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878B1 - 공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공구용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1878B1 KR101441878B1 KR1020120111225A KR20120111225A KR101441878B1 KR 101441878 B1 KR101441878 B1 KR 101441878B1 KR 1020120111225 A KR1020120111225 A KR 1020120111225A KR 20120111225 A KR20120111225 A KR 20120111225A KR 101441878 B1 KR101441878 B1 KR 1014418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rear end
- driving rod
- fastener
- h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Screw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구의 세팅이 쉽고, 최초 체결구 세팅 시 체결구를 탄성가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고, 체결구가 튕겨져나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구용 연결구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가 격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1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121)와 헤드부(1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121)가 상기 제1 바디(110)의 제1 챔버(1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122)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으로 이루어지고, 헤드부(1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124), 통로(125) 및 수용홈(1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120); 상기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130); 및 상기 제1 챔버(1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120)의 몸통부(121) 후단과 격벽(113)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바디(120)를 선단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112)의 내부에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의 가압판(131)과 제2 챔버(112)의 후단 내벽 사이에 제2 압축스프링(150)이 설치되어 드라이빙 로드(130)를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여 수용홈(1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항상 탄성가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구의 세팅이 쉽고, 최초 체결구 세팅 시 체결구를 탄성가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고, 체결 시에는 연결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는 체결 도중에 체결구가 튕겨져나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스크루, 못, 철판 못, 콘크리트 못,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로서는, 일반적인 스크루 드라이버, 렌치, 전동 공구, 에어 렌치, 에어 임팩터 등과 같은 다양한 체결용 또는 타정용 공구가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체결용 공구 또는 타정용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구를 체결할 때의 문제는, 공구의 단부에 체결구를 구속해 둘 수 없어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체결구의 잦은 분실을 야기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구의 단부에 체결구를 구속해 두기 위한 연결구의 다양한 예가 특허문헌 1 내지 6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6에 개시된 연결구는, 공구의 단부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연결구의 선단부에 체결구의 머리를 수용가능하게 하는 한편, 선단부를 여러 갈래로 절개시켜 복수의 탄성 파지편을 형성하여, 복수의 탄성 파지편을 벌려 체결구의 머리 부분을 삽입하면, 탄성 파지편이 좁아지면서 체결구의 머리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 중의 한 형태로서는, 연결구의 바디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고, 드라이빙 로드를 바디에 끼운 후 바디와 함께 고정 너트로 고정한 형태가 있다(예; 특허문헌 1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참조).
그렇기 때문에, 체결구의 머리부(예; 스크루의 머리부에 형성된 공구 삽입홈)의 높이에 따라 드라이빙 로드의 선단부(예; 스크루 드라이버의 선단부)와 체결구의 머리부 사이의 거리를 번거롭게 조정하여야 하고, 한 번 조정해 놓은 다음에도 체결구의 종류가 달라질 때마다 새롭게 조정한 후 다시 고정 너트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해진다.
특히, 체결구의 드라이빙 로드의 선단부와 체결구의 머리부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맞추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체결구가 연결구의 탄성 파지편을 지나서 들어가서 걸리도록 하기 위한 여유 거리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드라이빙 로드의 선단부와 체결구의 머리 부분이 항상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세팅되기 때문에, 체결구가 전후 방향 및 옆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비뚤어짐으로써 정확한 체결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연결구 중의 다른 형태로서는, 연결구의 바디를 두 개로 분할하여 압축 스프링으로 지지하거나(예; 특허문헌 1의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 참조, 특허문헌 3, 특허문헌 5 참조), 또는 연결구의 바디와 드라이빙 로드 사이를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결합하고, 연결구의 바디와 드라이빙 로드 사이에 스프링을 지지한 형태가 있다(예; 특허문헌 1의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 특허문헌 2, 특허문헌 4 참조).
이러한 형태의 연결구는, 체결공구의 드라이빙 로드를 후방으로(즉, 체결구의 머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기능이 있으므로, 드라이빙 로드의 선단부가 체결구의 머리로부터 항상 뒤쪽으로 일정거리만큼 물러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체결구가 전후 방향 및 옆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비뚤어지게 되고 정확한 체결도 어렵다.
위와 같은 현상에 따라, 연결구의 선단부의 탄성 파지편에 체결구의 머리를 넣어 세팅하면, 드라이빙 로드의 선단부와 체결구가 자동으로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체결구가 흔들리거나 비뚤어지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연결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등에 개시된 종래의 연결구는, 드라이빙 로드를 밀면서 드라이빙 로드와 함께 연결구를 함께 회전시키면서 체결이 진행되는데, 체결 동작 초기나 도중에, 체결구가 직진하지 못하고 옆으로 살짝 비뚤어지기라도 하면 작업자가 드라이빙 로드를 밀고 있던 관성력에 의해 체결구가 밖으로 튕겨져나가게 되고, 체결구가 밖으로 튕겨져 나가면서 탄성 파지편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체결 동작시 체결구가 비뚤어지거나, 그로 인해 연결구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현상을 억제하면서 직진하여 체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연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종래의 특허문헌 등에 개시된 연결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구가 튕겨져나가는 것을 막지 못해 주변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체결구가 바닥으로 떨어져 분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체결구가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고 좀 더 쉽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연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필요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연결구의 선단부의 탄성 파지편에 체결구의 머리를 넣어 세팅하면, 드라이빙 로드의 선단부가 체결구의 머리를 일정한 힘으로 압박하여 구속함으로써 체결구가 흔들리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와 함께 체결 동작시에도 체결구가 비뚤어지거나, 그로 인해 연결구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현상을 억제하고 직진하여 체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체결구가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여 좀 더 쉽고 좀 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가 격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1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121)와 헤드부(1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121)가 상기 제1 바디(110)의 제1 챔버(1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1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이 형성되며, 헤드부(1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124), 통로(125) 및 수용홈(1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120); 상기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중앙을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130); 상기 제1 챔버(1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120)의 몸통부(121) 후단과 격벽(1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1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1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14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112)의 내부에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에는 드라이빙 로드(130)의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1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가압판(131)이 고정되고, 가압판(131)과 제2 챔버(1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150)에 의해 드라이빙 로드(13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1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를 드라이빙 로드(130)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120)의 수용홈(1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1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바디(120)의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129)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1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160)이 설치되어, 상기 결속 링(160)의 압박에 의해 탄성 파지편(128)들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가 격벽(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2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가 상기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2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되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224), 통로(225) 및 수용홈(2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220); 후단부에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2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됨과 함께, 제1 바디(210)의 격벽(213)으로부터 제2 바디(2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를 통해 입구부(224)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가압 튜브(235); 상기 제1 바디(210)와 가압 튜브(235)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고 후단부가 고정쇠(231)에 의해 제1 바디(210)에 단일체로 결합되는 드라이빙 로드(230); 상기 제1 챔버(2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몸통부(221) 후단과 격벽(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2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212)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 튜브(235)와 제2 챔버(2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2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250)에 의해 가압 튜브(235)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210)가 제2 바디(220)를 가압 튜브(2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가압 튜브(235)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가 격벽(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2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가 상기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2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되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224), 통로(225) 및 수용홈(2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220); 후단부에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2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됨과 함께, 제1 