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61B1 -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661B1
KR100805661B1 KR1020060051380A KR20060051380A KR100805661B1 KR 100805661 B1 KR100805661 B1 KR 100805661B1 KR 1020060051380 A KR1020060051380 A KR 1020060051380A KR 20060051380 A KR20060051380 A KR 20060051380A KR 100805661 B1 KR100805661 B1 KR 10080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tea
water
roots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296A (ko
Inventor
공수경
Original Assignee
공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수경 filed Critical 공수경
Priority to KR102006005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66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늘차의 제조 방법은 (a) 마늘을 허브인 로즈마리와 함께 황토 지장수에서 숙성시킨 후, (b) 상기 황토 지장수에 파뿌리와 마늘 뿌리를 마늘과 함께 숙성시키고 건조시킨 후, (c) 상기 마늘, 파뿌리, 마늘 뿌리에 대해 덖음과 법제 과정을 반복시킨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마늘차는 마늘과 로즈마리의 두 가지 향이 모두 빠져 나가고 로즈마리의 단맛이 마늘에 스며들고 파뿌리와 마늘뿌리의 향긋함이 어우러져서, 마늘의 특유의 매운 맛과 향을 제거되고 오묘한 여러 가지 맛을 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의 독소를 제거하여 여러 가지의 오묘한 맛과 향을 내는 기능성 마늘차가 제조될 수 있으며, 파뿌리와 마늘뿌리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천연성분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므로 마늘 건강식품 및 대중성 있는 차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a functional garlic tea and the functional garlic te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로즈마리와 함께 마늘을 황토의 지장수에 숙성시키고, 숙성된 마늘과 마늘 뿌리 및 파 뿌리를 다시 지장수에 숙성시키고 건조시켜, 마늘의 매운 맛과 향을 제거하고 로즈마리의 단맛이 마늘에 스며들고 파뿌리와 마늘뿌리의 향긋함이 어우러지도록 한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식생활에 많이 사용되어 온 중요한 향신료인 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서, 단백질 1 ~ 3 %, 지방 0.2 ~ 0.5 %, 당질 20 ~ 35 %, 회분 1~ 2 %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밖에 비타민 B군, C와 Ca, K, P, S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며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마늘에는 약 1%의 휘발성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대부분은 설피드(sulfide)화합물이다. 마늘에 포함된 디알릴설피드, 프로필알릴설피드, 디프로필설피드 등과 같은 성분은 식물조직에서 무취의 전구체인 알린(alliin)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가수분해효소인 알리나제(alliinase)에 의해 분해되어 알리신(allicin)과 알릴설피드가 되면서 자극성이 강한 냄새를 내게 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마늘은 스테미너를 강하게 하는 음식물로서 옛부터 인정받고 있는 식품이다. 마늘은 식욕증진, 피로회복에 좋을 뿐만 아니라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 유간부족(乳肝不足), 임신중독증, 갱년기질환, 알레르기질환, 신진대사이상 등에 매우 유효하다. 또한 마늘은 세포에 활력을 주어 세포를 젊어지게 하고 변비로 인해 고심하는 사람의 변통을 좋게 하고 혈장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고혈압에도 도움이 되고 암세포를 억제시켜 암을 예방하기도 한다.
