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495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495B1
KR101463495B1 KR1020120090084A KR20120090084A KR101463495B1 KR 101463495 B1 KR101463495 B1 KR 101463495B1 KR 1020120090084 A KR1020120090084 A KR 1020120090084A KR 20120090084 A KR20120090084 A KR 20120090084A KR 101463495 B1 KR101463495 B1 KR 10146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mode
air
opening
de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732A (ko
Inventor
반경우
감동민
김동균
김성현
변상철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4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모드도어의 박판부재에 메인 개구부 및 상기 메인 개구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를 형성하고, 페이스 벤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페이스 벤트 및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하여 7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폐쇄부재를 통해 상기 보조 개구부가 페이스 벤트측에 위치할 때의 공기 리크를 방지함은 물론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하는 보스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1개의 모드도어를 사용하여 7모드를 구현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더욱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제공하여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모드도어의 박판부재에 메인 개구부 및 상기 메인 개구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를 형성하고, 페이스 벤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페이스 벤트 및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하여 7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공기가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코어로 유입하여 송풍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한 가지로,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각각 별도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결합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의 공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짐은 물론 생산성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on type)의 공조장치 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의 공조장치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 1 에는 종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송풍기 유니트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 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출구측에 모드도어(14,15)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1), 페이스 벤트(12) 및 플로어 벤트(13)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그리고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와 모드도어(14,15)로는 플랫형(Flat Type), 돔형(Dome Type), 슬라이딩형(Sliding Type)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슬라이딩형 온도조절도어(20) 및 모드도어(14)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 기어부(21a)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21)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도어(21)의 기어부(21a)와 기어결합되도록 기어부(22a)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풍과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14) 역시 상기 온도조절도어(20)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14a)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4a)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4a)와 맞물리는 기어샤프트(14b)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형 모드도어(14)의 일측에는 플로어 벤트(13)를 개폐하기 위한 플랫형 모드도어(15)가 더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의 표면을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풍으로 바뀐 뒤,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여, 공기토출모드(벤트 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송풍공기는 온풍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한편, 믹싱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냉풍통로(P1) 및 상기 온풍통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3)를 거친 온풍이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되면서,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도어(14,15)를 작동하여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구현하게 되는데,
즉, 상기 페이스 벤트(12)를 개방하는 벤트 모드, 상기 페이스 벤트(12) 및 플로어 벤트(13)를 개방하는 바이레벨 모드, 상기 플로어 벤트(13)를 개방하는 플로어 모드, 상기 플로어 벤트(13) 및 디프로스트 벤트(11)를 개방하는 믹스 모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를 개방하는 디프로스트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의 기본 5모드 외에도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 구현을 요구함에 따라 7모드가 개발되고 있다.
즉, 상기 기본 5모드 외에, 상기 페이스 벤트(12) 및 디프로스트 벤트(11)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상기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로 구현하여 7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를 일예로 설명하면, 상기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의 경우 상기 슬라이딩형 모드도어(14)로 페이스 벤트(12) 및 디프로스트 벤트(11)를 동시에 개방하게 되고, 상기 올 모드의 경우 상기 슬라이딩형 모드도어(14)로 상기 페이스 벤트(12) 및 디프로스트 벤트(11)를 개방하고 상기 플랫형 모드도어(15)로 상기 플로어 벤트(13)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조장치는, 7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최소 2개이상의 모드도어(14,15)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각 모드도어를 개별 구동시키기 위해 각각 개별 작동하는 구동수단(캠, 아암, 레버, 액츄에이터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와 페이스 벤트(12)를 구획하는 보스부(11a)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상기 보스부(11a)가 사출후 변형에 취약한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드도어의 박판부재에 메인 개구부 및 상기 메인 개구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를 형성하고, 페이스 벤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페이스 벤트 및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하여 7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폐쇄부재를 통해 상기 보조 개구부가 페이스 벤트측에 위치할 때의 공기 리크를 방지함은 물론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하는 보스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1개의 모드도어를 사용하여 7모드를 구현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더욱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제공하여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벤트, 플로어 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특정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메인 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박판부재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와 기어결합되어 박판부재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로 구성된 모드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도어의 작동을 통해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로 구성된 기본 공기토출모드를 구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에는, 상기 메인 개구부와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벤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가 페이스 벤트측에 위치할 때 상기 보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상기 페이스 벤트 및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상기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로 구현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개구부를 통한 페이스 벤트측 공기 리크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드도어의 박판부재에 메인 개구부 및 상기 메인 개구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를 형성하고, 페이스 벤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페이스 벤트 및 디프로스트 벤트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하여 7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탑승자에게 