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826B1 - 버스의 리어바디 - Google Patents

버스의 리어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826B1
KR100802826B1 KR1020050118718A KR20050118718A KR100802826B1 KR 100802826 B1 KR100802826 B1 KR 100802826B1 KR 1020050118718 A KR1020050118718 A KR 1020050118718A KR 20050118718 A KR20050118718 A KR 20050118718A KR 100802826 B1 KR100802826 B1 KR 10080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s
coupled
upper body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650A (ko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8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리어바디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프레임(11)과 리어엔드프레임(31)의 결합에 의해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리어바디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1)의 하단에는 돌기구멍(15a)과 다수의 볼트구멍(15b)을 갖춘 프레임브라켓(15)이 결합되고,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양단에는 결합돌기(31a) 및 볼트구멍(31b)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구멍(15a)으로 결합돌기(31a)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구멍(15b,31b)으로 조립볼트(41)가 체결되어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리어바디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부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외관미가 향상되며, 비용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틀림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리어바디{Rear body of bus}
도 1과 도 2는 버스의 리어바디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종래 구조에 따른 어퍼바디와 로워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리어바디의 종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바디와 로워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과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바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대응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Ⅰ-Ⅰ선 부분단면도로서,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의 결합부위를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퍼바디 11 - 사이드프레임
15a - 돌기구멍 15b,31b - 볼트구멍
30 - 로워바디 31a - 결합돌기
31 - 리어엔드프레임 41 - 조립볼트
본 발명은 버스의 리어바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의 결합부위에 잔류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충분한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리어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리어바디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1) 및 사이드패널(3)이 결합되는 어퍼바디(10)와, 다수의 프레임 조합으로 이루어져 강성을 확보한 로워바디(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바디(10)는 좌,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11)의 하단이 상기 로워바디(30)와의 결합부위에 해당하며, 상기 로워바디(30)는 리어엔드프레임(31)의 좌우 양단에 결합된 서포트브라켓(33)이 어퍼바디(10)와의 결합부위에 해당한다.
즉,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좌우 양단에는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서포트브라켓(33)이 각각 볼팅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브라켓(33)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1)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용접홀(3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루프패널(1)과 사이드패널(3)이 결합된 어퍼바디(10)의 사이드프레임(11) 하단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브라켓(33)과 중첩을 이루도록 배치시키고, 상기 용접홀(33a)을 통해 용접작업을 행함으로써 상기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이 이루어져 리어바디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종래 결합구조는 리어바디의 내구성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퍼바디(10)에 결합되는 루프패널(1)과 사이드패널(3)은 각각 용접작업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때 용접부위에는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국부적으로 1차 열변형이 발생된 어퍼바디(10)를 로워바디(30)와 재차 용접작업을 행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결국 열에 의한 변형이 가중됨으로써 상기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가 결합된 리어바디는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구성의 문제는 차량 주행시 반복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결국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어퍼바디(10)를 로워바디(30)와 용접작업을 행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결합부위의 열변형에 의해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사이에 갭(gap)이 생기는 단차 불량이 발생하여 외관미가 나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로워바디(30)와 결합되기 전의 어퍼바디(10)는 조립공정상 이미 전착도장을 실시한 제품인데, 전착도장을 실시한 어퍼바디(10)를 로워바디(30)와 용접작업을 통해 결합시키게 되면, 결합부위의 도장이 벗겨지게 되어 이후에 재차 페인팅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퍼바 디와 로워바디를 용접을 행하지 않고 결합시키는 구조로 개선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사이에 갭에 의한 단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외관미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결합부위에 반복적인 페인팅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리어바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충분한 비틀림 강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과 리어엔드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리어바디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하단에는 돌기구멍과 다수의 볼트구멍을 갖춘 프레임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리어엔드프레임의 양단에는 결합돌기 및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구멍으로 결합돌기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구멍으로 조립볼트가 체결되어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바디와 로워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바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리어바디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패널(1) 및 사이드패널(3)이 결합되는 어퍼바디(10)와, 다수의 프레임 조합으로 이루 어져 강성을 확보한 로워바디(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바디(10)는 좌,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11)의 하단이 상기 로워바디(30)와의 결합부위에 해당하는데, 이 결합부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브라켓(15)이 전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용접 결합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1)은 차체의 전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바아(11a)와, 상기 수평바아(11a)의 좌/우측 양단부에서 각각 한 쌍으로 차체의 전고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바아(11a)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바아(11b)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브라켓(15)은 상기 좌/우측 한 쌍의 수직바아(11b)의 하단부에서 상기 좌/우측 한 쌍의 수직바아(11b)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직바아(11b)의 하단에는 돌기구멍(15a)과 다수의 볼트구멍(15b)을 갖춘 프레임브라켓(15)이 결합되는 데, 상기 돌기구멍(15a)은 상기 프레임브라켓(15)에서 수직한 전고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15b)은 상기 프레임브라켓(15)에서 차체의 후방을 향해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바디(30)는 리어엔드프레임(31)의 좌우 양단이 상기 어퍼바디(10)와의 결합부위에 해당하는데, 이 결합부위에는 상기 어퍼바디(10)와의 결합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a) 및 다수개의 볼트구멍(3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양단 윗면에서 상기 프레임브라켓(15)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수직한 전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31b)은 차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뒷면에서 상기 프레임브라켓(15)에 형성된 볼트구멍(15b)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루프패널(1)과 사이드패널(3)이 결합된 어퍼바디(10)의 사이드프레임(11) 하단을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엔드프레임(31)의 양단으로 위치시켜, 상기 사이드프레임(11)에 형성된 돌기구멍(15a)으로 리어엔드프레임(31)에 형성된 결합돌기(31a)를 끼워서 결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사이드프레임(11)에 형성된 볼트구멍(15b)과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에 형성된 볼트구멍(31b)은 일직선으로 연통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구멍(15b,31b)으로 조립볼트(41)를 체결하여 주면, 상기 사이드프레임(11)과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이 조립볼트(41)의 체결력을 통해 결합되고, 이를 통해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가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리어바디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리어바디는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가 돌기구멍(15a)으로 끼워진 결합돌기(31a)의 결합력 및 볼트구멍(15b,31b)으로 결합된 조립볼트(41)의 체결력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리어바디의 전체적으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차량 주행시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부위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부위에서 갭(gap)에 의해 단차가 발생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외관미가 향상되는 잇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 후 결합부위에 새로운 페인팅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생산성의 향상에도 큰 도움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어바디는 사이드프레임(11)에서 전폭 방향으로 결합된 프레임브라켓(15)에 의해 비틀림에 대한 강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바디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어퍼바디와 로워바디의 결합부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외관미가 향상되며, 비용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틀림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사이드프레임(11)과 리어엔드프레임(31)의 결합에 의해 어퍼바디(10)와 로워바디(3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버스의 리어바디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1)은 차체의 전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바아(11a)와, 상기 수평바아(11a)의 좌/우측 양단부에서 각각 한 쌍으로 차체의 전고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평바아(11a)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바아(11b)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바아(11b)의 하단에는 돌기구멍(15a)과 다수의 볼트구멍(15b)을 갖춘 프레임브라켓(15)이 결합되며;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양단에는 상기 프레임브라켓(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31a)와 다수의 볼트구멍(31b)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구멍(15a)으로 상기 결합돌기(31a)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구멍(15b,31b)으로 조립볼트(41)가 체결되어 상기 어퍼바디(10)와 상기 로워바디(3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바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브라켓(15)은 상기 좌/우측 한 쌍의 수직바아(11b)의 하단부에서 상기 좌/우측 한 쌍의 수직바아(11b) 사이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기구멍(15a)은 상기 프레임브라켓(15)에서 수직한 전고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볼트구멍(15b)은 상기 프레임브라켓(15)에서 차체의 후방을 향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바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양단 윗면에서 수직한 전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31b)은 차체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리어엔드프레임(31)의 뒷면에서 상기 프레임브라켓(15)에 형성된 상기 볼트구멍(15b)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리어바디.
KR1020050118718A 2005-12-07 2005-12-07 버스의 리어바디 KR10080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718A KR100802826B1 (ko) 2005-12-07 2005-12-07 버스의 리어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718A KR100802826B1 (ko) 2005-12-07 2005-12-07 버스의 리어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50A KR20070059650A (ko) 2007-06-12
KR100802826B1 true KR100802826B1 (ko) 2008-02-12

