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237B1 -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237B1
KR102278237B1 KR1020200026968A KR20200026968A KR102278237B1 KR 102278237 B1 KR102278237 B1 KR 102278237B1 KR 1020200026968 A KR1020200026968 A KR 1020200026968A KR 20200026968 A KR20200026968 A KR 20200026968A KR 102278237 B1 KR102278237 B1 KR 10227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it
spring
anchor bolt
cylindrical
bol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운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김철현
전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김철현, 전동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20002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237B1/ko
Priority to PCT/KR2020/017910 priority patent/WO2021177558A1/ko
Priority to EP20922758.6A priority patent/EP4116052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237B1/ko
Priority to US17/457,223 priority patent/US1191919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23B45/005Flexibl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7Jigs for drilling plate-like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18Drills for enlarging a hole
    • B23B51/0027Drills for enlarging a hole by tool swi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05Attachments or adapters placed between tool and ham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milling, e.g. channelling by means of milling tools
    • B28D1/183Hand tools, e.g. portable, moto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8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6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31Use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371Use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설치용 패널면에 바닥쪽이 입구보다 넓은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를 만드는 타공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는 작업 중 해머드릴의 운동방향을 상하방향과 경사방향으로 분리하여 타공 작업을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머드릴의 이동범위를 조정하는 탄성장치인 용수철을 이중으로 배열하여 앵커볼트 삽입구의 바닥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단면지름을 크게 만들기 위해 벽을 깎아내는 각도와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Hole Punching Device for Anchor Bolt Insertion}
본 발명은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설치용 패널면에 바닥쪽이 입구보다 넓은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를 만드는 타공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골조로 지어진 건물에서 벽체를 마감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콘크리트 외벽에 건축용 외장재를 덧대기도 하는데, 덧대는 외장재로는 석재와 함께 세라믹 패널을 주로 사용하며 세라믹 패널은 화강석이나 대리석을 잘게 부수어 시멘트, 칠감 등을 혼합하여 굳게 만든 인조대리석의 일종이다. 이러한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외벽에 설치하는 패널에 앵커볼트가 노출된 형태로 고정해야 한다.
패널에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패널에 바닥부 지름이 입구보다 긴 앵커볼트 삽입구을 타공하고, 상기 앵커볼트 삽입구에 머리부의 지름이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앵커볼트를 삽입한 뒤 상기 앵커볼트 머리부의 지름이 짧은 부위에 위치한 슬리브를 상기 머리부의 지름이 증가하는 단부쪽으로 이동시켜 앵커볼트 삽입구의 안쪽 내벽과 접촉시킨다. 상기 슬리브의 접촉으로 앵커볼트는 앵커볼트 삽입구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앵커볼트는 나사부와 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나사부로부터 단부방향으로 단면의 지름이 증가하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앵커볼트 슬리브는 앵커볼트가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격 등 외력을 통해 상기 머리부의 경사면을 타고 확장되면서 상기 앵커볼트와 구멍 사이 공간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지름이 증가하는 앵커볼트 머리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입구보다 바닥부에 인접한 부분의 단면 지름이 큰 앵커볼트 삽입구을 패널면에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형상의 구멍을 만들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41414호는 해머드릴에 고정된 타공용 드릴비트가 통과하면서 상하 운동 및 부분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를 구비하여 수작업으로도 타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타공장치는 타공위치에서 타공 중에 타공장치를 고정하는 어댑터의 탄성지지유닛을 중심으로 작업자가 임의의 각도로 해머드릴을 기울이기 때문에, 앵커볼트 삽입구의 바닥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단면지름을 크게 만들기 위해 벽을 깎아내는 각도와 크기가 작업자별로 달라지는 문제가 생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1414호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공장치의 해머드릴이 미리 정한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도록 해머드릴 고정부와 어댑터 구조를 개선한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로: 