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942B1 -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942B1
KR100813942B1 KR1020000074311A KR20000074311A KR100813942B1 KR 100813942 B1 KR100813942 B1 KR 100813942B1 KR 1020000074311 A KR1020000074311 A KR 1020000074311A KR 20000074311 A KR20000074311 A KR 20000074311A KR 100813942 B1 KR100813942 B1 KR 10081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optical
main
light spo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023A (ko
Inventor
이경근
박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942B1/ko
Priority to US09/900,462 priority patent/US6845079B2/en
Priority to JP2001262209A priority patent/JP2002183967A/ja
Publication of KR2002004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디스크 상에 메인 광스폿과 이 메인 광스폿보다 광디스크의 트랙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을 형성하여, 기록 신호에 따라 메인 광스폿에 의해 마크를 기록하는 동안, 서브 광스폿으로 기존 마크를 일차적으로 소거한 후, 소거 신호동안 메인 광스폿에 의해 기록 신호 동안 서브 광스폿에 의해 일차적으로 소거된 위치를 제소거 하도록 된 광 기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거 동작을 고속으로 진행하면서도 우수한 소거율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디스크에 마크를 고속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소거를 촉진하기 위한 별도의 결정화 촉진층을 가지지 않는 광디스크의 경우에도 마크의 고속 기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Method for high rate optical recording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그 트랙 방향을 따라 메인 광스폿(Sm)과 서브 광스폿(Ss)이 형성된 광디스크의 일부 영역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장치를 채용한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DC 소거 광 파워의 변화에 따른 소거율 차이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결과를 얻는데 적용된 DC 소거 광 파워의 크기를 보인 도면,
도 5는 펄스 형태의 신호에 의해 마크가 소거되는 정도를 보인 도면,
도 6은 기록 및 소거 신호의 일 예를 보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장치를 채용한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광디스크 11,30...광원유니트 13,31,33...광원
15...광분기기 21...대물렌즈 Sm...메인 광스폿
Ss...서브 광스폿 Ⅰ,Ⅰ'...메인 빔 Ⅱ,Ⅱ'...서브 빔
본 발명은 고속에서도 우수한 소거율로 마크를 소거할 수 있도록 된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기록재생기기는 광디스크에 마크의 기록을 위해 하나의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며, 기록하고자 하는 마크 길이에 따라 멀티-펄스 형태로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구동시켜 광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한다. 상기 광디스크로는 예컨대, 반복 기록 가능한 상변화형 광디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크의 기록 동작은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기존의 마크를 소거하면서 행해진다. 따라서, 기록하고자 하는 마크 길이에 해당하는 기록 신호와 기록 신호 사이에는 소거 신호가 위치된다.
기록 밀도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고,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데이터 전달(data transfer rate)이 필요하기 때문에, 고속의 기록속도가 요구되며, 이러한 고속 기록속도를 달성하려면 빠른 소거가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되고, 대물렌즈에 의해 집속된 단일 광스폿을 트랙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기록 및 소거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원하는 소거율(광스폿의 조사시간에 비례)을 달성하기 위해 소거 동작시 광스폿을 기록 동작에 비해 천천히 이동시켜야 하므로, 요구되는 고속 기록속도에 부응하는 빠른 소거를 달성하기 어렵다.
