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991B1 -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991B1
KR100814991B1 KR1020060096071A KR20060096071A KR100814991B1 KR 100814991 B1 KR100814991 B1 KR 100814991B1 KR 1020060096071 A KR1020060096071 A KR 1020060096071A KR 20060096071 A KR20060096071 A KR 20060096071A KR 100814991 B1 KR100814991 B1 KR 10081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ding
punching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진
Original Assignee
이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진 filed Critical 이평진
Priority to KR102006009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092Perfor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온라인 무인자동화장치는, 피에스판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피에스판에 절곡부 및 요홈부를 형성하는 절곡장치 및 펀칭장치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피에스판을 상기 안착면의 중심으로 이송시키고,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된 피에스판을 안착면에서 외부로 반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외부로부터 피에스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피에스판의 공급이 확인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피에스판을 상기 안착면의 중심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프로세스에 따라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피에스판을 외부로 반송시킨다.
따라서 인쇄용 피에스판을 제작하기 위한 이송, 정렬, 가공, 반송 및 적층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온라인을 통한 무인자동화되는 바, 적은 노동력으로도 짧은 시간에 양질의 인쇄용 피에스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인쇄, 피에스판, 절곡 및 펀칭, 자동화

Description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of Bending and Punching Pre-sensitized Plate for Print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체의 상부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PS판을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절곡 및 펀칭되는 인쇄용 피에스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안착면
120 : 절곡장치 130 : 펀칭장치
140 : 카메라 150 : 디스플레이수단
160 : 이송수단 200 : 피에스판
본 발명은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쇄용 피에스판을 제작하기 위한 이송, 정렬, 가공, 반송 및 적층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인쇄물을 제작하기 위한 오프셋인쇄(Offset Printing)과정은, 인쇄물의 판형, 서체, 크기, 사진 및 그림 등과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교정을 거친 후 인쇄원고를 만드는 단계와, 인쇄원고를 제판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필름으로 망판, 음영, 사진 등을 제판하는 과정을 거쳐 인쇄를 위한 필름원고를 만드는 단계와, 약품으로 표면 처리된 판 위에 필름원고를 올려놓고 강한 빛을 주사하여 인쇄용 피에스판(Pre-sensitized Plate, 이하 PS판이라고 함)을 제작하는 단계와, 완성된 PS판을 인쇄기의 드럼에 장착하고 인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상기 인쇄단계는 글자 등 인쇄할 내용이 있는 부분, 즉 인쇄면을 제외한 PS판의 모든 부분에 물을 묻히고 그 위에 잉크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잉크는 물이 묻지 아니한 부분에만 도포된다. 그 후, 잉크가 묻은 인쇄면은 고무판(Blanket, 블랭킷)에 그대로 복사되고, 인쇄용지는 고무판과 압력조절을 위한 압통 사이를 통과하며 그 표면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프셋인쇄는 컬러인쇄 시 4장의 PS판(한 세트의 PS판)에 각각 도포된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색상의 농도를 조절하여 해당 색상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는 해당 색상의 잉크를 직접 사용하는 마스터인쇄에 비하여 정교한 색을 나타낸다.
이때, CMYK 색상이 각각 도포된 4장의 PS판은 인쇄기 드럼의 동일한 위치에 장착될 경우에만 번짐이 없는 양질의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쇄기의 드럼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한 쌍의 요입홈을 PS판에 형성하되, 4장의 PS판에 형성된 요입홈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여야 한다.