상기 타공장치는, 드릴비트(drill bit)가 노출되도록 부착한 해머 드릴(hammer drill); 및 상기 해머드릴 하부에서 상기 노출된 드릴비트가 통과하도록 접하며, 상기 드릴비트가 미리 정한 공간에서 상하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해머드릴과 연결되는 해머드릴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해머드릴 어댑터는 상하 이단 원통형상으로, 상단 원통부 측면에 상기 해머드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해머드릴의 고정홀과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원통부보다 지름이 좁은 하단 원통부는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몸체; 상부에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수나사산을 상부 외면에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산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이격된 외면에 중간 돌출부를 구비하며, 내부를 관통하는 드릴비트를 고정하는 원기둥 형상의 드릴비트 고정부; 상면은 중앙에 고리형 돌기부가 형성된 구형이고, 측면은 단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수직벽면이며, 하면은 상기 수직벽면 바닥부에 접하는 탈착식 원형 평면으로, 상기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이 만드는 내부 공간에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가 위치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을 이루는 원형평면의 상기 내부공간을 향한 상면에는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를 탄성 지탱하는 제1 용수철이 위치하고 상기 용수철을 둘러싸되 상기 제1 용수철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의 하강 걸림부가 형성된, 경사구동부; 및 상측 내면은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이 걸리도록 미리 정한 크기의 개구를 구비하며, 측부 내면은 상기 경사구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원통형이고, 상기 원통형 벽면 바닥부는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크기로 확장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경사진 원통형으로 그 내부에 용수철을 지지하는 내부고리형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고리형 지지부 상부에는 제2 용수철이 놓여서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가 만드는 경사이동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구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 및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 안쪽에 위치하여 그 내부로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을 미리 정한 지점에서 정지시키는 경사구동부 지지원통과 상기 경사구동부 지지원통이 상기 원통형 지지부 내부에서 상하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심을 유지시켜주는 경사 베어링을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고정하는 하면 조립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는 상기 제2 용수철의 탄성 압축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보다 큰 값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경사이동 공간에는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는 분진을 막도록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를 덮어주는 평면 고무링, 및 상기 평면 고무링 상면에 놓여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이 상하 이동할 때 상기 평면 고무링에 압력을 가하는 제3 용수철이 위치하는,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상단 원통부는 상기 원통부 공간에서 외부로 분진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형성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원통형 지지부는 상기 경사이동 공간에서 외부로 분진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형성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단 제1몸체의 암나사산과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수나사산이 나사결합할 때, 상기 제1 몸체의 암나사산부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수나나산부를 관통하는 고정키 핀이 결합되도록 상기 암나사산부와 상기 수나사산부에 각각 고정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키홈의 고정키를 둘러싸는 고무링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홈이 형성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원통형 지지부는 바닥면에 인접한 원통형 외부 테두리에 직각 모서리 측정용 직각자의 원호 삽입을 위한 80도 내지 100도 범위의 원호를 따라 직각자 날이 삽입될 수 있는 폭의 홈과, 상기 테두리의 나머지 부분에 용수철을 포함한 탄성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의 홈을 형성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는 작업 중 해머드릴의 운동방향을 상하방향과 경사방향으로 분리하여 타공 작업을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머드릴의 이동범위를 조정하는 탄성장치인 용수철을 이중으로 배열하여 앵커볼트 삽입구의 바닥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단면지름을 크게 만들기 위해 벽을 깎아내는 각도와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해머드릴 어댑터 경사구동부가 제2몸체 내부의 덮개부 원통형 벽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해머드릴 어댑터 경사구동부가 제2몸체 내부의 덮개부 경사이동 공간을 따라 경사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해머드릴 어댑터 경사구동부가 제2몸체 내부의 덮개부 경사이동 공간을 따라 경사방향 타측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제2몸체 원통형 지지부 외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타공위치를 표시하는 직각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에 직각자를 연결하고, 이를 이용하여 타공위치를 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각자가 