더욱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쾌적성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폐쇄부재를 통해 상기 보조 개구부가 페이스 벤트측에 위치하는 공기토출모드에서 공기 리크를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1폐쇄부재가 디프로스트 벤트와 페이스 벤트를 구획하는 보스부를 직접 지지함에 따라 상기 보스부의 사출후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모드도어를 사용하여 7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내에 제2폐쇄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를 폐쇄해야하는 공기토출모드에서 상기 보조 개구부를 폐쇄하여 공기 리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공조케이스의 상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모드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디프로스트 모드시 제1폐쇄부재가 보조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공기토출모드별 모드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출구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110c)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온도조절도어(120) 및 모드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 사이의 공기통로(110c)상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상기 공기토출구(116)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우로 분할 형성된 좌,우측케이스(110a,110b)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는 증발기(101)의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 할 수 있도록 일체형의 하부케이스(110d)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와 외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송풍하는 송풍장치(106)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10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스크롤케이스(107)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07)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08)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07)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를 통해 내,외기유입구를 개폐하여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인테이크 덕트(미도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06)는 인테이크 덕트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은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에서는 상기 송풍장치(106)가 공조케이스(110)와 함께 차량의 센터(중앙)측에 배치되며,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와 연결된 스크롤케이스(107)는 증발기(101)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가 차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사이에는 이들을 구획하는 보스부(112a)가 형성된다.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로 분할되어 형성되는데, 즉,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부 중앙측에는 차량 실내의 중앙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센터 벤트(113a)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벤트(113a)의 양측에는 차량 실내의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사이드 벤트(113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는 복수개의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분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에는 구획벽(117)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와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 또는 케이블타입 컨트롤러와 같은 구동수단(170)에 연결되어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통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5)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샤프트(121)와, 상기 기어샤프트(121)에 맞물림과 아울러 기어샤프트(121)의 회전시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박판부재(1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도어(130) 역시 기어샤프트(140)와 박판부재(150)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부에는 기어부(14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기어부(141) 보다 바깥쪽 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일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170)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는 후술하는 박판부재(150)의 레일부(155)에 형성된 기어홈(155a)과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샤프트(140)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 중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에서부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박판부재(150)의 이동 경로 중앙인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하부측에 상기 기어샤프트(140)를 배치함으로써, 전체 공기토출모드에 걸쳐 박판부재(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박판부재(150)는, 곡면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와 맞물려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기 각 벤트(112~115)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박판부재(150)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레일부(155)가 형성되되, 상기 레일부(155)에는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기어부(141)와 맞물리도록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복수개의 기어홈(15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150)의 레일부(155)와 마주하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는 상기 레일부(15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레일홈부(1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가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므로, 상기 레일홈부(118)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양 레일부(155)와 마주하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인해, 상기 모드도어(130)의 박판부재(15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에 형성된 각 레일홈부(118)의 사이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판부재(150) 및 레일홈부(118)는 동일 반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150)는 상기 공기토출구(116)측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회전시,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레일홈부(118)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가 각 벤트(112~115)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150)와 레일홈부(118)가 동일 반경, 즉, 동일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작동시 박판부재(15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박판부재(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두께는 작동 및 내구성에 문제가 없는한 최대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판부재(150)는, 제1도어부(151)와, 제2도어부(152)와, 메인 개구부(154)와, 보조 개구부(156)와, 브릿지부(1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처럼, 단일의 박판부재(150)를 사용함으로써, 모드도어(130)의 전체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수와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하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공조장치(10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부(151)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 중 적어도 2개의 벤트를 폐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도어부(151)의 슬라이딩 방향 길이가 상기 각 벤트(112~115) 중 인접한 2개의 벤트를 동시에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물론 상기 제1도어부(151)가 반시계방향으로 최대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1개의 벤트, 즉, 디프로스트 벤트(112)만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도어부(151)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를 동시에 폐쇄하거나 또는 페이스 벤트(113)와 플로어 벤트(114,115)를 동시에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도어부(152)는 상기 제1도어부(151)와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각 벤트(112~115) 중 적어도 1개의 벤트를 폐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도어부(152)는 슬라이딩 방향 길이가 상기 각 벤트(112~115) 중 1개의 