바디(210)의 격벽(213)으로부터 제2 바디(2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를 통해 입구부(224)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플랜지부(236)에는 걸림턱(337)이 형성되는 가압 튜브(235); 상기 제1 바디(210)와 가압 튜브(235)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고 후단부가 고정쇠(231)에 의해 제1 바디(210)에 단일체로 결합되는 드라이빙 로드(230); 상기 제1 챔버(2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몸통부(221) 후단과 격벽(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2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의 내부에는 축(352) 상에 토션 스프링(350)이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350)의 일단부(351a)는 격벽(213)에 지지되고 타단부(351b)는 걸림턱(337)의 내측으로 들어와 플랜지부(236)에 지지되어, 토션 스프링(350)에 의해 가압 튜브(235)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210)가 제2 바디(220)를 가압 튜브(2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가압 튜브(235)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가 격벽(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연장부(210a)가 형성되고, 연장부(210a)의 외주에 테이퍼 나사부(470)가 형성되며, 연장부(210a)가 방사상의 복수의 절취홈(471)에 의해 복수의 탄성 물림편(472)으로 형성되는 제1 바디(2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가 상기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2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되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224), 통로(225) 및 수용홈(2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220);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내부에 후단부의 플랜지부(236)가 삽입된 상태로 제1 바디(210)의 격벽(213)으로부터와 제2 바디(2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를 통해 입구부(224)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가압 튜브(235); 상기 제1 바디(210)와 가압 튜브(235)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430); 상기 제1 바디(210)의 테이퍼 나사부(470)에 나사결합되어 테이퍼 나사부(470)를 조이거나 풀어 드라이빙 로드(430)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고정 너트(480); 상기 제1 챔버(2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몸통부(221) 후단과 격벽(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2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212)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 튜브(235)와 제2 챔버(2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2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250)에 의해 가압 튜브(235)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210)가 제2 바디(220)를 가압 튜브(2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가압 튜브(235)의 선단에 의해 항상 선단측으로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229)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2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260)이 설치되어, 상기 결속 링(26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탄성 파지편(228)들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연결구의 외부에 제1 바디의 외부에 제1 외부 하우징(510)이 설치되고, 제1 외부 하우징(510)의 후방 내측에 제1 바디가 삽입되어 고정쇠(511)에 의해 단일체로 결합되고; 제1 외부 하우징(510)의 전방으로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후단부가 제1, 2 바디와 제1 외부 하우징(510)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제1 외부 하우징(510)과 제1 바디 사이에 제2 외부 하우징(520)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3 챔버(513)에는 제3 압축스프링(530)이 설치되고, 제3 압축스프링(530)의 일단부는 제3 챔버(513)의 후단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3 챔버(513)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후단에 지지되며; 제2 외부 하우징(520)의 선단부 내측에는, 제2 바디의 탄성 파지편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522)가 형성되어, 탄성 파지편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탄성 파지편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610)와 헤드부(620)로 이루어지고; 몸통부(610)와 헤드부(620)의 중앙으로 체결구(20)를 타정하기 위한 드라이빙 로드(630)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며; 몸통부(610)의 내부에는 챔버(611)가 형성되고; 챔버(611)의 내부에서, 드라이빙 로드(630)에는 가압판(633)이 설치되며; 가압판(633)과 챔버(611)의 후단 내벽 사이에 압축 스프링(640)이 설치되어 드라이빙 로드(630)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함과 함께 몸통부(610)를 후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며; 헤드부(620)는,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입구부(224)와, 통로(625) 및 수용홈(626)이 형성되는 한편, 방사상의 절개부(6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탄성 파지편(628)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탄성 파지편(6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629)이 형성되고, 환형 홈(6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66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711)와 제2 챔버(712)가 격벽(7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7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721)와 헤드부(7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721)가 상기 제1 바디(710)의 제1 챔버(7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7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이 형성되며, 헤드부(722)의 중앙에는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724), 통로(725) 및 수용홈(7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720); 상기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체결구(20) 타정용 드라이빙 로드(730); 상기 제1 챔버(7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720)의 몸통부(721) 후단과 격벽(7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7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7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7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712)의 내부에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730)에는 드라이빙 로드(730)의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7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가압판(733)이 고정되고, 가압판(733)과 제2 챔버(7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7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750)에 의해 드라이빙 로드(73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7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710)가 제2 바디(720)를 드라이빙 로드(730)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720)의 수용홈(7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상기 드라이빙 로드(730)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7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729)이 형성되고, 환형 홈(7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760)이 설치되어, 상기 결속 링(76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탄성 파지편(728)들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제1 바디(710)의 외부에 제1 외부 하우징(810)이 설치되고, 제1 외부 하우징(810)의 후방 내측에 제1 바디(710)가 삽입되어 고정쇠(811)에 의해 단일체로 결합되고; 제1 외부 하우징(810)의 전방으로 제2 외부 하우징(820)의 후단부가 제1, 2 바디(710, 720)와 제1 외부 하우징(810)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제1 외부 하우징(810)과 제1 바디(710) 사이에 제2 외부 하우징(820)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3 챔버(812)에는 제3 압축스프링(830)이 설치되고, 제3 압축스프링(830)의 일단부는 제3 챔버(812)의 후단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3 챔버(812)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외부 하우징(820)의 후단에 지지되며; 제2 외부 하우징(820)의 선단부 내측에는, 탄성 파지편(728)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822)가 형성되어, 탄성 파지편(7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탄성 파지편(7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는, 중앙에 내부 삽입공(9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 바디(710, 72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 하우징(91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910)의 선단부 내측에는 탄성 지지편(728)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91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편(7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탄성 지지편(7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하며; 외부 하우징(910)에는 권총 손잡이(92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에 의하면, 드라이빙 로드가 수용홈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구의 머리부를 언제나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체결구의 머리부를 수용홈의 전단 내벽으로 탄성 가압하므로, 세팅시나 체결시 모두 체결구가 흔들리거나 비뚤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체결구가 연결구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현상이 억제되고 직진성이 부여되어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결속 링에 의해 탄성 파지편의 둘레를 가압함으로써 체결구가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좀 더 안전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c에서 체결구를 세팅하기 위해 바디를 전방 선단부 쪽으로 밀어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e는 도 1d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f는 도 1e에서 바디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g는 작업면에 체결구를 소정 깊이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서의 비틀림 스프링의 설치구조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d는 도 3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드라이빙 로드 고정부를 보여주는 주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도 5c에서 작업면에 체결구를 소정 깊이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선단부에 체결구의 머리부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서 외부 하우징을 벽체에 밀착하여 체결구를 체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c에서 체결구를 세팅하기 위해 바디를 전방 선단부 쪽으로 밀어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e는 도 1d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f는 도 1e에서 바디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g는 작업면에 체결구를 소정 깊이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서의 비틀림 스프링의 설치구조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d는 도 3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드라이빙 로드 고정부를 보여주는 주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도 5c에서 작업면에 체결구를 소정 깊이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b의 선단부에 체결구의 머리부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서 외부 하우징을 벽체에 밀착하여 체결구를 체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드라이빙 로드(driving rod)'란, 원형 단면, 사각 단면, 육각 단면 등을 가지고, 전동 드라이버 드릴, 전동 임팩트 드라이버, 공압 드라이버 드릴, 공압 임팩트 드라이버 등과 같은 휴대용 전동공구의 척에 꽂아 사용하거나, 또는 뒤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수동 공구로 사용하도록 한 부분이다.