빠른 소거가 가능하도록 광디스크의 구조를 바꾸는 것도 가능한데, 기록된 마크의 소거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기록층 상,하에 결정화 촉진층을 적층한 광디스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광디스크는 적층수 증가를 동반하므로, 수율면이나 양산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광디스크에서는, 결정화 촉진층의 존재로 인해 결정화가 잘되는 반면, 기록시 인접 트랙이 영향을 받아, 그 인접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마크가 소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거를 촉진하기 위한 별도의 결정화 촉진층을 가지지 않는 광디스크의 경우에도 마크의 소거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광 기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방법은, 메인 빔과 서브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빔을 광디스크 상에 조사하여 메인 광스폿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에 조사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트랙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광스폿보다 소정 거리 앞서 위치되어 마크의 소거를 도와주는 서브 광스폿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광스폿은 마크의 기록 및 소거를 행하고, 상기 서브 광스폿은 마크의 소거를 위해 사용되어, 고속의 마크 기록 및/또는 소거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장치는, 광디스크 상에 트랙 방향을 따라 메인 광스폿과 그 메인 광스폿보다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을 형성하기 위하여 메인 빔과 서브 빔을 출사하는 광원유니트와; 상기 광원유니 트쪽에서 입사된 메인 빔 및 서브 빔을 집속시켜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메인 광스폿 및 서브 광스폿으로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광스폿은 마크의 기록 및 소거를 행하고, 상기 서브 광스폿은 마크의 소거를 위해 사용되어, 고속의 마크 기록 및/또는 소거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 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유니트는, 광을 생성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광디스크의 트랙을 따라 메인 광스폿과 상기 메인 광스폿보다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광원쪽에서 입사된 광을 메인 빔과 서브 빔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유니트는, 상기 광디스크의 트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메인 빔과 서브 빔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빔의 소거 광 파워를 Pme, 상기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를 Pse라 할 때, 상기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는 관계식 Pme ≤ Pse를 만족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 빔의 소거 광 파워 Pme는 소정 크기의 일정한 광 파워이고, 상기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 Pse는 펄스 형태이다.
한편, 광디스크 상에 조사된 메인 광스폿과 서브 광스폿 사이의 거리는, 소거시 상기 서브 광스폿이 상기 메인 광스폿에 의한 기록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광디스크 상에 조사된 상기 메인 광스폿과 서브 광스폿 사이의 거리는 최소 기록 마크의 길이보다 크도록 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속의 마크 기록 및/또는 소거는 광디스크(10) 상에 형성된 메인 광스폿(Sm)과 이 메인 광스폿(Sm)보다 트랙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앞서 조사되는 서브 광스폿(Ss)을 이용한다. 상기 메인 광스폿(Sm)은 마크의 기록 및 소거를 위해 사용되며, 상기 서브 광스폿(Ss)은 상기 메인 광스폿(Sm)에 의한 마크의 소거를 도와주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광디스크(10) 상에 형성된 메인 광스폿(Sm)과 서브 광스폿(Ss)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서브 광스폿(Ss)으로 기존의 마크(mark)를 소거할 때, 이 서브 광스폿(Ss)이 상기 메인 광스폿(Sm)에 의한 기록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디스크(10) 상에 형성된 메인 광스폿(Sm)과 서브 광스폿(Ss) 사이의 거리는 최소 기록 마크 길이(예컨대, 3T)보다 크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디스크(10) 상에 메인 광스폿(Sm)과 서브 광스폿(Ss)을 형성하기 위해 광디스크(10)로 입사되는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의 광디스크(10) 입사면에서의 소거 광 파워는, 메인 빔(Ⅰ)의 소거 광 파워를 Pme, 서브 빔(Ⅱ)의 소거 광 파워를 Pse라 할 때,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me ≤ Pse
여기서, 상기 메인 빔(Ⅰ)의 소거 광 파워는 소정 크기의 일정한 값(이하, DC 소거 광 파워)이고, 서브 빔(Ⅱ)의 소거 광 파워는 기록 신호와 동일한 펄스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메인 광스폿(Sm)과 서브 광스폿(Ss)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빔(Ⅰ)과 서브 빔(Ⅱ)을 출사하는 광원유니트(11)와, 상기 광디스크(10) 상에 메인 광스폿(Sm) 및 서브 광스폿(Ss)이 형성되도록 상기 광원유니트(11)쪽에서 입사된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유니트(11)는, 광을 생성 출사하는 광원(13)과, 상기 광원(13)에서 출사된 광을 메인 빔(Ⅰ)과 서브 빔(Ⅱ)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기(1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광분기기(15)에 의해 분기된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은 대물렌즈(21)에 의해 집속되어 광디스크(10) 상에 메인 광스폿(Sm) 및 광디스크(10)의 트랙 방향을 따른 광디스크(1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메인 광스폿(Sm)보다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Ss)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분기기(15)로는 예를 들어, 홀로그램소자 또는 그레이팅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원(13)에서 출력되는 총 광 파워를 Pt, 2개의 빔으로 나뉘어진 후 메인 빔(Ⅰ)의 파워를 Pm, 서브 빔(Ⅱ)의 파워를 Ps, 두 빔으로 나뉘어지면서 발생되는 광효율 저하를 α라 할 때, 상기 광원(13)으로부터는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파워의 광(단위: mW)이 출력된다.
