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397B1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397B1
KR100816397B1 KR1020010068440A KR20010068440A KR100816397B1 KR 100816397 B1 KR100816397 B1 KR 100816397B1 KR 1020010068440 A KR1020010068440 A KR 1020010068440A KR 20010068440 A KR20010068440 A KR 20010068440A KR 100816397 B1 KR100816397 B1 KR 10081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capsule
vehicle
mounting bracke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418A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6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3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운팅 브라켓과 벤딩 플레이트의 상호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외부의 충격전달시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이너 튜브의 외부에 삽착 설치되는 아웃터 튜브와, 상기 아웃터 튜브와 연동될 수 있도록 그 외부측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차체와 넓게 마주할 수 있도록 확장판이 마련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분리가능하도록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캡슐을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의 일측에 길게 절개 형성된 슬릿과, 일단은 상기 캡슐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일단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며 그 중간단은 상기 슬릿에 비해 크게 라운딩되어 슬릿의 일측 외부에 걸쳐지도록 벤딩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Figure R1020010068440
캡슐, 확장판, 슬릿, 벤딩플레이트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SHOCK ABSORB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을 보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을 보인 저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티어링 컬럼 110:아웃터 튜브
120:이너 튜브 130:스티어링 샤프트
140:로워 브라켓 150:마운팅 브라켓
151:확장판 160:캡슐
161:캡슐 스크류 170:벤딩 플레이트
180:슬릿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 어링 컬럼의 마운팅 브라켓과 벤딩 플레이트의 상호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컬럼은 차량의 충돌시 수축 가능하도록 상, 하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운전자와 운전석 전면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점차적으로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기능이 구비된다.
즉, 스티어링 컬럼은 상, 하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이들을 서로 삽착하여 설치하며, 삽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결합부위의 단면을 변형시키거나, 그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조립된 상태를 지지하다가, 외부의 충격이 전달될 때 축방향으로 그 길이가 줄어 완충기능을 하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10)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아웃터 튜브(20)와, 이 아웃터 튜브(20)의 하단측 내부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기어박스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이너 튜브(30)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 컬럼(10)의 내부에는 운전석 전면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차량의 바퀴에 연결되는 기어박스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스티어링 샤프트(40)가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스티어링 컬럼(10)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너 튜브(30)의 외부에는 그 하부를 감싸며 양측으로 연장된 면이 차체에 밀착 고정되는 로워 브라켓(50)이 설치되고, 아웃터 튜브(20)의 외부에는 상기한 로워 브라켓(50)과 유사하게 마련되는 마운팅 브라켓(60)이 설치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마운팅 브라켓(60)은 그 중간측이 아웃터 튜브(20)를 감쌀 수 있도록 라운딩 형성되며 이에 연장되는 양측에는 차체와 넓게 마주할 수 있도록 확장판(61)이 마련되고, 이 확장판(61)에는 이너 튜브(30)측으로 개구형성된 슬롯(63)이 마련된다.
아울러, 슬롯(63)의 내부에는 마운팅 브라켓(60)과 분리가능하도록 캡슐(70)이 삽입되는데, 이 캡슐(70)은 그 중심측을 관통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캡슐 스크류(71)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고, 외주측을 관통하는 몰딩핀(미도시)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60)에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 발생시 캡슐이 갖는 마찰력으로써 스티어링 컬럼(10)이 충격을 흡수하면서 마운팅 브라켓(60)과 분리된다.
한편, 외부의 충격전달시 분리되는 캡슐(70)과 마운팅 브라켓(60)의 사이에는 스티어링 컬럼(10)에 전달되는 2차 충격을 점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된 대략 "ㄷ"자형의 벤딩 플레이트(80)가 마련된다.
이 벤딩 플레이트(80)는 캡슐(70)을 차체에 고정하는 캡슐 스크류(71)에 의해 일단이 캡슐(70)과 밀착 고정되고, 이에 연장되는 타단은 확장판(61)의 하부면과 리벳팅(81)으로 결합되며, 그 중간단은 일단과 타단측에서 이너 튜브(30)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하되 충격 발생시 그 펴짐이 점차적으로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확장판(61)의 좌, 우 양끝단에는 벤딩 플레이트(80)를 점차적으로 펴지게 하기 위해 "U"자로 절곡형성되는 안내판(62)이 마련된다.
