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010B1 -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 - Google Patents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010B1
KR100806010B1 KR1020067015775A KR20067015775A KR100806010B1 KR 100806010 B1 KR100806010 B1 KR 100806010B1 KR 1020067015775 A KR1020067015775 A KR 1020067015775A KR 20067015775 A KR20067015775 A KR 20067015775A KR 100806010 B1 KR100806010 B1 KR 10080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ingle cylinder
injection
fastener
componen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124A (ko
Inventor
히로시 다나까
야스시 요꼬찌
사또시 오오스가
히로시 시오까와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02Nail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6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snap 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부품 고정구는 정타기의 컨택트 아암에 마련된 단원통부에 임시 보유 지지되고, 정타기에 의해 건물 구조체 등에 못으로 고정한다. 부품 고정구는 중앙에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 대판부와, 단원통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부품 고정구를 정타기의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부품 고정구가 단원통부에 임시 보유 지지된다. 부품 고정구를 단원통부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컨택트 아암을 압입하여 사출부에 따라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다.
부품 고정구, 관통 구멍, 대판부, 기립편부, 결합부, 사출부

Description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PART FIXING TOOL AND NAIL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용 클립 등의 부품 고정구이며, 정타기에 의해 건물 구조체 벽면 등에 고정되는 부품 고정구 및 부품 고정구를 정타(釘打)하여 고정하기 위한 정타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4,291,855호는 복수의 파이프 고정용의 부품 고정구를 개시한다. 구조물이나 건물 구조체 벽면 등에 배관할 때에는, 미리 구조체 벽면에 부품 고정구가 못으로 고정되고, 이러한 부품 고정구에 결합되어 파이프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부품 고정구를 못으로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정타기를 이용하여 부품 고정구를 구조체 벽면 등에 고정할 때에, 작업자는 한쪽 손에 부품 고정구를 갖고 벽면에 부품 고정구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고, 다른 쪽 손에 정타기의 선단부를 클립의 중심 위치에 맞대어 못을 타입한다.
이 경우, 양손을 사용하지 않으면 부품 고정구를 고정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는 한쪽 손으로 별도의 자유로운 동작을 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하다.
거기서, 미국 특허 제6,371,350호는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는 수단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6,371,350호의 부품 고정구는 정타기의 통형상 사출부의 선단부와 결합하여 가볍게 고정하는 임시 보유 지지 기구를 갖고, 부품 고정구가 임시 보 유 지지된 상태로 못이 타입되어 부품 고정구가 구조체 벽면 등에 고정된다. 이 경우, 한쪽 손의 행동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6,371,350호의 구성에 있어서 부품 고정구를 임시 보유 지지하기 위해서는, 부품 고정구를 정타기의 사출부의 선단부에 대해 가로로부터 슬라이드시켜야만 한다. 이로 인해, 임시 보유 지지를 위한 작업 자체가 번거로운 것이 문제점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정타기의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부품 고정구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부품 고정구를 정타기에 임시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는 정타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이며, 중앙에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 대판부와, 그 양측으로부터 기립한 기립편부와, 양측의 기립편부의 내측에 형성된 정타기의 선단부에 결합해야 할 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립 형상이라도, 상기 대판부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막대 형상체라도, 상기 양측의 기립편부의 내측에 상기 대판부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서로 마주 보는 측으로 돌기부를 갖는 것이라도 혹은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내연부는 비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양측의 기립편부의 내벽면에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는 정타기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이며,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 대판부와, 대판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정타기의 선단부에 대해 못의 타출 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타기에 있어서는 부품 고정구가 정타기의 사출부의 선단부에 배치된 컨택트 아암의 단원통부에 임시 보유 지지되고, 상기 정타기의 못의 타입 작동에 의해 건물 구조체 등의 부착부의 표면에 못으로 고정되고, 상기 부품 고정구에는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 대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부품 고정구를 상기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입함으로써 상기 단원통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단원통부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이 상기 단원통부를 상기 사출부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 데에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다.
