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429Y1 -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429Y1
KR200433429Y1 KR2020060026989U KR20060026989U KR200433429Y1 KR 200433429 Y1 KR200433429 Y1 KR 200433429Y1 KR 2020060026989 U KR2020060026989 U KR 2020060026989U KR 20060026989 U KR20060026989 U KR 20060026989U KR 200433429 Y1 KR200433429 Y1 KR 200433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inting
camera
cameras
punc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진
Original Assignee
이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진 filed Critical 이평진
Priority to KR2020060026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는, 피에스판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와, 피에스판의 중앙에 형성된 제 2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출력하기 위한 세 개의 모니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인쇄용 피에스판의 정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양질의 양면인쇄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오프셋인쇄, 양면인쇄, 피에스판, 레지스터 마크, 요입홈

Description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Apparatus of Aligning Pre-sensitized Plate for Printing}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가 구비된 펀칭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에 적용되는 인쇄용 피에스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과정 시 레지스터 마크와 기준위치를 도시하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펀칭기 110 : 조작수단
120 : 디스플레이수단 130 : 안착면
140 : 클램프 150 : 펀칭수단
170 : 감지수단 200 : 피에스판(PS판)
210 : 요입홈 220 : 절곡부
본 고안은 인쇄용 피에스판 펀칭기 또는 절곡기에 구비되어 인쇄용 피에스판을 정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인쇄용 피에스판의 정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양질의 양면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인쇄물을 제작하기 위한 오프셋인쇄(Offset Printing)과정은, 인쇄물의 판형, 서체, 크기, 사진 및 그림 등과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교정을 거친 후 인쇄원고를 만드는 단계와, 인쇄원고를 제판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필름으로 망판, 음영, 사진 등을 제판하는 과정을 거쳐 인쇄를 위한 필름원고를 만드는 단계와, 약품으로 표면 처리된 판 위에 필름원고를 올려놓고 강한 빛을 주사하여 인쇄용 피에스판(Pre-sensitized Plate, 이하 PS판이라고 함)을 제작하는 단계와, 완성된 PS판을 인쇄기의 드럼에 장착하고 인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상기 인쇄단계는 글자 등 인쇄할 내용이 있는 부분, 즉 인쇄면을 제외한 PS판의 모든 부분에 물을 묻히고 그 위에 잉크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잉크는 물이 묻지 아니한 부분에만 도포된다. 그 후, 잉크가 묻은 인쇄면은 고무판(Blanket, 블랭킷)에 그대로 복사되고, 인쇄용지는 고무판과 압력조절을 위한 압통 사이를 통과하며 그 표면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프셋인쇄는 컬러인쇄 시 4장의 PS판(한 세트의 PS판)에 각각 도포된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색상의 농도를 조절하여 해당 색상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는 해당 색상의 잉크를 직접 사용하는 마스터인쇄에 비하여 정교한 색을 나타낸다.
이때, CMYK 색상이 각각 도포된 4장의 PS판은 인쇄기 드럼의 동일한 위치에 장착될 경우에만 번짐이 없는 양질의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쇄기의 드럼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한 쌍의 요입홈을 PS판에 형성하되, 4장의 PS판에 형성된 요입홈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여야 한다.
한편, PS판 펀칭기는 PS판에 요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PS판이 이송되어 안착되면 그 위치를 검출하고 기준위치와 비교하여 정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PS판 정렬장치는 통상적으로 PS판에 표시된 한 쌍의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즉, PS판에 표시된 레지스터 마크)을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PS판 정렬장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모니터 상에 기 입력된 기준위치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갭(Gap)을 모니터 상에 수치로 출력한다. 또한, 작업자는 이를 참조하여 펀칭기에 구비된 소정의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기준위치로 PS판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PS판 정렬장치는 PS판에 표시된 한 쌍의 레지스터 마크만을 기준으로 하므로 PS판의 정확한 정렬이 쉽지 아니하다. 그리고 PS판이 정확이 정렬되지 아니할 경우 요입홈도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므로 양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없다.