벤트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2도어부(152)는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벤트(112~115) 중 2개의 벤트를 폐쇄할 수 있어야 하는 상기 제1도어부(151)의 슬라이딩 방향 길이는, 상기 각 벤트(112~115) 중 1개의 벤트를 폐쇄할 수 있어야 하는 상기 제2도어부(152)의 슬라이딩 방향 길이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개구부(154)는, 상기 제1도어부(151)와 제2도어부(152)의 사이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특정 벤트의 개도를 조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 개구부(154)는 제1도어부(151)와 제2도어부(152)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브릿지부(153)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부(153)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부에서 상기 센터 벤트(113a)와 사이드 벤트(113b)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개구부(154)는 1개의 벤트를 개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특정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메인 개구부(154)가 2개의 벤트에 각각 걸쳐지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2개의 벤트를 각각 일부씩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일홈부(118) 일측의 공조케이스(110) 내측면에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레일부(155)에 관통 형성된 기어홈(155a)을 덮도록 실링벽(118a)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박판부재(150)의 관통된 기어홈(155a)을 통해 공기가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실링벽(118a)은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의 내측면에서 상기 박판부재(150)의 기어홈(155a)과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실링벽(118a)에 밀착되면서 공기의 리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드도어(130)의 작동을 통해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로 구성된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상기 페이스 벤트(113)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상기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하여 7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7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박판부재(150)에는, 상기 메인 개구부(154)와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15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시에는 상기 메인 개구부(154)가 페이스 벤트(113)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며, 상기 올 모드시에는 상기 메인 개구부(154)가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센터 벤트(113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센터 벤트(113a)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센터 개구부(156a)와, 상기 사이드 벤트(11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사이드 개구부(156b)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사이드 개구부(156b) 역시 상기 사이드 벤트(113b)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열로 형성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센터 벤트(113a) 및 사이드 벤트(113b)의 위치에 대응하여 1열당 3개의 보조 개구부(156)가 형성되며, 총 2열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태 및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는 역할만 하면 되는데, 플로어 모드나 믹스모드 및 디프로스트 모드시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까지 이동하여 페이스 벤트(113)를 개방하게 되면서 페이스 벤트(113)로 공기가 리크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 벤트(113a)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할 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폐쇄부재(160)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센터 벤트(113a)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마주하는 센터 벤트(113a)내 양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터 개구부(156a)를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할 때, 상기 제1폐쇄부재(160)는 상기 센터 벤트(113a)내에 위치한 상기 보조 개구부(156)의 센터 개구부(156a)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인해,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까지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폐쇄부재(160)가 보조 개구부(156)의 센터 개구부(156a)를 폐쇄하기 때문에 페이스 벤트(113)의 센터 벤트(113a)측으로 공기가 리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폐쇄부재(160)는 상기 센터 벤트(113a)내의 중앙에 형성되되, 상기 센터 벤트(113a)의 폭 보다 작고, 상기 센터 개구부(156a)의 폭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폐쇄부재(160)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내의 일측면과 상기 보스부(112a)를 일체로 연결하여 보스부(112a)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보스부(112a)의 강도가 향상되고, 이로인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사출후, 상기 보스부(112a)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유리창에 생기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사이드 벤트(113b)로는 항시 일정량의 공기가 토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까지 이동하더라도 상기 보조 개구부(156)의 사이드 개구부(156b)는 폐쇄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토출모드 중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폐쇄해야 하는 모드 일 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2폐쇄부재(16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폐쇄부재(161)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내에서도 공조케이스(110)의 폭방향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폐쇄부재(161)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공조케이스(110)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디프로스트 벤트(112)측에 각각 형성된 제2폐쇄부재(161)도 서로 조립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하고 공조케이스(110)의 변형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폐쇄부재(161)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마주하는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상기한 제2폐쇄부재(161)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폐쇄해야 하는 공기토출모드 일 때, 즉,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시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폐쇄부재(161)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폐쇄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풍량 배분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벗어나도록 작동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12)가 개방되는 디프로스트 모드나 믹스 모드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량 배분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2폐쇄부재(161)의 형태나 크기를 조절하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량 배분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판부재(150)에는 상기 제1도어부(151)와 제2도어부(152)의 사이에 상기 메인 개구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도어부(151)상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형성됨으로써,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페이스 벤트(113)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하여 7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1개의 모드도어(130)를 사용하여 7모드를 구현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탑승자에게 더욱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제공하여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폐쇄부재(160)를 통해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하는 공기토출모드에서의 공기 리크를 방지함은 물론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페이스 벤트(113)를 구획하는 보스부(112a)의 사출후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각 공기토출모드를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상 냉방모드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 벤트 모드
상기 벤트 모드는 도 7과 같이, 상기 기어샤프트(140)의 회전 작동으로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폐쇄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중 1열은 상기 제2폐쇄부재(161)에 의해 폐쇄되고, 나머지 1열은 공조케이스(110) 내측면에 의해 폐쇄된다.