마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매우 유익함에도 불구하고, 마늘의 고유의자극적인 맛과 향 때문에, 대부분 향신료 정도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이며, 마늘을 이용한 일반 식품이나 차류를 개발하려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런데, 마늘 냄새를 내는 원인은 알리인이라고 하는 단백질 성분으로서, 마늘을 자르거나, 갈거나 해서 공기중의 산소와 접촉하면 알리나아제라고 하는 효소가 작용해서 알리인이 알리신으로 변해 강한 마늘 냄새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알리신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마늘은 그 약효를 발휘시킨다. 다만, 이러한 알리나아제는 열에 약해서 수분간 끓이거나 구우면 파괴되어 버리므로, 알리나아제가 파괴된 상태에서는 마늘의 냄새가 없어져 버린다. 그런데 마늘의 알라인은 체내에 들어가 서, 체내의 비타민 B6와 결합함으로써 알리신으로 변화하여 약효를 발휘해 준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마늘의 특성을 이용하여 마늘의 음용에 적합하게 매운맛을 제거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늘을 로즈마리와 황토 지장수에 숙성시키고 숙성된 마늘은 파뿌리, 마늘뿌리와 함께 숙성 및 건조, 덖음, 법제 과정을 반복하여 마늘의 독소를 제거하고 여러 가지 오묘한 맛과 향을 내도록 한 기능성 마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늘의 매운 맛과 향을 제거하면서 마늘의 성능은 그대로 보유하는 전술한 기능성 마늘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는 덖음과 법제된 마늘, 마늘뿌리, 파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늘은 로즈마리 잎과 함께 황토 지장수에서 1 ~ 3 일 동안 숙성되고,
상기 파뿌리와 마늘 뿌리는 상기 숙성된 마늘과 황토 지장수에서 0.5 ~ 2 일 동안 숙성되며,
상기 숙성된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는 건조된 후 덖음과 법제 과정을 반복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의 제조 방법은,
(a) 로즈마리의 잎을 물에 넣어 1-3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와,
(b) 마늘을 세절한 후 상기 물에 담가서 1-3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와,
(c) 상기 물에서 로즈마리의 잎을 제거한 후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어서 0.5-2일간 숙성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숙성된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를 건져서 1-3일 동안 자연바람에 건조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건조된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를 덖음과 법제의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덖음 과정이란 상기 건조된 마늘을 뜨겁게(150 ~ 300℃) 달구어진 무쇠솥에 넣고 덖어내는 과정을 의미하며, 법제(法製) 과정이란 상기 덖어진 마늘을 손으로 비비는 과정으로 유념 과정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은 황토를 물에 담아 우려낸 지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장수는 황토를 물에 담가 한달간 우려낸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늘은 우도의 청정해역에서 재배되어진 마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늘은 약 1mm 두께로 세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법제된 마늘을 일몰 후 일출 전까지의 시간동안(즉, 해가 뜨기 전에) 자연해풍에 노출시킨 후 그늘에서 자연바람에 2-4일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지보다 는 그늘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마늘차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되며, 해가 뜨지 않은 시간인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의 시간동안 자연 해풍에 노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향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숙성된 마늘과 함께 숙성된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함께 건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늘차는 추가적으로 마늘, 파뿌리, 마늘 뿌리를 건조한 후 적당한 입도(150 ~ 200 매쉬)로 분말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말화된 마늘차는 포도당, 설탕 등과 같은 감미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는 건조된 후 덖음 과정과 법제 과정을 반복하여 완성된 마늘, 마늘뿌리 및 파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늘은 허브를 일정 기간동안 숙성시킨 물에 넣어 숙성시킨 후,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어서 다시 일정 기간동안 숙성시킨 후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늘뿌리와 파뿌리는 상기 마늘과 함께 상기 물에 넣어 숙성된 후 건조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기능성 마늘차에 있어서, 상기 물은 황토를 물에 담아 우려낸 지장수이며, 상기 허브는 로즈마리이며, 상기 숙성된 마늘, 마늘뿌리, 파뿌리는 덖음과 법제 과정을 거친 후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의 시간동안 자연해풍에 노출시켜 건조시키며, 상기 마늘은 일정 두께로 세절한 후 숙성, 건조, 덖음, 법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성 마늘차의 제조에 사용된 원재료의 작용 및 특성을 설명한다.
