 관통부를 형성하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공조모드에서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뒷좌석 냉난방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으므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 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차량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히터코어(3)의 후방측 온풍유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의 사이에는 가이드벽(17)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앞좌석과 뒷좌석의 온도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의 후측에는 차량 실내의 중앙부인 콘솔박스(미도시)측 으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여 뒷좌석 공간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콘솔 벤트(12e)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콘솔 벤트(12e)는 상기 페이스 벤트(12b)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페이스 벤트(12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박스쪽으로 유도한 후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12a~12e)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12a~12e)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한편,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 냉풍유로(P1) 및 상기 온풍유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12a~12e)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조장치(1)는, 상기 콘솔 벤트(12e)가 상기 페이스 벤트(12b)로부터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인해 상기 콘솔 벤트(12e)는 상기 페이스 벤트(12b)를 개폐하는 모드도어(16b)의 개폐에 의해서만 풍량의 유무가 결정되므로 상기 페이스 벤트(12b)가 폐쇄되는 특정 공조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서는 상기 콘솔 벤트(12e)로 공기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뒷좌석 냉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스 벤트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도하도록 콘솔 벤트의 입구측에 분기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모드도어에는 관통부를 형성하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공조모드에서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뒷좌석 냉난방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으므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플로어 벤트 및 상기 페이스 벤트로부터 분기되는 콘솔 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및 플로어 벤트의 개도를 각각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모드도어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 벤트의 입구측에는 상기 페이스 벤트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콘솔 벤트로 유도하는 분기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모드도어에는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페이스 벤트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도하도록 콘솔 벤트의 입구측에 분기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모드도어에는 관통부를 형성하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공조모드에서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뒷좌석 공간의 냉난방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 상기 모드도어에 관통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항시 콘솔 벤트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페이스 벤트를 개폐하는 모 드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유로상에는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유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가 차례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차량 실내의 중앙측과 양측으로 각각 공기를 분할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로 분할 형성된다.
상기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측에 형성되는 격벽(113c)에 의해 분할되며, 이때, 상기 센터 벤트(113a)는 페이스 벤트(113)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 벤트(113b)는 상기 센터 벤트(113a)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분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와, 플로어 벤트(114,115)는 각각 모드 도어(117)(118)(119)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도어(117)(118)(119)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8a)과, 상기 회전축(118a)의 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18b)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118b)의 가장자리에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벽면과 접촉시 실링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재질의 실링부재(118d)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유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에는 가이드벽(110a)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30)와 모드도어(117)(118)(119)들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5)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후측에는 차량 실내의 중앙부인 콘솔박스(미도시)측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콘솔 벤트(116)가 형성된다.
상기 콘솔 벤트(116)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박스측으로 유도한 후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 하게 된다. 즉,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콘솔 벤트(116)는 모두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는 하나의 모드도어(118)에 의해 풍량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측에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콘솔 벤트(116)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분기 가이드(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모드도어(118)에는, 공조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118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18c)는 상기 모드도어(118)의 플레이트(118b)에 한 개 또는 복수개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 가이드(120)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센터 벤트(113a) 영역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터 벤트(113a)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콘솔 벤트(116)로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118)에 형성된 관통부(118c)는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영역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드도어(118)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폐쇄시, 상기 모드도어(118)에 형성된 관통부(118c)는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내측과 연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드도어(118)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폐쇄할 경우에도 상기 모드도어(118)에 형성된 관통부(118c)를 통해 공기가 상기 콘솔 벤트(116)로 항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하단면은 상기 모드도어(118)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폐쇄시 모드도어(118)의 플레이트(118b)와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실링하게 됨으로써, 상기 모드도어(118)의 관통부(118c)를 통해 분기 가이드(120)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센터 벤트(113a)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하단면은 상기 모드도어(118)와 접촉시 원활한 실링을 위해 실링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모드도어(118)의 플레이트(118b)에는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하단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성 향상을 위해 실링부재(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하단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도어(118)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폐쇄시 공기가 누설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콘솔 벤트(116)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차량 내부의 콘솔박스를 통해 뒷좌석 공간으로 항시 공조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콘솔박스에는 상기 콘솔 벤트(11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미도시)나 온/오프 버튼(미도시)을 별도로 설치하여 탑승자가 뒷좌석 공간의 냉,난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공조모드 중 상기 페이스 벤트(113)가 모드도어(118)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모드의 경우와, 상기 페이스 벤트(113)가 모드도어(118)에 의해 폐쇄되는 플로어모드의 경우만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 벤트모드
도 3은 벤트(VENT)모드에서 최대 냉방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냉풍유로(P1)를 개방하고 온풍유로(P2)는 폐쇄하며, 상기 모드도어(117)(118)(119)들은 상기 페이스 벤트(113)만 개방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및 플로어 벤트(114)(115)는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뀐 뒤,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페이스 벤트(113)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앞좌석 공간을 냉방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분기 가이드(120)를 통해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나. 플로어모드
도 4는 플로어(FLOOR)모드에서 최대 냉방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상기 온도조절도어(130)는 냉풍유로(P1)를 개방하고 온풍유로(P2)는 폐쇄하며, 상기 모드도어(117)(118)(119)들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및 페이스 벤트(113)를 폐쇄하고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만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드도어(118)가 페이스 벤트(113)를 폐쇄하더라도 상기 모드도어(118)에 형성된 관통부(118c)를 통해 상기 콘솔 벤트(116)는 개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콘솔 벤트(116)측으로도 항시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뀐 뒤, 일부는 상기 플로어 벤트(113)로 공급되고, 일부는 상기 모드도어(118)의 관통부(118c)를 통과하면서 상기 분기 가이드(120)에 유도되어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로 공급된 냉기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토출되어 냉방하고,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공급된 냉기는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급된 냉기는 차실내 콘솔박스 후방측으로 토출되어 뒷좌석 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공조모드 외에도 더욱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조모드는 공지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측에 분기 가이드(120)를 형성하고, 상기 모드도어(118)에 관통부(118c)를 형성하여 공 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 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제어 공조장치 등 모든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페이스 벤트를 개폐하는 모드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115: 플로어 벤트
116: 콘솔 벤트 117,118,119: 모드도어
118a: 회전축 118b: 플레이트
118c: 관통부
120: 분기 가이드 130: 온도조절도어