즉, 이 안내판(62)은 차량의 충돌로 인해 캡슐(70)의 몰딩핀이 파단되면서 아웃터 튜브(20)와 이에 연결된 마운팅 브라켓(60)이 이너 튜브(30)측으로 이동할 때 "ㄷ"자형으로 형성된 벤딩 플레이트(80)가 점진적으로 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는, 벤딩 플레이트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이를 안내해 주는 마운팅 브라켓의 안내판을 "U"자형으로 벤딩하기에 원가부담이 클 뿐 아니라, 벤딩 플레이트가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있고 마운팅 브라켓에 리벳팅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제작 및 설치가 불편하고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운팅 브라켓과 벤딩 플레이트의 상호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는, 외부의 충격전달시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이너 튜브의 외부에 삽착 설치되는 아웃터 튜브와, 이 아웃터 튜브와 연동될 수 있도록 그 외부측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차체와 넓게 마주할 수 있도록 확장판이 마련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이 마운팅 브라켓과 분리가능하도록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캡슐을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반대쪽 위치에서, 상기 확장판을 더 연장하여 "ㄴ"자형으로 절곡하고 그 직립된 부분에다 상기 아웃터 튜브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한 슬릿과; 일단은 상기 캡슐에 고정되고 타단이 일단과 인접하게 되도록 그 중간에서 절곡되되, 이 중간은 상기 슬릿의 간격에 비해 크게 라운딩되고서, 절곡에 의해 겹쳐져 접하기 시작하는 부분이 상기 슬릿에 끼워지도록 된 벤딩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100)은, 아웃터 튜브(110)와, 이 아웃터 튜브(110)의 하단측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는 이너 튜브(120)를 구비하고, 이 스티어링 컬럼(100)의 내부에는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스티어링 샤프트(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 튜브(120)의 외부에는 그 하부를 감싸며 양측으로 연장된 면이 차체에 밀착 고정되는 로워 브라켓(140)이 설치되고, 아웃터 튜브(110)의 외부에는 로워 브라켓(140)과 유사한 마운팅 브라켓(150)이 마련된다.
이 마운팅 브라켓(150)은 그 중간측이 아웃터 튜브(110)를 감쌀 수 있도록 라운딩 형성되고, 이에 연장되는 양측에는 차체와 넓게 마주할 수 있도록 확장판(151)이 마련되며, 이 확장판(151)에는 이너 튜브(120)측으로 개구형성된 슬롯(152)이 마련된다.
한편, 슬롯(152)의 내부에는 캡슐(160)이 삽입되는데, 이 캡슐(160)은 그 중심측을 관통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캡슐 스크류(161)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고, 외주 측을 관통하는 몰딩핀(미도시)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150)에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전달시 이너 튜브(120)측으로 이동되는 마운팅 브라켓(150)과 분리된다.
또한, 마운팅 브라켓(150)의 좌, 우 양단에는 확장판(151)을 더 연장하여 "ㄴ"자형으로 절곡하고 그 직립된 부분의 중간에는 아웃터 튜브(11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슬릿(180)을 길게 형성한다.
아울러, 차량의 충돌시 분리되는 캡슐(160)과 마운팅 브라켓(150)의 사이에는 스티어링 컬럼(100)에 전달되는 2차 충격을 점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 대략 "ℓ"자형의 벤딩 플레이트(170)가 마련된다.
이 벤딩 플레이트(170)는 캡슐(160)을 차체에 고정하는 캡슐 스크류(161)에 의해 일단이 캡슐(160)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고, 이로부터 연장되는 다른쪽 끝단을 이너 튜브(120) 쪽을 향해 뻗게 하여 마운팅 브라켓(150)에 형성된 슬릿(180)을 통과한 후, 다시 아웃터 튜브(110) 쪽으로 절곡하여 슬릿(180)을 통과하면서 캡슐(160) 부근까지 이르게 되어서, 마치 "ℓ"자 형상으로 된다.