마늘차에 사용되어진 주재료인 마늘은 제주의 우도에서 재배되어진 것이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이 마늘은 첫맛이 달콤하고 혀를 감도는 매콤한 맛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마늘에는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카로틴, 비타민 등 매우 다양한 영양소가 들어 있으며, 항균, 항암, 소염작용이 뛰어나다. 또한, 마늘은 소화제, 성인병, 멀미, 울렁증, 물갈이, 감기예방에 좋으며 혈액순환촉진, 이뇨작용, 살균, 냉증, 빈혈증, 저혈압 등에 좋으며, 남녀 호르몬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마늘의 알리신 성분은 신경안정작용으로 피곤한 몸에 자극과 영양을 준다. 마늘은 현대의학에서도 단일 식품 중 항암 연구에 가장 활발한 재료로서 소음인에게 특히 좋은데, 이는 마늘이 소화기계가 냉한 소음인에게 속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마늘은 고기를 먹은 후 입속에 누린 냄새와 입속의 악취냄새를 제거하기도 하며, 먹은 후 아랫배에 훈훈한 열기를 즉각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마늘은 "타임지가 선정한 10대 건강식품" 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의 마늘에 대한 소비 형태는 대부분 신선한 향신료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며,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생리적인 효과가 있는 마늘을 이용한 일반식품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는 마늘이 가지는 고유의 자극적인 맛과 향 때문에 마늘을 이용한 대중적인 식품을 제조하려는 연구가 미비하여 제품화에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는 마늘의 자극적인 향과 맛이 제거되어졌기 때문에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기능성 마늘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식품으로 개발되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한편, 파뿌리 및 마늘뿌리는 우리가 흔히 초기감기에 우려내어 그 물을 마시는 것이 민간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갖는 파뿌리를 마늘과 함께 차로 만들어 먹음으로써 파뿌리가 가진 성분까지 마늘차에 함유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기침과 담 제거, 초기 감기 예방 그리고 남성 전립선비대증 치료에도 효과적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는 우리가 어디서나 흔히 쉽게 구할 수 있는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첨가하여, 마늘 뿌리와 파뿌리에 함유되어진 유익한 성분들이 마늘차에 우려내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늘차에 포함된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씹어 먹었을 때는 수삼을 씹는 듯한 조직감도 느껴지고 맛도 느낄 수 있게 된다.
로즈마리는 아시아가 그 원산지이며 지중해 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향유를 추출하고 있다. 로즈마리는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서, 그 잎은 진 초록색으로 바늘모양이며, 꽃은 청색 또는 라일락꽃의 색이다. 이러한 특성의 로즈마리는 살균소독작용이 있고 뇌세포를 활성화시켜 두뇌를 맑게 하고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집중력을 높여주는 효능을 발휘한다. 로즈마리는 주로 개화초기에 수확하여 차로 이용되기도 하며 요리에도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는 허브의 한 종류인 로즈마리의 잎을 지장수에 넣어 숙성시키므로써, 마늘차의 향을 우수하게 한다. 그러나 로즈마리를 지장수에 숙성시켰다고 하여 로즈마리향이 그대로 기능성마늘차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고 제 3의 향을 나타나게 해 주는 특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를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어진 황토의 지장수는 황토를 물에 담아 한 달간 우려낸 물로써 무근수(無根水)라고도 한다. 이러한 지장수의 특징은 차고 달며, 독이 없고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산에 있는 독버섯을 모르고 삶아 먹어 생명이 위독한 경우에 이 물을 마시면 나을 수 있지만 다른 약으로는 살릴 수 없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즉, 지장수는 이러한 해독작용을 하는 것에 특효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이 체하여 구토와 설사를 하는 급성위장병 및 일사병으로 갑작스럽게 죽은 사람을 되살릴 수도 있다고 전해진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로즈마리의 잎을 황토 지장수에 넣어 약 이틀 동안 숙성시킨다(단계 100). 다음, 마늘을 세절하여, 로즈마리를 숙성시킨 지장수에 담가서 약 이틀 동안 숙성시킨다(단계 110). 다음, 상기 지장수에서 로즈마리의 잎을 제거한 후, 상기 지장수에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어서 하루 동안 숙성시킨다(단계 120). 다음, 상기 지장수로부터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를 건져서 약 이틀 동안 자연 바람에 건조시킨다(단계 130). 다음 상기 건조된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를 덖음과 법제의 과정을 반복한다(단계 140). 다음, 덖음과 법제 과정이 완성된 후 상기 마늘, 파뿌리, 마늘 뿌리는 일몰 후 부터 일출 전 까지의 시간 동안(즉, 해 뜨기 전의 시간 동안) 자연 해풍에 노출시켜 건조시킨 후 그늘과 자연 바람에 약 3일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기능성 마늘차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마늘, 마늘뿌리, 파뿌리로 구성되는 기능성 마늘차가 완성되며, 이러한 기능성 마늘차는 마실때에 약 100℃의 끓는 물에 넣고 약 10초 동안 우려낸 후에 마시면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기능성 마늘차의 제조
우선 황토를 물에 담가 1개월 동안 지장수를 만든 다음 로즈마리의 잎을 그 물에 넣어 이틀 동안 숙성시켰다. 이 과정을 통해 지장수에 로즈마리의 향기가 가미되게 된다. 그 다음은 우도의 청정해역에서 재배되어진 마늘을 1mm의 두께로 썰어 로즈마리의 향이 가미된 지장수에 담가서 또 다시 이틀 동안 숙성시켰다. 그 과 정을 통하여 로즈마리의 향과 마늘의 매운맛 및 마늘 고유의 극한 향은 없어지고 제 3의 향이 마늘에서 나오게 된다. 그 다음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어서 하루를 숙성시킨 다음 건져서 이틀 동안 자연바람에 건조시키고 덖음 과정을 거친 후 법제(法製)하였다. 덖음과 법제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뿌리에 함유되어진 여러 성분이 천연상태로 기능성 마늘차에 함유되어진다.