이로인해, 상기 페이스 벤트(113)로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에 의해 완전 개방된 페이스 벤트(113)를 통해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나. 벤트-디프로스트 모드
상기 벤트-디프로스트 모드는 도 8과 같이,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벤트 모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모두 상기 제2폐쇄부재(161)와 어긋나게 위치하여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페이스 벤트(113)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로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일부 공기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에 의해 개방된 페이스 벤트(113)를 통해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토출되고, 일부공기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에 의해 개방된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 유리창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다. 바이레벨 모드
상기 바이레벨 모드는 도 9와 같이,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를 동시에 개방하게 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폐쇄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중 1열은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디프로스트 벤트(112) 사이의 보스부(112a)에 의해 폐쇄되고, 나머지 1열은 상기 제2폐쇄부재(161)에 의해 폐쇄된다.
이로인해, 상기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로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일부 공기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에 의해 개방된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를 통해 탑승자의 얼굴과 발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라. 올(All) 모드
상기 올 모드는 도 10과 같이,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바이레벨 모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를 동시에 개방하게 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중 1열은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디프로스트 벤트(112) 사이의 보스부(112a)에 의해 폐쇄되지만, 나머지 1열은 상기 제2폐쇄부재(161)와 어긋나게 되면서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150)의 제1도어부(151)도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일부 개방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플로어 벤트(114,115)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 모두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일부 공기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에 의해 개방된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115)를 통해 탑승자의 얼굴과 발쪽으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에 의해 개방된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 유리창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마. 플로어 모드
상기 플로어 모드는 도 11과 같이,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올 모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일부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사이드 벤트(113b)를 일부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중 1열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하나 센터 개구부(156a)는 제1폐쇄부재(160)에 의해 폐쇄되고 사이드 개구부(156b)만 상기 사이드 벤트(113b)측에 위치하여 사이드 벤트(113b)를 일부 개방하게 되며, 나머지 1열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일부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150)의 제1도어부(151)도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일부 개방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디프로스트 벤트(112) 및 페이스 벤트(113)로 공기가 모두 토출되긴 하지만,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로 상대적으로 많은 공기가 토출되고, 그 다음으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시이드 벤트 순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대략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로 65%,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25%, 상기 사이드 벤트(113b)로 10% 정도의 공기가 배분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일부 공기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에 의해 개방된 플로어 벤트(114,115)를 통해 탑승자의 발쪽으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에 의해 개방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사이드 벤트(113b)를 통해 유리창 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바. 믹스 모드
상기 믹스 모드는 도 12와 같이,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플로어 모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사이드 벤트(113b)만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중 1열은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하나 센터 개구부(156a)는 제1폐쇄부재(160)에 의해 폐쇄되고 사이드 개구부(156b)만 상기 사이드 벤트(113b)측에 위치하여 사이드 벤트(113b)를 일부 개방하게 되며, 나머지 1열은 상기 페이스 벤트(113)와 디프로스트 벤트(112) 사이의 보스부(112a)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150)의 제1도어부(151)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와 디프로스트 벤트(112)로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로 상기 사이드 벤트(113b)로는 항시 일정량의 공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일부 공기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에 의해 개방된 플로어 벤트(114,115)를 통해 탑승자의 발쪽으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상기 제1도어부(151)에 의해 개방된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 유리창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사. 디프로스트 모드
상기 디프로스트 모드는 도 13과 같이, 상기 박판부재(150)가 상기 믹스 모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박판부재(150)의 메인 개구부(154)가 상기 구획벽(117)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사이드 벤트(113b)만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 2열 모두 상기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하나 센터 개구부(156a)는 제1폐쇄부재(160)에 의해 폐쇄되고 사이드 개구부(156b)만 상기 사이드 벤트(113b)측에 위치하여 사이드 벤트(113b)를 일부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박판부재(150)의 제1도어부(151)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로만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로 상기 사이드 벤트(113b)로는 항시 일정량의 공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송풍장치(106)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한 후, 상기 박판부재(150)의 보조 개구부(156)에 의해 개방된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 유리창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7모드에서는, 상기 사이드 벤트(113b)내에 위치한 박판부재(150)의 기어홈(155a)을 통해 항시 일정량의 공기가 토출된다. 즉, 상기 사이드 벤트(113b)내에 형성된 실링벽(118a)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실링벽(118a)이 제거된 부위에 위치한 박판부재(150)의 기어홈(155a)을 통해 항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드도어(130)의 박판부재(150)에 메인 개구부(154) 및 상기 메인 개구부(154)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156)를 형성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의 센터 개구부(156a)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160)를 형성한 구성을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 쓰리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06: 송풍장치