Pt = (Pm + Ps)/α, 0≤α≤0.99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장치를 채용한 광픽업을 보인 것으로, 참조번호 17, 19, 23, 25는 각각 콜리메이팅렌즈, 광로변환기으로서의 빔스프리터, 광검출렌즈, 광검출기이다. 상기 콜리메이팅렌즈(17)는 광원(13)에서 출사된 발산광을 평행광으로 바꾸어 대물렌즈(21)로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광로변환기(19)는 광원(13)쪽에서 입사된 광이 광디스크(10)를 향하고,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된 광이 광검출기(25)를 향하도록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한다. 상기 광검출렌즈(23)는,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고 대물렌즈(21) 및 광로변환기(19)를 경유한 광을 광검출기(25)로 집속시킨다. 상기 광검출기(25)는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된 메인 빔(Ⅰ)을 수광하는 수광면을 가진다. 여기서,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어 광검출기(25)쪽으로 입사되는 서브 빔(Ⅱ)은 재생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장치를 채용한 광픽업은, 고속의 마크 기록 및 소거 뿐만 아니라,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된 메인 빔(Ⅰ)을 광검출기(25)에서 수광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충분한 소거율로 고속의 소거가 이루어진다.
광디스크(10)의 트랙을 따라 메인 빔(Ⅰ)보다 서브 빔(Ⅱ)이 먼저 조사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이 하나의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되어 분기되는 구조인 경우, 펄스 형태의 기록 신호동안 서브 광스폿(Ss)은 메인 광스폿(Sm)을 앞서가면서 완전하지는 않지만 기존의 마크를 일차적으로 소거한다. 물론, 이때의 서브 광스폿(Ss)은 기록 신호동안 광원(13)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형 출력 광을 분기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기록 신호와 동일하게 변화되는 펄스 형태이다.
따라서, 소거 신호동안 메인 광스폿(Sm)은 기록 신호동안의 서브 광스폿(Ss)에 의해 일차적으로 소거된 위치를 재소거하기 때문에, 소거 동작을 고속으로 진행하면서도 우수한 소거율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DC 소거 광 파워(Pe)에 따른 소거 효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파장이 405 nm 광을 출사하는 광원(13) 및 개구수 0.65인 대물렌즈(21)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적용하여, DC 소거 광 파워(Pe:광디스크(10) 입사면에서의 광파워)에 따라, 비정질 상태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도 3의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파워(Pb) 0.1 mW에 대해 DC 소거 광 파워(Pe)를 2.0 mW, 2.2 mW, 2.4mW, 2.6mW로 변화시켜 얻은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C 소거 광 파워(Pe)가 증가할수록 결정화가 잘 진행되지만, DC 소거 광 파워(Pe) 2.6mW에서는 오히려 다시 비정질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비정질화는 소거 광 파워가 적정 범위를 초과하여, 기록 가능한 온도로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정 DC 소거 광 파워(Pe)는 2.2mW 내지 2.4mW이다.