또한, 상기 단원통부의 외주에는 환형 돌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환형 돌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 가능한 립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원통부의 주위면의 서로 반대측에는 상기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를 상기 대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여 상기 홈부에 대해 끼워 맞춤 가능한 막대 형상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단원통부의 주위면에는 환형 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는 상기 대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형 홈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단원통부의 주위면을 비원형상의 외형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부품 고정구를 상기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입함으로써, 상기 단원통부가 상기 대판부까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단원통부를 회전시켰을 때에 단원통부에 결합하는 형상으로서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부품 고정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정타기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3은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상태의 종단면도.
도5는 부품 고정구를 부착부에 압박한 상태의 사시도.
도6은 부품 고정구를 못으로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7은 부품 고정구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8은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상태의 사시도.
도9는 부품 고정구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10은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상태의 사시도.
도11은 부품 고정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12는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직전의 상태의 사시도.
도13a는 부품 고정구의 압입 상태의 종단면도.
도13b는 부품 고정구의 압입 상태의 평면의 설명도.
도14a는 부품 고정구의 회전 상태의 종단면도.
도14b는 부품 고정구의 회전 상태의 평면의 설명도.
도15는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상태의 사시도.
도16은 부품 고정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17은 부품 고정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18은 상기 부품 고정구의 임시 보유 지지 상태의 종단면도.
도19는 도18의 P부의 확대도.
도20은 부품 고정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21은 부품 고정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도22는 부품 고정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부호의 설명>
A, A', B, B', C, C', D, E, F : 부품 고정구
1 : 관통 구멍
2 : 대판부
3 : 기립편부
5a, 5b, 5c, 5d, 5e, 5f : 결합부
9 : 사출부
11 : 컨택트 아암
12 : 단원통부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A)를 도시한다. 부품 고정구(A)는, 예를 들어 배선 고정용의 클립 등과 같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조물이나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의 부착부의 표면에 정타기에 의해 못으로 고정한다.
부품 고정구(A)는 통상은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중앙에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을 갖는 대판부(2)와, 그 양측으로부터 기립한 기립편부(3)를 구비한다. 양측의 기립편부(3)의 내벽면에는 경사진 안내면(4)이 형성되고, 이러한 안내면(4)의 기부 내측에는 정타기의 선단부에 결합해야 할 결합부(5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a)는 탄성 변형 가능한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연부(6)는 원호 상에 형성된다.
기립편부(3)의 선단부에는 상기 클립과 같은 기능부가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상기 부품 고정구(A)를 건물 구조체 등의 부착부의 표면에 못으로 고정하기 전에, 부품 고정구(A)를 정타기로 임시 고정한다.
도2에 있어서 부호 8은 정타기의 본체의 바닥부로, 본체의 선단부에는 사출부(9)가 형성된다. 사출부(9)의 내부에는 드라이버(1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드라이버(10)는 본체 내부의 타격 기구에 의해 구동된다. 사출부(9)의 측부에는 안전 장치로서 컨택트 아암(11)이 사출부(9)를 따라 이동 가능(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컨택트 아암(11)의 선단부에는 단원통부(12)(컨택트 톱)가 형성된다. 이 단원통부(12)는 컨택트 아암(11)이 슬라이드할 때에, 동시에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컨택트 아암(11)의 선단부의 단원통부(12)는, 통상은 사출부(9)의 선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다. 못의 타입을 위해, 상기 단원통부(12)가 상기 건물 구조체 등의 부착부(14)의 표면에 압박할 수 있을 때에, 컨택트 아암(11)이 압입되어 사출부(9)와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안전 장치가 해제된다. 안전 장치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10)의 못의 타입 작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단원통부(12)에는 부품 고정구(A)가 임시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부품 고정구(A)의 임시 보유 지지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단원통부(12)의 선단부의 외주에는 환형 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돌기부(13)의 선단부는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부품 고정구의 결합부(5a)는 상기 환형 돌기부(13)에 탄성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부품 고정구(A)를 단원통부(12)에 근접시키고, 또한 단원통부(12)를 안내면(4)에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5)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5)를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하중이 필요해진다. 이 하중은 동시에 단원통부(12)를 압입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5)를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기 위한 하중은 상기 단원통부(12)를 상기 사출부(9)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부품 고정구(A)를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컨택트 아암(11)을 압입하여 사출부(9)를 따라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A)를 단원통부(12)에 결합시킬 때, 단원통부(12)가 압입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안전 장치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부품 고정구(A)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작은 하중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A)를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정타기로 임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부품 고정구(A)를 건물 구조체 등의 부착부(14)에 고정할 때에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시 보유 지지된 부품 고정 금구(A)를 상기 부착부(14)의 소정 위치에 맞댄 후, 사출부(9)를 압박하여 컨택트 아암(11)을 사출부(9)와 반대측에 이동시켜 안전 장치를 해제하고, 또한 타입 작동시킨다. 타출된 못은 사출부(9)의 내부를 지나고, 부품 고정구(A)의 관통 구멍(1)을 관통하여 건물 구조체 등의 부착부(14)에 타입되어 부품 고정구(A)를 못으로 고정한다.