한편, PS판 절곡기 겸용 펀칭기는 PS판에 절곡부 및 요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PS판이 이송되어 안착되면 그 위치를 검출하고 기준위치와 비교하여 정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PS판 정렬장치는 통상적으로 PS판에 표시된 한 쌍의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즉, PS판에 표시된 레지스터 마크)을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PS판 정렬장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모니터 상에 기 입력된 기준위치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갭(Gap)을 모니터 상에 수치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절곡기 겸용 펀칭기의 경우, 절곡기 겸용 펀칭기로 PS판을 이송하고, 절곡 및 펀칭작업이 완료된 PS판을 반송하며, 인출된 PS판을 적층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PS판 정렬 시 오차가 발생될 경우 PS판을 이동시키는 과정 또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PS판에 절곡부와 요입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과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부상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용 피에스판을 제작하기 위한 이송, 정렬, 가공, 반송 및 적층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는, 피에스판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피에스판에 절곡부 및 요홈부를 형성하는 절곡장치 및 펀칭장치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피에스판을 상기 안착면의 중심으로 이송시키고,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된 피에스판을 안착면에서 외부로 반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외부로부터 피에스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피에스판의 공급이 확인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피에스판을 상기 안착면의 중심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프로세스에 따라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피에스판을 외부로 반송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체의 상부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절곡 및 펀칭되는 인쇄용 피에스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피에스판(이하, PS판이라 함, 도 4의 200)이 안착되는 안착면(110)이 마련되는 본체(100)와, 상기 안착면(100)에 안착된 피에스판(200)에 절곡부(210) 및 요홈부(220)를 형성하는 절곡장치(120) 및 펀칭장치(130)와, PS판(200)에 표시된 레지스터 마크(230)를 촬영하는 카메라(140)와, 상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인 자동화와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세하게 기술하되, 기 출원된 부분 또는 이미 공지된 기술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부에 안착면(110)이 마련되는 본체(100)는 그 내부에 소정 공간(10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01)에는 PS판(200)의 절곡, 펀칭 및 이송 등에 사용될 동력을 생산하는 파워팩(102), 진공발생장치(103) 및 제어부(104)가 위치되며, 전면 상부 일측에는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조작수단(105)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안착면(110)은 본체(10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본체(100)의 후면과 양 측면이 안착면(110)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후면과 양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롯(106)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106)은 상기 안착부(110)로 이송되거나 안착부(110)에서 반송되는 PS판(200)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본체(100)는 다양한 방향에서 PS판(200)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한 바, 좁은 작업장에서도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면(110)의 전후에는 PS판(200)에 절곡부(210) 및 요홈부(220)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인 절곡장치(120) 및 펀칭장치(130)가 각각 위치되고, 그 상부에는 안착면(110)에 안착된 PS판(200)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카메라(140) 및 상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곡장치(120), 펀칭장치(130), 카메라(140) 및 디스플레이수단(150)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50)은 한 쌍의 모니터로 구성되어, PS판에 표시되어 상기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레지스터 마크(230)를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PS판(200)의 색상 및 인쇄도수를 판독하여 출력하기도 하고 상기 제어부(104)에 의해 진행되는 작업의 진행 상태를 출력하기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안착면(110)은 그 중앙에 위치되어 PS판(200)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112)와, 상기 안착플레이트(112)의 둘레 에 위치되는 테두리면(1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착플레이트(112)에는 PS판(200)을 흡착 및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진공흡입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흡입공(116)은 상술한 진공발생장치(103)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진공압을 이용하여 PS판(200)을 고정하는 이유는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던 자국 및 그로 인한 PS판(200)의 변형을 방지하고, PS판(200)의 이송 및 반송 시 안착면(110)과의 마찰 또는 안착면(110)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해 PS판(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플레이트(112)는 수평방향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안착플레이트(112)의 이동은 서보모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안착플레이트(112)를 이동 가능하게 제작하고 서보모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 이유는 PS판(200)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정렬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PS판(200)의 레지스터 마크(230)가 디스플레이수단(150), 즉 모니터 상에 설정된 기준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3)를 통해 그 차이를 계산하고 서보모터를 작동시켜 레지스터 마크(230)가 기준위치와 일치되도록 PS판(200)을 이동시킴으로써 PS판(200)을 정위치에 정렬한다.
한편, 상기 안착플레이트(112)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PS판(200)을 상기 안착면(110)의 중심으로 이송시키고,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된 PS판(200)을 안착면(110)에서부터 외부로 반송시키는 이송수단(16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안착면(110) 중 상기 본체(100)의 후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슬롯(106)의 내측에는 감지수단(119)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160)은 상기 안착플레이트(112)에 형성된 가이드홀(11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진공흡착장치이다. 즉, 상기 이송수단은 진공압을 인가하고 진공흡입공(116)에는 진공압을 인가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홀(118)을 따라 이송수단(160)을 이동시킴으로써 PS판(200)을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감지수단(119)을 통해 PS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하고 공급이 확인될 경우 상기 이송수단(160)을 작동시켜 PS판을 상기 안착면(112)의 중심으로 이송하고, 제어부(103)에 입력된 프로세스에 따라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160)을 다시 작동시켜 PS판(200)을 외부로 반송하게 된다.