Family

ID=3835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718A KR100802826B1 (ko) 2005-12-07 2005-12-07 버스의 리어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6975A (ja) 1986-08-14 1988-02-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4362480A (ja) * 1991-06-11 1992-1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体組立方法
KR100309412B1 (ko) 1999-10-27 2001-09-26 이계안 버스의 하부차체 접합구조
KR100559834B1 (ko) 2002-10-04 2006-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데킹공법을 이용한 버스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6975A (ja) 1986-08-14 1988-02-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4362480A (ja) * 1991-06-11 1992-1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体組立方法
KR100309412B1 (ko) 1999-10-27 2001-09-26 이계안 버스의 하부차체 접합구조
KR100559834B1 (ko) 2002-10-04 2006-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데킹공법을 이용한 버스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50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500B2 (en) Vehicle framework structure
KR101454726B1 (ko) 수지 루프 패널 구조
JP5754643B2 (ja) 車体の上部構造の製造方法
JP2018167665A (ja) 車両用フード、車両用フードのインナパネルに装着されるストライカアッシー、および車両用フードの製造方法
KR100392086B1 (ko) 차량의 카울 사이드부 t형 박스구조
JP4440832B2 (ja) 鉄道車両の構体骨構造
JP6348922B2 (ja) ルーフ構造
KR100802826B1 (ko) 버스의 리어바디
JP3899976B2 (ja) 自動車用ドアのガラスガイド構造
JP2005075236A (ja) 車体フレームの結合構造
JP4782568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の側板構造
KR101982863B1 (ko) 차량의 프런트루프레일과 프런트필러인너의 연결구조 및 방법
KR100692152B1 (ko) 버스용 프론트 바디 조립구조
JP2004352092A (ja) 車体のフレーム構造
JP5737097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4853164B2 (ja) 車体パネル接合部構造
KR100737238B1 (ko) 차량용 프레임형 도어의 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CN215851467U (zh) 一种分体式工程车车架加强支架
JP4589157B2 (ja) 建設機械用キャビン
KR200152315Y1 (ko) 버스용 상부 수평필라와 상부 수직필라의 결합구조
KR102552017B1 (ko) 폐구간을 갖는 프레임의 용접 구조
JP5098398B2 (ja) 車体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及びフロントピラー製造方法
KR20230104438A (ko) 멤버 이탈방지용 마운팅 브라켓
JP2022165513A (ja) 車両の床下構造
JP4048153B2 (ja) 昇降式荷積みプラットフォ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