이는 양면인쇄에 경우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단면인쇄 시 PS판의 요입홈이 3mm 정도 우측으로 편의되면, 상기 PS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인쇄물의 인쇄면은 기준에서부터 우측으로 3mm 편의된다. 그러나 양면인쇄의 경우에는 인쇄 물의 일면에 인쇄된 인쇄면이 기준에서부터 우측으로 3mm 편의되면, 타면에 인쇄된 인쇄면은 기준에서부터 좌측으로 3mm 편의되어 총 6mm의 편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단면인쇄 및 양면인쇄 시 발생되는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PS판 제작 시 정확한 위치에 요입홈을 형성할 수 있는 정렬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인쇄용 피에스판의 정확한 위치에 요입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피에스판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위치에 요입홈을 형성하여 양질의 양면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는, 피에스판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와, 피에스판의 중앙에 형성된 제 2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출력하기 위한 세 개의 모니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중 공지된 구성 및 그 구성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가 구비된 펀칭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에 적용되는 인쇄용 피에스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예시된 펀칭기(도 1의 100)는 인쇄용 피에스판(이하 PS판이라고 함, 도 3의 200)에 요입홈(도 3의 210)을 형성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PS판(200)에 절곡부(도 3의 220)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기이다. 즉, 상기 펀칭기(100)는 PS판용 절곡기 겸용 펀칭기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칭기(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전면 상부 일측에는 복수의 스위치(112, 114, 116)로 구성되는 조작수단(110)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복수의 모니터(122, 124, 126)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수단(1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펀칭기(100)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이송된 PS판(도 3의 200)이 안착되는 안착면(130)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상기 안착면(130)에 안착된 PS판(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40)와 PS판(200)에 요입홈(도 3의 210)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수단(150)이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140)와 안착면(130)의 상에는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PS판(200)을 이동시키는 위치조절수단(162, 16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펀칭기(100)의 상부에는 안착 면(130)에 안착된 PS판(200)의 위치를 촬영하고 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0)으로 전송하는 감지수단(170)이 구비되며, 펀칭기(10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면(130)을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컨트롤(190)이 마련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감지수단(170)과 디스플레이수단(120)으로 구성된 PS판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만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과 관련된 상기 감지수단(170)과 디스플레이수단(12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감지수단(170)은 도 3에 도시된 PS판(200)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레지스터 마크(232, 234)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172, 174)와, 그 전방 중앙에 형성된 제 2 레지스터 마크(236)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176)와, 상기 카메라(172 ~ 176)를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80)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한 쌍의 제 1 카메라(172, 174)와 제 2 카메라(17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지스터 마크(232, 234, 236)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0)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CCD(Charge-Coupled Device)카메라가 많이 사용된다. 이때, CCD카메라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카메라에 비하여 화질은 매우 우수하나 전력소모 및 가격 면에서 불리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CCD 또는 CMOS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180)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172 ~ 176)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펀칭기(100)의 안착면(130)에 안착되는 PS판(200)의 규격에 따라 카메라(172 ~ 176)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172 ~ 176)의 좌우방향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82)과 상기 가이드 레일(182)을 따라 이송되고 각 카메라(172 ~ 176)가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184) 및 상기 가이드 블록(184)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18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172 ~ 176), 가이드 레일(182), 가이드 블록(184) 및 고정볼트(186)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동기(미도시)와 한 쌍의 풀리(미도시) 및 벨트(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180)은 기 출원된 PS판 펀칭기에도 적용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20)은 상기 감지수단(170)을 통해 촬영된 영상, 즉 PS판(200)에 표시된 레지스터 마크(232 ~ 236)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3개의 카메라(172 ~ 176)에서 촬영된 영상이 각각 별도로 출력될 수 있도록 3개의 모니터(122, 124, 12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122, 124, 126)의 화면상에는 기준위치(122s, 124s, 126s)가 표시되어 있고, 카메라(172 ~ 17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출력될 경우 기준위치(122s, 124s, 126s)와 레지스터 마크(232, 234, 236)가 겹쳐 그들 사이의 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카메라(172, 174, 176)와 그들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3개의 모니터(122, 124, 126)를 이용하여 PS판(200)의 위치를 검출하는 본 고안은 2개의 카메라와 모니터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PS판(200) 정렬 시 정 확도가 높고 정렬작업이 우수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 PS판 정렬장치를 제외한 구성요소 중 상기 펀칭기(100)에 마련된 조작수단(110)은 펀칭기(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112)와, 펀칭기(100)에 필용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파워팩(미도시)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스위치(114) 및 기 입력된 프로그램의 각종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모드변경스위치(116)로 구성된다.