도 5는 펄스 형태의 신호에 의해 마크가 소거되는 정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파장이 405 nm인 광 및 개구수 0.65인 대물렌즈(21)를 사용하고, 최소 마크 길 이(3T)가 0.30μm인 조건에서 4T 마크를 5.84m/s의 선속도로 도 6에 보여진 펄스 형태의 기록 신호를 사용하여 광디스크(10)에 기록한 다음, 그 기록된 위치에 2.2 mW, 3.0 mW, 5.5mW의 펄스 형태의 소거 광 파워(Pe-pulse:즉, 기록 신호동안의 서브 광스폿(Ss))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이다. 도 6에서 얻고자 하는 마크(nominal mark) 길이보다 작은 폭으로 기록 신호를 가하는 것은 상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마크의 온도에 의한 퍼짐을 고려한 때문이다.
표 1은 4T 톤 마크(tone mark)에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DC 소거 광 파워(Pe) 및 펄스 형태의 소거 광 파워(Pe-pulse)를 가했을 때, 캐리어 레벨(C/L:carrier level)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표 1은 선속도 5.84m/s, 기록 광 파워(Pw) 6.5mW, 소거 광 파워(Pe) 2.2mW, 바이어스 광 파워(Pb) 0.3mW, 재생 광 파워(Pr) 0.4mW, C/N(Carrier to Noise ratio)=54.0 dB인 경우에 대해 얻어진 결과이다. 여기서, 캐리어 레벨은 마크의 재생신호를 스펙트럼 분석기로 분석하여 dBm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초기 마크 Pe = 2.2 mW Pe-pulse =2.2mW Pe-pulse = 5.0 mW
C/L -30dBm -60dBm -33dBm -45dBm
표 1을 살펴보면, 소거 광 파워가 가해지지 않은 초기 4T 마크의 캐리어 레벨은 -30dBm이다. 이 4T 마크에 2.2mW의 적정 DC 소거 광 파워(Pe)를 가하면, 소거가 제대로 일어나 그 부분의 캐리어 레벨은 -60dBm로 감소된다.
반면에, 동일한 크기인 2.2mW의 펄스형 소거 광 파워(Pe-pulse)를 가하면, 그 부분의 캐리어 레벨은 -33dBm이 되어, 소거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5.0 mW의 펄스형 소거 광 파워(Pe-pulse)를 가하면, 그 부분의 캐리어 레벨은 -45dBm까지 내려가므로, 그 부분을 다시 2.2 mW의 DC 소거 광 파워(Pe)로 재소거하면 충분한 소거율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록 신호동안 적정 파워를 갖는 펄스 형태의 서브 광스폿(Ss)으로 일차적으로 소거한 다음 소거 신호동안 메인 광스폿(Sm)으로 재소거하면 고속으로도 충분한 소거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장치가 하나의 광원(13) 및 이 광원(13)에서 출사된 광을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기(15)로 이루어진 광원유니트(11)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근접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광원(31)(33)으로 이루어져 광분기기(도 2의 15)의 생략이 가능한 구조로 된 광원유니트(3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31)(33)은 그로부터 출사된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이 광디스크(10)의 정보열을 따라 메인 광스폿(Sm) 및 이 메인 광스폿(Sm)보다 앞서는 서브 광스폿(Ss)으로 맺히는 동시에, 메인 광스폿(Sm)에 의한 기록 영역이 서브 광스폿(Ss)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이격 거리를 만족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광원(31)은 그로부터 출사된 메인 빔(Ⅰ')이 재생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므로, 광축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어 광검출기(25)쪽으로 입사되는 서브 빔(Ⅱ')은 재생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31)(33)이 서로 동기되어 작동되는 구조인 경우, 그 크기에 차이가 있는 동일한 형태의 광 파워가 출력되면, 제1 및 제2광원(31)(13)으로부터 출사된 메인 빔(Ⅰ) 및 서브 빔(Ⅱ)이 집속되어 형성된 메인 광스폿(Sm) 및 서브 광스폿(Ss)의 소거 및 기록 동작은 하나의 광원(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메인 빔(Ⅰ)과 서브 빔(Ⅱ)으로 분기시킨 앞선 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같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31)(33)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구조인 경우, 제1광원(31)으로부터 펄스 형태의 기록 광 파워가 출력되는 동안, 제2광원(33)은 DC 소거 광 파워를 출력하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DC 소거 광 파워을 갖는 서브 광스폿(Ss)으로 기존 마크를 일차적으로 소거하고, 다시 제1광원(31)으로부터 DC 소거 광 파워를 갖는 메인 광스폿(Sm)으로 재소거하므로, 고속으로 충분한 소거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디스크 상에 메인 광스폿과 이 메인 광스폿보다 광디스크의 트랙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을 형성하여, 기록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광스폿에 의해 마크를 기록하는 동안, 상기 서브 광스폿으로 기존 마크를 일차적으로 소거한 후, 소거 신호동안 상기 메인 광스폿에 의해 기록 신호 동안 서브 광스폿에 의해 일차적으로 소거된 위치를 제소거 하기 때문에, 소거 동작을 고속으로 진행하면서도 우수한 소거율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에 마크를 고속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소거를 촉진하기 위한 별도의 결정화 촉진층을 가지지 않는 광디스크의 경우에도 마크의 고속 기록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서로 