도 3은 PS판을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 측면과 후면에는 성형 전의 PS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300)과 성형된 PS판을 적층위치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수단(300)과 배출수단(400)은 복수의 풀리(302, 402)와, 상기 복수의 풀리(302, 402)를 연결하는 벨트(304, 404) 및 상기 풀리(302, 304)를 회전시키는 모터(306,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300)과 배출수단(400)은 상기 본체(100) 측면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바, 배출되는 PS판(200)이 차곡차곡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수단(300)과 배출수단(400)을 상기 본체(100)의 일 측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사용 자의 필요에 따라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수단과 배출수단을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하나의 공급수단이 공급 및 배출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PS판은 공급된 방향으로 다시 배출되어 적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는, 인쇄용 피에스판을 제작하기 위한 이송, 정렬, 가공, 반송 및 적층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자동화되는 바, 적은 노동력으로도 짧은 시간에 양질의 인쇄용 피에스판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Claims (8)

  1. 피에스판(200)이 안착되고, 중앙에는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서보모터에 의해 이동되는 안착플레이트(112)가 마련된, 안착면(110)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안착면(110)에 안착된 피에스판(200)에 절곡부(210) 및 요홈부(220)를 형성하는 절곡장치(120) 및 펀칭장치(13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피에스판(200)을 상기 안착면(110)의 중심으로 이송시키고,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된 피에스판(200)을 안착면(110)에서 외부로 반송시키는 이송수단(160)과;
    외부로부터 피에스판(200)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19)과;
    상기 이송수단(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4)와;
    상기 본체(100)로 피에스판(200)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300)과;
    상기 이송수단(160)에 의해 반송된 피에스판(200)을 소정의 적층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배출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감지수단(119)을 통해 피에스판(200)의 공급이 확인되면 상기 이송수단(160)을 작동시켜 피에스판(200)을 상기 안착면(110)의 중심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4)는 입력된 프로세스에 따라 펀칭 및 절곡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160)을 작동시켜 피에스판을 외부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에스판(200)에 표시된 레지스터 마크(230)를 촬영하는 카메라(140)와, 상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에스판(200)을 흡착 및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진공흡입공(116)이 상기 안착플레이트(11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20060096071A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081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071A KR100814991B1 (ko)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071A KR100814991B1 (ko)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991B1 true KR100814991B1 (ko) 2008-03-18

Family

ID=3941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071A KR100814991B1 (ko)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9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498A (ja) 1997-11-11 1999-05-25 Ricoh Co Ltd 用紙穿孔装置
KR200166313Y1 (ko) 1999-07-12 2000-02-15 이기홍 인쇄기용 피에스판의 절곡기 겸용 펀칭기.
KR200284445Y1 (ko) 2002-05-01 2002-08-03 (주)신정정밀 인쇄기용 피에스판의 요입홈 펀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8498A (ja) 1997-11-11 1999-05-25 Ricoh Co Ltd 用紙穿孔装置
KR200166313Y1 (ko) 1999-07-12 2000-02-15 이기홍 인쇄기용 피에스판의 절곡기 겸용 펀칭기.
KR200284445Y1 (ko) 2002-05-01 2002-08-03 (주)신정정밀 인쇄기용 피에스판의 요입홈 펀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53054A (ja) 印刷装置
US7460706B2 (en) Method of recognizing color bars on double-sided color prints, color print quality control system and color print quality evaluation apparatus
KR101948690B1 (ko) 디지털 프린터의 양면인쇄에서 앞뒷면의 인쇄기준점 정렬장치 및 방법
JP2007152603A (ja) プリンタ装置
KR200433432Y1 (ko)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온라인무인자동화장치
KR100814991B1 (ko)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CN108698399B (zh) 丝网印刷机
US20040253031A1 (en) Paper hand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7370905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06567A (ja)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52136B2 (ja) 孔版印刷装置
KR200433429Y1 (ko)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KR100853568B1 (ko)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JP4312191B2 (ja) 円筒外面走査装置
CN1702562B (zh) 图像记录设备及其使用方法
JP2006346992A (ja) 印刷装置
JP2019206138A (ja) 加工装置
JP2014214001A (ja) 印刷機
JP7240594B2 (ja) 画像形成装置
JP3656959B2 (ja) 円筒外面走査装置及び刷版サイズチェック方法
JP2005132040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5471460B2 (ja) 枚葉印刷機および横針規制の不良検出方法
JP2008149473A (ja) 印刷装置
JP4758136B2 (ja) 印刷装置
JP2005193515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