연결된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로 패널의 타공위치에서 구멍을 뚫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타공장치는, 드릴비트(drill bit, 드릴 날)(500)가 노출되도록 부착한 해머 드릴(hammer drill); 및 상기 해머드릴 하부에서 상기 노출된 드릴비트가 통과하도록 접하며, 상기 드릴비트가 미리 정한 공간에서 상하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해머드릴과 연결되는 해머드릴 어댑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해머드릴(미도시)은 드릴 날이라고도 불리는 드릴비트(500)의 단부(550)가 노출되어 석재 등을 타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단부(550)가 노출되는 드릴비트(500)는 기계식 또는 전동식 해머드릴(미도시)에 고정공(570)을 통해 고정되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해머드릴은 전동식 회전드릴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해머드릴과 연결되는 해머드릴 어댑터는 제1몸체(100), 드릴비트 고정부(150), 경사구동부(200), 및 제2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몸체는 상하 이단 원통형상으로, 상단 원통부 측면에 상기 해머드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해머드릴의 고정홀(미도시)과 체결되는 고정볼트(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원통부보다 지름이 좁은 하단 원통부는 내면에 암나사산(1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150)는 상부에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암나사산(111)과 나사결합하도록 수나사산(151)을 상부 외면에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산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이격된 외면에 중간 돌출부(155)를 구비하며, 내부를 관통하는 드릴비트(500)를 고정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드릴비트(500)를 고정하는 드릴비트 고정부(150)는 상기 제1몸체(100)와 나사결합하여 경사구동부(200)를 관통하며 경사구동부의 제1 용수철(277)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 경사구동부(200)는 상면(220)은 중앙에 고리형 돌기부(210)가 형성된 구형이고, 측면(230)은 단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수직벽면이며, 하면(270)은 상기 수직벽면 바닥부에 접하는 탈착식 원형 평면으로, 상기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이 만드는 내부 공간에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155)가 위치하도록 상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을 이루는 원형평면의 상기 내부공간을 향한 상면에는 상기 고리형 돌기부를 탄성지탱하는 제1 용수철(277)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용수철을 둘러싸되 상기 제1 용수철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중간 돌출부(155)의 하강을 저지하는 하강 걸림부(275)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구동부(200)의 상면(220)과 측면(230)은 하나의 몸체이며 상기 측면(230)과 하면(270)은 체결부재(278)로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경사구동부(200)는 상기 제2몸체 내부에서 경사구동부의 형상으로 제약되는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몸체는 덮개부(250), 원통형 지지부(300); 및 하면 조립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250)에는 덮개부 체결공(253)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 체결공(253)과 접하는 상기 원통형 지지부(300) 상부에는 원통형 지지부 체결공(252)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 체결공(253)과 상기 원통형 지지부 체결공(252)을 체결부재(251)로 서로 체결하여 그 내부에 상기 경사구동부(200)가 움직이는 공간을 만든다. 또한 상기 원통형 지지부(300) 하부에도 체결공(352)이 형성되어 상기 하면 조립부(350)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351)가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면 조립부(350)의 상면에는 경사 베어링(330)을 고정해주는 경사 베어링 고정부(355)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몸체는, 상측 내면(258)은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220)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이 걸리도록 미리 정한 크기의 개구를 구비하며, 측부 내면(256)은 상기 경사구동부 측면(230)과 대향하여 경사구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원통형이고, 상기 원통형 벽면(259) 바닥부는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크기로 확장된 덮개부(250);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경사진 원통형으로 그 내부에 제2 용수철(370)을 지지하는 내부 고리형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고리형 지지부(320) 상부에는 제2 용수철(370)이 놓여서 상기 내부 고리형 지지부(320)와 상기 덮개부(250)가 만드는 경사이동 공간(A)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구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300); 및 상기 내부 고리형 지지부(320) 안쪽에 위치하여 그 내부로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150)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270)을 미리 정한 지점에서 정지시키는 경사구동부 지지원통(310)과 상기 경사구동부 지지원통이 상기 원통형 지지부(300) 내부에서 상하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150)의 중심을 유지시켜주는 경사 베어링(330)을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고정하는 하면 조립부(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용수철(277)의 용수철 상수(탄성계수)는 상기 제2 용수철(370)의 탄성 압축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보다 큰 값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해머드릴 어댑터 경사구동부(200)가 제2몸체 내부의 덮개부(250) 원통형 벽면(B, C 공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경사구동부(200)는 측면(230) 단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수직벽면이므로, 제2몸체 덮개부의 측부 내면(25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경사구동부(200)는, 상측 내면은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220)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이 걸리도록 미리 정한 크기의 개구를 구비한 덮개부(250)와 상면이 접촉하는 지점까지 상방이동이 가능하며, 하방이동은 경사구동부 하면(270)을 미리 정한 지점에서 정지시키는 제2몸체의 경사구동부 지지원통(310)과 접하는 지점까지 가능하다. 