그리고 탄성 신축성(elastic-flexcible) 소재는, 탄성 플라스틱, 탄성 실리콘 또는 탄성 고무 등, 탄성을 지니는 소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디',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 중에서 탄성 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는 탄성 신축성 소재로 구성된다. 나머지의 바디도 동일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만 보면, 바디, 제1 바디, 제2 바디, 외부 하우징, 드라이빙 로드, 압축 스프링 등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조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으나, 바디, 제1 바디, 제2 바디, 외부 하우징은 종방향으로 2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제조한 후, 다른 구성요소들을 한쪽에 끼운 후 마주보게 포개어 초음파 융착 또는 고주파 용착 등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조립하므로, 조립가능 여부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면 안 될 것이다.
또한, 도면상 위쪽을 '선단' 또는 '전방'으로 정하고, 아래쪽을 '후단' 또는 '후방'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100)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가 격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110)와;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121)와 헤드부(1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121)가 상기 제1 바디(110)의 제1 챔버(1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122)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으로 이루어지고, 헤드부(1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124), 통로(125) 및 수용홈(1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120)와; 상기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130)와; 상기 제1 챔버(1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120)의 몸통부(121) 후단과 격벽(113)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바디(120)를 선단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챔버(112)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에는 가압판(131)이 구비되고, 가압판(131)과 제2 챔버(1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150)에 의해 드라이빙 로드(130)를 선단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의 선단이 상기 제2 바디(120)의 수용홈(1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도 1e 내지 1g 참조)의 머리부(11)를 항상 탄성가압하여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항상 상기 수용홈(1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세팅상태에서나 체결 동작시에서나 체결구(10)가 흔들리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직진하여 정확히 체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의 사용 예로서, 종래처럼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눌러주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체결구(10)가 비뚤어지는데, 그 상태에서 전동공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체결구(10)가 크게 흔들려서 작업면(W)에 똑바로 댈 수 없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먼저 체결구(10)를 작업면(W)에 댄 다음 전동공구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체결구(10)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고속으로 회전하다 보면 체결구(10)가 튕겨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빙 로드(130)가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그 힘으로 체결구(10)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체결구(10)를 작업면(W)에 대기 전에 미리 전동공구를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을 안정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구(10)를 작업면(W)에 미리 댄 후 전동공구를 회전시키더라도 체결구(10)가 튕겨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의 사용 예로서, 종래처럼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눌러주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체결구(10)가 비뚤어지는데, 그 상태에서 전동공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체결구(10)가 크게 흔들려서 작업면(W)에 똑바로 댈 수 없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먼저 체결구(10)를 작업면(W)에 댄 다음 전동공구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체결구(10)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고속으로 회전하다 보면 체결구(10)가 튕겨나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빙 로드(130)가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그 힘으로 체결구(10)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체결구(10)를 작업면(W)에 대기 전에 미리 전동공구를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을 안정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구(10)를 작업면(W)에 미리 댄 후 전동공구를 회전시키더라도 체결구(10)가 튕겨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바디(110)에 대한 제2 바디(120)의 미끄럼 결합 관계에 있어서, 제1 바디(110)의 제1 챔버(111) 선단측의 전방 관통공(115)에 제2 바디(120)의 몸통부(121)가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통과한다.
제2 바디(120)의 후단에는 플랜지(121a)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121a)가 제1 챔버(111)에 수용된 채 제1 압축스프링(140)을 지지하며, 제1 압축스프링(14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바디(110)는 항상 제2 바디(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즉, 선단부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축 중심에는 중앙 관통공(114, 123)이 각각 형성되어, 해당 중앙 관통공(114, 123)에 드라이빙 로드(130)가 미끄럼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드라이빙 로드(130)에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가압판(131)과 제2 챔버(112) 후단 내벽 사이에 제2 압축 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빙 로드(130)는 전방으로, 제1 바디(110)는 후방으로 미는 힘을 항상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제2 바디(120)의 헤드부(122)는, 방사상의 절개부(1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탄성 파지편(128)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1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용이하게 진입하고 탄성 파지편(128)이 외측으로 잘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 선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입구부(124)가 형성되고, 입구부(124)의 소경부에 통로(125)가 형성되며, 통로(125)의 후방 내측에 넓은 공간의 수용홈(126)이 형성된다.
한편, 제2 바디(120)의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129)이 형성되고, 환형 홈(1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160)이 설치된다.
결속 링(160)은, 탄성에 의해 탄성 파지편(128)을 조여줌으로써, 체결구(10)가 흔들리는 것을 좀 더 확실하게 방지하고, 특히 체결 시 행여나 체결구(10)가 비뚤어져서 튕겨나가는 경우, 그 튕겨 나가는 힘에 의해 탄성 파지편(128)을 깨뜨리고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체결구(10)를 분실하거나 작업자나 주변 사람을 다치게 하는 일을 방지하여 좀 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 파지편(128)은 방사상의 절개부(1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중 체결구(10)가 비뚤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로부터 미는 힘을 더 받게 되면, 여러 조각의 탄성 파지편(128) 중 비뚤어진 체결구(10)가 접촉하는 어떤 한 조각의 탄성 파지편(128)은 강한 충격을 받으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파괴에 이를 염려가 있다. 결속 링(160)은, 여러 조각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측 둘레를 탄성적으로 감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여줄 뿐만 아니라, 어떤 하나 또는 일부의 탄성 파지편(128)에 충격이 집중하게 되는 경우에도 해당 탄성 파지편(128)을 잡아주고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해당 탄성 파지편(128)이 과도하게 벌어지거나 파괴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탄성 파지편(128)은 방사상의 절개부(1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중 체결구(10)가 비뚤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로부터 미는 힘을 더 받게 되면, 여러 조각의 탄성 파지편(128) 중 비뚤어진 체결구(10)가 접촉하는 어떤 한 조각의 탄성 파지편(128)은 강한 충격을 받으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져 파괴에 이를 염려가 있다. 결속 링(160)은, 여러 조각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측 둘레를 탄성적으로 감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여줄 뿐만 아니라, 어떤 하나 또는 일부의 탄성 파지편(128)에 충격이 집중하게 되는 경우에도 해당 탄성 파지편(128)을 잡아주고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해당 탄성 파지편(128)이 과도하게 벌어지거나 파괴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d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d에는 도 1c에서 체결구(10)를 세팅하기 위해 바디(110, 120)를 전방의 선단부 쪽으로 밀어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e에는 도 1d에서 제2 바디(110)에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f에는 도 1e에서 바디(110, 120)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g에는 작업면(W)에 체결구(10)를 소정 깊이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10)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빙 로드(130)를 휴대용 전동공구의 척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휴대용 전동공구를 작업자의 복부나 가슴 부위에 대거나 또는 탁자 등의 바닥에 지지한 상태에서, 한 손(예; 왼손)의 손바닥 부분과 새끼 손가락을 이용하여 드라이빙 로드(130) 부분을 움켜쥐고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제1 바디(110) 또는 제2 바디(120)를 선단 쪽(도 1d에서, 굵은 화살표 방향, 즉, 위쪽)으로 밀면, 제2 압축스프링(150)이 압축되면서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가 일체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드라이빙 로드(130)의 선단부가 수용홈(126) 후단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탄성 파지편(128)의 입구부(124)로 집어넣으면, 머리부(11)에 의해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이 외측으로(도 1e에서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머리부(11)가 수용홈(126)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수용홈(126) 안으로 들어가면, 벌어졌던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도 1e에서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오므려져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 온다.