또한, 부품 고정구(A)의 양측 기립편부(3)의 내벽면에는 반드시 경사진 안내면(4)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후의 예(제2 내지 제6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1의 부품 고정구(A)는 대판부(2) 상에 한 쌍의 기 립편부(3)를 구비하지만, 도20에 기재된 부품 고정구(A')와 같이, 대판부(2) 상에 3개 이상의 기립편부(3)를 설치할 수도 있다. 기립편부(3)의 개수 이외는 부품 고정구(A')의 구성은 부품 고정구(A)로 마찬가지이고, 각 기립편부(3)는 결합부(5a), 안내면(4) 등을 갖는다.
<제2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를 도시한다. 부품 고정구(B)는 대판부(2)와 기립편부(3)를 구비하고, 양측의 기립편부(3)의 내측에는 상기 대판부(2)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막대 형상의 결합부(5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b)의 선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타기의 단원통부(12)의 주위면의 서로 반대측에는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단원통부(12)의 외주에는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한 쌍의 홈부(15, 15)가 형성되고, 한쪽의 홈부(15)는 다른 쪽의 홈부(15)로부터 단원통부(12)의 외주면에 따라 대략 18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 홈부(15)는 부품 고정구(B)의 결합부(5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 고정구(B)를 정타기의 단원통부(12)에 장착할 때에는 부품 고정구(B)를 단원통부(12)에 근접시키고, 부품 고정구의 결합부(5b)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단원통부(12)의 홈부(15)에 약간 심하게 끼워 맞추도록 압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경우도, 상기 결합부(5)를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 한 하중을, 상기 단원통부(12)를 상기 사출부(9)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부품 고정구(B)를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컨택트 아암(11)을 압입하여 상기 사출부(9)를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B)를 단원통부(12)에 결합시킬 때, 단원통부(12)가 압입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안전 장치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부품 고정구(B)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작은 하중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B)를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정타기로 임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7, 도8에 기재된 부품 고정구(B)는 대판부(2) 상에 한 쌍의 기립편부(3) 및 한 쌍의 결합부(5b)를 구비하지만, 도21에 기재의 부품 고정구(B')와 같이 대판부(2) 상에 3개 이상의 기립편부(3) 및 결합부(5b)를 설치해도 좋다. 기립편부(3) 및 결합부(5b)의 개수 이외에서는 부품 고정구(B')의 구성은 부품 고정구(B)와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C)를 도시한다. 부품 고정구(C)는 대판부(2)와 기립편부(3)를 구비하고, 양측의 기립편부(3)의 내측에는 대판부(2)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5c)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부(5c)의 서로 마주 보는 측으로는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돌기부(16)는 관통 구멍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각 결합부(5c) 상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타기의 단원통부(12)의 주위면에는 환형 홈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홈부(17)는 부품 고정구의 결합부(5c)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 고정구(C)를 정타기의 단원통부(12)에 장착할 때에는 부품 고정구(C)를 단원통부(12)에 근접시키고, 부품 고정구(C)의 결합부(5c)를 단원통부(12)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부(5c)의 돌기부(16)가 환형 홈부(17)에 탄성적으로 결합할 때 까지 압입한다.
이 경우도, 상기 결합부(5c)를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을, 상기 단원통부(12)를 상기 사출부(9)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부품 고정구(C)를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컨택트 아암(11)을 압입하여 상기 사출부(9)를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C)를 단원통부(12)에 결합시킬 때, 단원통부(12)가 압입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안전 장치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부품 고정구(C)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작은 하중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C)를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정타기로 임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9, 도10에 기재된 부품 고정구(C)는 대판부(2) 상에 한 쌍의 기립편부(3) 및 한 쌍의 결합부(5c)를 구비하지만, 도22에 기재된 부품 고정구(C')와 같이 대판부(2) 상에 3개 이상의 기립편부(3) 및 결합부(5c)를 설치해도 좋다. 기립 편부(3) 및 결합부(5c)의 개수 이외에서는, 부품 고정구(C')의 구성은 부품 고정구(C)로 마찬가지이고, 각 돌기부(16)는 관통 구멍(1)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각 결합부(5c) 상에 형성된다.