상기 펀칭기(100)의 안착면(130) 전방에 구비된 클램프(140)는 상기 PS판 정렬장치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이동된 PS판(도 3의 200)을 고정함과 동시에 요입홈(도 3의 210) 펀칭 시 PS판(2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140)에는 PS판(2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위치조절수단(162)이 구비되어 PS판(200)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PS판(2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 2 위치조절수단(164)은 상기 펀칭기(100)의 안착면(130)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펀칭수단(150)은 상기 한 쌍의 클램프(140)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며 조작 시 PS판(200)에 요입홈(2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위치조절수단(162, 164)과 펀칭수단(150)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펀칭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기 겸용 펀칭기이므로 절곡수단(미도시)을 포함하되, 이 또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과정 시 레지스터 마크와 기준위치를 도시하는 공정도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PS판 정렬장치를 이용한 PS판의 정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PS판(도 3의 200)에 요홈부(도 3의 210) 및 절곡부(도 3의 22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PS판(200)을 펀칭기(도 1의 100)로 이송하여야 한다. 이때, PS판(200)의 이송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고, 펀칭기(100)의 안착면(130)에 안착 시 PS판(200)의 앞쪽 선단이 클램프(140)에 삽입되어야 하고, 일측면 선단은 제 2 위치조절수단(164)과 밀착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감지수단(도 2의 170)의 제 1 카메라(172, 174)와 제 2 카메라(176)를 작동시켜 촬영하면, 그들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도 4와 같이 3개의 모니터(122, 124, 126)롤 출력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122, 124, 126) 중 두 개의 모니터(122, 124), 즉 상기 제 1 카메라(172, 174)와 연결된 모니터(122, 124)에만 레지스터 마크(232, 234)가 표시되고, 이를 화면상에 기 표시된 기준위치(122s, 124s)와 비교하여 그 사이의 갭을 수치로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된 갭의 수치와 영상을 토대로 제 1 및 제 2 위치조절수단(162, 164)을 이용하여 PS판(20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레지스터 마크(232, 234)가 기준위치(122s, 124s)와 일치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만을 수행하여 PS판(200)의 위치를 정렬하였으나 이렇게 할 경우 정확성이 떨어져 양면인쇄가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본 고안의 경우에는 PS판(200)의 전방 중앙에 표시된 레지스터 마크(236)의 위치를 기준위 치(126s)와 한 번 더 비교하여 PS판(200)의 위치를 정렬한다.
상기와 같이 제 3 카메라(176)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과 레지스터 마크(236)가 도 5와 같을 경우, 제 1 위치조절수단(162)을 이용하여 PS판(200)을 전후 로 이동시켜 레지스터 마크(236)가 기준위치(126s)와 일치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의 구성 및 PS판 정렬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는 종래와 달리 3개의 카메라와 그들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3개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PS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바, 정확도가 우수하며 정렬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우수한 정확도로 인하여 양질의 양면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인쇄용 피에스판 펀칭기에 구비되는 정렬장치에 있어서,
    피에스판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와, 피에스판의 중앙에 형성된 제 2 레지스터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별도로 출력되도록 3개의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는 인쇄용 피에스판이 안착되는 펀칭기 안착면의 상부에 위치되고, 소정의 이동수단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KR2020060026989U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KR200433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89U KR200433429Y1 (ko)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89U KR200433429Y1 (ko)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429Y1 true KR200433429Y1 (ko) 2006-12-08

Family

ID=4178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89U KR200433429Y1 (ko) 2006-09-29 2006-09-29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4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19801A (ja) レジスタセンサ
JP2011110885A (ja) 印刷機の見当合わせ装置及び印刷機の見当合わせ方法
JP548958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282379A (zh) 原稿读取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US20140078556A1 (en) Method of forming security markings
JP2006256216A (ja) 多色刷り印刷装置、多色刷り印刷方法ならびに印刷見当マーク
KR200433429Y1 (ko)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KR100853568B1 (ko) 인쇄용 피에스판 정렬장치
US8896894B2 (en) Method for forming structured microdots
JP2005246839A (ja) 印刷機における色調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433432Y1 (ko)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온라인무인자동화장치
US200702085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Illustrations of Printing Plates
KR100814991B1 (ko) 인쇄용 피에스판의 절곡 및 펀칭을 위한 자동화장치
AU2006291872B2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wo substantially flat elements
CN115118827B (zh) 图像读取装置、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读取方法
JP2019186748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256233A (ja) 多色刷り印刷装置、多色刷り印刷方法ならびに印刷見当マーク
JP2010087953A (ja) 画像読取装置
JP200715359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パンチ穴位置調整方法
JPH091785A (ja) 印刷機の見当合わせ装置
JP4232063B2 (ja) 画像露光装置
JP2008149473A (ja) 印刷装置
JP2011110886A (ja) 印刷機の見当合わせ装置及び印刷機の見当合わせ方法
JP2007062136A (ja) 印刷の初期見当合わ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7092567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