이어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당기고 있던 제1 바디(110) 또는 제2 바디(120)를 놓으면, 제2 압축스프링(150)이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는 것에 의해, 제1 바디(110)는 후방(도면상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바디(120)도 제1 바디(110)에 의해 당겨져서 후방(도면상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와 함께 가압판(131)은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드라이빙 로드(130)를 전방(도면상 굵은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나서 선단이 체결구(10)의 머리부(11)에 삽입되어 세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세팅 상태에서는, 제2 압축스프링(150)의 팽창력이 계속하여 작용함으로써, 드라이빙 로드(130)가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계속하여 탄성 가압함으로써, 체결구(10)의 머리부(11)는 수용홈(126)의 전방 내측 면에 밀착하게 되며, 그 가압되는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g를 참조하여 휴대용 전동공구를 작동시켜 작업면(W)에 체결구(10)를 체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체결구(10)를 세팅한 상태에서, 체결구(10)의 축부(12) 선단을 작업면(W)에 대고 앞으로 밀면서 전동공구의 모터를 구동하여 스핀들을 회전시키면, 스핀들의 회전이 척에 결합되어 있는 드라이빙 로드(130)에 전달되고, 드라이빙 로드(130)는 체결구(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에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도 드라이빙 로드(130)와 함께 회전하여 체결구(10)가 작업면(W)에 박혀 들어가게 된다.
체결구(10)가 작업면(W)으로 들어가면, 제2 바디(120)의 탄성 파지편(128)이 작업면(W)에 닿게 되는데, 그 상태에서 계속하여 밀면서 체결하면,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수용홈(126)의 선단 내벽을 밀게 되고, 그 미는 힘에 의해 탄성 파지편(128)이 벌어지면서 통로(125)가 확장되어 머리부(11)가 앞으로 빠져나가서 계속하여 작업면(W)으로 들어간다.
체결구(10)의 체결이 계속하여 진행되면서, 드라이빙 로드(130)의 가압판(131)이 제1 바디(110)의 격벽(113)에 닿는 시점부터는, 드라이빙 로드(130)의 가압판(131)이 제1 바디(110)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제1 바디(110)는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제1 압축 스프링(140)을 압축하면서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하여 전진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결속 링(160)은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을 조이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혹시 체결구(10)가 비뚤어져 튕겨 나가려 해도 탄성 파지편(128)에 지탱력을 제공하여 체결구(10)가 튕겨 나가려는 힘을 감당하게 되며, 그에 따라 탄성 파지편(128)이 파손되거나 그로 인해 체결구(10)가 밖으로 튕겨나가지 못하게 막는다.
(실시예 2)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에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의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에는 도 2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200)는, 제1 실시예에 비해 가압튜브(235)를 구비하고, 제2 압축스프링(250)을 상기 가압튜브(235)와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후단 내벽 사이에 설치한 구성이 다르다. 이러한 가압튜브(235)의 사용에 의해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삽입하여 세팅할 때, 제1 바디(210)나 제2 바디(120)를 앞으로 밀거나 잡고 있지 않아도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수용홈(226) 안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의 참조부호에 100을 더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20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바디(210)에는 제1, 2 챔버(211, 212) 및 격벽(213)이 형성되고, 제2 바디(220)는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는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 전방 관통공(215)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한다. 제2 바디(220)의 헤드부(222)는 입구부(224), 수용홈(226), 그리고 방사상의 절개부(2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229)이 형성되고, 환형 홈(2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260)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챔버(211) 내에서, 제2 바디(220)의 플랜지(221a)와 격벽(213) 사이에는 제1 압축스프링(24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튜브(235)는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에서부터 제2 바디(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가압 튜브(235)는 제1 바디(210)의 격벽(213)에 형성된 중앙 관통공(214a)과 제2 바디(220)의 중앙 관통공(223a) 및 통로(225)를 차례로 관통한 후 선단부가 입구부(224)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다.
또한, 가압 튜브(235)의 후단에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되고, 이의 플랜지부(236)가 제2 챔버(212)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플랜지부(236)와 제2 챔버(212)의 후단 내벽 사이에 제2 압축스프링(250)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2 압축스프링(250)은 가압 튜브(235)는 전방으로 밀고 제1 바디(210)는 후방으로 미는 탄성 가압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드라이빙 로드(230)는 고정쇠(231)에 의해 제1 바디(210)와 단일체로 결합된다. 고정쇠(2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나 스냅링 형태일 수 있고, 또는 핀이나 스크루를 박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 실시예의 공구용 연결구(200)는, 드라이빙 로드(230)를 전동공구의 척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2 바디(210, 220)를 앞으로 밀지 않더라도,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 안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20)의 헤드부(222)의 입구부(224)에 소정량 돌출되어 있는 가압 튜브(235)의 선단부에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대고 단순히 밀어 넣으면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수용홈(226) 안으로 쉽게 들어간다. 따라서,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수용홈(226) 안으로 밀어넣기 위해 제1, 2 바디(210, 220)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지므로 체결구(10)의 삽입이 매우 편리해진다. 즉, 체결구(10)의 삽입을 위해 전동공구를 작업자의 복부나 가슴부위에 대거나 탁자 등의 바닥에 지지할 필요도 없고, 드라이빙 로드(130)를 손바닥과 새끼손가락을 이용하여 움켜쥔 다음 다시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제1 바디(210)나 제2 바디(220)를 선단 쪽으로 미는 동작을 할 필요고 없이, 단순히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수용홈(226) 안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가압 튜브(235)를 밀어 제2 압축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드라이빙 로드(230)가 전동공구의 스핀들에 장착되어 움직일 수 없어 제1, 2 바디(210, 220)를 전방으로 밀어서 체결구(10)의 머리부(11) 삽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경우, 드라이브 로드(230)와 제1, 2 바디(210, 220) 사이에 슬리브(235)를 설치하는 한편 슬리브(235)를 제2 압축스프링(250)으로 제1 바디(210)에 지지하는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체결구(10)를 수용홈(226) 안으로 단순히 밀어넣더라도 슬리브(235)가 후퇴되면서 쉽게 삽입되고, 삽입 이후에는 슬리브(235)가 제2 압축 스프링(25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눌러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2c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수용홈(226) 안으로 들어간 세팅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체결구(10)의 머리부(11)는 가압 튜브(235)를 후방으로, 즉,수용홈(226) 쪽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탄성 파지편(228)을 약간 벌리면서 수용홈(226)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수용홈(226)으로 들어오면, 가압 튜브(235)가 후방으로 밀려 제2 압축스프링(250)이 압축된다. 