<제4 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부품 고정부(D)를 도시한다. 부품 고정구(D)는 대판부(2)와 기립편부(3)를 구비하고, 양측의 기립편부(3)의 내면에는 경사진 안내면(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의 안내면(4)의 기부 내측에는 결합부(5d)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d)는 립 형상으로, 그 내연부(18)는 오목 형상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타기의 단원통부(12)의 선단 주위면에는 환형 돌기부(19)를 일정한 간격으로 주위의 4 개소(20)를 잘라 버린 형상의 외형을 구비하고 있다. 즉, 단원통부(12)는 비원형상의 외주를 갖는다. 상기 돌기부(19)의 잘라냄부(20)와 그 양측의 원호부(21)는, 상기 결합부(5d)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 고정구(D)를 정타기의 단원통부(12)에 장착할 때에는, 부품 고정구(D)를 단원통부(12)의 선단부의 잘라냄부(20)와 그 양측의 원호부(21)에 맞춰서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압입하면, 단원통부(12)의 선단부가 대판부(2)까지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도13a 및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9)는 결합부(5)의 이면측에까지 이동한다. 또한, 부품 고정구(D)를 45° 회전시키고, 도14a 및 도14b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9)가 결합부(5d)의 중앙의 이면 측에 회전하여 결합된다. 즉, 단원통부(12)의 선단부와 대판부(2)가 접촉할 때까지 부품 고정구(D)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단원통부(12)와 부품 고정구(D)가 상대 회전함으로써, 부품 고정구(D)가 단원통부(12)에 결합한다.
이 경우도, 상기 결합부(5d)를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거의 제로와 같기 때문에, 상기 단원통부(12)를 상기 사출부(9)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은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D)를 단원통부(12)에 결합시킬 때, 단원통부(12)가 압입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안전 장치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부품 고정구(D)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하중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D)를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정타기로 임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고정구(D)의 결합부(5d)의 내연부는 반드시 상술된 바와 같이, 원과 다각형을 결합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비원형이면 좋고, 예를 들어 다각형이라도, 타원형이라도 좋다. 또한, 기립편부(3)를 대판부(2) 상에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제5 실시예>
도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E)를 도시한다. 부품 고정구(E)는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을 갖는 대판부(2)를 구비한다. 대판부(2)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가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는 립 형상의 결합부(5e)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e)는 정타기의 선단부에 대해, 못의 타출 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를 대판부(2)에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부품 고정구(E)를 정타기의 선단부에 임시 보유 지지시킬 경우에, 제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요령으로, 부품 고정구(E)를 정타기의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출부의 선단부에 결합시키면 좋다.
이 경우도, 상술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16에서는 결합부(5e)가 2개 설치되어 있지만, 대판부(2) 상에 3개 이상의 결합부(5e)를 설치해도 좋다.
<제6 실시예>
도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부품 고정구를 도시한다. 부품 고정구(F)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대판부(2)와 기립편부(3)를 구비하고, 양측의 기립편부(3)의 내면에는 경사진 안내면(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의 안내면(4)의 기부 내측에는 결합부(5f)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f)는 립 형상으로, 그 내연부(18)는 원호형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연부(18)에는 단면 삼각형상의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도17, 도19 참조). 또한, 상기 대판부(2)의 상기 내연부(18)의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부(24)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타기의 단원통부(12)는 스트레이트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원통부(12)의 선단 외주면은 모따기되고, 안내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원통부(12)의 외부 직경은 상기 결합부(5f)의 내연부(18)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 고정구(F)를 정타기의 단원통부(12)에 장착할 때에는, 부품 고정구(F)를 단원통부(12)의 선단부를 부품 고정구(F)의 결합부(5f)의 내연부(18)에 맞춰서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압입하면 좋다. 단원통부(12)는 그 선단 안내부(25)로부터 결합부(5f)의 내연부(18) 내에 압입된다. 이때 개구부(24)도 변형되므로, 압입력은 작아도 좋다. 그리고, 내연부(18)의 리브(23)가 도19와 마찬가지로 단원통부(12)의 외면에 물림 형상으로 압접되므로, 부품 고정구(F)는 탈락하는 일 없이 단원통부(12)에 임시 보유 지지된다.