실시예 2: 기능성 마늘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단계를 거친 후에, 그 다음 밤 10시부터 새벽 5시까지 자연해풍에 노출시켰다. 이와 같이 햇볕이 없는 상태에서 자연 해풍에 건조시킴으로써, 기능성 마늘차의 맛과 향을 더욱 돋우고, 천연 보존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는 그늘에서 자연바람에 3일 동안 건조시켰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단계들을 거치나, 단지 지장수 대신 일반 물을 사용하여 마늘차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색상이 마늘색과 동일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지장수를 사용함으로써, 그 색상이 옅은 갈색을 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단계들을 거치나, 단지 로즈마리를 넣지 않고 숙성하여 마늘차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마늘차의 향이 마늘향이 그대로 베어나왔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마늘향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로즈마리의 향도 거의 없으며, 새로운 향이 나오게 된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단계들을 거치나, 단지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지 않고 숙성하여 마늘차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차는 쌉쓰름한 맛이 더 추가되어 마늘차의 향미를 더욱 향상시켰으나, 비교예 3은 이러한 쌉쓰름한 맛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실험예 : 관능평가
상기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마늘차를 10인의 패널에게 마시게 한 후 색상, 향, 맛을 5점 평점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색상 종합기호도
실시예 1 4.6 4.7 4.8 4.7
실시예 2 4.7 4.8 4.9 4.8
비교예 1 4.3 4.4 4.3 4.3
비교예 2 4.5 4.3 4.3 4.4
비교예 3 4.5 4.4 4.2 4.3
본 발명의 기능성 마늘차를 마실 때에는 100 ℃의 끓는 물에 기능성 마늘차를 넣고 10초 동안 우려낸 후에 마시면 아주 그 맛이 우수하고, 일곱 번 정도 우려 마셔도 차의 오묘한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의 독소를 제거하여 여러 가지의 오묘한 맛과 향을 내는 기능성 마늘차가 제조될 수 있으며, 로즈마리의 진한 향과 마늘의 진한 향 및 매운맛이 서로 어울려 숙성이 되는 과정에서 두 향 모두가 제거되어지고 로즈마리와 지장수의 단맛이 마늘과 어우러져서 오묘한 단맛이 나게 된다. 또한 파뿌리와 마늘뿌리의 기능성을 비롯하여 천연성분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므로 마늘 건강식품 및 대중성 있는 차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a) 로즈마리의 잎을 물에 넣어 1~3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b) 마늘을 세절한 후 상기 물에 담가서 1~3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물에서 로즈마리의 잎을 제거한 후,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어서 0.5~2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숙성된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를 건져서 자연바람에 건조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건조된 마늘, 파뿌리, 마늘뿌리에 대해 덖음과 법제의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늘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황토를 물에 담아 우려낸 지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은 청정해역에서 재배되어진 마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법제된 마늘을 자연해풍에 노출시킨 후 그늘에서 자연바람에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법제된 마늘을 자연해풍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의 시간 동안에 자연 해풍에 노출시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차의 제조 방법.