체결구(10)의 세팅이 끝나면, 제2 압축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 튜브(235)가 전방으로 밀려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여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으로 밀착시키게 되며, 그것에 의해 체결구(10)는 흔들림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실시예 3)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에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에는 도 3b에서의 비틀림 스프링의 설치구조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d에는 도 3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제2 압축 스프링(250) 지지방식을 대신하여 토션 스프링(350) 지지방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튜브(235)의 후단 플랜지부(236)에는 걸림턱(3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의 내부에는 축(352) 상에 토션 스프링(350)이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350)의 일단부(351a)는 격벽(213)에 지지되고 타단부(351b)는 걸림턱(337)의 내측으로 들어와 플랜지부(236)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연결구(30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수용홈(226) 안으로 넣어 세팅하면, 가압 튜브(235)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걸림턱(337)이 토션 스프링(350)의 타단부(351b)를 밀게 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35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 튜브(235)의 선단부가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전방으로 밀어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으로 밀착시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00)도, 드라이빙 로드(230)를 전동공구의 척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2 바디(210, 220)를 앞으로 밀지 않더라도,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 안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슬리브(235)가 후퇴되면서 쉽게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삽입 이후에는 슬리브(235)가 제2 압축 스프링(25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눌러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4)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4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a에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의 드라이빙 로드 고정부를 보여주는 주요부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에서 드라이빙 로드(430)를 제1 바디(210)에 고정쇠(231)(도 2a 및 도 2b 참조)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드라이빙 로드(430)를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하고, 고정 너트(480)를 통해 제1 바디(210)의 후단부에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빙 로드(430)를 교체하거나 축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로드(430)는 제1 바디(210)의 중앙 관통공(214) 및 가압 튜브(235)의 중앙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1 바디(210)의 후단에는 연장부(210a)를 형성하고, 연장부(210a)의 외주에 테이퍼 나사부(470)를 형성하며, 연장부(210a)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절취홈(471)을 형성하여 복수의 탄성 물림편(47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 나사부(47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너트(480)를 구비하여, 고정 너트(480)를 체결하면 탄성 풀림편(472)이 드라이빙 로드(430)를 조여 고정하며, 고정 너트(480)를 이완시키면 드라이빙 로드(430)를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체결구의 특성에 따라 드라이빙 로드(430)의 삽입길이를 조절하거나 다른 형태의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500)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에서 제2 바디에 체결구의 머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에서 작업면에 체결구를 소정 깊이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500)는, 전술한 제1, 2, 3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100, 200, 300)에 외부 하우징(510, 520)을 구비하고, 이 외부 하우징(510, 520)이 체결구(10)의 체결이 진행되는 동안 제2 바디(120)(220)의 외부에서 보호장벽을 치면서 작업면(W)에 밀착되도록 하여 체결구(10)가 튕겨나가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외부 하우징(510, 520) 내부에 설치된 제1, 2, 3 실시예의 연결구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100)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200, 300)도 동일한 방법과 구조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500)에 있어서, 제1 외부 하우징(510)의 후방 내부에는 제1 바디(110)가 삽입되어 고정쇠(511)에 의해 단일체로 결합된다. 고정쇠(5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을 박아 고정한 형태일 수 있고, 와셔, 스냅링, 또는 스크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외부 하우징(510)의 선단(전방) 부분에는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후단부가 상기 제1 외부 하우징(510)과 상기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제2 외부 하우징(520)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공간, 즉, 제1, 2 바디(110, 120)의 외주와 제1 외부 하우징(510)의 내주 사이에는 제3 챔버(513)가 형성된다.
제3 챔버(513)에는 제3 압축스프링(530)이 설치되어, 그것의 일단부는 제3 챔버(513)의 후단 내벽에 지지되고, 그것의 타단부는 제3 챔버(513)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후단 플랜지부(521)에 지지 된다.
제2 외부 하우징(520)의 선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2 바디(120)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개부(522)는, 체결구(10) 삽입 과정이나 체결 과정에서 상기 탄성 파지편(1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탄성 파지편(1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함으로써, 혹시 탄성 파지편(128)으로부터 튕겨져 나올지 모르는 체결구(10)를 가두어 둔다.
체결구(10)를 탄성 파지편(128)에 삽입하는 과정은 제1, 2, 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빙 로드(130)를 전동공구의 척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 외부 하우징(510)을 전방으로(굵은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제1 외부 하우징(5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1 바디(1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제2 압축스프링(150)이 압축된다.
이어서, 제2 외부 하우징(520)의 선단부를 후방으로 눌러 제3 압축스프링(530)을 압축시켜 제2 바디(120)의 탄성 파지편(128)이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확개부(522)로 나오도록 하면서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수용홈(126) 안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탄성 파지편(128)이 확개부(522)에 의해 주어진 여유공간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된다.
체결구(10)의 세팅이 완료되면, 제2 압축스프링(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외부 하우징(510) 및 제1 바디(110)는 후방으로(굵은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드라이빙 로드(13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드라이빙 로드(130)의 선단이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수용홈(126)의 전단 내벽으로 탄성 가압하여 체결구(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500)를 작업면(W)에 대면, 먼저 제2 외부 하우징(520)의 선단부가 작업면(W)에 접촉한다.
이어서, 드라이빙 로드(130)를 작업면으로 밀면서 체결을 시작하면,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제2 바디(120)를 전방으로 밀어 탄성 파지편(128)을 작업면(W)으로 밀어붙이고, 이어서 탄성 파지편(128)을 외향 확장시키면서 통로(125)를 빠져나가게 된다.
체결구(10)가 작업면(W)에 좀 더 박혀 드라이빙 로드(130)의 가압판(131)이 격벽(113)에 접촉한 이후부터는 체결구(10)의 전진에 대응하여 제1 외부 하우징(510)이 제2 하우징(520)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체결이 더 진행된다.
체결의 시작부터 완료에 이르기까지, 제2 외부 하우징(520)은 작업면(W)에 밀착하여 제2 바디(120)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부를 둘러싸며, 그에 따라 혹시 체결구(10)가 탄성 파지편(128)을 파괴하고 튕겨져 나오더라도 이를 확개부(522) 안에 담아두게 되어 체결구(10)가 외부로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6)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6a에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a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c에는 도 6b의 선단부에 체결구의 머리부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는, 못을 박기 위한 타정용 연결구 형태로 변형한 하나의 예로서, 드라이빙 로드(630)가 타정용 로드로 변화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600)는,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610)와 헤드부(620)로 이루어지고, 몸통부(610)와 헤드부(620)의 중앙으로 드라이빙 로드(630)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한다.
몸통부(610)의 내부에는 공간부인 챔버(611)가 형성되고, 챔버(611)의 내부에서 드라이빙 로드(630)에는 가압판(633)이 설치되며, 가압판(633)과 챔버(611)의 후단 내벽 사이에 압축 스프링(640)이 설치된다. 압축 스프링(640)은 드라이빙 로드(630)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고, 동시에 몸통부(610)를 후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한다.