이 경우도, 상기 결합부(5f)를 상기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상기 단원통부(12)를 상기 사출부(9)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다. 즉, 부품 고정구(F)를 단원통부(12)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컨택트 아암(11)을 압입하여 사출부(9)를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F)를 단원통부(12)에 결합시킬 때, 단원통부(12)가 압입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안전 장치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부품 고정구(F)를 사출부(9)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작은 하중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고정구(F)를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정타기로 임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17 및 도18에 있어서는 대판부(2) 상에 기립편부(3), 결합부(5f) 및 개구부(24)가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대판부(2) 상에 각각 3개 이상의 기립편부(3), 결합부(5f) 및 개구부(24)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상에 상세하게 서술한 부품 고정구(A, A', B, B', C, C', D, E 및 F)를 미국 특허 제4,291,8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건물 구조체 벽면에 고정되는 각종의 클립 부재에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클립 부재를 정타기의 선단부에 임시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그때, 부품 고정구(A, A', B, B', C, C', D, E 및 F)는 클립 부재와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부품 고정구(A, A', B, B', C, C', D, E 및 F)가 클립 부재에 조립 부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4년 2월 6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4-031025호) 및 2004년 8월 10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4-233793호)을 기초로 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하여 도입된다.
본 발명의 부품 고정구에 따르면, 대판부로부터 기립하는 기립편부의 기부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정타기의 사출부의 선단부에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타기에 따르면, 부품 고정구의 결합부가 정타기의 사출부의 단원통부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을, 상기 단원통부를 상기 사출부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게 하였으므로, 간단하면서 안전하게 임시 보유 지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부품 고정구의 결합부를 정타기의 컨택트 아암의 단원통부에 압입하여 결합 시키기 위한 하중을, 상기 단원통부를 컨택트 아암과 함께 상기 사출부의 기부측으로 압입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도 작게 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부품 공구의 장착 용이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실현하였다.

Claims (12)

  1. 대판부와,
    상기 대판부의 중앙에 마련되고,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과,
    상기 대판부로부터 기립한 기립편부와,
    정타기의 선단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정타기에 의해 고정되는 부품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립편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품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대판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막대 형상체인 부품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대판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는 부품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내연부는 비원형상으로 형성된 부품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편부의 내벽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을 더 구비하는 부품 고정구.
  7. 대판부와,
    상기 대판부의 중앙에 마련되고,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과,
    정타기의 선단부에 대해 못의 타출 방향과 반대측으로 압입함으로써, 정타기의 선단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정타기에 의해 고정되는 부품 고정구.
  8. 사출부와,
    상기 사출부에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컨택트 아암과,
    상기 컨택트 아암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정타기에 의해 못으로 고정하는 부품 고정구를 임시 보유 지지하기 위한 단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고정구는 대판부와, 대판부에 형성된 못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과, 부품 고정구를 상기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단원통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고정구를 상기 단원통부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하중은, 상기 컨택트 아암을 압입하여 상기 사출부를 따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하중보다도 작은 정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원통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환형 돌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 가능한 립 형상으로 형성된 정타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원통부의 외주에 마련되고, 상기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대판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정타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원통부의 외주에 형성된 환형 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대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상기 환형 홈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정타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원통부는 비원형상의 외주를 갖고,
    상기 단원통부의 선단부와 상기 대판부가 접촉할 때까지 상기 부품 고정구를 상기 사출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단원통부와 상기 부품 고정구가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부품 고정구가 상기 단원통부에 결합하는 정타기.