동기된 메인 빔과 서브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빔을 광디스크 상에 조사하여 메인 광스폿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에 조사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트랙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광스폿보다 소정 거리 앞서 위치되어 마크의 소거를 도와주는 서브 광스폿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광스폿은 마크의 기록 및 소거를 행하고, 상기 서브 광스폿은 마크의 소거를 위해 사용되어, 고속의 마크 기록 및/또는 소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광디스크 상에 조사된 메인 광스폿과 서브 광스폿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서브 광스폿으로 소거시 상기 메인 광스폿에 의한 기록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지고, 최소 기록 마크의 길이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의 소거 광 파워를 Pme, 상기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를 Pse라 할 때, 상기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소거 파워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방법.
    Pme ≤ Pse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의 소거 광 파워 Pme는 소정 크기의 일정한 광 파워이고, 상기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 Pse는 펄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방법.
  4. 삭제
  5. 삭제
  6. 광디스크 상에 트랙 방향을 따라 메인 광스폿과 그 메인 광스폿보다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동기된 메인 빔과 서브 빔을 출사하는 광원유니트와;
    상기 광원유니트쪽에서 입사된 서로 동기된 메인 빔 및 서브 빔을 집속시켜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메인 광스폿 및 서브 광스폿으로 맺히도록 하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광스폿은 마크의 기록 및 소거를 행하고, 상기 서브 광스폿은 마크의 소거를 위해 사용되어, 고속의 마크 기록 및/또는 소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광디스크 상에 조사된 메인 광스폿과 서브 광스폿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서브 광스폿으로 소거시 상기 메인 광스폿에 의한 기록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지고, 최소 기록 마크의 길이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니트는,
    광을 생성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광디스크의 트랙을 따라 메인 광스폿과 상기 메인 광스폿보다 소정 거리 앞서는 서브 광스폿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광원쪽에서 입사된 광을 메인 빔과 서브 빔으로 분기시키는 광분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니트는,
    상기 광디스크의 트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서로 동기된 메인 빔과 서브 빔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의 소거 광 파워를 Pme, 상기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를 Pse라 할 때, 상기 메인 빔 및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Pme ≤ Pse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의 소거 광 파워 Pme는 소정 크기의 일정한 광 파워이고, 상기 서브 빔의 소거 광 파워 Pse는 펄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00074311A 2000-12-07 2000-12-07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81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311A KR100813942B1 (ko) 2000-12-07 2000-12-07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US09/900,462 US6845079B2 (en) 2000-12-07 2001-07-09 High-speed optical recording and era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wo beams
JP2001262209A JP2002183967A (ja) 2000-12-07 2001-08-30 高速光記録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311A KR100813942B1 (ko) 2000-12-07 2000-12-07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023A KR20020045023A (ko) 2002-06-19
KR100813942B1 true KR100813942B1 (ko) 2008-03-14

Family

ID=1970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311A KR100813942B1 (ko) 2000-12-07 2000-12-07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45079B2 (ko)
JP (1) JP2002183967A (ko)
KR (1) KR100813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4410A1 (fr) * 2001-10-17 2003-04-24 Tdk Corporatio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et procede pour enregistrer des informations sur un support d'enregistrement optique