헤드부(620)는,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입구부(224)와, 통로(625) 및 수용홈(626)이 형성되는 한편, 방사상의 절개부(6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탄성 파지편(628)이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탄성 파지편(6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629)이 형성되고, 환형 홈(6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66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빙 로드(630)는, 타정용, 즉, 못을 박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에는 타정단부(63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타격 머리부(6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드라이빙 로드(630)는, 몸통부(610)의 중앙 관통공(614)을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고, 그것의 타정단부(631)는 탄성 파지편(628)의 통로(625)를 관통하여 입구부(624)로 단부가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구(600)를 사용하여 못과 같은 체결구(20)를 작업면(W)에 타격하여 박기에 앞서, 한 손(예; 왼손)의 손바닥 부분과 새끼 손가락을 이용하여 드라이빙 로드(630) 부분을 움켜쥐고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몸통부(610)나 헤드부(620)를 잡고 선단 쪽(도 6c에서 위쪽)으로 밀면, 압축스프링(640)을 압축시키면서 몸통부(610) 및 헤드부(62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드라이빙 로드(630)의 타정단부(631)가 수용홈(626) 안으로 들어와 앞 부분에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진입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이어서, 체결구(20)의 머리부(21)를 탄성 파지편(628)의 입구부(624)로 집어넣으면, 머리부(21)에 의해 복수의 탄성 파지편(628)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머리부(21)가 수용홈(626)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수용홈(626) 안으로 들어가면, 벌어졌던 복수의 탄성 파지편(628)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오므려져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전방으로 당기고 있던 몸통부(610) 또는 헤드부(620)를 놓으면, 압축스프링(640)이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는 것에 의해, 몸통부(610) 및 헤드부(620)는 후방으로 당겨지고, 그와 함께 가압판(633)은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드라이빙 로드(630)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타정단부(631)가 체결구(20)의 머리부(21)에 밀착하여 세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세팅 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640)의 팽창력이 계속하여 작용함으로써, 드라이빙 로드(630)가 체결구(20)의 머리부(21)를 계속하여 탄성 가압함으로써, 체결구(20)의 머리부(21)는 수용홈(626)의 전단 내면에 밀착하게 되며, 그 가압되는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체결구(2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세팅을 완료한 다음에는 드라이빙 로드(630)의 타격 머리부(632)를 망치나 타정공구를 사용하여 작업면(W)에 타정하여 체결하면 된다.
체결구(20)의 타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결속 링(660)은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탄성 파지편(628)을 조이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혹시 체결구(20)가 비뚤어져 튕겨 나가려 해도 탄성 파지편(628)에 지탱력을 제공하여 체결구(20)가 튕겨나가려는 힘을 감당하게 되며, 그에 따라 탄성 파지편(628)이 파손되거나 그로 인해 체결구(20)가 밖으로 튕겨나가는 현상을 방지한다.
(실시예 7)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구(7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700)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의 변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700)는,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711)와 제2 챔버(712)가 격벽(7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710)와;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721)와 헤드부(7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721)가 상기 제1 바디(710)의 제1 챔버(7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722)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으로 이루어지고, 헤드부(722)의 중앙에는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724), 통로(725) 및 수용홈(7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720)와; 상기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730)와; 상기 제1 챔버(7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720)의 몸통부(721) 후단과 격벽(713) 사이에 설치되어, 제2 바디(720)를 선단부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7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챔버(712)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730)에는 가압판(733)이 구비되고, 가압판(733)과 제2 챔버(7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7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750)에 의해 드라이빙 로드(730)를 선단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빙 로드(730)의 선단이 상기 제2 바디(720)의 수용홈(7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20)(도 6c 참조)의 머리부(21)를 항상 탄성가압하여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항상 상기 수용홈(7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세팅상태에서나 체결 동작시에서나 체결구(20)가 흔들리거나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직진하여 정확히 체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 바디(710)에 대한 제2 바디(720)의 미끄럼 결합 관계에 있어서, 제1 바디(710)의 제1 챔버(711) 선단측의 전방 관통공(715)에 제2 바디(720)의 몸통부(721)가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통과한다.
제2 바디(720)의 후단에는 플랜지(721a)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721a)가 제1 챔버(711)에 수용된 채 제1 압축스프링(740)을 지지하며, 제1 압축스프링(74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바디(710)는 항상 제2 바디(7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즉, 선단부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축 중심에는 중앙 관통공(714, 723)이 각각 형성되어, 해당 중앙 관통공(714, 723)에 드라이빙 로드(730)가 미끄럼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드라이빙 로드(730)에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가압판(731)과 제2 챔버(712) 후단 내벽 사이에 제2 압축 스프링(75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빙 로드(730)는 전방으로, 제1 바디(710)는 후방으로 미는 힘을 항상 받고 있는 상태가 된다.
제2 바디(720)의 헤드부(722)는, 방사상의 절개부(727)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개된 탄성 파지편(728)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722)의 중앙에는,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용이하게 진입하고 탄성 파지편(728)이 외측으로 잘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 선단부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입구부(124)가 형성되고, 입구부(724)의 소경부에 통로(725)가 형성되며, 통로(725)의 후방 내측에 넓은 공간의 수용홈(726)이 형성된다.
한편, 제2 바디(720)의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729)이 형성되고, 환형 홈(7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760)이 설치된다.
결속 링(760)은, 탄성에 의해 탄성 파지편(728)을 조여줌으로써, 체결구(20)가 흔들리는 것을 좀 더 확실하게 방지하고, 특히 체결 시 행여나 체결구(20)가 비뚤어져서 튕겨나가는 경우, 그 튕겨 나가는 힘에 의해 탄성 파지편(728)을 깨뜨리고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체결구(20)를 분실하거나 작업자나 주변 사람을 다치게 하는 일을 방지하여 좀 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구(20)의 머리부(21)를 수용홈(726)에 삽입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100)에서 체결구(10)의 머리부(11)를 삽입하는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작업면(W)에 체결하는 과정은 제6 실시예에서의 체결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8)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구(8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800)는, 전술한 제6, 7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 700)에 외부 하우징(810, 820)을 구비하고, 이 외부 하우징(810, 820)이 체결구(20)의 체결이 진행되는 동안 제2 바디(720)의 외부에서 보호장벽을 치면서 작업면(W)에 밀착되도록 하여 체결구(20)가 튕겨나가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에서는 외부 하우징(810, 820) 내부에 제7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700)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도 동일한 방법과 구조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800)에 있어서, 제1 외부 하우징(810)의 후방 내부에는 제1 바디(710)가 삽입되어 고정쇠(811)에 의해 단일체로 결합된다. 고정쇠(8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을 박아 고정한 형태일 수 있고, 와셔, 스냅링, 또는 스크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외부 하우징(810)의 선단(전방) 부분에는 제2 외부 하우징(820)의 후단부가 상기 제1 외부 하우징(810)과 상기 제1 바디(710) 및 제2 바디(720)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제2 외부 하우징(820)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공간, 즉, 제1, 2 바디(710, 720)의 외주와 제1 외부 하우징(810)의 내주 사이에는 제3 챔버(812)가 형성된다.