Claims (4)

  1.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 및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부터 분기되는 콘솔 벤트(116)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의 개도를 각각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모드도어(117)(118)(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 벤트(116)의 입구측에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콘솔 벤트(116)로 유도하는 분기 가이드(120)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모드도어(118)에는, 상기 모드도어(118)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폐쇄하더라도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콘솔 벤트(116)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통부(118c)가 형성되며,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차량 실내의 중앙측과 양측으로 각각 공기를 분할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페이스 벤트(113)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센터 벤트(113a)와, 상기 센터 벤트(113a)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벤트(113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분기 가이드(120)는, 상기 센터 벤트(113a)의 영역내에 위치하여 센터 벤트(113a)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콘솔 벤트(116)로 유도하며,
    상기 모드도어(118)에 형성된 관통부(118c)는,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영역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가이드(120)의 하단면은 상기 모드도어(118)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폐쇄시 모드도어(118)와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65573A 2008-07-07 2008-07-0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5573A KR101484707B1 (ko) 2008-07-07 2008-07-0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5573A KR101484707B1 (ko) 2008-07-07 2008-07-0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09A KR20100005509A (ko) 2010-01-15
KR101484707B1 true KR101484707B1 (ko) 2015-01-21

Family

ID=4181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5573A KR101484707B1 (ko) 2008-07-07 2008-07-0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495B1 (ko) * 2012-08-17 2014-11-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02173B1 (ko) * 2013-03-14 2016-03-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4068B1 (ko) * 2013-08-22 2019-09-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3021B1 (ko) 2014-04-29 2019-12-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86650B1 (ko) * 2014-10-17 2020-03-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04529B1 (ko) 2014-12-05 2020-04-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192849B1 (ko) * 2020-02-24 2020-12-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748A (ja) * 1998-08-28 2000-03-0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321361A (ja) 2005-05-19 2006-11-30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ベント開口部構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70059519A (ko) * 2005-12-07 2007-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26056A (ko) * 2006-09-19 2008-03-24 베헤르 프랑스 루패취 에스에이에스 특히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공기 덕트 하우징 내의분배 플랩과 대응하는 분배 플랩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748A (ja) * 1998-08-28 2000-03-0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321361A (ja) 2005-05-19 2006-11-30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ベント開口部構成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70059519A (ko) * 2005-12-07 2007-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26056A (ko) * 2006-09-19 2008-03-24 베헤르 프랑스 루패취 에스에이에스 특히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공기 덕트 하우징 내의분배 플랩과 대응하는 분배 플랩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09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7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034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60167477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448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2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345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021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10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03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8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35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0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194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037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