WO2004049319A1 (en) * 2002-11-27 2004-06-10 Nokia Corporation Read/write device for optical memory and method therefore
JP4055073B2 (ja) * 2003-05-13 2008-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6012226A (ja) * 2004-06-23 2006-01-12 Hitachi Ltd 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WO2006075257A1 (en) * 2005-01-12 2006-07-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an inverse write strategy for a phase change optical storage medium
AU2007220010B2 (en) 2006-03-03 2011-02-17 Gentex Corporation Single lens splitter camer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92A (ja) * 1994-06-28 1996-01-19 Sekisui Chem Co Ltd 測量システム
JPH08148921A (ja) * 1994-11-21 1996-06-07 Nippon Sheet Glass Co Ltd 自動車電話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844A (ja) * 1982-10-14 1984-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可逆記録再生装置
JPS60231928A (ja) * 1984-04-27 1985-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消去方法
US4679184A (en) * 1984-06-08 1987-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erasing beam spot with asymmetrical intensity distribution
US4818666A (en) * 1986-03-28 1989-04-04 U.S. Philips Corporation Erasable optical recording element and method of optically recording and erasing information
JPH01229425A (ja) 1988-03-09 1989-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情報記録消去方法
JPH0814892B2 (ja) 1987-11-25 1996-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消去方法
EP0318200B1 (en) * 1987-11-25 1994-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erasing method
JPH02177131A (ja) 1988-12-28 1990-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記録媒体の記録消去方法および記録消去装置
JP2765235B2 (ja) 1989-12-29 199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情報の記録再生消去方法および光記録装置
JPH05342582A (ja) 1992-06-15 1993-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情報記録方法および光学情報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92A (ja) * 1994-06-28 1996-01-19 Sekisui Chem Co Ltd 測量システム
JPH08148921A (ja) * 1994-11-21 1996-06-07 Nippon Sheet Glass Co Ltd 自動車電話用ガラスアンテナ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보 특공평08-14892호 인용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45079B2 (en) 2005-01-18
JP2002183967A (ja) 2002-06-28
KR20020045023A (ko) 2002-06-19
US20020105883A1 (en) 200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9977B2 (ja) 光デイスク装置
KR100813942B1 (ko) 고속 광 기록방법 및 장치
US6456575B1 (en)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optical information medium and reproducing information therefrom
JP2960426B2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H0816987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S6233648B2 (ko)
JP3788873B2 (ja) 光学的情報記録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H0253223A (ja) 光学式記録再生方法
JPS5971143A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H05225582A (ja) 光記録媒体のフォーカスあるいはトラッキング方法及び装置
JPS60197935A (ja) 消去可能な光学的記録再生装置
JP2008052778A (ja) 光ピックアップ
JP2755633B2 (ja) レーザ光制御装置
JPS59144049A (ja) 光学的記録再生方式
JPH1139688A (ja) 受光素子および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H0714183A (ja) 光記録媒体のサーボ方法
JPH0482030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035003A (ja) 光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近接場光記録再生装置ならびに光ヘッド用部材
JPH0422143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1928A (ja) 光学的可逆記録再生装置
JPH05250717A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S5942376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KR20040019791A (ko) 호환형 광픽업 및 디스크의 기록 및 재생 방법
JPH06150357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644605A (ja) 光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