상기 하방운동을 할 때 상기 제2 용수철(370)이 탄성 압축되며, 상기 제2 용수철이 압축되는 경우에도 상기 경사구동부 내부의 제1 용수철(277)은 압축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용수철보다 상기 제1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탄성계수)가 크다. 따라서 상기 하방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몸체와 상기 경사구동부 사이의 간격 d는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도 3(a)는 상기 하방이동으로 q 길이만큼 진행한 상태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270)이 경사구동부 지지원통(310)과 접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상기 경사구동부는 상기 제2몸체 덮개부 상측 내면으로부터 B만큼 이격된다. 도 3(b)는 상기 경사구동부가 하방이동으로 P 길이만큼 진행한 상태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270)이 경사구동부 지지원통(310)과 접해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이고, 이때 상기 경사구동부는 상기 제2몸체 덮개부 상측 내면으로부터 C만큼 이격된다. 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앵커볼트 삽입구의 수직 깊이인 P 길이는 15mm일 수 있다. 상기 상하방향 이동은 작업자가 작업 시에 힘을 주어 미는 것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경사이동 공간에는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320)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150)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는 분진을 막도록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를 덮어주도록 내부고리형 지지부 단부 돌출부(325) 위에 접하는 평면 고무링(340), 및 상기 평면 고무링 상면에 놓여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이 상하 이동할 때 상기 평면 고무링(340)에 압력을 가하는 제3 용수철(34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평면 고무링(340)은 상기 경사구동부가 하방이동할 때 상기 제3 용수철이 누르는 힘으로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 상면에 밀착하여 분진의 진행을 막는다. 상기 경사구동부가 상방이동할 때는 상기 제3 용수철이 이완되어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320)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150) 사이 공간으로 이미 진입해 있는 분진을 상기 경사이동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원통형 지지부(300)는 상기 경사이동 공간에서 외부로 분진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390)를 형성해서, 상기 분진을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00)의 상기 상단 원통부에 형성된 상기 원통부 공간에도 외부로 분진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19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단 제1몸체의 암나사산(111)과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수나사산(151)이 나사결합할 때, 상기 제1 몸체의 암나사산부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수나나산부를 관통하는 고정키 핀(미도시)이 결합되도록 상기 암나사산부와 상기 수나사산부에 각각 고정키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암나사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리형상의 홈을 둘러싸는 키홈 고정링고무링이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키홈을 둘러싸는 고리형상의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해머드릴 어댑터 경사구동부가 제2몸체 내부의 덮개부 경사이동 공간을 따라 경사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해머드릴 어댑터 경사구동부가 제2몸체 내부의 덮개부 경사이동 공간을 따라 경사방향 타측으로 이동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경사구동부의 상면(220)이 상기 제2몸체 덮개부의 원통형 벽면 바닥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지점까지 하방 이동을 한 뒤에는 상기 원통형 벽면 바닥부(259)가 이루는 곡률반경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a)는 경사방향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a)는 경사방향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작업자가 미는 힘을 가하면 용수철 상수(탄성계수)가 제2 용수철보다 큰 제1 용수철이 탄성압축을 하게 된다. 도 4(b)는 경사방향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힘을 추가로 가해 r만큼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경사방향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힘을 추가로 가해 r만큼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추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를 탄성 지탱하는 제1 용수철이 탄성 압축되어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가 상기 경사 이동부 하면의 하강 걸림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추가로 r만큼 더 이동한 상태로 해머드릴의 드릴비트가 작동하게 되면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바닥쪽이 입구보다 넓은 구멍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r 값은 3mm이다.