  6. 건조된 후 덖음 과정과 법제 과정을 반복하여 완성된 마늘, 마늘뿌리 및 파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늘은 로즈마리를 숙성시킨 물에 넣어 숙성시킨 후, 파뿌리와 마늘뿌리를 넣어서 다시 숙성시킨 후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늘뿌리와 파뿌리는 상기 마늘과 함께 상기 물에 넣어 숙성된 후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늘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황토를 물에 담아 우려낸 지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늘차.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된 마늘, 마늘뿌리, 파뿌리는 덖음과 법제 과정을 거친 후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의 시간동안 자연해풍에 노출시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늘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은 일정 두께로 세절한 후 숙성, 건조, 덖음, 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늘차.
KR1020060051380A 2006-06-08 2006-06-08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380A KR100805661B1 (ko) 2006-06-08 2006-06-08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380A KR100805661B1 (ko) 2006-06-08 2006-06-08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296A KR20070117296A (ko) 2007-12-12
KR100805661B1 true KR100805661B1 (ko) 2008-02-21

Family

ID=3914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380A KR100805661B1 (ko) 2006-06-08 2006-06-08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6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984A (ko) * 1992-05-19 1993-12-18 김장환 양파, 마늘, 파 음료 제조방법
KR950009181A (ko) * 1993-09-04 1995-04-21 배순훈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H0838091A (ja) * 1994-07-27 1996-02-13 Kenji Suzuki ニンニク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00208510B1 (ko) * 1997-01-28 1999-07-15 최병길 분말마늘의 제조방법
KR100319046B1 (ko) * 1999-02-12 2002-01-05 임봉택 마늘차 제조방법
KR100365447B1 (ko) * 2000-03-07 2002-12-18 정연학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음식 제조방법
KR20030026941A (ko) * 2003-02-10 2003-04-03 강성원 마늘-콩차
KR20060014543A (ko) * 2004-08-11 2006-02-16 유혜숙 자연 건강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2984A (ko) * 1992-05-19 1993-12-18 김장환 양파, 마늘, 파 음료 제조방법
KR950009181A (ko) * 1993-09-04 1995-04-21 배순훈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H0838091A (ja) * 1994-07-27 1996-02-13 Kenji Suzuki ニンニク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00208510B1 (ko) * 1997-01-28 1999-07-15 최병길 분말마늘의 제조방법
KR100319046B1 (ko) * 1999-02-12 2002-01-05 임봉택 마늘차 제조방법
KR100365447B1 (ko) * 2000-03-07 2002-12-18 정연학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음식 제조방법
KR20030026941A (ko) * 2003-02-10 2003-04-03 강성원 마늘-콩차
KR20060014543A (ko) * 2004-08-11 2006-02-16 유혜숙 자연 건강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296A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0276B (zh) 一种辣酱调料、辣酱及其制作方法
KR101197606B1 (ko) 마늘 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2132334B1 (ko)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 제거를 위한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
KR102183579B1 (ko) 초밥용 간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0216B1 (ko) 간장불고기용 양념육 및 그 제조방법
KR101297688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해장국의 제조방법
CN104366422B (zh) 一种多用途的香茅调味汁及其制备方法
KR100944965B1 (ko) 육류요리용 양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념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101392552B1 (ko)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5464A (ko) 약초만두 및 약초만두의 제조방법
KR20120005258A (ko) 함초 추출액을 이용한 반건조 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661B1 (ko) 기능성 마늘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505B1 (ko) 곰취와 우렁이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042514B1 (ko) 장어 숙성소스 및 그 숙성방법
KR101469932B1 (ko)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20170117685A (ko) 장김치 제조 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763472B1 (ko) 한방 삼겹살 제조방법
KR101725492B1 (ko) 인삼과 버섯을 함유한 갈비 맛 숯불구이용 건강 보조식 오리고기의 가공방법
KR102346397B1 (ko) 당근을 이용한 정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6318B1 (ko) 사과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354999B1 (ko) 김밥과 김밥용 겨자소스 및 이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