제3 챔버(812)에는 제3 압축스프링(830)이 설치되어, 그것의 일단부는 제3 챔버(812)의 후단 내벽에 지지되고, 그것의 타단부는 제3 챔버(812)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외부 하우징(820)의 후단 플랜지부(821)에 지지 된다.
제2 외부 하우징(820)의 선단부 내측에는 상기 제2 바디(720)의 탄성 파지편(728)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8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개부(822)는, 체결구(20) 삽입 과정이나 체결 과정에서 상기 탄성 파지편(7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탄성 파지편(7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함으로써, 혹시 탄성 파지편(728)으로부터 튕겨져 나올지 모르는 체결구(20)를 가두어 둔다.
체결구(20)를 탄성 파지편(728)에 삽입하는 과정은 제6, 7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제1, 2 외부 하우징(810, 820)의 동작 및 작용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500)와 동일하다. 즉, 체결의 시작부터 완료에 이르기까지, 제2 외부 하우징(820)은 작업면(W)에 밀착하여 제2 바디(720)의 탄성 파지편(728)의 외부를 둘러싸며, 그에 따라 혹시 체결구(20)가 탄성 파지편(728)을 파괴하고 튕겨져 나오더라도 이를 확개부(822) 안에 담아두게 되어 체결구(20)가 외부로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9)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구(900)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9a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 9a에서 외부 하우징을 벽체에 밀착하여 체결구를 체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900)는, 전술한 제6, 7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 700)에 외부 하우징(910)을 구비하고, 이 외부 하우징(910)이 체결구(20)의 체결이 진행되는 동안 제2 바디(720)의 외부에서 보호장벽을 치면서 작업면(W)에 밀착되도록 하여 체결구(20)가 튕겨나가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 하우징(910)에 권총 손잡이와 같은 손잡이(920)를 구비하여 체결구(20) 타정을 안전하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에서는 외부 하우징(910) 내부에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제7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700)도 동일한 방법과 구조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900)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910)의 내부 삽입공(911)에는 제6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600, 70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외부 하우징(910)의 선단부 내측에는 상기 연결구(600, 700)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9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개부(912)는, 체결구(20) 삽입 과정이나 체결 과정에서 상기 탄성 파지편(628, 7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탄성 파지편(628, 7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함으로써, 혹시 탄성 파지편(628, 728)으로부터 튕겨져 나올지 모르는 체결구(20)를 가두어 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공구용 연결구(900)는, 연결구(600, 700)에 먼저 체결구(20)를 세팅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910)에 삽입한 후, 손잡이(920)를 잡고 타정하면 된다.
체결구(20)의 머리부(21)를 탄성 파지편(628, 728)에 삽입하는 과정은 제6, 7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으로 제1 챔버(111)와 제2 챔버(112)가 중간의 격벽(1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1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121)와 헤드부(1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121)가 상기 제1 바디(110)의 제1 챔버(1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1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이 형성되며, 헤드부(1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124), 통로(125) 및 수용홈(1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120);
상기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중앙을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130); 및
상기 제1 챔버(1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120)의 몸통부(121) 후단과 격벽(1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1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1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1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112)의 내부에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에는 드라이빙 로드(130)의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1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가압판(131)이 고정되고, 가압판(131)과 제2 챔버(1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150)에 의해 드라이빙 로드(13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1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를 드라이빙 로드(130)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120)의 수용홈(1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드라이빙 로드(130)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1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120)의 복수의 탄성 파지편(1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129)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1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160)이 설치되어, 상기 결속 링(16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탄성 파지편(128)들이 함께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가 격벽(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2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가 상기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2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되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224), 통로(225) 및 수용홈(2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220);
후단부에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2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됨과 함께, 제1 바디(210)의 격벽(213)으로부터 제2 바디(2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를 통해 입구부(224)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가압 튜브(235);
상기 제1 바디(210)와 가압 튜브(235)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고 후단부가 고정쇠(231)에 의해 제1 바디(210)에 단일체로 결합되는 드라이빙 로드(230); 및
상기 제1 챔버(2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몸통부(221) 후단과 격벽(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2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212)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 튜브(235)의 플랜지부(236)와 제2 챔버(2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2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250)에 의해 가압 튜브(235)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210)가 제2 바디(220)를 가압 튜브(2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가압 튜브(235)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가 격벽(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2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가 상기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2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되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224), 통로(225) 및 수용홈(2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220);
후단부에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2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됨과 함께, 제1 바디(210)의 격벽(213)으로부터 제2 바디(2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를 통해 입구부(224)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플랜지부(236)에는 걸림턱(337)이 형성되는 가압 튜브(235);
상기 제1 바디(210)와 가압 튜브(235)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고 후단부가 고정쇠(231)에 의해 제1 바디(210)에 단일체로 결합되는 드라이빙 로드(230); 및
상기 제1 챔버(2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몸통부(221) 후단과 격벽(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2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의 내부에는 축(352) 상에 토션 스프링(350)이 설치되고, 토션 스프링(350)의 일단부(351a)는 격벽(213)에 지지되고 타단부(351b)는 걸림턱(337)의 내측으로 들어와 플랜지부(236)에 지지되어, 토션 스프링(350)에 의해 가압 튜브(235)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210)가 제2 바디(220)를 가압 튜브(2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가압 튜브(235)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211)와 제2 챔버(212)가 격벽(213)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연장부(210a)가 형성되고, 연장부(210a)의 외주에 테이퍼 나사부(470)가 형성되며, 연장부(210a)가 방사상의 복수의 절취홈(471)에 의해 복수의 탄성 물림편(472)으로 형성되는 제1 바디(2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221)와 헤드부(2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221)가 상기 제1 바디(210)의 제1 챔버(2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2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이 형성되며, 헤드부(222)의 중앙에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224), 통로(225) 및 수용홈(2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220);
후단부에 상기 제1 바디(210)의 제2 챔버(212) 내부에 삽입되어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2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플랜지부(236)가 형성됨과 함께, 제1 바디(210)의 격벽(213)으로부터 제2 바디(220)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선단부가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의 통로(225)를 통해 입구부(224)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플랜지부(236)에는 걸림턱(337)이 형성되는 가압 튜브(235);