이때 상기 제1몸체와 상기 경사구동부 사이의 간격 d는 줄어들게 되고,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가 상기 경사구동부의 하강 걸림부로 이동하여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와 상기 경사구동부의 상면 고리형 돌기부 사이에 새로운 간격 s가 형성된다. 상기 s와 상기 d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d가 s보다 크다. 해머드릴을 사용하면서 드릴비트 단부가 닳게 되므로 제1몸체와 드릴비트 고정부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할 때 드릴비트가 일정한 길이로 노출될 수 있도록 조여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의 제2몸체 원통형 지지부 외부 테두리에 연결되어 타공위치를 표시하는 직각자(7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직각자는 원호형 날(750)과 원호형 날 양쪽 끝에 형성된 용수철 고리(710), 및 상기 원호형 날 양쪽 끝에서 연장되며 서로 직각인 두 개의 눈금표시 날(770)을 포함한다. 상기 원호의 각도는 80도 내지 100도이며, 바람작하게는 90도이다. 상기 직각자는 원통형 지지부(300)의 바닥면에 인접한 원통형 외부 테두리(810)의 홈에 상기 원호형 날(750)을 고정하는 고정 용수철(800)로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에 직각자를 연결하고, 이를 이용하여 타공위치를 정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원통형 지지부는 바닥면에 인접한 원통형 외부 테두리에 직각 모서리 측정용 직각자의 원호 삽입을 위한 80도 내지 100도 범위의 원호를 따라 직각자 날이 삽입될 수 있는 폭의 홈(790)과, 상기 테두리의 나머지 부분에 용수철을 포함한 탄성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의 홈(890)을 형성한다. 도 7(a)는 상기 직각자가 체결되는 제2몸체의 상기 원통형 외부 테두리에 형성된 홈(790, 890)을 표시한다. 도 7(b)는 직각자를 직각자 날이 삽입될 수 있는 홈에 삽입하고 고정 용수철(800)로 고정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각자가 연결된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로 패널의 타공위치에서 구멍을 뚫는 개념도이다. 도 8(a)는 직각날이 결합된 본 발명의 타공장치가 모서리로부터 미리 정한 위치를 신속하게 정하는 개념도이며, 도 8(b)는 실제 건물 외장용 석재 또는 세라믹 패널의 미리 정한 지점에 직각자를 연결한 타공장치로 실제 타공작업을 수행하는 장면이다. 이러한 직각자를 활용하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석재나 세라믹 패널에 직접 위치를 표시하는 작업에 비해서 위치 오차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00. 제1 몸체
110. 고리형상 홈
111. 암나사산
150. 드릴비트 고정부
151. 수나사산
155. 중간 돌출부
190. 배출구
200. 경사구동부
210. 고리형 돌기부
220. 경사구동부 상면
230. 경사구동부 측면
250. 덮개부
251. 체결부재
252. 원통형 지지부 체결공
253. 덮개부 체결공
256. 측부 내면
258. 상측 내면
259. 원통형 벽면
270. 경사구동부 하면
275. 하강 걸림부
277. 제1 용수철
278. 체결부재
300. 원통형 지지부
310. 경사구동부 지지원통
320. 내부 고리형 지지부
325. 돌출부
330. 경사 베어링
340. 평면 고무링
345. 제3 용수철
350. 하면 조립부
351. 체결부재
352. 체결공
355. 경사 베어링 고정부
370. 제2 용수철
390. 배출구
500. 드릴비트
550. 단부
570. 고정공
700. 직각자
710. 용수철 고리
750. 원호형 날
770. 눈금표시 날
790. 홈
800. 고정 용수철
810. 원통형 외부 테두리
890. 홈

Claims (6)

  1.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로:
    상기 타공장치는, 드릴비트(drill bit)(500)가 노출되도록 부착한 해머 드릴(hammer drill); 및
    상기 해머드릴 하부에서 상기 노출된 드릴비트가 통과하도록 접하며, 상기 드릴비트가 미리 정한 공간에서 상하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해머드릴과 연결되는 해머드릴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해머드릴 어댑터는 상하 이단 원통형상으로, 상단 원통부 측면에 상기 해머드릴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해머드릴의 고정홀과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원통부보다 지름이 좁은 하단 원통부는 내면에 암나사산(111)이 형성된 제1몸체(100);
    상부에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수나사산(151)을 상부 외면에 구비하고, 상기 수나사산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이격된 외면에 중간 돌출부(155)를 구비하며, 내부를 관통하는 드릴비트를 고정하는 원기둥 형상의 드릴비트 고정부(150);