즉, 벤딩 플레이트(170)는, 일단은 캡슐(160)의 하부면과 밀착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일단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되, 그 중간은 슬릿(180)의 간격에 비해 크게 라운딩되고서, 절곡에 의해 겹쳐져 접하기 시작하는 부분이 상기 슬릿(180)에 끼워지는 형태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이 충격이 아웃터 튜브(110)로 전달되어 아웃터 튜브(110)와 연결된 마운팅 브라켓(150)이 캡슐(160)과의 사이에 설치된 몰딩핀을 파단시키며 이너 튜브(120)측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이너 튜브(120)측으로 이동되는 마운팅 브라켓(150)은, 확장판(151)에 형성된 슬릿(180)에 삽입되어 대략 "ℓ"자형으로 겹쳐져 소정 길이만큼 이너 튜브 쪽으로 튀어나온 벤딩 플레이트(170)의 라운딩된 부분을 좁히면서 점차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충격에너지를 점진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는, 마운팅 브라켓의 안내구조가 단순화되고 벤딩 플레이트가 리벳팅 등의 고정수단이 필요치 않아, 그 제작 내지 설치가 용이해지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외부의 충격전달시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도록 이너 튜브의 외부에 삽착 설치되는 아웃터 튜브와, 이 아웃터 튜브와 연동될 수 있도록 그 외부측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차체와 넓게 마주할 수 있도록 확장판이 마련되는 마운팅 브라켓과, 이 마운팅 브라켓과 분리가능하도록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캡슐을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반대쪽 위치에서, 상기 확장판을 더 연장하여 "ㄴ"자형으로 절곡하고 그 직립된 부분에다 상기 아웃터 튜브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한 슬릿과;
    상기 캡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이 일단과 인접하게 되도록 그 중간에서 절곡되되, 이 중간은 상기 슬릿의 간격에 비해 크게 라운딩되고서, 절곡에 의해 겹쳐져 접하기 시작하는 부분이 상기 슬릿에 끼워지도록 된 벤딩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20010068440A 2001-11-05 2001-11-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81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40A KR100816397B1 (ko) 2001-11-05 2001-11-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40A KR100816397B1 (ko) 2001-11-05 2001-11-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418A KR20030037418A (ko) 2003-05-14
KR100816397B1 true KR100816397B1 (ko) 2008-03-25

Family

ID=2956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40A KR100816397B1 (ko) 2001-11-05 2001-11-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49B1 (ko) * 2001-12-06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985501B1 (ko) * 2004-10-22 2010-10-05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1115084B1 (ko) * 2008-02-29 2012-02-2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74A (ja) * 1989-06-08 1991-01-17 Toshiba Chem Corp 銅張アルミニウム基板用の接着剤組成物
JPH07215223A (ja) * 1994-02-01 1995-08-1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H0924843A (ja) * 1995-07-14 1997-01-28 Nippon Seiko Kk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22407A (ko) * 1996-09-23 1998-07-06 김영귀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74A (ja) * 1989-06-08 1991-01-17 Toshiba Chem Corp 銅張アルミニウム基板用の接着剤組成物
JPH07215223A (ja) * 1994-02-01 1995-08-15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H0924843A (ja) * 1995-07-14 1997-01-28 Nippon Seiko Kk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9980022407A (ko) * 1996-09-23 1998-07-06 김영귀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418A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999A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energy absorption mechanism
CA2100104A1 (en) Vehicle crash energy absorbing mechanism
KR100816397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JPS6339473B2 (ko)
KR100764149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882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261221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138073B1 (ko) 와이어를 구비한 조향축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42689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브라켓
KR10052438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0795087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KR100746675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421099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014189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200158237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KR10079508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033157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50369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컬럼샤프트 충격흡수장치
KR100985501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0369544B1 (ko) 자동차조향장치의충격흡수용인터매드샤프트
KR100746674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충격흡수장치
KR970003886Y1 (ko) 상용 자동차용 조향핸들 조인트의 슬라이딩 구조 및 충격흡수장치
KR19990005333U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1126251B1 (ko) 스티어링 컬럼용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