KR1020067015775A 2004-02-06 2005-02-03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 KR10080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1025 2004-02-06
JPJP-P-2004-00031025 2004-02-06
JP2004233793A JP4214967B2 (ja) 2004-02-06 2004-08-10 部品固定具及びこの部品固定具の釘打機に対する仮保持機構
JPJP-P-2004-00233793 2004-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124A KR20060127124A (ko) 2006-12-11
KR100806010B1 true KR100806010B1 (ko) 2008-02-26

Family

ID=3484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775A KR100806010B1 (ko) 2004-02-06 2005-02-03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90065655A1 (ko)
EP (1) EP1726858B1 (ko)
JP (1) JP4214967B2 (ko)
KR (1) KR100806010B1 (ko)
CN (1) CN100432512C (ko)
AU (1) AU2005210907A1 (ko)
CA (1) CA2555776C (ko)
DE (1) DE602005023281D1 (ko)
TW (1) TWI273197B (ko)
WO (1) WO2005075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8330B2 (ja) * 2009-08-14 2013-06-26 マックス株式会社 衝撃工具
US10180115B2 (en) 2010-04-27 2019-01-15 Achates Power, Inc. Piston crown bowls defining combustion chamber constructions in opposed-piston engines
US9211797B2 (en) 2013-11-07 2015-12-15 Achates Power, Inc. Combustion chamber construction with dual mixing regions for opposed-piston engines
JP6578816B2 (ja) * 2015-08-24 2019-09-25 マックス株式会社 打込み工具
USD843192S1 (en) * 2017-02-10 2019-03-19 Philip M. Reed Nailer adapter for siding
USD850892S1 (en) * 2018-02-23 2019-06-11 Yen-Cheng Lin Mounting bracket
WO2020006435A1 (en) * 2018-06-29 2020-01-02 Black & Decker, Inc. Compliant tip for a fastening tool
CN113217509A (zh) * 2020-01-21 2021-08-06 喜利得股份公司 紧固元件
CN111963768B (zh) * 2020-08-13 2022-02-01 苏州颐和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石油输送管道卡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92A (ja) * 1995-07-12 1997-01-28 Sekisui Chem Co Ltd たて樋取付金具
WO1998047668A1 (en) * 1997-04-24 1998-10-29 Alfonso Losada Fastener feeding system for power actuated gun
US6256857B1 (en) 1994-09-06 2001-07-10 Utica Enterprises Inc. Tool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1795A (en) * 1960-08-05 1963-06-04 Gilbert G Budwig Grommet
US3638892A (en) * 1968-07-18 1972-02-01 Gunnebo Bruks Ab Fastening clip intended to be fastened with nail-driving tool
CH598528A5 (ko) 1976-03-15 1978-04-28 Egli Fischer & Co
DE7614135U1 (de) 1976-05-04 1976-09-30 Hilti Ag, Schaan (Liechtenstein) Rohr- und kabelschelle
US4214723A (en) * 1978-06-01 1980-07-29 Voorhees James M Jr Support for tubing or cables in buildings
US4339065A (en) * 1978-07-24 1982-07-13 Haytayan Harry M Pneumatic tool
US4227637A (en) * 1978-11-30 1980-10-14 Haytayan Harry M Pneumatic fastening tool
US4434927A (en) * 1981-06-24 1984-03-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enetrator interface adapter concept
US4703883A (en) * 1985-11-12 1987-11-03 Alfonaso Losada Fastener assembly
EP0530606A1 (en) 1991-08-22 1993-03-10 Eastman Kodak Company Blend of a polyester and a polycarbonate
JPH0641870A (ja) 1992-01-29 1994-02-15 Kanebo Ltd pH緩衝性繊維構造物
JPH06185375A (ja) 1992-12-14 1994-07-05 Mitsubishi Heavy Ind Ltd 送風加熱装置
JPH06350679A (ja) 1993-06-11 1994-12-22 Fujitsu Ltd 故障判定方法
JP2842215B2 (ja) * 1993-09-22 1998-12-24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
US5484094A (en) 1994-06-16 1996-01-16 Illinois Tool Works Inc. Workpiece-contacting probe for fastener-driving tool for fastening lath to substrate
US5649661A (en) * 1995-03-28 1997-07-22 Max Co., Ltd. Equipment for nailing machine
US6145725A (en) * 1997-10-09 2000-11-14 Allan Omli, L.L.C. Fastener driver cap feeder assembly
US6145723A (en) * 1998-01-27 2000-11-14 Illinois Tool Works Inc. Workpiece-contacting probe for fastener-driving tool for fastening dimpled membranes to foundation walls via fasteners and polymeric plugs
JP3834155B2 (ja) 1998-06-16 2006-10-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鋲打銃