    상면(220)은 중앙에 고리형 돌기부(210)가 형성된 구형이고, 측면(230)은 단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수직벽면이며, 하면(270)은 상기 수직벽면 바닥부에 접하는 탈착식 원형 평면으로, 상기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이 만드는 내부 공간에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가 위치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면을 이루는 원형평면의 상기 내부공간을 향한 상면에는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를 탄성 지탱하는 제1 용수철(277)이 위치하고 상기 용수철을 둘러싸되 상기 제1 용수철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간 돌출부의 하강 걸림부(275)가 형성된, 경사구동부(200); 및
    상측 내면(258)은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이 걸리도록 미리 정한 크기의 개구를 구비하며, 측부 내면(256)은 상기 경사구동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원통형이고, 상기 원통형 벽면 바닥부(259)는 상기 경사구동부 상면의 구면과 동일하거나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미리 정한 크기로 확장된 덮개부(250); 상기 덮개부와 결합하는 경사진 원통형으로 그 내부에 용수철을 지지하는 내부 고리형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고리형 지지부 상부에는 제2 용수철(370)이 놓여서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가 만드는 경사이동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구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300); 및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 안쪽에 위치하여 그 내부로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을 미리 정한 지점에서 정지시키는 경사구동부 지지원통(310)과 상기 경사구동부 지지원통이 상기 원통형 지지부 내부에서 상하방향과 경사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중심을 유지시켜주는 경사 베어링(330)을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고정하는 하면 조립부를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는 상기 제2 용수철의 탄성 압축되는 동안 압축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보다 큰 값인,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경사이동 공간에는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는 분진을 막도록 상기 내부고리형 지지부를 덮어주는 평면 고무링(340), 및 상기 평면 고무링 상면에 놓여서 상기 경사구동부 하면이 상하 이동할 때 상기 평면 고무링에 압력을 가하는 제3 용수철(345)이 위치하는,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상기 상단 원통부는 상기 원통부 공간에서 외부로 분진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190)를 형성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원통형 지지부는 상기 경사이동 공간에서 외부로 분진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390)를 형성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단 제1몸체의 암나사산과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수나사산이 나사결합할 때, 상기 제1 몸체의 암나사산부와 상기 드릴비트 고정부의 수나사산부를 관통하는 고정키 핀이 결합되도록 상기 암나사산부와 상기 수나사산부에 각각 고정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키홈의 고정키를 둘러싸는 고무링을 끼울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홈(110)이 형성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원통형 지지부는 바닥면에 인접한 원통형 외부 테두리에 직각 모서리 측정용 직각자(700)의 원호 삽입을 위한 80도 내지 100도 범위의 원호를 따라 직각자 날이 삽입될 수 있는 폭의 홈(790)과, 상기 테두리의 나머지 부분에 용수철을 포함한 탄성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의 홈(890)을 형성한,
    앵커볼트(anchor bolt) 삽입구 타공장치.