110: 공조케이스 110a: 좌측케이스
110b: 우측케이스 110c: 공기통로
110d: 하부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트스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115: 플로어 벤트 116: 공기토출구
117: 구획벽 118: 레일홈부
118a: 실링벽 120: 온도조절도어
130: 모드도어 140: 기어샤프트
141: 기어부 150: 박판부재
151: 제1도어부 152: 제2도어부
153: 브릿지부 154: 메인 개구부
155: 레일부 155a: 기어홈
156: 보조 개구부 160: 제1폐쇄부재
161: 제2폐쇄부재 170: 구동수단

Claims (8)

  1. 일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특정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메인 개구부(154)가 관통 형성된 박판부재(15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150)와 기어결합되어 박판부재(150)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140)로 구성된 모드도어(13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도어(130)의 작동을 통해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로 구성된 기본 공기토출모드를 구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150)에는, 상기 메인 개구부(154)와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기 위한 보조 개구부(156)가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가 페이스 벤트(113)측에 위치할 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1폐쇄부재(160)가 형성되어,
    상기 기본 공기토출모드 외에 상기 페이스 벤트(113)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개방하는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와, 상기 모든 벤트를 개방하는 올 모드를 추가로 구현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통한 페이스 벤트(113)측 공기 리크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벤트-디프로스트 모드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페이스 벤트(113)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센터 벤트(113a)와, 상기 센터 벤트(113a)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벤트(113b)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센터 벤트(113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센터 벤트(113a)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센터 개구부(156a)와, 상기 사이드 벤트(11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사이드 개구부(15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개구부(156)는, 상기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폐쇄부재(160)는, 상기 페이스 벤트(113)의 센터 벤트(113a)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박판부재(15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마주하는 센터 벤트(113a)내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센터 개구부(156a)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폐쇄부재(160)는, 상기 센터 벤트(113a)의 폭 보다 작고, 상기 센터 개구부(156a)의 폭 보다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토출모드 중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폐쇄해야 하는 모드 일 때, 상기 보조 개구부(156)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제2폐쇄부재(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부재(150)는,
    상기 각 벤트 중 적어도 2개의 벤트를 폐쇄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도어부(151)와,
    상기 제1도어부(151)와 슬라이딩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각 벤트 중 적어도 1개의 벤트를 폐쇄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도어부(152)와,
    상기 제1도어부(151)와 제2도어부(152)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메인 개구부(154)와,
    상기 제1도어부(151)상에 관통 형성되는 상기 보조 개구부(1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20090084A 2012-08-17 2012-08-1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084A KR101463495B1 (ko) 2012-08-17 2012-08-1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084A KR101463495B1 (ko) 2012-08-17 2012-08-1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732A KR20140023732A (ko) 2014-02-27
KR101463495B1 true KR101463495B1 (ko) 2014-11-19

Family

ID=5026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084A KR101463495B1 (ko) 2012-08-17 2012-08-1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4074A (zh) * 2016-08-31 2017-01-11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壳体安装结构的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068B2 (ja) * 1994-10-06 2003-12-15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KR20100005509A (ko) * 2008-07-07 2010-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86258A (ko) * 2009-01-22 2010-07-30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37321B1 (ko) * 2004-05-28 2012-04-1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068B2 (ja) * 1994-10-06 2003-12-15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KR101137321B1 (ko) * 2004-05-28 2012-04-1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00005509A (ko) * 2008-07-07 2010-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86258A (ko) * 2009-01-22 2010-07-30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732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2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2950989B (zh) 车用空调
KR1014847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9410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19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34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48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9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2804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57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34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68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069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68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7194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01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068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410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644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6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