상기 제1 바디(210)와 가압 튜브(235)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는 드라이빙 로드(430);
상기 제1 바디(210)의 테이퍼 나사부(470)에 나사결합되어 테이퍼 나사부(470)를 조이거나 풀어 드라이빙 로드(430)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고정 너트(480); 및
상기 제1 챔버(2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몸통부(221) 후단과 격벽(2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2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212)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 튜브(235)와 제2 챔버(2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2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250)에 의해 가압 튜브(235)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2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210)가 제2 바디(220)를 가압 튜브(235)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220)의 수용홈(2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10)의 머리부(11)가 상기 가압 튜브(235)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2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220)의 복수의 탄성 파지편(2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229)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홈(2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260)이 설치되어, 상기 결속 링(26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탄성 파지편(228)들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바디의 외부에 제1 외부 하우징(510)이 설치되고, 제1 외부 하우징(510)의 후방 내측에 제1 바디가 삽입되어 고정쇠(511)에 의해 단일체로 결합되고,
제1 외부 하우징(510)의 전방으로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후단부가 제1, 2 바디와 제1 외부 하우징(510)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제1 외부 하우징(510)과 제1 바디 사이에 제2 외부 하우징(520)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3 챔버(513)에는 제3 압축스프링(530)이 설치되고, 제3 압축스프링(530)의 일단부는 제3 챔버(513)의 후단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3 챔버(513)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외부 하우징(520)의 후단에 지지되며,
제2 외부 하우징(520)의 선단부 내측에는, 제2 바디의 탄성 파지편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522)가 형성되어, 탄성 파지편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탄성 파지편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삭제
- 삭제
- 내부에 축방향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으로 제1 챔버(711)와 제2 챔버(712)가 격벽(713)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바디(710);
탄성 신축성 소재의 몸통부(721)와 헤드부(7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몸통부(721)가 상기 제1 바디(710)의 제1 챔버(711)의 선단측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722)에는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이 형성되며, 헤드부(722)의 중앙에는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진입하고 걸리기 위한 입구부(724), 통로(725) 및 수용홈(726)이 형성되는 제2 바디(720);
상기 제1 바디(710)와 제2 바디(720)의 중앙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체결구(20) 타정용 드라이빙 로드(730);
상기 제1 챔버(711)의 내부에서, 상기 제2 바디(720)의 몸통부(721) 후단과 격벽(713)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디(7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제2 바디(72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 압축스프링(740)을 포함하고,
제2 챔버(712)의 내부에서, 상기 드라이빙 로드(730)에는 드라이빙 로드(730)의 축방향 움직임이 제2 챔버(712)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가압판(733)이 고정되고, 가압판(733)과 제2 챔버(712)의 후단 내벽 사이에는 제2 압축스프링(750)이 설치되어, 상기 제2 압축스프링(750)에 의해 드라이빙 로드(730)는 선단측으로 탄성가압되고 제1 바디(710)는 후단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제1 바디(710)가 제2 바디(720)를 드라이빙 로드(730)에 대하여 후단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2 바디(720)의 수용홈(726)에 들어와 있는 체결구(20)의 머리부(21)가 상기 드라이빙 로드(730)의 선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려 수용홈(726)의 선단 내벽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파지편(728)의 외측 둘레에는 환형 홈(729)이 형성되고,
환형 홈(729)에는 탄성신축성 결속 링(760)이 설치되어, 상기 결속 링(76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탄성 파지편(728)들이 함께 조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바디(710)의 외부에 제1 외부 하우징(810)이 설치되고, 제1 외부 하우징(810)의 후방 내측에 제1 바디(710)가 삽입되어 고정쇠(811)에 의해 단일체로 결합되고,
제1 외부 하우징(810)의 전방으로 제2 외부 하우징(820)의 후단부가 제1, 2 바디(710, 720)와 제1 외부 하우징(810)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제1 외부 하우징(810)과 제1 바디(710) 사이에 제2 외부 하우징(820)의 미끄럼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3 챔버(812)에는 제3 압축스프링(830)이 설치되고, 제3 압축스프링(830)의 일단부는 제3 챔버(812)의 후단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3 챔버(812)에 삽입되어 있는 제2 외부 하우징(820)의 후단에 지지되며,
제2 외부 하우징(820)의 선단부 내측에는, 탄성 파지편(728)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822)가 형성되어, 탄성 파지편(7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탄성 파지편(7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 제10항에 있어서,
중앙에 내부 삽입공(9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 바디(710, 72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 하우징(91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910)의 선단부 내측에는 탄성 지지편(728)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확장되는 확개부(912)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편(728)이 벌어지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함과 함께 탄성 지지편(728)의 외부에 차단 장막을 형성하며,
외부 하우징(910)에는 권총 손잡이(9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용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1225A KR101441878B1 (ko) | 2012-10-08 | 2012-10-08 | 공구용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1225A KR101441878B1 (ko) | 2012-10-08 | 2012-10-08 | 공구용 연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5103A KR20140045103A (ko) | 2014-04-16 |
KR101441878B1 true KR101441878B1 (ko) | 2014-09-19 |
Family
ID=5065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1225A KR101441878B1 (ko) | 2012-10-08 | 2012-10-08 | 공구용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18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7051B1 (ko) * | 2016-09-02 | 2017-01-16 | 이정호 | 스터드형 체결구의 홀더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타격건 |
KR102278237B1 (ko) * | 2020-03-04 | 2021-07-16 |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7937B1 (ko) * | 2014-10-01 | 2015-07-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안테나 |
KR102147723B1 (ko) * | 2020-04-07 | 2020-08-25 | 주식회사 오셔너트코리아 | 바다숲 조성을 위한 종사줄 고정용 임팩트 렌치 연결구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53714A (ja) * | 2000-06-15 | 2001-12-25 | Yasuyuki Suzuki | 穿孔拡開工具 |
KR20120000801A (ko) * | 2010-06-28 | 2012-01-04 | 최덕춘 | 공구용 중간 연결구 |
-
2012
- 2012-10-08 KR KR1020120111225A patent/KR1014418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53714A (ja) * | 2000-06-15 | 2001-12-25 | Yasuyuki Suzuki | 穿孔拡開工具 |
KR20120000801A (ko) * | 2010-06-28 | 2012-01-04 | 최덕춘 | 공구용 중간 연결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7051B1 (ko) * | 2016-09-02 | 2017-01-16 | 이정호 | 스터드형 체결구의 홀더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타격건 |
KR102278237B1 (ko) * | 2020-03-04 | 2021-07-16 |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5103A (ko) | 2014-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1878B1 (ko) | 공구용 연결구 | |
US5649661A (en) | Equipment for nailing machine | |
KR0140043B1 (ko) | 해머 타격식 화약 작동 못질 공구 | |
US4025029A (en) | Hammer-activated powder-actuated fastening tool | |
US8308168B2 (en) | Quick change tool bit holder | |
US4858811A (en) | Power actuated tool with magazine feed | |
US20060254394A1 (en) | Fastener driver | |
CA2618359C (en) | Adjustable tool extender | |
KR100806010B1 (ko) | 부품 고정구 및 정타기 | |
US4519536A (en) | Apparatus for driving nails using an impact hammer | |
US6951153B2 (en) | Nail guiding and driving tool | |
JP2006007323A (ja) | ブラインドボルト設置工具 | |
US20060272140A1 (en) | Positioning pin removing tool for vehicles | |
US20150071721A1 (en) | Arbor assembly for use with a cutting device, such as a cutter or hole saw | |
US8118203B2 (en) | Hammer-drive powder-actuated tool | |
EP2277668A2 (en) | Manual staple gun | |
KR20130064452A (ko) | 휴대용 망치 | |
KR101456139B1 (ko) | 스터드형 체결구의 홀더장치 | |
US6381788B2 (en) | Nailing tool capable of initially starting a connecting member with a tip | |
KR200452761Y1 (ko) | 휴대용 파이프 확관기 | |
TWI630990B (zh) | 具有可卸除工件接觸單元之緊固工具 | |
GB2411373A (en) | Fastner retaining device | |
TWM546889U (zh) | 火藥釘擊釘器 | |
US20080156151A1 (en) | Stepless telescopic hand tool | |
KR200381725Y1 (ko) | 다용도 펜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