FR2786420B1 (fr) * 1998-11-30 2001-01-05 Prospection & Inventions Procede de pose d'une embase de fixation de piece et outil de fix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2786541B1 (fr) * 1998-11-30 2001-02-16 Legrand Sa Procede pour la fixation d'un quelconque article a un quelconque support, et accessoire de fixation propre a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DE29900491U1 (de) 1999-01-14 1999-03-25 Hermanns Heinz Werner Befestigungselement aus Blech, zur Befestigung von Bauteilen an einer Unterkonstruktion eines Bauwerks
US6908022B2 (en) * 2000-01-13 2005-06-21 Jeffrey F. Schmitz Washer feeding and positioning attachment for fastener driver
US6454151B1 (en) * 2000-07-17 2002-09-24 Lin Wang-Kuan Power stapler
JP4656274B2 (ja) * 2001-05-16 2011-03-23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における釘打ち出し案内機構
DE10142561B4 (de) 2001-08-30 2021-11-11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mit Nagelmagazin
JP2004064612A (ja) 2002-07-31 2004-02-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子機器
US6708821B2 (en) * 2002-08-21 2004-03-23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collation strip and debris exhaust mechanism
JP4313031B2 (ja) * 2002-12-13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ツール交換装置及びツール
US7255256B2 (en) * 2005-03-03 2007-08-14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Finish nailer with contoured contact trip foot
US7513404B2 (en) * 2007-04-13 2009-04-07 Illinois Tool Works Inc. Depth of drive control with load transfer for fastener dr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857B1 (en) 1994-09-06 2001-07-10 Utica Enterprises Inc. Tool holder
JPH0925692A (ja) * 1995-07-12 1997-01-28 Sekisui Chem Co Ltd たて樋取付金具
WO1998047668A1 (en) * 1997-04-24 1998-10-29 Alfonso Losada Fastener feeding system for power actuated gu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8038B2 (en) 2012-11-13
TW200533854A (en) 2005-10-16
JP2005249182A (ja) 2005-09-15
JP4214967B2 (ja) 2009-01-28
AU2005210907A1 (en) 2005-08-18
CA2555776A1 (en) 2005-08-18
DE602005023281D1 (de) 2010-10-14
KR20060127124A (ko) 2006-12-11
CN100432512C (zh) 2008-11-12
CN1918418A (zh) 2007-02-21
WO2005075869A1 (ja) 2005-08-18
EP1726858A4 (en) 2008-10-29
TWI273197B (en) 2007-02-11
CA2555776C (en) 2009-06-30
US20120228438A1 (en) 2012-09-13
EP1726858A1 (en) 2006-11-29
US20090065655A1 (en) 2009-03-12
EP1726858B1 (en)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010B1 (ko)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
US5649661A (en) Equipment for nailing machine
US7257867B2 (en) Clip for attaching two members
US6286742B1 (en) Nail driving tool
US10124470B2 (en) Fastener installation tool adaptor
US70933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assembly having resilient tool connection
CA2601048C (en) Assembly formed by a base plate and fastening plug
US20030041696A1 (en) Magazine with bolt-shaped fastening elements for a setting tool
KR101441878B1 (ko) 공구용 연결구
US20040099772A1 (en) Holding element for tubular objects
EP1813825A1 (en) Fixing Nail
JP5135786B2 (ja) 留付け具
CA3030973A1 (en) Fastener installation tool adaptor
US20190126446A1 (en) Dual Positionable Fastener Installation Tool Adaptor
JP4120574B2 (ja) 釘打機のコンタクトノーズ連結機構
US11446797B2 (en) Low-profile fastener retaining device with single-sided retention and release
CA3062481C (en) Flush position indicator for fastener installation tool for roof truss framing and construction system
JPH058328Y2 (ko)
JPH0742609Y2 (ja) ユニバーサルレンチ
JPS632310Y2 (ko)
EP3000561A2 (en) Metal connector adaptor for a fastening tool
JP2020012521A (ja) 鋲固定される組付け式固定体
JPH0677546U (ja) 提手等の取付構造
EP1839817A1 (en) Fixation piece for nail guns
JPH1133931A (ja) 動力打ち込み機の定置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