KR1020200026968A 2020-03-04 2020-03-04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KR10227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968A KR102278237B1 (ko) 2020-03-04 2020-03-04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PCT/KR2020/017910 WO2021177558A1 (ko) 2020-03-04 2020-12-09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EP20922758.6A EP4116052A4 (en) 2020-03-04 2020-12-09 APPARATUS FOR PUNCHING AN ANCHOR BOLT INSERTION HOLE
US17/457,223 US11919198B2 (en) 2020-03-04 2021-12-01 Apparatus for punching anchor bolt insertion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968A KR102278237B1 (ko) 2020-03-04 2020-03-04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237B1 true KR102278237B1 (ko) 2021-07-16

Family

ID=7715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968A KR102278237B1 (ko) 2020-03-04 2020-03-04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9198B2 (ko)
EP (1) EP4116052A4 (ko)
KR (1) KR102278237B1 (ko)
WO (1) WO202117755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714A (ja) * 2000-06-15 2001-12-25 Yasuyuki Suzuki 穿孔拡開工具
KR101141414B1 (ko) 2008-10-27 2012-05-03 (주)대동석재공업 타공장치
KR101441878B1 (ko) * 2012-10-08 2014-09-19 최덕춘 공구용 연결구
KR20150138318A (ko) * 2013-08-23 2015-12-09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확경 구멍부가 있는 구멍의 천공 장치
JP2019136981A (ja) * 2018-02-14 2019-08-22 株式会社ミヤナガ 拡径孔部の穿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1390A (en) * 1960-12-02 1965-06-29 Bell Bottom Foundation Co Method of preparing subsurface and forming concrete column therein
DE8213668U1 (de) * 1982-05-12 1982-08-19 Hawera Probst Gmbh + Co, 7980 Ravensburg Bohrwerkzeug
US4502554A (en) * 1982-06-02 1985-03-05 Jones Richard H Expansible tool for reaming frustoconical undercuts in cylindrical holes
DE3839617A1 (de) * 1988-11-24 1990-05-31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hinterschneidung in einem bohrloch
KR100991826B1 (ko) * 2008-10-10 2010-11-04 (주)대동석재공업 타공용 드릴날
CA2713244A1 (en) * 2009-09-17 2011-03-17 Robert Cousineau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US20110180330A1 (en) * 2010-01-26 2011-07-28 Conn Timothy W Drilling assembly with underreaming bit and method of use
JP6651418B2 (ja) * 2016-07-07 2020-02-19 株式会社ミヤナガ 拡径孔部の穿孔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714A (ja) * 2000-06-15 2001-12-25 Yasuyuki Suzuki 穿孔拡開工具
KR101141414B1 (ko) 2008-10-27 2012-05-03 (주)대동석재공업 타공장치
KR101441878B1 (ko) * 2012-10-08 2014-09-19 최덕춘 공구용 연결구
KR20150138318A (ko) * 2013-08-23 2015-12-09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확경 구멍부가 있는 구멍의 천공 장치
JP2019136981A (ja) * 2018-02-14 2019-08-22 株式会社ミヤナガ 拡径孔部の穿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558A1 (ko) 2021-09-10
EP4116052A4 (en) 2024-03-27
EP4116052A1 (en) 2023-01-11
US11919198B2 (en) 2024-03-05
US20220088828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4855B2 (en) Concrete anchor coupling assembly and anchor rod holder
US7316342B2 (en) Nailing depth control structure for a palm nailer
EP2831347B1 (en) Building block, as well as an insert piece to be applied in such a building block
KR102158588B1 (ko)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78237B1 (ko) 앵커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AU20183444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ast-in anchor
KR101896867B1 (ko) 방진부를 구비한 앵커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유닛
KR20190114068A (ko)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JP2007205081A (ja) 支保工用パイプサポートの荷重解放装置
KR102357464B1 (ko) 집진부를 포함한 고정볼트 삽입구 타공장치
KR100455561B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KR101141414B1 (ko) 타공장치
CN113124031A (zh) 内壁用锚栓
KR101864988B1 (ko) 석재패널 수평조절용 패드
KR101934506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KR200394297Y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1913638B1 (ko) 슬라브 거푸집 체결용 고정핀 타격장치
KR100767567B1 (ko) 건축용 인서트
CN220451580U (zh) 一种围墙组件
JP6673724B2 (ja) 角材固定具及び角材の固定方法
KR102572456B1 (ko) 타일시공시스템
KR200277732Y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KR200222153Y1 (ko) 건축용 미장면처리 치핑해머
JPH067846Y2 (ja) アンダーカットドリルの穿孔位置調整機構
RU144468U1 (ru) Головка для растачивания кольцевых канавок в отверсти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